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720A -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720A
KR20200092720A KR1020190009994A KR20190009994A KR20200092720A KR 20200092720 A KR20200092720 A KR 20200092720A KR 1020190009994 A KR1020190009994 A KR 1020190009994A KR 20190009994 A KR20190009994 A KR 20190009994A KR 20200092720 A KR20200092720 A KR 2020009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extract
noni
preventing
g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시영
서승현
김대환
조은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0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2720A/ko
Priority to PCT/KR2019/017960 priority patent/WO2020153608A1/en
Publication of KR2020009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6Morin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4Supercrit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ys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은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이 있고, 요산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통풍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EXTRACT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노니(Morinda citrifolia)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풍(痛風, Gout)은 대표적인 대사질환의 하나로, 퓨린(purine) 뉴클레오티드(nucleotide)의 과다 생성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대사 이상에 기인하여 요산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나타나며, 요산이 혈액 내 남아 농도가 높아지는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으로 인해 발생된다. 혈액 및 관절액 내의 요산은 요산염(urate) 결정으로 남아 있어, 이것이 관절의 윤활막(synovial membrane), 연골, 연골하골(subchondral bone) 및 관절 주위 조직과 피하조직에 침착 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한다. 통풍은 통풍 발작이 재발하는 등 오래되면 골, 연골 등이 파괴되고 관절이 변형, 섬유화, 골강직증(bony ankylosis) 등으로 진행하게 되는 유전적 성향의 질환이다. 통풍은 주로 중년 이상의 남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근래에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발병 연령이 낮아지는 이유는 환경적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여성 환자의 경우 대개 폐경기 이후에 발병하거나, 유전적 소인이 강하거나 신장 기능이 약화된 여성에게서 발병하곤 한다.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는 생체 내 퓨린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잔틴 또는 하이포잔틴(hypoxanthine)으로부터 요산염을 형성하며, 요산염이 혈장 내에 증가하면 골절에 축적되므로 통증을 동반하는 통풍을 일으키는 효소로 알려져 왔다(Yagi k.,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 Phys. Lipids, 45, 337-351, 1987).
퓨린체의 대사과정 중 아데닌(adenine)은 하이포잔틴과 잔틴을 거쳐 요산으로 만들어지고, 구아닌(guanine)은 직접 잔틴으로 대사되어 요산으로 분해되는데, 이때 잔틴 산화효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잔틴 산화효소가 잔틴을 요산으로 전환시킬 때,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을 대량 생성함으로써 주변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어 통풍뿐만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당뇨병 등과 같은 동반질환을 수반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Storch J. et al.,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1988).
통풍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제인 알로푸리놀(allopurinol)은 체내 독소인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여 통풍, 고요산혈증, 요산신장병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알로푸리놀은 신장결석과 알로푸리놀 과민성 증후군(allopurinol hypersensitivity syndrome, AHS)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한다(Joyce Z. Singer et al., The allopurinol hypersensitivity syndrome. Unnecessary morbidity and mortality. Arthritis & Rheumatology, 29, 82-87, 1986).
콜키신(colchicine)은 급성통풍 발작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약물로서 면역 세포인 백혈구 중에서 호중구의 작용을 방해하여 염증세포의 활성화와 이동을 억제한다. 그러나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진행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Wallace SL et al., Renal function predicts colchicine toxicity: guidelines for the prophylactic use of colchicine in gout. J. Rheumatol., 18(2):264-269, 1991).
전통적으로 통풍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프로베네시드 (probenecid)는 요산의 재흡수에 의해 요산의 배설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지만, 신장에 부하가 걸리므로 신장기능이 나쁜 환자에게는 금기이다(Edward A. Lock et al., Effect of the organic acid transport inhibitor probenecid on renal cortical uptake and proximal tubular toxicity of hexachloro-1,3-butadiene and its conjugates. Toxicol. Appl. Pharmacol., 81(1), 32-42, 1985).
한편, 노니(Morinda citrifolia)는 꼭두서니과의 다년생 상록관목 식물로서 동의보감에 해파극, 파극천이라는 생약명으로 수재되어 있다. 노니는 식물성 화학 물질을 비롯하여 영양성분을 포함한 약 200여 종 이상의 다양한 성분들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루틴(rutin), 우르솔산(ursolic acid), 프로제로닌(proxeronine), 담나칸탈(damnacanthal) 및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항균, 항바이러스, 항고혈압,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노니 열매는 소염진통, 혈당억제, 변비해소, 지혈, 염증해소 등의 효능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통풍 치료제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통풍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제제를 발굴하던 중, 노니 추출물 및 이부터 분리된 스코폴레틴이 통풍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다른 추출법과 비교하여 특정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과 초임계 추출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통풍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Yagi k.,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 Phys. Lipids., 45, 337-351, 1987. Storch J. et al.,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1988. Joyce Z. Singer et al., The allopurinol hypersensitivity syndrome. Unnecessary morbidity and mortality. Arthritis & Rheumatology, 29, 82-87, 1986. Wallace SL et al., Renal function predicts colchicine toxicity: guidelines for the prophylactic use of colchicine in gout. J. Rheumatol., 18(2):264-269, 1991. Edward A. Lock et al., Effect of the organic acid transport inhibitor probenecid on renal cortical uptake and proximal tubular toxicity of hexachloro-1,3-butadiene and its conjugates. Toxicol. Appl. Pharmacol., 81(1), 32-42, 1985.
본 발명의 목적은 노니 추출물(Morinda citrifolia)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scopoletin)의 통풍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니 추출물 내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노니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수득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니 추출물 내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은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이 있고, 요산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통풍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급성 고요산혈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의 요산 억제를 확인하기 위해 혈중 요산 수치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한 양태는,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약 20 내지 50℃에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액체이며, 소수성이나 적어도 하나의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질병,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을 의미한다. 질병,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이 예정된 기간 동안 억제되거나 지연된 경우 예방은 완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란, 특정 질병, 장애 및/또는 질환 또는 질환에 따른 증상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경감, 개선, 완화, 저해 또는 지연시키며,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특징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니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노니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된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노니는 잎, 뿌리, 줄기, 씨, 꽃, 열매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니 열매는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노니 열매를 세척한 후 다시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단독, 또는 85%(v/v), 60%(v/v), 또는 30%(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추출물의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활성, 및 요산 생성 억제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단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노니의 중량 1 g당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L,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에서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추출 횟수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바람직하게는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니 추출물은 추출물의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활성, 및 요산 생성 억제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노니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수득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여기서 노니는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노니는 바람직하게는 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은 반응기에 액화 이산화탄소를 통과시키는 방법과 공용매를 보조적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0 기압,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기압,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기압의 압력 조건 하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은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 유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의 추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서 감압농축 및 건조는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코폴레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분자식이 C10H8O4(분자량: 192.17)이고, 사이토카인 활성(cytokine activity)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황색의 결정성 분말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스코폴레틴은 바람직하게는 노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인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90 중량%, 더 바람ㅈ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결정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제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정제,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실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부형제'는, 치료제가 아닌, 어느 물질을 의미하며, 치료제의 전달을 위한 담체 또는 매체로 이용되거나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추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취급 및 저장 특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조성물의 단위 투여량 형성을 허용 및 촉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경구 투여'는, 활성물질이 소화되도록 제조된 물질, 즉 흡수를 위한 위장기관으로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액제'는, 의약품을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한 물약 상태로 먹는 약을 의미한다. 상기 액제는 현탁제 또는 고형제에 비하여 장관에서의 전신 순환계로의 약물 흡수가 보다 효과적인 이점을 지니며, 상기 액제는 의약품 외에도 부가적인 용질도 포함할 수 있으며, 색깔, 냄새, 감미 혹은 안정성을 주는 첨가제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현탁제'는, 알기네이트 함유 조성물의 요망되는 용해도 및/또는 분산도를 제공할 수 있는, 즉,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침강 및 덩어리가 없는 수성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작용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산제'는, 잘게 분할된 약물, 화학물질 또는 양자의 건조상태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과립제'는, 의약용 또는 의약품의 혼합물을 입상으로 한 것으로, 보통 4.76 내지 20 ㎜의 체를 통과하는 범위의 것을 말한다. 과립은 일반적으로 분말, 또는 분말 혼합물을 적셔서 그 덩어리를 필요로 하는 과립의 크기에 따라 적당한 메쉬 사이즈의 체 또는 과립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생성한다. 과립제 역시 산제와 마찬가지로, 입자 상태이기 때문에 약물이 혀에 닿는 정도가 커서, 쓴맛을 가지는 약물을 과립제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환자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정제'는, 분말상의 의약품을 작은 원판 모양으로 압축하여 복용하기 쉽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 정제는 나정, 필름 코팅정, 당의정, 다층정, 유핵정, 내핵정, 구강붕해정, 츄어블정, 발포정, 분산정, 용해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캡슐제'는, 의약품을 액상, 현탁상, 물상, 분말상, 과립상, 미니정제 또는 펠렛 등의 형태로 캡슐에 충전하거나 캡슐기제로 피포 성형하여 만든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환제'는, 결합제 및 기타 부형제와 혼합된 복합입자를 포함하는 작고 둥근 고체 투여형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엑스제'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생약 중의 약효성분을 적당한 침출제를 사용해서 침출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규정된 농도로까지 농축하고 주성분함량의 규정이 있는 것에서는 부형제를 가해 함량을 조절해서 만든 반고형 또는 고형의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시럽제'는, 설탕 또는 설탕대용제의 농조한 수제를 의미한다. 상기 시럽제는, 불쾌한 맛, 예컨대 쓴맛이 있는 의약품을 액제로 하여 복용하기 쉽게 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들이 복용하기에 적합한 제형이다. 상기 시럽제는 정제수 및 노니 추출물 외에 사당 또는 감미와 점성을 주기 위하여 쓰이는 사당의 대용약품, 항균성 보존제, 착미제 향료, 또는 착색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럽제에 포함될 수 있는 감미제의 예로는 백당,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과당, 유당, 수크랄로오스, 사카린 또는 멘톨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된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접 화합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내부 공동에 노니 추출물의 건조 분말 또는 스코폴레틴이 봉입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베타시클로덱스트린은 바람직하게는 2,6-디메틸-베타-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에틸-베타-시클로덱스트린 및 2-히드록시프로필-베타-시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담체에 대한 내용은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율 및 약물 형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약 0.1 내지 10,000 mg/kg의 범위, 약 1 내지 8,000 mg/kg의 범위, 약 5 내지 6,000 mg/kg의 범위, 또는 약 10 내지 4,000 mg/kg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0 mg/kg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특정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충분한 활성 성분의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이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고,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일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에서 노니 추출물, 노니 추출물의 제조방법, 또는 스코폴레틴은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노니 추출물은 추출물의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활성, 및 요산 생성 억제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단독 추출용매로 하는 추출 또는 초임계 추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코폴레틴은 노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식품은 바람직하게는 노니 추출물 및 베타시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풍 질환의 개선에 그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능'이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인 작용으로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노니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캔디,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젤리 또는 음료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은 통풍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의 양은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3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음료 100 mL를 기준으로 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 중량%의 비율로 가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첨가제로서 함유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 말토오스, 슈크로오스,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사카라이드류가 있으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향미제에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리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은 추가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첨가제는 유효성분인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의 혼합물 1 중량부 당 0.001 내지 9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노니 추출물 내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1) 노니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수득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니 추출물 내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노니는 잎, 뿌리, 줄기, 씨, 꽃, 열매 등 모든 부위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니 열매는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노니 열매를 세척한 후 다시 건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 조건 하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0 기압, 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기압,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기압의 압력 조건 하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은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 유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의 추출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시간일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은 바람직하게는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바람직하게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베트남산 건조된 노니 열매를 구입하여 깨끗이 수세한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5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노니 1 kg을 마쇄한 후, 초임계 추출기(Supercritical fluid extractor, 5L SCF SYSTEM, 포스엔텍, 한국)의 5L 추출조에 넣고, 액화 이산화탄소 공급펌프를 통하여 이산화탄소를 70 cc/min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온도 60℃ 및 압력 250 기압 조건의 초임계 상태로 만들었다. 상기 온도 및 압력은 예비 실험을 통해 얻은 최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조건을 이용하였다. 여기에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펌프(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 포스엔텍, 한국)를 이용하여 공용매(co-solvent)로 에탄올 수용액 85%(v/v)를 10 mL/min의 속도로 공급하면서 분리조를 통하여 2시간 동안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회전감압농축기(EYELA A-3S, 일본)로 농축하고 동결건조기(BK-80N50, 중국)로 동결 건조하여 건조 중량 143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노니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분쇄한 노니 열매 가루 25 g에 에탄올 단독, 또는 85%, 60%, 또는 30% 에탄올 수용액 250 mL를 넣고 80℃에서 2 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한 후, 여지(Whatman No. 4, 미국)로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기로 동결 건조하여 노니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각의 추출수율(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3. 노니 증류수 추출물의 제조
용매로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노니 증류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수율(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4. 노니 추출물로부터 스코폴레틴의 분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 50 g을 증류수 500 mL에 분산시킨 후 헥산(Hexane)과 아세트산에틸(Ethyl acetate) 각 500 mL로 3회씩 순차적으로 분배하여 아세트산에틸 분획을 취하고, 이를 농축하여 10.2 g의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농축된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에 대해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CombiFlash EZ Prep, TELEDYNE ISCO, 미국)를 실시하였다. 컬럼은 실리카겔 컬럼(40 gram, RedSep Rf Normal-phase Flash Column, TELEDYNE ISCO, 미국)을 사용하였고, 이동상 용매는 헥산:아세트산에틸(80:20→60:40 %(v/v))의 조건으로 5개로 분획하였으며, 이를 다시 헥산:아세트산에틸(60:40 %(v/v))의 혼합 용매로 용출하고 농축 건조하여 스코폴레틴 35 mg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1. 노니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폴레틴 함량 분석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에 함유된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Waters 2695, 미국)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검출기는 자외부흡광광도계(측정파장 345nm)를 사용하였고, 컬럼은 Agilent Eclipse XDB-C18(4.6 ⅹ250 mm, 입자 크기 5 μm)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메탄올:물(0.1% 포름산)의 혼합액(50:50 %(v/v))을 사용하여 0.7 mL/분의 유량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니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초임계 유체에서 추출한 경우 14.3%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에탄올 및 에탄올 수용액에서 추출한 경우 22~35.6%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노니의 생리활성 물질인 스코폴레틴의 노니 추출물의 단위 그램당 함량은 초임계 추출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에탄올 수용액 추출에서는 혼합된 증류수의 양과 관계없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증류수 추출에서는 수율과 관계없이 스코폴레틴이 검출되지 않았다.
추출 조건 추출량(g) 수율(%) 스코폴레틴의 양(mg/g)
초임계 143 14.3 7.62
30% 에탄올 8.9 35.6 1.26
60% 에탄올 8.7 34.8 1.25
85% 에탄올 8.4 33.6 1.26
에탄올 단독 5.5 22 4.43
증류수 8 32 -
실험예 2. 스코폴레틴의 핵자기공명(NMR) 분석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스코폴레틴을 1H, 13C-NMR(JNM-ECA 500, JEOL, 일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1H NMR ppm (500 MHz, CDCl3): δ 3.89 (3H, s, OCH3-6), 6.25 (1H, d, J=9.75, H-3), 6.77 (1H, s), 7.20 (1H, s), 7.84 (1H, d, J=9.75, H-4)
13C-NMR ppm (500 MHz, CDCl3): δ 56.7 (C-10, O-CH3), 103.7 (C-8), 109.9 (C-5), 112.1 (C-4), 113.3 (C-2), 144.7 (C-3), 151.9 (C-7), 151.2 (C-9), 151.9 (C-7), 160.8 (C-1)
실험예 3.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Stirpe 등의 방법(Stirpe F. et al., J. Biol. Chem., 244: 3855-3863, 1969)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노니 추출물 및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스코폴레틴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용해시킨 용액을 시료 용액(10 mg/mL)으로 하여, 시료 용액 0.1 mL에 0.2 unit/mL의 잔틴 산화효소 0.1 mL, 0.1 M의 인산 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액(pH 7.5) 0.6 mL, 및 2 mM의 잔틴(Sigma, X-2502)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5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 20%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 1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후, 원심분리 하여 단백질을 제거한 뒤 여과하였다. 생성된 요산(uric acid)을 분광 광도계(Genesys 20 Thermo Scientific, 미국)를 사용하여 29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료 용액 대신 증류수를 가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저해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저해율(%) = {1-(시료 용액의 요산 생성량/대조군의 요산 생성량)} × 100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단독 용매의 추출물, 스코폴레틴 및 초임계 추출물에서 유의한 잔틴 산화효소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실험예 4.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Bozin 등의 방법(Bozin, B., Mimica-Dukic, N., Samojlik, I., Goran, A., & Igic, R., Phenolics as antioxidants in garlic(Allium sativum L., Alliaceae), Food Chemistry, 111(4), 925-929, 2008)에 따르되, 샘플 수와 배양 조건(차광 조건, 25℃에서 2시간 반응)을 포함하는 약간의 수정을 가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노니 추출물 및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스코폴레틴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용해시킨 용액을 시료 용액(10 mg/mL)으로 하여, 시료 용액 50 μL에 1,1-디페닐 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 950 μL를 첨가하여 2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여기에 95%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용액의 부피를 4 mL로 하였다. 이 혼합물을 격렬하게 진탕하고 어두운 곳에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료 용액 대신 아스코르빈산(10 mg/mL)을 가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반응액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대조군의 흡광도-샘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단독 용매의 추출물, 스코폴레틴 및 초임계 추출물에서 유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나타났다.
실험예 5.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SOD 활성을 SOD Assay Kit-WST(Dojindo Molecular Technologies, Gaithersbur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노니 추출물 및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스코폴레틴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용해시킨 용액을 시료 용액(10 mg/mL)으로 하여, 시료 용액 20 μL를 키트 내의 반응 혼합물과 혼합하여 부드럽게 진탕하고,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료 용액 대신 아스코르빈산(10 mg/mL)을 가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반응액의 SOD 활성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SOD 활성(%) = {(대조군의 흡광도-샘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 100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단독 용매의 추출물, 스코폴레틴 및 초임계 추출물에서 유의한 SOD 활성이 나타났다.
실험예 6. 급성 고요산혈증(Hyperuricemia) 모델에서의 요산 억제
급성 고요산혈증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노니 추출물 및 스코폴레틴의 요산 억제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동물은 체중 200 g 내외의 웅성 SD(Sprague-Dawley)계 흰쥐를 이용하였고, 정상대조군, 고요산혈증 대조군, 양성 대조약물인 알로푸리놀 투여군,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스코폴레틴 투여군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노니 추출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6 마리씩 배정하였다. 실험 하루 전, 채혈을 위해 각 실험 동물의 경정맥에 실라스틱 튜브(Silastic tubing, Dow Corning Co., 미국)와 폴리에틸렌 튜브(PE-50, Medichem, 미국)를 이용하여 삽관을 실시하였다. 급성 고요산혈증을 유도를 위해 칼륨 옥소네이트(potassium oxonate, C4H2KN3O4, 분자량: 195.17)를 50%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50 mg/mL로 용해시켜 고요산혈증 대조군, 알로푸리놀 투여군, 스코폴레틴 투여군 및 노니 추출물 투여군에 각각 250 mg/kg으로 복강 투여 하였다. 1시간 후, 정상 대조군은 50%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경구 투여 하였고, 알로푸리놀 투여군은 알로푸리놀 10 mg/kg을, 스코폴레틴 투여군은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스코폴레틴 100 mg/kg을, 노니 추출물 투여군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 100 mg/kg을 각각 50%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에 용해시켜 경구 투여 하였다. 칼륨 옥소네이트를 투여하고 3시간 후, 각각의 군에서 삽관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원심분리기(Union 32R, 한일, 한국)로 3,000×g에서 5분 동안 원심 분리한 다음, 혈장을 분리하여 Uric Acid Assay Kit(ab65344, 영국) 및 Microplate reader(SmartReader 96, ACCURIS Instruments, 미국)를 사용하여 혈중 요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요산혈증 대조군 및 알로푸리놀 투여군과 비교하였을 때 스코폴레틴 투여군과 노니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한 요산 생성 억제능이 나타났다.
상기 결과들로부터, 노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은 통풍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노니 추출물과 베타시클로덱스트린 포접물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 · · · · 10 g
히드록시프로필베타시클로덱스트린 · · · · · · · · · ·20 g
30%(v/v) 에탄올 수용액 100 mL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 10 g 및 히드록시프로필 베타 시클로덱스트린 20 g을 가하여 녹인 후 균질기(homogenizer, ULTRA TURRAX®IKA®T18basic)를 이용하여 1분당 6,000 rpm으로 30분간 교반한 다음, 동결건조기(BK-80N50, 중국)로 동결 건조하였다.
제제예 2. 캡슐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 · · · ·100 mg
유당 · · · · · · · · · · · · · · · · · · · 80 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 · · · · · · · · · · · 4 mg
경질무수규산 · · · · · · · · · · · · · · · · · 4 mg
스테아린산폴리옥실40 · · · · · · · · · · · · · · 2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 · · · · · · · · · · · · · 1 mg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에 유당,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경질무수규산, 스테아린산폴리옥실40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스피드믹서에서 3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캡슐충진기에서 젤라틴 경질캡슐에 충진 하였다.
제제예 3.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100 mg
유당·····························160 mg
옥수수전분··························22 mg
탄산수소나트륨·························5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1 mg
정제수·····························적량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초임계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유당, 탄산수소나트륨 및 옥수수전분에 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옥수수전분을 정제수에 가하여 호화시킨 결합액을 가하여 30분 동안 혼합믹서에서 연합하였다. 이 연합물을 제립기를 통과시켜 제립 후, 건조기에 넣어 5시간 동안 건조 하고, 정립기에서 정립하였다. 정립물에 활택제인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가하고 혼합한 후, 정당 288 mg의 중량으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제제예 1에서 제조한 포접물··················300 mg
자일리톨····························30 g
체리향····························20 mg
정제수·····························적량
제제예 1에서 제조한 노니 추출물과 히드록시프로필 베타시클로데스트린의 포접물 300 mg을 정제수에 가하여 녹이고, 자일리톨과 체리향을 가하여 호모믹서로 20분간 교반한 후, 전량을 100 mL로 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츄어블정의 제조
스코폴레틴··························30 mg
자일리톨···························650 mg
말토덱스트린·························260 mg
구연산····························50 mg
요구르트향··························10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1 mg
스코폴레틴을 자일리톨, 말토덱스트린, 구연산 혼합물에 가하여 30분 동안 스피드믹서에서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제립기를 통과시켜 제립 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마그네슘과 요구르트향을 가하고 혼합한 후, 타정기로 정당 1 g의 중량으로 타정하였다.

Claims (16)

  1. 노니 추출물(Morinda citrifolia) 또는 스코폴레틴(scopol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에탄올 단독 용매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은 초임계 유체 추출 방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 방법은 30 내지 100℃ 온도 조건, 70 내지 500 기압의 압력 조건 하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 방법은 초임계 상태로 만든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 유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폴레틴은 노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은 약학적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롤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액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 또는 엑스제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된 포접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제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 화합물은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내부 공동에 노니 추출물의 건조 분말 또는 스코폴레틴이 봉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시클로덱스트린은 2,6-디메틸-베타-시클로덱스트린, 2-히드록시에틸-베타-시클로덱스트린 및 2-히드록시프로필-베타-시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5. 노니 추출물 또는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1) 노니를 초임계 유체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수득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노니 추출물 내 스코폴레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190009994A 2019-01-25 2019-01-25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9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94A KR20200092720A (ko) 2019-01-25 2019-01-25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19/017960 WO2020153608A1 (en) 2019-01-25 2019-12-18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gout comprising morinda citrifolia extract or scopoletin isol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94A KR20200092720A (ko) 2019-01-25 2019-01-25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720A true KR20200092720A (ko) 2020-08-04

Family

ID=7173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994A KR20200092720A (ko) 2019-01-25 2019-01-25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92720A (ko)
WO (1) WO20201536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1289A (zh) * 2022-05-27 2022-08-19 云南中宝龙天然香料有限公司 一种精油类陈皮提取物的超临界酶解复合提取方法
KR102447082B1 (ko) * 2021-12-10 2022-09-27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572B1 (ko) * 2004-06-21 2010-04-30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60141076A1 (en) * 2004-11-01 2006-06-29 Palu Afa K Morinda citrifolia 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xanthine oxidase
US20070202206A1 (en) * 2005-11-29 2007-08-30 Palu Afa K Morinda Citrifolia Leaf Juice And Leaf Extract Based Formulations
JP2007159509A (ja) * 2005-12-15 2007-06-28 Kanehide Bio Kk ヤエヤマアオキを含む機能性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dward A. Lock et al., Effect of the organic acid transport inhibitor probenecid on renal cortical uptake and proximal tubular toxicity of hexachloro-1,3-butadiene and its conjugates. Toxicol. Appl. Pharmacol., 81(1), 32-42, 1985.
Joyce Z. Singer et al., The allopurinol hypersensitivity syndrome. Unnecessary morbidity and mortality. Arthritis & Rheumatology, 29, 82-87, 1986.
Storch J. et al.,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1988.
Wallace SL et al., Renal function predicts colchicine toxicity: guidelines for the prophylactic use of colchicine in gout. J. Rheumatol., 18(2):264-269, 1991.
Yagi k.,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 Phys. Lipids., 45, 337-351, 198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82B1 (ko) * 2021-12-10 2022-09-27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14921289A (zh) * 2022-05-27 2022-08-19 云南中宝龙天然香料有限公司 一种精油类陈皮提取物的超临界酶解复合提取方法
CN114921289B (zh) * 2022-05-27 2023-08-22 云南中宝龙天然香料有限公司 一种精油类陈皮提取物的超临界酶解复合提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53608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5106B2 (ja) ジンセノサイドRg5量を増加させるべく処理された朝鮮人参の新規調製方法
KR100589050B1 (ko) 황기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이소플라보노이드계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4686173B2 (ja) ポリフェノールおよび/またはビタミンcを含有するアセロラ処理物
EP1700604A1 (en) Alga extract and sugar hydrol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00092720A (ko)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27109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200103518A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JP2015502954A (ja) アギタケ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脂質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KR100527105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2195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812421A (zh) 一种治疗痛风性关节炎的天然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043645B2 (ja) ヤーコン・桑葉配合食品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200117957A (ko)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577998B2 (ja) 尿酸値低下剤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20073797A (ko) 지실, 금은화 및 백지 혼합물로부터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87877B1 (ko) 감국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통풍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33677A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