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109B1 -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109B1
KR100527109B1 KR10-2005-0041902A KR20050041902A KR100527109B1 KR 100527109 B1 KR100527109 B1 KR 100527109B1 KR 20050041902 A KR20050041902 A KR 20050041902A KR 100527109 B1 KR100527109 B1 KR 10052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out
leek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1627A (ko
Inventor
문갑순
이민자
류승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동석
문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동석, 문갑순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to KR10-2005-004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1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을 유발하는 크산틴 옥시다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부추 추출물을 함유한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추를 약 1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해 조추출물을 수득한 후, 그 조추출물의 핵산,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의 크산틴옥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탁월한 효소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므로 부추추출물은 통풍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llium tuberosum ROTTER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out.}
본 발명은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 조추출물, 비극성용매추출물 또는 극성용매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 및 통풍으로 야기되는 동반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풍은 단백질의 일종인 퓨린체(體)의 대사이상(代謝異常) 질환으로서 퓨린체가 분해하여 요산(尿酸)이 대량 만들어지고 요산나트륨의 결정이 조직에 침착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고요산혈증,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통풍성 신결석증 등을 일으키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Yagi K., Chem. Phys. Lipids, 45, p337, 1987). 퓨린체의 대사과정 중 아데닌은 히포크산틴 (hypoxanthine)과 크산틴(xanthine)을 거쳐 요산을 만들고, 구아닌(guanine)은 직접 크산틴을 만들어 요산으로 분해되는데 이때 크산틴 옥시다제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크산틴 옥시다제가 크산틴을 요산으로 전환시킬 때 수퍼옥시드 라디칼을 대량 생성함으로서 주변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어 통풍뿐만 아니라,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당뇨병 등과 같은 동반질환을 수반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Storch J. et al., Anal Biochem., 169, p262, 1988).
수퍼옥시드 라디칼과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같은 활성 산소종은 인체에 다양한 스트레스를 일으켜 위에 나열된 질환 외에 노화뿐만 아니라 만성알콜중독, 암, 관상심장질환, 백내장, 다운 증후군, 간염, 허혈이나 재관류성 손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신부전증 등 각종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모든 호기성 유기체는 대사과정 중에서 필연적으로 해로운 활성 산소종을 수반하게 되므로, 이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기작을 모든 유기체가 가지고 있어야 생존이 가능하다. 활성 산소종은 크게 과산화수소와 같이 산소 라디칼종을 형성하게 하는 화합물과 산소 라디칼종의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는 카탈라제(catalase)나 페록시다제(peroxidase)에 의해 산소나 물로 전환되나, 산소 라디칼종 제거 기작의 경우, 수퍼옥사이드 음이온(O2-, superoxide anion)을 제거하는 기작 이외의 다른 산소 라디칼종 제거 기작은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차적인 통풍 치료제로서 알로퓨리놀(allopurinol)이 사용되고 있는데, 알로퓨리놀은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의 억제제로 작용함으로서 생체 내 요산 레벨을 낮추어 주는데, 즉 알로퓨리놀은 크산틴 옥시다제에 의해 알로크산틴(alloxanthin)이 되고 이 알로크산틴은 크산틴 옥시다제의 환원체와 강하게 결합함으로서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배설되는 히포크산틴(hypoxanthine)과 크산틴의 량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들의 용해도가 요산보다 높아서 환자의 고통을 줄여주며, 또한 알로퓨리놀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약제로서 사용되고 있다.(Massey V et al., J. Biol. Chem., 245, p2837-2844, 1970).
그런데 알로퓨리놀에 의해서도 활성산소가 생산되므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예민한 통풍의 동반질환들의 증세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통풍의 치료에는 요산치의 조절 못지 않게 이러한 동반 질환의 치료도 중요하다.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는 백합과(Lil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한국민의 선호 식품이면서 칼슘, 철분, 비타민 B2, 비타민 C, β-카로틴, 식이섬유 등이 풍부하여 영양가 높은 식품이다. 국내 각지에서 재배되며, 부추 잎은 구채, 부추의 종자는 구자, 부추의 경(莖) 및 인경(鱗莖)으로 불리우며, 알려진 성분으로는 디메틸디설피드(Dimethyl-disulfide), 디알릴설피드(diallyl-sulfide), 메틸알릴 디설피드(methylallyl disulfide) 및 리나룰(linalool)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예로부터 보혈, 청혈, 구충, 이뇨, 건위, 해독, 건뇌, 강심, 진통 등의 약리 작용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명 기양초(起陽草)라고 하여 강정(强精)효과도 인정되어 오고 있다.
현재 국내 부추 재배면적은 약 350ha 정도이고 주로 경북 포항 지방과 경남 김해를 위시하여 대도시의 위성도시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한번 파종 후 5-6회 연속수확이 가능한 다수확 작물이므로 경제적인 원료 확보가 가능하여 농가소득에 보탬이 되며 부작용이 없고 독성이 전혀 없는 소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부추에서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을 갖는 추출물 및 원인 물질을 분리하여 통풍치료제로서 유용한 약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한 후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부추로부터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 효능을 밝히고자 주력한 결과, 부추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풍치료제로서의 새로운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추출물로서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 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핵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메탄올 또는 물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조된 부추를 믹서기, 마쇄기, 막자사발 등을 이용해 마쇄하고 약 1 내지 1000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해 추출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얻고, 이를 핵산 : 메탄올 : 물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10:1:9의 비를 사용하여 핵산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수가용성 분획물은 다시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수가용성 분획물은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해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은 후 수가용성분획물은 다시 부탄올로 추출해 부탄올가용성 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추 조추출물은 부추를 수확 후 수세하여 동결건조한 다음 믹서기, 마쇄기, 막자사발 등을 이용해 마쇄하고 약 1 내지 1000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3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이용해 2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에서 1분 내지 10일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3일간 교반하면서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에 의한 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법, 바람직하게는 환류 냉각법에 의한 추출법으로 1회 내지 12회, 바람직하게는 3내지 4회 추출 후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은 감압농축,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감압 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BUCHI Laboratoriums Technik AG, Rotavapor RE-111, Germany)를 이용하여 감압농축 한 후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태양광, 음건 또는 동결건조법,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법으로 건조하여 조추출물을 수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의 부추 조추출을 물에 현탁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 순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부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추 조추출물 즉, 부추 메탄올추출물에 핵산:메탄올추출물:물을 10:1:9의 비율로 혼합하여 핵산 가용성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다시 상기 수가용성분획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상기 수가용성 분획물을 부탄올로 추출하여 부탄올 가용성분획물과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들로부터 수득된 부추 추출물 및 분획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제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의 효과를 갖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추의 통풍 치료 및 예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부추추출물들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 용매 추출물의 저해활성을 조사한 후, 저해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과 현재 산화억제제 및 통풍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알로퓨리놀과 그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유사한 저해율을 나타내어 부추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추 추출물은 기타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통풍 예방을 위한 부추 추출물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 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풍 효과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통풍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 즉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기능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 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부추 조추출물의 제조
김해시 대동면산 '그린벨트'종 부추를 초벌에서 6벌까지를 수확시기별로 구입해 시료로 하고 깨끗이 수세한 후 동결건조한 다음, 동결건조한 3벌 건조상태의 부추 100 g을 마쇄한 후 메탄올 1 ℓ를 넣고 80℃에서 일정시간 간격(12 h, 6h, 3h)으로 3회 반복하여 환류냉각추출한 후 여지(와트만사, 미국)로 여과한 다음 여과 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BUCHI Laboratoriums Technik AG, Rotavapor RE-111, Germany)로 감압 농축하여 부추 메탄올 추출물 23.8 g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부추 헥산 가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부추 조추출물 즉, 부추 메탄올 추출물 23.8 g에 핵산과 물을 일정비율(핵산: 메탄올추출물 : 물 = 10: 9 : 1)로 혼합하여 이들의 혼합물을 10~12차례 분획하여 핵산층(상층부)를 모아서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수가용성 분획물 50 g 및 핵산가용성 분획물 6.2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부추 디클로로메탄 가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50 g에 디클로로메탄을 가하여 혼합한 후 10~12차례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층(하층부)를 모아서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져 수가용성 분획물 70 g 및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2.1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부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 70 g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혼합한 후 10~12차례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상층부)를 모아서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수가용성 분획물 90 g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0.95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부추 부탄올 가용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층 90 g에 부탄올을 가하여 혼합한 후 10~12차례 분획하여 부탄올층(상층부)를 모아서 여과, 농축 및 건조과정을 거쳐 수가용성 분획물 3.25 g및 부탄올가용성 분획물 7.4 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부추추출물의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의 측정
부추 추출물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은 스트립 등의 방법(Stripe F. et al., J. Biol. Chem., 244, p3855-3863, 1969)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각각의 부추추출물을 시료 용액으로 하여서, 시료용액 1 ㎖에 0.055단위 크산틴 옥시다제(Sigma, X-2252) 0.5 ㎖,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5) 1 ㎖ 및 2 mM 크산틴(Sigma, X-2502) 0.5 ㎖을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20% TCA를 1 ㎖ 첨가하여 여과한 후 29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산화억제제 및 통풍치료제로 사용되는 알로퓨리놀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부추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도 1과 같다. 부추 용매 추출물의 경우 활성이 상당히 높아서 에틸아세테이트 층(84.85%)〉부탄올 층(81.25%) 〉핵산 층( 77.08%)〉디클로로메탄 층(73.33%)〉물 층(65.71%)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 2의 결과를 보면 부추생즙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은 매우 낮았으나(31.5%), 부추 에틸 아세테이트층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은 85.71%로 매우 높았고, 알로퓨리놀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유사한 수준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추를 이용한 알로퓨리놀 대체약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하기에 상기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주사제제의 제조
실시예 4 건조 추출물 100mg
소디움 메타비설파이트 3.0mg
메틸파라벤 0.8mg
56프로필파라벤 0.1mg
주사용 멸균증류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2 ㎖로 한 후, 2 ㎖ 용량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4 건조 추출물 200mg
유당 100mg
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4 건조 추출물 1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 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4 건조 추출물 10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으로 맞추었다.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 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건강음료 제조
실시예 4 건조분말 0.1 ~ 80 %
설탕 5 ~ 10 %
구연산 0.05 ~ 0.3 %
캬라멜 0.005 ~ 0.02 %
비타민C 0.1 ~ 1%
여기에 정제수 79 ~ 94%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 : 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서 제조되는 부추 건조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액상과당 (0.5%), 올리고당 (2%), 설탕 (2%), 식염 (0.5%), 물 (75%)와 같은 부재료와 실시예 4 건조분말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부추추출물은 통풍의 예방 및 치료와 통풍으로 야기되는 동반질환의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부추 추출물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도이며,
도 2 는 부추생즙을 대조군으로 부추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과 알로퓨리놀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Claims (4)

  1. 부추(Allium tuberosum ROTTER) 조추출물,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핵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극성 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아세톤, 부탄올, 에탄올, 메탄올 또는 물로부터 선택된 극성 용매로 추출된 것인 조성물.
KR10-2005-0041902A 2005-05-19 2005-05-19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2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902A KR100527109B1 (ko) 2005-05-19 2005-05-19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902A KR100527109B1 (ko) 2005-05-19 2005-05-19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500A Division KR100527105B1 (ko) 2003-03-07 2003-03-07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27A KR20050051627A (ko) 2005-06-01
KR100527109B1 true KR100527109B1 (ko) 2005-11-09

Family

ID=3866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902A KR100527109B1 (ko) 2005-05-19 2005-05-19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24A (ko) 2015-05-04 2016-11-1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20068485A (ko) 2020-11-19 2022-05-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로가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956B1 (ko) * 2011-03-03 2013-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추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의 항바이러스제로서의 용도
KR101370961B1 (ko) * 2012-03-19 2014-03-07 박영자 두메부추 부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624A (ko) 2015-05-04 2016-11-14 재단법인 경기과학기술진흥원 곰보배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고요산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20068485A (ko) 2020-11-19 2022-05-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로가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627A (ko)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89050B1 (ko) 황기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이소플라보노이드계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527109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27105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7010144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200092720A (ko) 노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스코폴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60210659A1 (en) Anti-obesity agent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050100890A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134781B1 (ko)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10204A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216211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39623B1 (ko) 간세포 보호용 엉겅퀴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