KR20200108260A -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260A
KR20200108260A KR1020200100740A KR20200100740A KR20200108260A KR 20200108260 A KR20200108260 A KR 20200108260A KR 1020200100740 A KR1020200100740 A KR 1020200100740A KR 20200100740 A KR20200100740 A KR 20200100740A KR 20200108260 A KR20200108260 A KR 2020010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open end
armrest
vibra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325B1 (ko
Inventor
홍만기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Abstract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는,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개방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및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내설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의 유동소음을 감쇄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함의 개방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암레스트패널의 하면에서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와 이러한 돌기부에 각각 내설되어 개방단부를 탄성력에 의해 가압접촉하도록 작동하는 댐퍼부가 간이한 결합구조로 손쉽게 마련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암레스트 패널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암레스트 패널에 대한 광범위한 진동은 물론, 협범위의 진동까지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진동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ARMREST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본 발명은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보관함의 개구부를 덮으며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도록 하는 암레스트의 차량 진동에 따른 유동소음을 저감시키는 암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물품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콘솔박스 등의 보관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보관함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에 앉은 차량의 탑승자가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암레스트는 장거리 운전을 하는 운전자가 팔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기어의 변속 등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중요도를 가진다.
하지만, 종래의 암레스트는 보관함에 대하여 단순히 상대회전하며 보관함을 개폐하도록 축설되는 구조여서 차량의 운행이나 공회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차량 진동에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차량 진동에 대한 암레스트의 취약성은, 차량의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암레스트가 축설 부분을 기준으로 보관함에 대하여 상대적인 진동을 하며 마찰음, 충돌음 등의 진동소음 즉, 떨림에 의한 소음(Buzz·Squeak·Rattle Noise, 이하 "BSR"이라 한다)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차량 내의 진동소음(BSR)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경을 날카롭게 만들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날로 중요시되는 차량의 감성품질과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진동소음(BSR) 테스트는 근래 여러 나라에서 제품품질의 중요요건의 하나로 인식되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소음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레스트(5) 구조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에 따르면 단순히 암레스트(5) 하단면에서 보관함(10) 쪽으로 돌출되어 보관함의 측벽단부에 의해 암레스트(5)의 좌우유동을 규제하는 하나 이상의 니플형 돌기(20)를 통해 진동소음을 구조적으로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니플형 돌기(20)는, 보관함에 대한 암레스트(5)의 이질감 없는 부드러운 폐쇄작동을 방해 내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보관함(10)의 측벽단부로부터 대략 1mm 내지 2mm의 거리를 두고(유격) 돌출형성될 수밖에 없어 미소한 크기 즉, 1mm 미만의 암레스트(5) 진동은 규제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이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진동소음(BSR)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할 수 있는 암레스트 구조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보관함에 대한 암레스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이질감 없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진동소음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할 수 있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개방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및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내설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의 유동소음을 감쇄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댐퍼부는, 상기 개방단부를 향해 돌출작동하며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개구부에 대한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폐쇄회동시 상기 개구부로 원활히 인입되도록, 상기 개방단부와 접하게 되는 접촉면이 내측으로 경사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하는 탄성소재의 접촉단; 및 일단부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접촉단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는, 상기 지지판을 구성하는 제1 자력체와, 상기 제1 자력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상기 개방단부에 매설되어 상기 개방단부와 상기 가압부 간의 마찰을 감쇄시키는 제2 자력체를 포함하는 마찰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과 상기 지지판은, 각각 고탄성 소재와 저탄성 소재를 이용한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각각 고탄성 소재와 자력이 작용하는 강자성체를 소재로 이용한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관함의 개방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암레스트패널의 하면에서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와 이러한 돌기부에 각각 내설되어 개방단부를 탄성력에 의해 가압접촉하도록 작동하는 댐퍼부가 간이한 결합구조로 손쉽게 마련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암레스트 패널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이 소요되지 않으면서도 암레스트 패널에 대한 광범위한 진동은 물론, 협범위의 진동까지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되어 진동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개방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구비된 돌기부 및 탬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패널의 폐쇄작동 중 댐퍼부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암레스트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개방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구비된 돌기부 및 탬퍼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암레스트 패널의 폐쇄작동 중 댐퍼부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암레스트 진동소음 저감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하에서 언급된 전방은 조명의 대상이 되는 피조면이 위치한 방향이고, 이에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100)는, 차량 보관함(10)에 대한 암레스트의 원활하고 이질감 없는 개폐작동이 가능하고, 제조상의 과다한 작업공수나 비용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진동소음의 발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 내지 감쇄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여기서 진동소음이란, 이하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대이동하는 부재들 간에 발생하는 유동소음과,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대이동하는 부재들 간에 발생하는 마찰소음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외에 상대이동에 따른 소음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 돌기부(120) 및 댐퍼부(13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방지부(140)를 더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암레스트패널(110)은, 보관함(10)의 개구부(12)를 개폐하며 탑승자의 팔이 직접 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판상의 구성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됨으로써 보관함(10)의 상방 개구부(12)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보관함(10)은, 탑승자의 소지 물건이나 차량 내에서 상용될 수 있는 물품을 임시로 보관 내지 비치하기 위해 차량 내에 설치되는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일방으로 뚫려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12)와, 개구부(12)와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후술할 암레스트와 접하게 되는 개방단부(16)가 구비된 측벽(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보관함(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차량 내 수납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례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콘솔 박스, 조수석 전방에 구비되는 글로브박스 또는 차량 뒷줄 좌석의 전방이나 중앙에 비치되는 후방 수납박스 등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보관함(10)에 형성된 개구부(12)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된 암레스트패널(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제시 열린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탄성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보관함(10)의 일측과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돌기부(120)는, 후술할 댐퍼부(1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암레스트의 광범위 진동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0)의 개방단부(16)로부터 거리를 두고 암레스트패널(110)의 하면에서 보관함(10)의 내부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돌기부(120)는, 내부에 댐퍼부(1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바디(122) 및 제2 바디(124) 등을 포함하는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122) 및 제2 바디(124) 중 어느 하나는 상술한 암레스트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별물로 제작되어 상호 후크결합 등을 통해 돌기부(12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1 바디(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후술할 댐퍼부(130)의 가압부(132)가 개방단부(16)를 향해 돌출작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1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124)는 암레스트패널(110)과 별개로 형성되고, 후술할 코일스프링(134)의 탄성변형과 복원을 일정하게 안내하며 가압부(132)의 돌출작동 거리를 제한하는 지지핀(124a)과 제1 바디(122)와의 체결을 위한 결합후크(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 바디(122)와 제2 바디(124)의 상호 결합과정에서 댐퍼부(130)는 간이한 구조로 손쉽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댐퍼부(130)는, 보관함(10)의 개방단부(16)로부터 거리를 두고 형성된 상술한 돌기부(120)와 개방단부(16)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차량 진동에 따른 유동소음을 감쇄 내지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12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보관함(10)에 대한 암레스트패널(110)의 개폐작동을 방해하거나 간섭하지 않으면서 개방단부(16)를 가압접촉하며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여기서 유동소음이란, 개방단부(16)로부터 거리를 두고 이격배치된 돌기부(120)가 개방단부(16)에 충돌하거나 또는 개방단부(16)가 돌기부(120)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댐퍼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가압접촉과 자유변형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32) 및 코일스프링(1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32)는, 개방단부(16)를 가압 접촉하도록 돌기부(120)에 내설되어 개방단부(16)를 향해 돌출작동하며 왕복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단(132a) 및 지지판(13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단(132a)은, 개방단부(16)와의 밀착력을 증대하고, 차량 진동에 따른 돌기부(120)와 개방단부(16) 간의 유동을 1차적으로 완충하기 위해 탄성변형되며 개방단부(16)를 직접 가압하는 구성요소로서,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132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단부(16)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132c)이 내측(보관함(10)의 안쪽)으로 경사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개구부(12)에 대한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회동시 가압부(132)가 자연스럽게 돌기부(120) 내부로 후퇴하며 개구부(12)로 원활히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판(132b)은, 후술할 코일스프링(134)의 탄성력을 접촉단(132a)에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해 상술한 접촉단(132a)과 상이하게 비탄성 소재로 제작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가 코일스프링(134)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접촉단(132a)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판(132b)에는 후술할 코일스프링(134)과 접하는 측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코일스프링(134)의 수축과 복원 간에 코일스프링(13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지지판(132b)의 외주연에는 상술한 관통공(122a)에 의해 걸리며 가압부(132)의 이탈 내지 분리를 저지하는 걸림턱이 확장형성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34)은, 돌기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술한 가압부(132)가 개방단부(16)를 가압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편, 상술한 탄성 소재의 접촉단(132a)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된 돌기부(120)와 개방단부(16) 간의 유동을 2차적으로 완충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코일스프링(13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0)의 내부에서 제2 바디(124)의 지지핀(124a)에 안착된 상태로 가압부(132)의 지지판(132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댐퍼부(130)는, 도 4의 (a)와 같이 암레스트패널(110)의 폐쇄회동에 따라 돌기부(120)와 함께 개구단부에 인접하게 되고, 도 4의 (b)와 같이 개구단부와 접촉한 상태로 접촉단(132a)(경사 접촉면(132c))의 안내에 따라 자연스럽게 돌기부(120) 내측으로 압축되면서 개구부(12) 내로 진입하게 되며, 도 4의 (c)와 같이 압축된 코일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단부를 가압하며 지지함에 따라 돌기부(120)와 개구단부 간의 유동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마찰방지부(140)는, 차량 진동에 따른 돌기부(120)와 개방단부(16) 간의 유동이 상술한 댐퍼부(130)에 의해 방지 내지 저감된 상태에서 상호 밀착된 댐퍼부(130)(가압부(132))와 개방단부(16)가 서로 마찰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마찰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위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마찰방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력체(142) 및 제2 자력체(14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자력체(142)는, 후술할 제2 자력체(144)와의 관계에서 인력이 작용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접촉단(132a)과 결합하는 지지판(132b)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자력체(144)는, 제1 자력체(142)와의 인력의 작용을 통해 개방단부(16)와 가압부(132) 간의 마찰을 감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 자력체(142)와 자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의 개방단부(16)에 매설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자력체(142)와 제2 자력체(144)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영구자석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는 강철 등과 같은 강자성체이고 나머지 하나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100)의 접촉단(132a)과 지지판(132b)은, 각각 고탄성 소재와 저탄성 소재를 이용한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또는 각각 고탄성 소재와 자력이 작용하는 강자성체를 소재로 이용한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을 통한 접촉단(132a)과 지지판(132b)의 일체화는, 양자 간의 결합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 공수의 투입 없이 신속하게 가압부(132)를 제조하면서도 접촉단(132a)이 지지판(132b)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설치고정되게 하여 가압부(132)의 제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제조방식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중사출을 통한 접촉단(132a)과 지지판(132b)의 일체화는, 비탄성의 합성수지를 형폐된 사출금형의 캐비티로 1차 사출하여 지지판(132b)을 형성한 다음, 사출금형이나 코어를 이동시켜 두 번째 캐비티를 형성한 후 탄성의 합성수지를 2차 사출하는 방식으로 접촉단(132a)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탄성의 합성수지는, 고강도, 내약품성, 내스크래치성, 내열성, 내진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정확한 규격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S(Polystyrene)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고탄성의 합성수지는, 실리콘, 합성고무, PU(polyurethane), 발포성 PP(polypropylene), 발포성 PS(polystyrene), 또는 발포 PVC((Polyvinyl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수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인서트 사출을 통한 접촉단(132a)과 지지판(132b)의 일체화는, 지지판(132b)의 형태로 제작된 제1 자성체를 사출금형 내에 인서트한 후 실리콘, 합성고무, PU 또는 발포성 수지 등을 형폐된 사출금형의 캐비티로 사출하는 방식으로 접촉단(132a)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위와 같은 이중사출이나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하지 않고,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소정의 결합수단(융착, 접착, 리벳이나 나사 체결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 암레스트 10: 보관함
12: 개구부 14: 측벽
16: 개방단부 20: 니플형 돌기
100: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110: 암레스트패널 120: 돌기부
122: 제1 바디 122a: 관통공
124: 제2 바디 124a: 지지핀
124b: 결합후크 130: 댐퍼부
132: 가압부 132a: 접촉단
132b: 지지판 132c: 경사 접촉면
134: 코일스프링 140: 마찰방지부
142: 제1 자력체 144: 제2 자력체

Claims (1)

  1. 차량에 마련된 보관함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보관함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패널; 상기 보관함의 개방단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암레스트패널의 하면에서 상기 보관함의 내부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 및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도록 상기 돌기부에 내설되어 차량 진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의 유동소음을 감쇄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부는,
    상기 개방단부를 향해 돌출작동하며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개방단부를 가압하는 탄성소재의 접촉단; 및 일단부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접촉단에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과 상기 지지판은,
    각각 고탄성 소재와 저탄성 소재를 이용한 이중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각각 고탄성 소재와 자력이 작용하는 강자성체를 소재로 이용한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0200100740A 2020-08-11 2020-08-1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16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40A KR102166325B1 (ko) 2020-08-11 2020-08-1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40A KR102166325B1 (ko) 2020-08-11 2020-08-1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65A Division KR102145962B1 (ko) 2020-05-13 2020-05-13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60A true KR20200108260A (ko) 2020-09-17
KR102166325B1 KR102166325B1 (ko) 2020-10-16

Family

ID=7270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40A KR102166325B1 (ko) 2020-08-11 2020-08-11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4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 레스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432A (ko) * 2003-10-13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팔걸이겸용 콘솔박스의 충격 및 소음 흡수장치
JP2010202102A (ja) * 2009-03-05 2010-09-16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4094705A (ja) * 2012-11-12 2014-05-22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703143B1 (ko) *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432A (ko) * 2003-10-13 2005-04-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팔걸이겸용 콘솔박스의 충격 및 소음 흡수장치
JP2010202102A (ja) * 2009-03-05 2010-09-16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4094705A (ja) * 2012-11-12 2014-05-22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703143B1 (ko) * 2015-11-25 2017-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소음 방지용 가이드유닛이 장착된 콘솔 암레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04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암 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325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949B2 (en) Latch system for sliding panel in vehicle
US8100455B2 (en) Overhead console
GB2366554A (en) A storage device having a sliding lid
US9540850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20180236909A1 (en) Center console armrest assembly for vehicle
KR10216632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2145962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JP4440156B2 (ja) 摺動体構造
KR102113035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100738305B1 (ko) 자동차의 콘솔박스 덮개 개폐장치
JP2007237763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4179689B2 (ja) 車両用内装部品のクリップ取付座
JP2009241825A (ja) 自動車用デッキボードの高さ切替構造
KR102236884B1 (ko) 진동 억제형 암레스트 장치
KR20180001566U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결합구조
JP4526685B2 (ja) 車両内装部材の物品ホルダ
JP3788063B2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2270477B1 (ko) 진동소음 저감형 암레스트 장치
KR20130068989A (ko) 차량용 글로브 박스
JP2001213212A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100588889B1 (ko) 트레이 구조
JPS5878838A (ja) 自動車用物入れ構造
JP2002104083A (ja) 車両内装部材の物品ホルダ
KR100488597B1 (ko) 차량의 센터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