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823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823A
KR20200100823A KR1020207021734A KR20207021734A KR20200100823A KR 20200100823 A KR20200100823 A KR 20200100823A KR 1020207021734 A KR1020207021734 A KR 1020207021734A KR 20207021734 A KR20207021734 A KR 20207021734A KR 20200100823 A KR20200100823 A KR 20200100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ng body
writing
relativ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514B1 (ko
Inventor
타카시 이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200100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7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clo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과제] 한손에 의한 용이한 조작으로 축통으로부터 필기몸체를 조용하고 매끄럽게 출몰시킬 수 있고, 조작성과 조작감을 양립시킨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필기구(100)는, 축통(10)과, 축통(10)에 대해 그의 축선 방향(da)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당해 축통(10)에 지지되고, 축통(10)의 전단으로부터 출몰되는 필기몸체(20)와, 축통(10)에 대해 그의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당해 축통(10) 내에 배치되고, 축선(L) 둘레를 나선모양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슬릿(33s)이 마련된, 회전체(30)와, 홈 또는 슬릿(33s)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41)를 가지고, 축통(10)에 대해 축선 방향(da)으로 상대 이동가능하지만 축선(L)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 누름부(40)를 구비하며, 누름부(40)는, 축통(10)에 대해, 당해 축통(10)의 전방으로 누름가능하다.

Description

필기구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통에 대해 이 축통의 축선 둘레로 두관(頭冠)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축통의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축통 내에 지지된 필기몸체(筆記體)를 출몰시키는, 회전 조작식의 필기구가 알려져 있다(JP2007-320209A 참조).
JP2007-320209A
이와 같은 필기구는, 내부의 회전 기구의 마찰 저항을 작게 함으로써 매끄러운 출몰 동작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감이 우수하다. 그 한편으로, 회전 조작식의 필기구는, 일반적으로, 한손으로 축통을 파지(把持)하고, 나머지 손으로 두관을 파지해서 축통에 대해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필기몸체의 출몰 조작을 행한다. 이것으로 인해, 재빠른 출몰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 출몰 조작에 다소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조작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다른 한편, 예를 들면 축통의 후단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노크 부재를 축통에 대해서 전방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축통의 전단의 개구부로부터 축통 내에 지지된 필기몸체를 출몰시키는, 노크식의 필기구도 알려져 있다. 노크식의 필기구는, 한손으로 출몰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기민한 조작을 행할 수 있지만, 필기몸체가 축통 내에 기세 좋게(힘차게) 몰입함으로써 당해(當該) 필기몸체에 큰 충격이 가해져 버리거나, 노크 조작시에 딱딱 소리가 나거나 해서, 조작감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조작성과 조작감을 양립시킨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기구는, 축통과,
상기 축통에 대해 그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당해 축통에 지지되고, 상기 축통의 전단으로부터 출몰되는 필기몸체(筆記體)와,
상기 축통에 대해 그의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당해 축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 둘레를 나선모양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슬릿이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를 가지고,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지만 상기 축선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 누름부(押壓部)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축통에 대해, 당해 축통의 외부로부터 누름가능하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회전 조작가능하고,
상기 회전체를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누름부를 상기 축통에 대해 전방으로 누르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필기구는, 상기 회전체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동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혹은, 이상의 필기구는, 상기 회전체에 맞닿는 맞닿음(當接)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강압(힘을 부가)해서 상기 회전체에 바짝 대는 강압 수단을 가지는 제동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강압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전방으로부터 바짝 대는 것이어도 좋다.
이상의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서로 대향하여 연장해서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을 구획(畵成, defining)하는 전벽부(前壁部) 및 후벽부(後壁部)를 가지고,
상기 전벽부는,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의 전단 근방에, 후방으로 부풀어나온 팽출부(膨出部)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손에 의한 간이한 출몰 조작과 조용하고 매끄러운 출몰 동작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성과 조작감을 양립시킨 필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기구 중간통(中筒)을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기구의 회전체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C를 따라 절개한, 회전체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5a는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체의 전벽부의 전단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체의 후벽부의 전단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1의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필기몸체가 축통 내에 몰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도 1의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필기몸체가 축통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는 도 1의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필기몸체가 축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d는 도 1의 필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필기몸체가 축통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1의 변형예에 의한 필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고, 필기몸체가 축통 내에 몰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변형예에 의한 필기구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고, 필기몸체가 축통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100)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다만, 필기몸체(20)는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 2는, 도 1의 필기구(100)의 중간통(11)을 도시하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기구(100)의 회전체(30)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C를 따라 절개한, 회전체(30)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구(100)는, 축통(10)과, 축통(10)에 지지된 필기몸체(20)와, 축통(10) 내에 배치되고 축통(10)의 축선(L) 둘레를 나선모양으로 연장하는 슬릿(33s)이 마련된 회전체(30)와, 슬릿(33s)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41)를 가지는 누름부(40)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필기구(100)는 만년필이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예에서는, 볼펜, 샤프펜슬, 마커 등 각종 필기구이더라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몸체(20)는, 축통(10)에 대해 그의 축선 방향(da)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당해 축통(10)에 지지되어 있고, 펜 끝(21)이 축통(10)의 전단에 구획된 개구부(10a)로부터 출몰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통(10)은, 축통 본체(13)와, 이 축통 본체(13)의 내부에 배치된 중간통(中筒)(11)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통(11)에는, 축선 방향(da)을 따라 연장하는 긴 구멍(長孔)(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위쪽에서 본 중간통(1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긴 구멍(12)은, 누름부(40)의 이동부(41)를 수용가능한 폭을 가지고, 축선(L)에 관해서 대칭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30)는, 축통(10)에 대해 그의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당해 축통(10) 내에 배치된 통형(筒形)의 부재이다. 회전체(30)는, 통형의 회전체 본체(33)와, 서로 대향하여 연장해서 2줄기(條)의 슬릿(33s)을 구획하는 전벽부(31) 및 후벽부(32)를 가지고 있다. 2줄기의 슬릿(33s)은, 서로 180°의 위상차로, 축선(L)(도 1 참조) 둘레를 나선모양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슬릿(33s)은, 회전체 본체(33)의 후단(33r) 근방으로부터 전방(도 4에 있어서의 왼쪽)을 향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사로 연장하고 있다.
한편, 각 슬릿(33s)은, 회전체 본체(33)의 전단(33f) 근방의 영역에 있어서는, 경사가 변화되고 있다. 도 5a는,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체(30)의 슬릿(33s)의 전벽부(31)의 전단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벽부(31)는, 슬릿(33s)의 전단(33sf) 근방에, 후방(도 5a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부풀어나온 팽출부(31e)를 가지고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벽부(31)는, 팽출부(31e)에 있어서,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접선이 축선 방향(da)을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벡터와 항상 예각(0°<θ1<θ2<90°)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5b는, 도 3에 도시하는 회전체(30)의 후벽부(32)의 전단 근방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슬릿(33s)의 후벽부(32)에는, 전단 근방에 있어서, 전방으로 부풀어나온 복귀방지부(戾止部)(32e)가 형성되어 있다. 후벽부(32)는, 복귀방지부(32e)의 전후에서, 위쪽에서 보았을 때의 후벽부(32)의 접선과, 축선 방향(da)을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벡터가 이루는 각이, 둔각 θ3으로부터 예각 θ4로 변화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필기몸체(20)는, 후단이 누름부(40)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이 필기몸체(20)는, 코일 스프링(50)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강압(힘이 부가)되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0)은, 축통 본체(13)의 내면에 마련된 축통측 걸림부(係止部)(15)와, 이 축통측 걸림부(15)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필기몸체(20)에 마련된 필기몸체측 계지부(22)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부(40)는, 축통(10)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돌출되어 있고, 축통(10)의 외부로부터 전방으로 누름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부(40)는, 중간통(11) 내에 있어서 회전체(30)를 축선 방향(da)으로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고, 축통(10)에 대해 축선 방향(da)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누름부(40)의 이동부(41)는, 회전체(30)의 2줄기의 슬릿(33s)의 쌍방을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양단이 중간통(11)의 긴 구멍(12) 내에 위치시켜져 있다. 회전체(30)의 후단부(35)는 중간통(11)의 후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돌출되어 있고, 이 후단부(35)에, 두관(34)이 장착되어 있다. 두관(34)은, 중간통(11)의 후단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당해 중간통(11)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체(30)는, 누름부(40)에 의해서 전방으로 눌렸을 때에도, 축통(10)(중간통(11))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는 일이 없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누름부(40)와 회전체(30) 사이, 및, 회전체(30)와 중간통(11) 사이에는,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필기구(100)의 작용에 대해서, 도 6a∼도 6d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a∼도 6d는, 도 1의 필기구(10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로부터 필기몸체(20), 회전체(30), 누름부(40)를 뽑아내어(골라내어), 회전체(30)를 전개도로 하고, 또, 중간통(11)의 긴 구멍(12)의 위치를 거듭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필기몸체(20)가 축통(10) 내에 몰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b는, 필기몸체(20)가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6c는, 필기몸체(20)가 축통(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d는, 필기몸체(20)가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이 축통(10) 내에 완전하게 몰입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 상태로서 설명을 행한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40)의 이동부(41)는, 회전체(30)의 슬릿(33s) 및 중간통(11)의 긴 구멍(12)의 각각의 후단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는, 코일 스프링(50)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필기몸체(20)가 후방으로 강압되고 있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필기구(100)는, 도 6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누름부(40)가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힘 F(도 6b 참조)로 눌려지면,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전벽부(31)를 전방으로 누른다. 이 누름에 의해서, 전벽부(31)와 이동부(41)에는, 전벽부(31)의 경사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들 힘에는, 축통(10)의 축선 방향(da)의 성분과, 축선 방향(da)과 직교하는 방향의 성분이 포함된다. 그런데, 이동부(41)의 양단은, 중간통(11)의 긴 구멍(12) 내에 위치시켜져 있기 때문에, 당해 중간통(11)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41)는 긴 구멍(12)을 따라 축통(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일 없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결과, 회전체(30)가 후방에서 보아 축통(1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됨과 동시에, 필기몸체(20)가 코일 스프링(50)을 압축하면서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된다. 또한, 회전체(30)의 축통(10)에 대한 상대 회전에 수반하여, 두관(34)도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된다(도 6b 참조).
누름부(40)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은, 회전체(30)의 전벽부(31)로부터 이동부(41)가 받는 반력과, 코일 스프링(50)에 의한 강압력(付勢力)과의 합력이다.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팽출부(31e)에 도달할 때까지는, 당해 회전체(30)의 전벽부(31)의 경사가 일정한 것으로 인해, 회전체(30)의 전벽부(31)로부터 이동부(41)가 받는 반력은, 회전체(30)와 누름부(40)와의 상대 위치 관계에 의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한편, 코일 스프링(50)에 의한 강압력은, 누름부(40)가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함에 따라서 일정한 비율로 증대한다. 이상의 것으로 인해, 누름부(40)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은, 일정한 비율로 증대한다.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팽출부(31e)에 도달하면, 당해 회전체(30)의 전벽부(31)의 경사는, 축선(L)에 대해 보다 일어선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이 때문에, 이동부(41)로부터 회전체(30)의 전벽부(31)에 작용하는 힘 중, 당해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서 작용하는 분력의 비율이 감소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계속해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큰 누름력을 누름부(40)에 대해서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즉,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팽출부(31e)에 도달하면, 누름부(40)를 누르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무거운 조작감이 제공된다.
그리고,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팽출부(31e)의 정점을 타고넘으면(넘어가면), 이번에는 전벽부(31)의 경사가 축선(L)에 대해 보다 누운(쓰러진) 상태로 된다(도 5a 참조). 이 때문에, 이동부(41)에 의해서 회전체(30)의 전벽부(31)에 작용하는 힘 중, 당해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서 작용하는 분력의 비율이 증대한다. 바꾸어 말하면,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계속해서 상대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작은 누름력을 누름부(40)에 대해서 작용시키면 충분하다. 즉,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팽출부(31e)의 정점을 타고넘으면, 누름부(40)를 누르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가벼운 조작감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슬릿(33s)의 전단(33sf)에 위치시켜지기 직전에, 사용자에 대해서 절도감(節度感)(클릭감)이 제공된다. 또, 여기까지의 조작에 있어서, 누름부(40)와 회전체(30) 사이, 및, 회전체(30)와 중간통(11) 사이에 도포된 그리스의 작용에 의해서, 조용하고 매끄러운 조작감이 제공된다.
이 클릭감에 의해서, 사용자는 필기몸체(20)가 축통(10)에 대해서 가장 전방까지 상대 이동된 것을 지각한다. 그리고, 누름부(40)에 작용하고 있던 누름력 F가 해제되면, 필기몸체(20)는, 코일 스프링(50)의 강압력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강압된다. 이것에 의해서, 누름부(40)의 이동부(41)는,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되고, 회전체(30)의 후벽부(32)에 바짝 대어진다(도 6c 참조). 이 때, 회전체의 복귀방지부(32e)는, 후방에서 보아, 이동부(41)보다도 축선(L)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나아간 위치에 위치시켜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귀방지부(32e)의 일부가, 축선 방향(da)을 따라 후방으로 향하는 벡터와 둔각 θ3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도 5b 참조), 코일 스프링(50)의 강압력에 의해서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후벽부(32)를 후방으로 눌러도, 당해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되는 일이 없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서, 필기몸체(20)를 축통(10)의 전단으로부터 노출시키는 조작이 완료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서 축통(10)이 파지되고, 지면에 대해서 펜 끝(21)을 맞닿게 하면서 축통(10)이 원하는 대로 이동되어 필기가 행해진다.
필기가 완료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두관(34)이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된다. 이 때, 두관(34)과 함께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되고, 회전체(30)의 복귀방지부(32e)가 누름부(40)의 이동부(41)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누른다. 이것에 의해, 필기몸체(20)가 코일 스프링(50)을 압축시키면서, 이동부(41)가 복귀방지부(32e)를 타고넘는다(넘어간다). 이동부(41)가 복귀방지부(32e)를 타고넘은 후는, 코일 스프링(50)의 강압력을 원동력으로 해서, 필기몸체(20)가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되고, 필기몸체(20)에 맞닿은 누름부(40)가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두관(34)을 계속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이 누름부(40)의 축통(10)에 대한 상대 이동시, 이동부(41)가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서, 중간통(11)의 긴 구멍(12)을 따라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도 6d 참조). 이 상대 이동은, 이동부(41)가 슬릿(33s)의 후단(33sr)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고, 이것에 의해 도 6a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가 복원된다. 여기서의 누름부(40)의 축통(10)에 대한 후방으로의 상대 이동에 있어서도, 그리스의 작용에 의해서 조용하고 매끄러운 조작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필기구(100)는, 두관(34)을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을 축통(10)으로부터 돌출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후방에서 보아, 두관(34)을 축통(10)에 대해 축선(L)에 관해 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이동부(41)는, 회전체(30)의 후벽부(32)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서 중간통(11)의 긴 구멍(12) 내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필기몸체(20)는, 코일 스프링(50)을 압축시키면서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상대 이동하고, 펜 끝(21)이 축통(10)으로부터 점차 노출된다. 이와 같이, 두관(34)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필기몸체(20)를 축통(10)의 전단으로부터 노출시키는 경우는, 회전체(30)의 후벽부(32)가 이동부(41)를 누른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술한 누름부(40)의 누름 조작의 경우와 달리, 회전체(30)의 전벽부(31)와 이동부(41)와의 상호작용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슬릿(33s)의 전단(33sf)에 도달하기 직전에, 당해 이동부(41)는, 복귀방지부(32e)를 타고넘는다. 이것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0)의 강압력에 의해서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후벽부(32)를 후방으로 눌러도, 당해 이동부(41)가 축통(10)에 대해서 후방으로 상대 이동해 버리는 일이 없다. 즉,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이 축통(10)으로부터 노출된 상태가 안정되게(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필기가 종료하고,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을 축통(10) 내에 몰입시킬 때에는,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해서 설명한 순서(手順)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필기구(100)에 의하면, 누름부(40)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매끄럽게 상대 회전하면서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이 축통(10)으로부터 노출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한손에 의한 간단한 조작으로 축통(10)으로부터 필기몸체(20)를 조용하고 매끄럽게 출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과 조작감을 양립시킨 필기구(100)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회전체(30)는, 두관(34)을 거쳐서 축통(10)의 외부로부터 회전 조작가능하고,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면,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축통(10)에 대해 축선 방향(da)으로 상대 이동되고, 누름부(40)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누르면,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누름부(40)의 축통(10)에 대한 전방으로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도, 두관(34)을 거친 회전체(30)의 축선(L) 둘레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도,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을 축통(10)으로부터 노출시킬 수가 있다.
또, 회전체(30)는, 서로 대향하여 연장해서 슬릿(33s)을 구획하는 전벽부(31) 및 후벽부(32)를 가지고, 전벽부(31)는, 슬릿(33s)의 전단(33sf) 근방에, 후방으로 부풀어나온 팽출부(31e)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누름부(40)를 축통(10)에 대해 전방으로 밀어넣어서 필기몸체(20)의 펜 끝(21)을 축통(10)으로부터 노출시키는 조작이 완료할 때, 사용자에 대해 적당한 클릭감이 제공된다.
다음에, 도 1의 필기구(10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변형예에 의한 필기구(200)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필기몸체(20)가 축통(10) 내에 몰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필기몸체(20)가 축통(1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구(200)는,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동부(260)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하는 필기구(100)와는 다르다. 이 제동부(260)는, 회전체(30)에 맞닿는 맞닿음 부재(262)와, 이 맞닿음 부재(262)를 축통(10)에 대해 축선 방향(da)으로 강압해서 회전체(30)에 바짝 대는 강압 수단(261)을 가지고 있다. 맞닿음 부재(262)는,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강압 수단(261)은, 축통(10)(축통 본체(13))과 맞닿음 부재(262) 사이에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강압 수단(261)은, 회전체(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맞닿음 부재(262)를 회전체(30)에 전방으로부터 바짝 대고 있다. 그밖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필기구(100)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이다. 이 때문에,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 1의 필기구(100)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필기구(200)에 있어서, 필기몸체(20)를 축통(10)으로부터 출몰시키는 주된 동작에 대해서는, 도 6a∼도 6d를 참조해서 설명한 필기구(100)의 동작과 공통되고 있다. 다만, 필기구(200)에서는, 회전체(30)와 맞닿음 부재(262)와의 접촉 부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회전체(30)의 축통(10)에 대한 축선(L) 둘레의 상대 회전의 회전 속도가 감속된다. 즉, 필기구(200)에 의한 필기가 완료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두관(34)이 후방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면, 이 상대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체(30)가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된다. 그리고, 누름부(40)의 이동부(41)가 회전체(30)의 복귀방지부(32e)를 타고넘으면(넘어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0)의 강압력에 의해, 필기몸체(20)가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시켜지기 때문에, 필기몸체(20)에 맞닿은 누름부(40)가 회전체(30)를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면서 축통(10)에 대해 후방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상대 이동시, 제동부(260)의 존재에 의해서, 회전체(30) 및 회전체(30)의 후단부(35)에 장착된 두관(34)이 비교적 천천히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누름부(40)는, 비교적 천천히 도 7에 도시하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은 필기구(200)에 의하면, 필기구(100)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달성되는 것에 더하여, 제동부(260)의 존재에 의해서, 필기몸체(20)를 축통(10)으로부터 출몰시킬 때에, 필기구(100)와 비교해서 보다 조용하고 보다 매끄러운 조작감이 제공된다. 나아가서는, 필기몸체(20)를 축통(10)으로부터 출몰시킬 때, 특히 필기몸체(20)를 축통(10) 내에 몰입시키고 이동부(41)와 슬릿(33s)의 후단(33sr)이 맞닿을 때, 필기몸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펜 끝(21)으로부터 잉크가 비산해 버릴 우려가 저감된다.
또, 필기몸체(20)를 축통(10) 내에 몰입시킬 때에, 축통(10)의 전방에서 행해지는 펜 끝(21)의 몰입 동작에 대응하여, 축통(10)의 후단에서는 누름부(40)의 돌출 동작이 행해진다. 이 돌출 동작은, 제동부(260)의 존재에 의해서 완만한 속도로 행해지고, 또한 그것에 수반하여 축통(10)의 후방에 배치된 두관(34)도 천천히 회전한다. 이것들로부터, 그 양부재의 동작이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지고, 기능적인 특징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가 있다. 또, 축통(10)으로부터 노출되는 두관(34)의 외주면에 널링(knurling) 가공이나 다이아몬드 컷(diamond cut)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두관(34)의 동작시(회전시)에 두관(34)이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는 것에 의해 장식적인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당해 가공이 두관(34)의 미끄럼방지(滑止)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회전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 오랜 기간(長年)의 사용에 의해서 누름부(40)와 회전체(30) 사이, 및, 회전체(30)와 중간통(11) 사이에 도포된 그리스가 열화(劣化)해 버린 경우라도, 조용하고 매끄러운 조작감을 유지할 수가 있다. 또, 그리스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조용하고 매끄러운 조작감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제동부(260)는, 회전체(30)에 맞닿는 맞닿음 부재(262)와, 맞닿음 부재(262)를 축통(10)에 대해 축선 방향(da)으로 강압해서 회전체(30)에 바짝 대는 강압 수단(261)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맞닿음 부재(262)가 일정한 누름력으로 회전체(30)에 바짝 대어지기 때문에, 당해 회전체(30)에 대해 일정한 마찰력을 안정되게 작용시킬 수가 있다.
또, 필기구(200)에서는, 강압 수단(261)이 회전체(30)의 전방에 배치되고, 맞닿음 부재(262)를 회전체(30)에 전방으로부터 바짝 대고 있기 때문에, 회전체(30)의 후방보다도 전방 쪽이 제동부(260)를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쉽고, 제동부(260)의 설계 자유도가 높다. 즉, 회전체(30)에 작용시키는 마찰력을 결정짓는 맞닿음 부재(262)의 재질 및 강압 수단(261)의 스프링 정수를, 원하는 대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동부(260)는, 회전체(30)의 후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즉, 강압 수단(261)이 회전체(30)의 후방에 배치되고, 맞닿음 부재(262)를 회전체(30)의 후방으로부터 바짝 대어도, 마찬가지 효과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 제동부(260)는 회전체(30)의 측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즉, 강압 수단(261)이 회전체(30)의 측방에 배치되고, 맞닿음 부재(262)를 회전체(30)의 측방으로부터 바짝 대어도 좋다. 또, 제동부(260)는, 강압 수단(261)과 맞닿음 부재(262)와의 조합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동 부재로서 고무나 일래스토머제의 O링 등 원하는 마찰력을 제공하는 부재가 채용되어, 이것을 축통(10)과 회전체(30)와의 틈(間隙)에 배치해도 좋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필기구(100, 200)로서, 회전체(30)의 전벽부(31) 및 후벽부(32)에 의해 슬릿(33s)이 구획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동부(41)를 안내할 수 있으면, 슬릿(33s) 대신에 홈 등이 구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도, 회전체(30)는 누름부(40)의 이동부(41)에 의해서 축통(10)에 대해 축선(L) 둘레로 호적하게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누름부(40)로서 축통(1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예로서는, 축통(10)(중간통(11))의 측면에 마련한 클립(도시하지 않음)을 누름부로서 기능시키는, 이른바 클립 슬라이드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혹은, 필기구는, 축통(10)의 측면에 당해 축통(10)의 지름 방향으로 누름가능한 조작부가 마련된, 이른바 사이드 노크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이 조작부의 축통(10)의 지름 방향으로의 밀어넣는 힘을 축통(10)의 축선 방향(da)의 힘으로 변환하는 적당한 기구가 채용되게 된다.

Claims (6)

  1. 축통과,
    상기 축통에 대해 그의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당해(當該) 축통에 지지되고, 상기 축통의 전단으로부터 출몰되는 필기몸체와,
    상기 축통에 대해 그의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가능하게 당해 축통 내에 배치되고, 상기 축선 둘레를 나선모양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슬릿이 마련된, 회전체와,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 내를 이동하는 이동부를 가지고,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지만 상기 축선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축통에 대해, 당해 축통의 외부로부터 누름가능한,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축통의 외부로부터 회전 조작가능하고,
    상기 회전체를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누름부의 상기 이동부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고,
    상기 누름부를 상기 축통에 대해 전방으로 누르면, 상기 회전체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되는,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할 때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제동부를 더 구비한, 필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맞닿는 맞닿음(當接) 부재와,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축통에 대해 상기 축선 방향으로 강압해서 상기 회전체에 바짝 대는 강압 수단을 가지는 제동부를 더 구비한, 필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 부재를 상기 회전체에 전방으로부터 바짝 대는, 필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서로 대향하여 연장해서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을 구획(畵成)하는 전벽부 및 후벽부를 가지고,
    상기 전벽부는, 상기 홈 또는 상기 슬릿의 전단 근방에, 후방으로 부풀어나온 팽출부(膨出部)를 가지는, 필기구.
KR1020207021734A 2017-12-28 2018-12-05 필기구 KR102589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4755A JP7146393B2 (ja) 2017-12-28 2017-12-28 筆記具
JPJP-P-2017-254755 2017-12-28
PCT/JP2018/044700 WO2019131020A1 (ja) 2017-12-28 2018-12-05 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823A true KR20200100823A (ko) 2020-08-26
KR102589514B1 KR102589514B1 (ko) 2023-10-16

Family

ID=6706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734A KR102589514B1 (ko) 2017-12-28 2018-12-05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90111B2 (ko)
EP (1) EP3733426A4 (ko)
JP (2) JP7146393B2 (ko)
KR (1) KR102589514B1 (ko)
CN (2) CN115139687B (ko)
TW (1) TWI785166B (ko)
WO (1) WO2019131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73633B2 (ja) * 2019-06-28 2023-05-15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WO2023120661A1 (ja) * 2021-12-24 2023-06-29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2558A1 (en) * 1989-06-15 1990-12-19 Giuliana Mongardi Extensible body ball pen
KR920004694Y1 (ko) * 1990-08-31 1992-07-13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장치 부착필기구
JP2007320209A (ja) 2006-06-02 2007-12-13 Pilot Corporation 開閉蓋付の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416A (en) * 1904-04-14 1905-01-17 Charles Brandt Fountain-pen.
JPS4712129B1 (ko) * 1966-03-02 1972-04-15
JPS6316189U (ko) * 1986-07-16 1988-02-02
JP2520409B2 (ja) * 1987-02-04 1996-07-31 株式会社壽 筆記具
JP3281443B2 (ja) * 1993-03-12 2002-05-13 シヤチハタ株式会社 筆記具
JPH08164699A (ja) * 1994-12-13 1996-06-25 Mitsubishi Pencil Co Ltd 伸縮式筆記具
JPH11208186A (ja) * 1998-01-26 1999-08-03 Kotobuki:Kk 複合筆記具
FR2873325B1 (fr) * 2004-07-26 2006-10-27 Bic Sa Soc Mecanisme pour instrument d'ecriture,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et procede de fabrication
TWI273210B (en) 2004-12-30 2007-02-11 Delta Electronics Inc Heat-dissipation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676741B1 (ko) * 2005-01-17 2007-01-31 주식회사 모리스 조출식 신축 필기구
EP1707400B1 (en) * 2005-03-29 2013-03-13 The Pilot Ink Co., Ltd. Retractable writing bodies of a multi-refill writing instrument
US7950862B2 (en) * 2006-05-26 2011-05-31 Youngtack Shim Multicolor writing tools and methods
JP2009255426A (ja) 2008-04-18 2009-11-05 Pilot Corporation ノック式筆記具
TWM389036U (en) * 2009-05-22 2010-09-21 Benext Int Corporation Push-type device and push-type writing device
JP5358471B2 (ja) * 2010-02-03 2013-12-04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熱変色性筆記具
WO2012039059A1 (ja) 2010-09-24 2012-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FR2988329B1 (fr) * 2012-03-20 2014-11-21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yant un manchon de protection deplacable
JP5985332B2 (ja) * 2012-09-24 2016-09-0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回転操作式筆記具
JP6049062B2 (ja) * 2012-11-05 2016-12-21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回転操作式筆記具
US20140270894A1 (en) * 2013-03-12 2014-09-18 Mao-Sung Wu Combination-type pen
CN203210929U (zh) * 2013-04-02 2013-09-25 庆元县红树实业有限公司 一种笔杆
JP6045651B1 (ja) * 2015-06-25 2016-12-14 ゼブラ株式会社 消しゴム付き筆記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2558A1 (en) * 1989-06-15 1990-12-19 Giuliana Mongardi Extensible body ball pen
KR920004694Y1 (ko) * 1990-08-31 1992-07-13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장치 부착필기구
JP2007320209A (ja) 2006-06-02 2007-12-13 Pilot Corporation 開閉蓋付の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8529B2 (ja) 2023-12-14
KR102589514B1 (ko) 2023-10-16
JP2022159343A (ja) 2022-10-17
EP3733426A4 (en) 2021-09-01
US20210362535A1 (en) 2021-11-25
US11390111B2 (en) 2022-07-19
TW201930099A (zh) 2019-08-01
JP2019119112A (ja) 2019-07-22
CN115139687B (zh) 2023-11-10
JP7146393B2 (ja) 2022-10-04
CN115139687A (zh) 2022-10-04
WO2019131020A1 (ja) 2019-07-04
CN111511574B (zh) 2022-07-01
TWI785166B (zh) 2022-12-01
EP3733426A1 (en) 2020-11-04
CN111511574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8529B2 (ja) 筆記具
JP5490224B2 (ja) 磁気斥力を有する筆記具
US7097375B1 (en) Mechanical pencil having a rotatable wheel for advancing lead
JP706794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6436662B2 (ja) 出没式筆記具
JP7220630B2 (ja) 筆記具
JP5575510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構造
JP6948231B2 (ja) 繰出式筆記具
JP2021006383A (ja) 筆記具
JP6811124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6774331B2 (ja) 熱変色性筆記具
JP7303669B2 (ja) 筆記具
JP2006334832A (ja) 複式筆記具
JP2023032510A (ja) 筆記具
JP6356532B2 (ja) 筆記具
JP6999437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5469346B2 (ja) 筆記具
JP2023032508A (ja) 筆記具
JP2023032509A (ja) 筆記具
JP2006150725A (ja) 出没式筆記具
JP2021006387A (ja) 筆記具
JP4373900B2 (ja) 筆記具
JP6448949B2 (ja) ノック式ボールペン
JP5469345B2 (ja) 筆記具
JP2005067100A (ja) 棒状体繰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