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077A -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 - Google Patents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077A
KR20200099077A KR1020200010391A KR20200010391A KR20200099077A KR 20200099077 A KR20200099077 A KR 20200099077A KR 1020200010391 A KR1020200010391 A KR 1020200010391A KR 20200010391 A KR20200010391 A KR 20200010391A KR 20200099077 A KR20200099077 A KR 20200099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
acrylate
gallat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845B1 (ko
Inventor
히로시 유노키
요시노부 사토
히로토시 코야노
Original Assignee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9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5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과제]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본 개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티오펜(a1) 및 설포 음이온기 함유 폴리머(a2)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A),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민(B),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갈레이트 화합물(C), 및 유기용매(D)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Composition, cured product and goods}
본 개시는,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티오펜, 및 설포 음이온기 함유 폴리머로 이루어진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는, 박막으로 했을 경우의 투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대전방지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를 포함하는 대전방지 코팅제에서, 대전방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종 첨가제가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4/065314호
금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첨가제(케르세틴)을 사용할 경우, 가열조건 하에서는 대전방지성은 유지되지만, 첨가제가 산화되고 착색물이 발생하며, 도막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가열조건 하에서도 대전방지성을 유지하면서도, 착색물도 생기지 않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한 결과, 특정 조성물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찾아냈다.
본 개시에 의해 이하의 항목이 제공된다.
(항목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티오펜(a1) 및 설포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폴리머(a2)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민(B),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갈레이트 화합물(C), 및 유기용매(D)를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알킬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X1은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다.
(항목 2)
중합성 불포화 탄소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E)을 포함하는, 상기 항목에 기재된 조성물.
(항목 3)
상기 항목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경화물.
(항목 4)
상기 항목에 기재된 경화물을 포함하는 물품.
본 개시에서, 상술한 1 또는 복수의 특징은, 명시된 조합에 더하여, 더욱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성물은, 가열조건 하에서도 대전방지성을 유지하면서도, 착색물도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조성물은, 대전방지 코팅제나 전도성 코팅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각 물성값, 함유량 등의 수치범위는, 적당(예를 들면 하기 각 항목에 기재된 상한 및 하한값에서 선택하여)히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치 α에 대해, 수치 α의 상한 및 하한으로 A1, A2, A3, A4(A1 > A2 > A3 > A4로 한다) 등이 예시되는 경우, 수치 α의 범위는, A1 이하, A2 이하, A3 이하, A2 이상, A3 이상, A4 이상, A1 내지 A2, A1 내지 A3, A1 내지 A4, A2 내지 A3, A2 내지 A4, A3 내지 A4 등이 예시된다.
[각종 기의 설명]
알킬기는, 직쇄 알킬기, 분지쇄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등이 예시된다.
직쇄 알킬기는, 일반식 : -CnH2n +1 (n은 1이상의 정수)로 표시된다. 직쇄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카메틸기, n-운데실기, n-도데실기, n-토리데실기, n-테트라데실기, n-펜타데실기, n-헥사데실기, n-헵타데실기, n-옥타데실기(스테아릴기), n-노나데실기, n-이코실기, n-에이코실기, n-도코실기, n-트리코실기, n-테트라코실기, n-펜타코실기, n-헥사코실기, n-헵타코실기, n-옥타코실기, n-노나코실기, n-트리아콘틸기 등이 예시된다.
분지쇄 알킬기는, 직쇄 알킬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기이다. 분지쇄 알킬기는, i-프로필기, i-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i-펜틸기, 네오펜틸기, t-펜틸기, i-헥실기 등이 예시된다.
시클로알킬기는, 고리구조를 갖는 알킬기이다. 시클로알킬기는, 단일고리 시클로알킬기, 가교고리 시클로알킬기, 축합고리 시클로알킬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시클로알킬기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에서, 단일고리란, 탄소의 공유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에 다리구조를 가지지 않는 고리형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축합고리란, 2개 이상 단일고리가 2개의 원소를 공유하고 있는(즉, 각각의 고리의 주변을 서로 1개만 공유(응축)하고 있다) 고리형태 구조를 의미한다. 가교고리란, 2개 이상의 단일고리가 3개 이상의 원자를 공유하고 있는 고리형태 구조를 의미한다.
단일고리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데실기, 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기 등이 예시된다.
가교고리 시클로알킬기는, 트리시클로데실기, 아다만틸기, 노르보닐기 등이 예시된다.
축합고리 시클로알킬기는, 비시클로데실기 등이 예시된다.
알케닐기는, 직쇄 알케닐기, 분지쇄 알케닐기, 시클로알케닐기 등이 예시된다.
직쇄 알케닐기는, 일반식 : -CnH2n -1 (n은 2이상의 정수)로 표시된다. 직쇄 알케닐기는, 비닐기, 아릴기, n-부테닐기, n-펜테닐기, n-헥세닐기, n-헵테닐기, n-옥테닐기, n-노네닐기, n-데세닐 등이 예시된다.
분지쇄 알케닐기는, 직쇄 알케닐기의 하나 이사의 수소원자가 알킬기에 의해 치환된 기이다. 분지쇄 알케닐기는, 1-메틸비닐기, 1-메틸아릴기 등이 예시된다.
시클로알케닐기는, 고리구조를 갖는 알케닐기이다. 시클로알케닐기는, 단일고리 시클로알케닐기, 가교고리 시클로알케닐기, 축합고리 시클로알케닐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시클로알케닐기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단일고리 시클로알케닐기는, 시클로펜테닐기, 시클로헥세닐기, 시클로헵테닐기 등이 예시된다.
가교고리 시클로알케닐기는, 노르보네닐기 등이 예시된다.
축합고리 시클로알케닐기는, 비시클로데세닐기 등이 예시된다.
아릴알킬기는, -R알킬렌-R아릴로 표시되는 기(R알킬렌은 알킬렌기를 의미하고, R아릴은 아릴기를 의미한다.)이다.
아릴기는, 단일고리 아릴기, 축합고리 아릴기 등이 예시된다. 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단일고리 아릴기는, 페닐기 등이 예시된다.
축합고리 아릴기는, 나프틸기 등이 예시된다.
아릴알킬기는, 벤질기 등이 예시된다.
알킬렌기는, 직쇄 알킬렌기, 분지쇄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등이 예시된다.
직쇄 알킬렌기는, 일반식 : -(CH2)n-(n은 1이상의 정수)로 표시된다. 직쇄 알킬렌기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n-부틸렌기, n-펜틸렌기, n-헥실렌기, n-헵틸기, n-옥틸렌기, n-노닐렌기, n-데카메틸렌기 등이 예시된다.
분지쇄 알킬렌기는, 직쇄 알킬렌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알킬기로 치환된 기이다. 분지쇄 알킬렌기는, 디에틸펜틸렌기, 트리메틸부틸렌기, 트리메틸펜틸렌기, 트리메틸헥실렌기 등이 예시된다.
시클로알킬렌기는, 단일고리 시클로알킬렌기, 가교고리 시클로알킬렌기, 축합고리 시클로알킬렌기 등이 예시된다. 또한 시클로알킬렌기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단일고리 시클로알킬렌기는,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시클로헵틸렌기, 시클로데실렌기, 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렌기 등이 예시된다.
가교고리 시클로알킬렌기는, 트리시클로데실렌기, 아다만틸렌기, 노르보닐렌기 등이 예시된다.
축합고리 시클로알킬렌기는, 비시클로데실렌기 등이 예시된다.
상술한 알킬기, 알킬렌기, 알케닐기, 알케닐렌기, 아릴기, 아닐알킬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그 상한 및 하한은, 40, 35, 30, 29, 25, 20, 15, 12, 10, 9, 8, 7, 6, 5, 4, 3, 2, 1 등이 예시된다.
폴리옥시알킬렌기는, -[R알킬렌-O-]n-으로 표시되는 기(R알킬렌은 알킬렌기를 의미하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의미한다.)이다.
폴리옥시알킬렌기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및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기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본 개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티오펜(a1) 및 설포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폴리머(a2)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민(B),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갈레이트 화합물(C), 및 유기용매(D)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알킬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X1은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다.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A) : (A)성분이라고도 한다.>
(A) 성분은,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티오펜(a1)과, 도판트인 설포 음이온기 함유 폴리머(a2)로 구성된다. (A)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티오펜(a1) : (a1)성분이라고도 한다.)
(a1) 성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a1)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알킬렌기이다. A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다.
(a1) 성분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3,4-프로필렌디옥시티오펜), 폴리(3,4-부텐디옥시티오펜) 등이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전도성의 점에서 특히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이하, PEDOT라고 한다.)가 바람직하다.
(a1) 성분은, 공지의 화학적 산화중합법이나 전해중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전구체 모노머, 도판트 및 산화제를 포함하는 용액 내에서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전구체 모노머 및 도판트를 포함하는 전해용액 내에 지지전극을 침지하고, 그 위에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시에는 용매로서 물이나 후술하는 유기용매 (D) 성분을 사용해도 좋다.
산화제는, 금속염계 산화제(염화 제2철, 황산 제2철, 염화 제2구리, 염화 알루미늄 등), 비금속염계 산화제(퍼옥소이황산암모늄, 퍼옥소이황산나트륨, 퍼옥소이황산칼륨, 삼불화붕소, 오존, 과산화벤조일, 산소 등) 등이 예시된다.
(설포 음이온기 함유 폴리머(a2) : (a2) 성분이라고도 한다.)
설포 음이온기 함유 폴리머는, (a1) 성분에 대한 도핑성분이다. (a2) 성분은, 설폰산계 중합성 모노머의 단독중합물이나, 설폰산계 중합성 모노머와 설포 음이온기를 가지지 않는 중합성 모노머의 공중합물 등, 각종 공지의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a2) 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포 음이온기」는, 음이온성 관능기인 설포기 또는 일치환 설포에스테르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일치환 설포에스테르기」는, 설포에스테르기의 수산기 상의 수소가 알킬기(탄소수 1 내지 20 정도)로 치환된 것을 말한다.
설폰산계 중합성 모노머는, 비닐설폰산, (메타)아릴설폰산, 스티렌설폰산, α-메틸스티렌설폰산, 메타릴옥시벤젠설폰산, 아릴옥시젠벤설폰산, 1,3-부타디엔-1-설폰산, 1-메틸-1,3-부타디엔-2-설폰산, 1-메틸-1,3-부타디엔-4-설폰산, 이소프렌설폰산, (메타)아크릴산 에틸렌설폰산(CH2=C(CH3)-COO-(CH2)2-SO3H), (메타)아크릴산-t-부틸설폰산(CH2=C(CH3)-COO-C(CH3)2CH2-SO3H), (메타)아크릴산-n-부틸설폰산(CH2=C(CH3)-COO-(CH2)4-SO3H), (메타)아크릴산페닐렌설폰산(CH2=C(CH3)-COO-C6H4-SO3H), (메타)아크릴산나프탈렌설폰산(CH2=C(CH3)-COO-C10H8-SO3H), 아릴산에틸설폰산(CH2=CHCH2-COO-(CH2)2-SO3H), 아릴산-t-부틸설폰산(CH2=CHCH2-COO-C(CH3)2CH2-SO3H), 4-펜텐산에틸설폰산(CH2=CH(CH2)2-COO-(CH2)2-SO3H), 4-펜텐산프로필설폰산(CH2=CH(CH2)2-COO-(CH2)3-SO3H), 4-펜텐산-n-부틸설폰산(CH2=CH(CH2)2-COO-(CH2)4-SO3H), 4-펜텐산-t-부틸설폰산(CH2=CH(CH2)2-COO-C(CH3)2CH2-SO3H), 4-펜텐산페닐렌설폰산(CH2=CH(CH2)2-COO-C6H4-SO3H), 4-펜텐산나프탈렌설폰산(CH2=CH(CH2)2-COO-C10H8-SO3H), 아크릴산아미드-t-부틸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시클로부텐-3-설폰산, 이들의 염류(나트륨염 등) 등이 예시된다.
설포 음이온기를 갖지않는 중합성 모노머는, 방향족계 모노머[스티렌, p-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p-부틸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p-메톡시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페놀, 2-비닐나프탈렌, 6-메틸-2-비닐나프탈렌 등], 비지방족고리디엔[1,3-부타디엔, 1-메틸-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1,4-디메틸-1,3-부타디엔, 1,2-디메틸-1,3-부타디엔, 1,3-디메틸-1,3-부타디엔, 1-옥틸-1,3-부타디엔, 2-옥틸-1,3-부타디엔, 1-페닐-1,3-부타디엔, 2-페닐-1,3-부타디엔, 1-히드록시-1,3-부타디엔 등], 비지방족고리모노엔[2-히드록시-1,3-부타디엔, 에틸렌, 프로펜, 1-부텐, 2-부텐, 1-펜텐, 2-펜텐, 1-헥센, 2-헥센 등], 지방족고리모노엔[시클로프로펜,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2-메틸시클로헥센 등], 이미다졸계모노머[1-비닐이미다졸, 2-비닐피리딘, 3-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N-비닐-2-피롤리돈, N-비닐아세트아미드, N-피닐이미다졸 등], 아크릴아미드류[(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포름아미드, 3-아크릴아미드페닐보론산 등], 아민계 모노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아민, N,N-디메틸비닐아민, N,N-디메틸비닐아민, N,N-디에틸비닐아민, N,N-디부틸비닐아민, N,N-디-t-부틸비닐아민, N,N-디페닐비닐아민, N-비닐카르바졸 등], 기타 모노머[비닐아세테이트,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알콜, 염화비닐, 불화비닐,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 등이 예시된다.
(a2)성분은, 도핑성능이 양호하고, 또한 후술하는 (A)성분의 유기용제분산체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점에서, 폴리스티렌설폰산, 폴리비닐설폰산, 폴리아릴설폰산, 폴리아크릴산에틸설폰산, 폴리아크릴산부틸설폰산, 폴리-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폴리이소프렌설폰산, 폴리비닐카르본산, 폴리스티렌카르본산, 폴리아릴카르본산, 폴리아크릴카르본산, 폴리메타크릴카르본산, 폴리-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카르본산, 및 폴리이소프렌카르본산,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특히 폴리스티렌설폰산 및/또는 이의 염(특히 나트륨염)(이하, PSS로 총칭한다.)이 바람직하다.
(a1)성분을 (a2)성분에 의해 도프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a1) 성분에 (a2)성분을 첨가하여 각종 공지수단으로서 교반혼합하거나, (a1)성분의 제조시(전구체 모노머의 중합시), 반응계에 (a2)성분을 공존시키거나 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A)성분이 수용액이나 물분산액으로서 준비되는 경우에는, 각종 공지방법(일본 특개 2008-045116호 공보, 일본 특개 2008-156452호 공보, 일본 특개 2008-222850호 공보, 일본 특개 2011-208016호 공보 등)에 따라 유기용매 분산체가 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A) 성분으로서 PEDOT/PSS의 수용액 내지 수분산액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각종 공지의 건조수단(스프레이 드라이어 등)으로 건조시킴으로써, PEDOT/PSS의 청색고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A)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A)성분은, 전도성 고분자/도판트 착체로서의 화학적인 안정성이나, 전도성, 본 발명의 전도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막의 색상·투명성 등의 점에서, 특히 PEDOT와 PSS로 이루어진 착체(이하, PEDOT/PSS라 한다.)가 바람직하다. PEDOT/PSS 시판품은, 「Cleviou P」(상품명;Heraeus 사 제조), 「Orgacon」(상품명;일본 아그파 게발트(Agfa Gevaert)(주) 제조)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100 질량% 중의 (A)성분의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5, 4.5, 4, 3.5, 3, 2.5, 2, 1.5, 1, 0.9, 0.5, 0.1, 0.09, 0.05, 0.04, 0.01, 0.005, 0.002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A)성분의 함유량은 0.002 내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아민(B):(B)성분라고도 한다.>
(B)성분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된다. (B)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X1은 알킬기(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40의 알킬기), 알케닐기(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40의 알케닐기), 또는 아릴 알킬기(예를 들면 탄소수 7 내지 40의 아릴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이다.
(B)성분은, N,N-폴리(옥시에틸렌)-헥실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헥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헥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데실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데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펜타데실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펜타데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펜타데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이코실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이코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이코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헥사코실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헥사코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헥사코실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트리아콘틸아민, N,N-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아콘틸아민, N,N-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트리아콘틸아민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100 질량% 중의 (B)성분의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10, 9.5, 9, 8.5, 8, 7.5, 7, 6.5, 6, 5.5, 5, 4.5, 4, 3.5, 3, 2.5, 2, 1.5, 1, 0.9, 0.5, 0.1, 0.09, 0.05, 0.04, 0.01, 0.005, 0.002, 0.001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B)성분의 함유량은 0.001 내지 10 질량%가 바람직하다.
<갈레이트 화합물(C):(C)성분이라고도 한다.>
(C)성분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된다. (C)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다.
(C)성분은, 갈산알킬에스테르, 갈산알케닐에스테르, 갈산아릴에스테르, 갈산아릴알킬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갈산알킬에스테르는, 갈산 직쇄 알킬에스테르, 갈산 분지쇄 알킬에스테르, 갈산 시클로알킬에스테르 등이 예시된다.
갈산 직쇄 알킬에스테르는, 갈산메틸, 갈산에틸, 갈산프로필, 갈산n-부틸, 갈산n-펜틸, 갈산n-헥실, 갈산n-헵틸, 갈산n-옥틸, 갈산n-노닐, 갈산n-데카메틸, 갈산n-운데실, 갈산n-도데실, 갈산n-트리데실, 갈산n-테트라데실, 갈산n-펜타데실, 갈산n-헥사데실, 갈산n-헵타데실, 갈산n-옥타데실(갈산스테아릴), 갈산n-노나데실, 갈산n-이코실, 갈산n-헨이코실, 갈산n-도코실, 갈산n-트리코실, 갈산n-테트라코실, 갈산n-펜타코실, 갈산n-헥사코실, 갈산n-헵타코실, 갈산n-옥타코실, 갈산n-노나코실, 갈산n-트리아콘틸 등이 예시된다.
갈산 분지쇄 알킬에스테르는, 갈산i-프로필, 갈산i-부틸, 갈산s-부틸, 갈산t-부틸, 갈산i-펜틸, 갈산네오펜틸, 갈산t-펜틸, 갈산i-헥실 등이 예시된다.
갈산 시클로알킬에스테르는, 갈산시클로펜틸, 갈산시클로헥실, 갈산시클로헵틸, 갈산시클로데실, 갈산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갈산트리시클로데실, 갈산아다만틸, 갈산노르보닐, 갈산비시클로데실 등이 예시된다.
갈산알케닐에스테르는, 갈산비닐, 갈산아릴 등이 예시된다.
갈산아릴에스테르는, 갈산페닐 등이 예시된다.
갈산아릴알킬에스테르는, 갈산벤질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100 중량% 중의 (C)성분의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5, 4.5, 4, 3.5, 3, 2.5, 2, 1.5, 1, 0.9, 0.5, 0.1, 0.09, 0.05, 0.04, 0.01, 0.005, 0.002, 0.001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C)성분의 함유량은 0.001 내지 5 질량%가 바람직하다.
(A)성분 100 중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5000, 4000, 2500, 1000, 900, 750, 500, 400, 300, 250, 100, 90, 75, 73, 50, 30, 25, 10, 5, 2, 1, 0.1, 0.01, 0.002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A)성분 100 질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은, 0.002 내지 5000 질량%가 선호된다.
<유기용매(D):(D)성분이라고도 한다.>
(D)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성분은, 비에테르모노알콜 용매, 비에테르디올 용매, 에테르 용매, 케톤 용매, 지방족 고리 탄화수소 용매, 에스테르 용매, 니트릴 용매, 함질소 화합물 용매, 함황 화합물 용매 등이 예시된다.
비에테르모노알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로필알콜 등이 예시된다.
비에테르디올 용매는,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예시된다.
에테르 용매는, 디옥세인, 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알킬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케톤 용매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는,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이 예시된다.
지방족 고리 탄화수소 용매는,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이 예시된다.
에스테르 용매는, 포름산에틸, 아세트산에틸 등이 예시된다.
니트릴 용매는, 아세토니트릴, 글루타로디니트릴, 메톡시아세트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벤조니트릴 등이 예시된다.
함질소 화합물 용매는, N-메틸-2-피롤리돈, 3-메틸-2-옥사졸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함황 화합물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100 질량% 중의 (D)성분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99.996, 99.9, 99, 95, 90, 85, 80, 75, 70, 65, 60, 55, 50, 45, 40, 35, 30, 25, 20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D)성분 함유량은 20 내지 99.996 질량%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불포화 탄소결합 함유 화합물(E):(E)성분이라고도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중합성 불포화 탄소결합 함유 화합물 (E)를 포함할 수 있다. (E)성분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E)성분은,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메타)아크릴로일」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란,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공지의 수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에폭시기 함유(메타)아크릴코폴리머와 α,β-불포화카르본산을 반응시키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에폭시기 함유(메타)아크릴코폴리머는, 에폭시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공지의 수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α,β-불포화카르본산은, (메타)아크릴산 등이 예시된다.
에폭시기 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글리시딜 등이 예시된다.
상기 이외의 폴리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는, 수산기 비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비함유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수산기 비함유 직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비함유 분지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비함유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비함유 직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n-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헥실, (메타)아크릴산헵틸, (메타)아크릴산옥틸, (메타)아크릴산헥사데실, (메타)아크릴산도데실, (메타)아크릴산옥타데실, (메타)아크릴산이코실, (메타)아크릴산도코실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비함유 분지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산이소부틸, (메타)아크릴산sec-부틸, (메타)아크릴산tert-부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비함유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타)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시클로펜타닐, (메타)아크릴산이소보닐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수산기 함유 직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함유 분지쇄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함유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언더코트 제의 팟라이프 등의 관점에서, 히드록시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4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직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메틸,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함유 분지쇄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3-히드록시부틸 등이 예시된다.
수산기 함유 시클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 등이 예시된다.
(올리고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산기 함유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E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E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E1에서,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Rp1 내지 Rp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타) 아크릴로일기이고, Rp1 내지 Rp6의 적어도 1개가 (메타)아크릴로일기이다. 또한, Rp3 및 Rp5는, 각 구성단위마다 기가 달라도 좋다.
본 개시에서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각 구성단위마다 기가 달라도 좋다」는,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E1에 있어서, m이 2일 때,
[화학식 4]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4에서 RP3A와 RP3B는 다른 기이면 좋고, RP5A와 RP5B는 다른 기이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폴리펜타에리트리톨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디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헵타(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폴리)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E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E2]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E2에서, p는 0 이상의 정수이고, Rp7 내지 Rp10은 수소원자,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이고, Rp7 내지 Rp10의 적어도 하나가 (메타)아크릴로일기이다. 또한, Rp9은, 각 구성단위마다 기가 달라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트리메틸롤프로판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트리메틸롤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폴리트리메틸롤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디트리메틸롤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글리세린(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하기 화학식 E3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E3]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E3에서, Rp11 내지 Rp13이,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수소원자이고, Rp11 내지 Rp13의 적어도 하나가, (메타)아크릴로일기이다.
본 개시에 있어 「글리세린(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글리세린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세린(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를 의미한다.
글리세린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조성물 100 질량% 중의 (E)성분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75, 70, 65, 60, 55, 50, 45, 40, 35, 30, 25, 20, 15, 10, 9, 5, 3, 1, 0.5, 0.1, 0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E)성분의 함유량은 0 내지 75 질량%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F) : (F)성분이라고도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광중합개시제가 포함된다. 광중합개시제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광중합개시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1-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4-메틸벤조페논 등이 예시된다. 또한, 광중합개시제는, 자외선 경화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지만, 전자선 경화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조성물 100 질량% 중의 (F)성분의 함유량의 상한 및 하한은, 10, 9, 5, 3, 1, 0.5, 0.1, 0 질량%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조성물 100 질량% 중의 (F)성분의 함유량은 0 내지 10 질량%가 바람직하다.
<첨가제>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A) 내지 (F) 성분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약을 첨가제로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폴리티오펜비닐렌류, 폴리피롤류, 폴리퓨란류, 폴리아닐린류 등의 (A)성분 이외의 전도성 고분자, (B)성분 이외의 아민계 계면활성제, 비아민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예시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첨가제의 함유량은, 조성물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미만, 0.1 질량부 미만, 0.01 질량부 미만, 0 질량부 등이 예시된다. 또한, (A) 내지 (F) 성분 중 어느 하나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미만, 0.1 질량부 미만, 0.01 질량부 미만, 0 질량부 등이 예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A) 내지 (D) 성분, 및 필요에 따라 (E) 내지 (F)성분 및 첨가제가, 각종 공지수단에 의해 분산·혼합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각 성분의 첨가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성분의 첨가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분산·혼합수단은, 각종 공지의 장치(유화분산기, 초음파분산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이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코팅제, 대전방지 코팅제, 전도성 코팅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경화물]
본 개시는,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경화물은, 상기 경화물에, 자외선, 전자선, 방사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경화반응에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은, 자외선이나 전자선이 예시된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크세논 램프, 고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가진 자외선 조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량이나 광원배치, 반송속도 등은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고압수은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80 내지 160 W/cm 정도의 램프 출력을 가진 램프 1등에 대해 반송속도 5 내지 50 m/분 정도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선의 경우에는, 10 내지 300 kV 정도의 가속전압을 가진 전자선 가속장치로, 반송속도 5 내지 50 m/분 정도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본 개시는, 상기 경화물을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각종 공지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물품의 제조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베이스필름(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도공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또한, 얻어진 베이스필름의 비도공면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성물을 도공하고, 그 위에 다른 베이스필름을 붙인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적층상 물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베이스필름(기재)은 각종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베이스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필름, 아크릴필름(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필름 등), 폴리스티렌필름,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올레핀필름, 에폭시수지필름, 멜라민수지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ABS필름, AS필름, 노보넨계수지필름, 고리상올레핀필름, 폴리비닐알콜필름 등이 예시된다. 베이스필름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5 내지 100 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공방법은, 바코타 도공, 와이어 바 도공, 메이어 바 도공, 에어나이프 도공, 그라비아 도공, 리버스 그라비아 도공,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이 예시된다.
도공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건조 후의 질량이 0.1 내지 30 g/m2 정도가 좋으며, 내지 20 g/m2가 더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 및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목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된 실시형태에도 실시예에도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부, % 등의 수치는 질량기준이다.
<(A)성분의 조제>
조제예 1
시판되는 PEDOT/PSS 물분산액(상품명 「Orgacon」, 고형분 농도 1.2 중량%) 1000 g을, 분무건조기(제품명 「GA-32」, 야마토화학㈜ 제조)를 사용하여 처리해(분무압력 0.6 MPa, 건조온도(취입구) 150℃), 청색고체 9.0 g을 얻었다. 또한, 같은 조작을 반복하여, 전도성 조성물의 조제에 필요한 양의 청색고체를 준비했다.
실시예 1
비커에, 조제예 1에서 얻은 고형상의 (A)성분(이하, P/P로 생략한다.) 1.20 g 및 에탄올 96.4 g을 넣고, (B)성분으로서 아민알킬렌옥사이드부가물(상품명 : 리포놀 C/18-18, 라이온·스페셜티·케미칼즈(주) 제조) 2.40 g을 첨가한 후에, 유화분산기(제품명: 크레아믹스, M·테크닉(주) 제조, 이하 동일)를 사용하여, 회전수 18000 rpm으로 10분 처리 후, 초음파 분산기(19.6 kHz, (주)긴센 제조. 이하, 동일)을 사용하여, 출력 400W로 10분간 처리를 행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3.6 중량%의 조성물을 얻었다. 다음, 상기 조성물에, (C)성분으로서 스테아릴갈레이트를 0.87 g, 및 (D)성분으로서 에탄올을 123.89 g 및 에틸렌글리콜 40.59 g,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상품명 「알로닉스M-400」, 동아합성(주) 제조)을 160.95 g, 및 광중합개시제(제품명 「OMNIRAD 2959」, IGM Resins B.V. 사 제조)를 8.70 g 첨가해, 잘 교반함에 따라 조성물(고형분 농도 약 40 중량%)를 얻었다.
실시예 1 이외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표 1에 기재한대로 성분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했다.
(필름 제조)
100 μm 막두께의 PET필름(토레이(주) 제조 루미라 100U483) 위에, 각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 후의 피막 막두께가 3 μm가 되도록 바코타(형번 「No.24」, 제일이화(주) 제조)로 도포하고, 80℃의 건조기로 1분간 건조시켜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얻은 필름을 자외선 경화장치(제품명 : UBT-080-7A/BM, (주) 멀티플라이 제조, 고압수은등 300 mJ/cm2)를 사용하여, 경화피막을 갖는 필름을 얻었다. 제조된 필름에 대한 하기 평가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대전방지성 시험>
필름 제작 직후의 표면저항을, 시판 저항율계((주) 미츠비시 케미컬 애널레틱 제조, 제품명 「하이레스터 MCP-HT450」을 사용하여, JIS K 6911에 준하여, 인가전압 500V로 측정했다.
1X1013Ω/sq≥···○
1X1013Ω/sq<···X
<내열시험>
제조한 필름을 170℃의 건조기로 30분간 가열했다. 시험 후의 필름에 대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면저항을 측정했다. 또한, 시험 후의 필름에 대해 색차계(상품명 : ZE 6000 일본전색공업(주) 제조)의 투과법으로 측정해, 가열 후의 엘로우 인덱스 값(YI값)이 4 미만이면 「○」, 4 이상이면 「X」로 분류했다.
(C)성분 또는 기타 첨가제 (A) 성분 100 질량%에 대한 (C)성분의 함유량 초기표면 저항율 170℃X30분 후
표면저항율 YI값
실시예 1 스테아릴갈레이트 73%
실시예 2 옥틸갈레이트 73%
실시예 3 프로필갈레이트 73%
실시예 4 스테아릴갈레이트 250%
실시예 5 스테아릴갈레이트 30%
실시예 6 스테아릴갈레이트 15%
비교예 1 케르세틴 73% X
비교예 2 BHT 73% X X
비교예 3 아데카스타부 AO-60 73% X X
비교예 4 라이트에스테르 P-1M 73% 서로 용해되지 않아 도공 불가
BHT : 2,6-디-tert-부틸-p-크레졸
아데카스타부 AO-60 :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라이트에스테르 P-1M : 인산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티오펜(a1) 및 설포 음이온기를 함유하는 폴리머(a2)로 이루어지는 전도성 고분자/폴리 음이온 착체(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민(B),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갈레이트 화합물(C), 및 유기용매(D)를 포함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알킬렌기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2에서, X1은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옥시알킬렌기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3에서, R은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아릴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중합성 불포화 탄소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E)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의 경화물.
  4. 제3항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물품.
KR1020200010391A 2019-02-13 2020-01-29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 KR102562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3085 2019-02-13
JP2019023085A JP7225879B2 (ja) 2019-02-13 2019-02-13 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077A true KR20200099077A (ko) 2020-08-21
KR102562845B1 KR102562845B1 (ko) 2023-08-01

Family

ID=7207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391A KR102562845B1 (ko) 2019-02-13 2020-01-29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25879B2 (ko)
KR (1) KR102562845B1 (ko)
CN (1) CN111560180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873A (ja) * 2004-10-08 2006-05-25 Shin Etsu Polymer Co Ltd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8016A (ja) * 2009-03-31 2011-10-20 Arakawa Chem Ind Co Ltd 導電性高分子/ドーパント分散体、導電性組成物および導電性皮膜
KR101374846B1 (ko) * 2009-03-31 2014-03-17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 고분자/도펀트 분산체, 도전성 조성물 및 도전성 피막
WO2014065314A1 (ja) 2012-10-23 2014-05-0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ポリアニオン錯体の有機溶媒分散体、当該有機溶媒分散体を含む導電性組成物および当該導電性組成物より得られる導電性被膜
JP2018203862A (ja) * 2017-06-02 2018-12-2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分散液、導電性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5007B (en) * 2004-10-08 2010-05-21 Shinetsu Polymer Co Conductive composi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tistatic coating material, antistatic coating, antistatic film, optical filter,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capacito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374841B2 (ja) * 2006-07-18 2013-12-25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ドーパント錯体有機溶媒分散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導電性高分子/ドーパント錯体有機溶媒分散体を含有する組成物
DE102009012660A1 (de) * 2009-03-13 2010-09-16 H.C. Starck Clevios Gmbh Polymerbeschichtungen mit verbesserter Temperaturstabilität
WO2012057257A1 (ja) * 2010-10-29 2012-05-0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透明導電ガラス基板
CN107001801B (zh) * 2014-12-09 2020-03-17 信越聚合物株式会社 加成硬化性防静电有机聚硅氧烷组合物及防静电硅酮皮膜
GB2549061B (en) * 2015-09-03 2020-04-01 Si Group Switzerland Chaa Gmbh Stabilising Compositions
JP6614927B2 (ja) * 2015-11-06 2019-12-0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873A (ja) * 2004-10-08 2006-05-25 Shin Etsu Polymer Co Ltd 導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08016A (ja) * 2009-03-31 2011-10-20 Arakawa Chem Ind Co Ltd 導電性高分子/ドーパント分散体、導電性組成物および導電性皮膜
KR101374846B1 (ko) * 2009-03-31 2014-03-17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 고분자/도펀트 분산체, 도전성 조성물 및 도전성 피막
WO2014065314A1 (ja) 2012-10-23 2014-05-01 荒川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ポリアニオン錯体の有機溶媒分散体、当該有機溶媒分散体を含む導電性組成物および当該導電性組成物より得られる導電性被膜
KR20150080524A (ko) * 2012-10-23 2015-07-09 아라까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도전성 고분자/폴리음이온 착체의 유기용매 분산체, 상기 유기용매 분산체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 및 상기 도전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전성 피막
JP2018203862A (ja) * 2017-06-02 2018-12-27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導電性高分子分散液、導電性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2660A (ja) 2020-08-31
KR102562845B1 (ko) 2023-08-01
CN111560180A (zh) 2020-08-21
CN111560180B (zh) 2022-07-05
JP7225879B2 (ja)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2777B2 (ja) 導電性高分子/ドーパント分散体、導電性組成物および導電性皮膜
TWI419924B (zh) An organic solvent dispersion of a conductive polymer / dopant,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dispersion
JP4611834B2 (ja) 導電性高分子塗料、導電性塗膜
KR20150080524A (ko) 도전성 고분자/폴리음이온 착체의 유기용매 분산체, 상기 유기용매 분산체를 포함하는 도전성 조성물 및 상기 도전성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도전성 피막
EP2308905A1 (en) Curable copolymer and curable resin composition
TWI778029B (zh) 硬化型組成物
JP2004161942A (ja)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含水ゲルの形成方法
KR102562845B1 (ko) 조성물, 경화물 및 물품
KR102442826B1 (ko) 용이 박리막 형성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6562548B2 (ja) 導電性高分子分散液及び導電性フィルム
JP2012250535A5 (ko)
JP7070839B2 (ja) 硬化膜形成組成物、配向材および位相差材
WO2017010456A1 (ja) 硬化性組成物、導電性塗膜および帯電防止性塗膜
KR101871129B1 (ko)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대전 방지 필름
JP2016221874A (ja) 導電積層体
JP6611317B2 (ja) 導電性高分子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00421A (ja) エポキシ樹脂硬化用微粒子、エポキシ樹脂硬化用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感光性水系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7338852B2 (ja)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硬化性樹脂組成物
JP7433133B2 (ja) 導電性高分子含有液及びその製造方法、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572982B2 (ja) アクリル系吸水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1155681A (ja) 含水ゲル
CN114206888A (zh) 二苯并磷杂环戊二烯氧化物衍生物及其制造方法
US20120016080A1 (en) Initiators for polymerization of vinyl monomers based on the reaction of phenoxyaluminum complexes with oxygen
JP201020284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および被覆物
JP2002308950A (ja) 親水性グラフト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