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571A - 스팀주입형 반죽기 - Google Patents

스팀주입형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571A
KR20200092571A KR1020190009643A KR20190009643A KR20200092571A KR 20200092571 A KR20200092571 A KR 20200092571A KR 1020190009643 A KR1020190009643 A KR 1020190009643A KR 20190009643 A KR20190009643 A KR 20190009643A KR 20200092571 A KR20200092571 A KR 2020009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impeller
wing
steam
kn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810B1 (ko
Inventor
용 석 장
Original Assignee
용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 석 장 filed Critical 용 석 장
Priority to KR1020190009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01F7/0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에 스팀을 분사하여 점성이 높은 반죽에 따른 반죽물의 치대기의 용이 및 임펠러의 교반회전에 따른 반죽물의 적체구간을 최대한 없애어서 동력원의 부하발생의 최소화로 수명보장과 반죽된 상태의 반죽물의 배출작업이 편리한 스팀주입형 반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반죽통 내에서 밀가루 반죽 진행이 독특한 임펠러의 구조에 의해 반죽물이 자연적으로 좌,우이동을 하면서 혼합이 진행되고 임펠러의 회전시에 양측의 날개판의 각변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극변화로 반죽물이 자연적으로 중심으로 모여지면 양측의 날개판를 연결하는 교반봉의 혼합 및 반죽과 동시에 임펠러의 회전방향의 하측의 쳐올리는 시점부에 스팀주입구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면서 임펠러의 축 중심선을 넘기면서 반죽통의 대향측 벽면에 치대기를 극대화할 수 있어 점성이 높은 반죽물을 성형할 수 있는 스팀주입형 반죽기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스팀주입형 반죽기{Steam injecting type kneading machine}
본 발명은 빵과 쿠키 등의 제빵제과, 국수 등의 제면, 어묵이나 곤약 또는 수제비 등의 음식물과 같이 점도가 높이 필요한 재료를 위한 스팀을 이용하는 곡물의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곡물에 스팀을 분사하여 찰진 반죽물의 성형에 따른 반죽물의 치대기의 용이 및 임펠러의 교반회전에 따른 반죽물의 적체구간을 최대한 없애어서 동력원의 부하발생의 최소화로 수명보장과 반죽된 상태의 반죽물의 배출작업이 편리한 스팀주입형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제빵, 제과 또는 제면 등의 목적을 위해서 밀, 옥수수, 쌀, 보리 등의 곡물과 같은 밀가루를 반죽은 필수적이고, 이러한 반죽에 있어, 가정에서는 반죽량이 소량임으로 함지박과 같은 용기에 담고 물을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이 통상적이나,반죽량이 많이 소요되는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는 수작업에 의한 반죽이 어려워 동력을 사용하는 기계장치 개념의 반죽기를 이용해서 반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미 알려진 반죽기는 재료가 되는 밀가루(곡물가루) 및 물을 소정의 비율로 반죽통 내에 넣고, 전기적인 모터의 구동 또는 작업자의 조작핸들을 돌리는 것에 의해 반죽통 내의 감속 기구를 통하여 샤프트가 회전하고, 반죽날개가 반죽통 내에서 소맥분과 물을 교반 및 혼련하여 글루텐화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는 식당과 같은 많은 양의 밀가루 반죽을 스팀을 이용하여 보다 찰진 반죽에 사용되는 동력구동의 반죽기에 속한다.
이러한 반죽기는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은 밀가루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대향측벽에 각각 설치된 반죽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반죽날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된 반죽부로 구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부분만을 점유하도록 구성되고, 반죽부는 반죽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으로 구성되어 반죽과정에서 밀가루반죽이 반죽날개에 엉켜붙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반죽통 내부에 장치되는 교반기를 간편하게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게 연결관의 나사공에 나사조립된 고정나사를 이간시켜 연결관을 교반축 쪽으로 이동시키면 회전축과 교반축이 분리되어 교반축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반죽통의 양내측에 구비되는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동일축선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면서 상기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에 대한 양단 지지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1 젓개부와 제2 젓개부가 서로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반죽밀가루가 달라붙지 않도록 반죽날개를 유선형으로 분리하고 있으나, 양측의 반죽날개 사이에 반죽밀가루가 적체되어 밀가루의 반죽과정에서 부하가 발생하여 동력부에 많은 부하가 작용하여 사용수명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밀가루의 반죽이 적체됨으로서 효율적인 반죽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교반날개를 부착한 교반축의 분리/결합을 용이하게 제공하고 있으나, 교반날개가 단순히 교반축에서 일정간격을 갖고 방사상으로 설치 구성하고 있으나, 교반축의 중심축선에서 교반날개가 직각방향으로 뻗어져 있어 교반날개의 회전방향에 대응한 반죽밀가루와 부하가 크게 작용하고 치대기 효과가 떨어져서 신속한 밀가루 반죽이 제공되지 못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3은 반죽통의 양내측에 구비되는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동일축선 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 및 구동됨으로서 중앙부분의 반죽밀가루의 정체되어 치대기의 반죽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 축 기능의 지지봉의 양측에 제1 젓개부 및 제2 젓개부가 축 중심선에 동일방향에 직교상태로 구성됨으로서 부하감소 효율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3은 교반날개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돌출됨으로서 구동에 따른 교반날개 전체가 동시에 부딪힘으로 부하가 커서 반죽 작업에 동력소비가 크고, 치대기에 따른 반죽밀가루의 적체가 중앙에 머물러서 밀가루의 균일한 교반작업이 제공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특허문헌 1 내지 3은 스팀을 이용하는 기능이 없어 찰진 반죽물을 얻을 수 없다.
물론, 특허문헌 4와 같이 상부에 구비된 스팀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스팀을 분사하면서 한쌍의 교반스크류에 의한 교반으로 반죽을 제공하고 있으나, 점도가 높은 찰진 글루텐화의 반죽물을 얻기가 어렵고, 이 역시 교반축에 직교하여 뻗은 교반날개에 부하가 많이 작용하여 반죽과정에서 찰져지는 반죽물의 효과적으로 치대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 제20-0195520호(2000.06.29. 등록)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 제20-0438306호(2008.01.29. 등록) 특허문헌 3: 한국 등록특허 제10-1269844호(2013.05.26. 등록) 특허문헌 4: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10423호(2009.01.30. 공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죽통 내에서 밀가루 반죽 진행이 독특한 임펠러의 구조에 의해 반죽물이 자연적으로 좌,우이동을 하면서 혼합이 진행되고 임펠러의 회전시에 양측의 날개판의 각변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간극변화로 반죽물이 자연적으로 중심으로 모여지면 양측의 날개판를 연결하는 교반봉의 혼합 및 반죽과 동시에 임펠러의 회전방향의 하측의 쳐올리는 시점부에 스팀주입구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면서 임펠러의 축 중심선을 넘기면서 반죽통의 대향측 벽면에 치대기를 극대화할 수 있어 점성이 높은 반죽물을 성형할 수 있는 스팀주입형 반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반죽물의 치대기에 따른 스팀의 원활한 공급이 최대한 반죽물의 적체를 최대한 없도록 하여 반죽효유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팀주입형 반죽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가루의 반죽과 동시에 치대기에 따른 임펠러의 양측 날개판이 자르기식의 교번적으로 작용과 동시에 양측 날개판을 상호 대각선방향으로 연결한 교반봉에 의해 회전동력이 전달하면서 각도를 갖고 지그재그식의 교반으로 반죽물 혼합을 최대한 제공하고 동시에 스팀으로 점도가 높아진 반죽물의 쳐올림에 따른 찰진 반죽물의 수직상승을 없애고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여 반죽통의 마찰작용구간에서 치대기를 원할하게 제공하여 반죽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마찰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원의 동력부하를 최소화로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스팀주입형 반죽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된 반죽기는,
밀가루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단면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 스팀주입구와 반죽물을 안내하는 방향유도경사면을 갖는 방향유도판이 구비된 반죽통;
반죽통의 반원형상 중심선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가능케 조립되되, 축판을 중심으로 일정 각을 벌린 상태로 뻗은 제1, 제2 날개로 형성되어 좌, 우측에서 날개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좌, 우측날개판의 제1, 제2 날개 간을 대각선상으로 각각 연결하여 좌, 우측날개판을 동기회전하는 한 쌍의 제1, 제2 교반봉으로 구성된 임펠러; 및,
반죽통의 양측에서 반원형상의 축선에 결합하여 임펠러의 양측 좌, 우측날개판의 축판과 각각 축 결합하면서 외부에 구동풀리를 구비한 제1 축받이와 제2 축받이로 구성된 회전지지축부; 를 포함하고,
임펠러는 좌, 우측날개판의 제1,제2날개가 반죽물을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대향측의 제1,제2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는 회전이 제1, 제2교반봉에 의해 동기회전되고 동시에 반죽통의 스팀주입구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이 반죽물에 분사되는 상태로 제1, 제2교반봉이 제1, 제2날개판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휘젓으면서 혼합한 상태로 쳐올리면서 방향유도판의 방향유도경사면에 의해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전환하여 치대기 반죽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임펠러는 좌측날개판의 제1날개, 우측날개판의 제1날개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회전하면서 치대기함과 동시에 우측날개판의 제2날개, 좌측 날개판의 제2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면서 회전하고, 연이서 우측날개판의 제2날개, 좌측날개판의 제2날개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회전하면서 치대기함과 동시에 좌측날개판의 제1날개, 우측날개판의 제1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면서 회전하는 반복동작과, 좌,우측날개판의 제1, 제2날개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의 제1, 제2교반봉이 지그재그상으로 휘저으면서 회전으로 반죽물을 좌, 우측날개판의 중앙으로 모으면서 스팀분사의 혼합 및 반죽하고 치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죽통의 스팀주입구의 전방에는 스팀공간확보턱을 구비하여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쳐올려지는 반죽물과의 공간을 형성하여 스팀주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팀주입구의 후방에는 이탈유도턱을 구성하여 임펠러의 회전으로 쳐올려지는 스팀으로 찰진 반죽물을 떨구어서 치대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임펠러의 좌, 우측날개판에 형성되는 제1, 제2날개는 축판의 축공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간이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제2 교반봉이 각각의 제1 날개와 제1 날개, 제2 날개와 제2 날개 간이 연결되어 제1, 제2 교반봉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좌, 우측날개판의 축선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조립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회전지지축부의 제1 축받이 및 제2 축받이는 반죽통의 내부에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임펠러의 좌,우측날개판의 축판과 각각 축조립되고, 제1 축받이는 반죽통의 외측에 조립된 구동풀리 및 감속기어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좌측날개판을 회전함과 동시에 제2 축받이는 제1, 제2교반봉에 의해 우측날개판이 동기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빵제과, 국수 등의 제면, 어묵이나 곤약 또는 수제비 등의 음식물과 같이 점도가 필요한 재료를 위한 곡물의 반죽에 있어, 임펠러가 반죽물을 중앙으로 모으면서 쳐올리는 과정에 스팀을 분사하면서 치대기를 제공하여 짧은 시간에 점성이 많은 반죽물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구조에도 반죽물의 스팀 혼합에 따른 마찰 부하를 최소화하여 구동원의 동력부하를 최소화로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서 스팀분사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임펠러의 쳐올림동작에서 수직상승이 없이 치대기 방향으로 안내하여 반죽능력을 최대한 보장함과 동시에 회전에 따른 모터의 부하를 최대한 줄임으로서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반죽통에서 회전지지축부로 조립된 임펠러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G"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H"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임펠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임펠러의 1사이클(360도) 회전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방향 단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부재인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제1, 제2 교반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반죽물 배출을 위한 반죽통의 회전상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지지축부에 결합한 임펠러와 반죽통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종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죽기는 반죽통(100)과, 이 반죽통의 내부에 구성되는 임펠러(200) 및 이 임펠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축부(3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반죽통(100) 내에서 밀가루 반죽 진행이 독특한 임펠러(200)의 구조, 즉 반죽물이 자연적으로 중앙으로 좌,우이동을 하면서 스팀주입구(180)을 통한 스팀을 분사하면서 임펠러(200)에 의해 혼합 및 반죽이 진행된다.
반죽통(100)은 밀가루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부가 단면상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반죽통(100)은 입구(110)을 닫을 수 있는 상부뚜껑(120)을 구비하여 반죽에 따른 외부 이물질 및 반죽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반죽통(100)의 반원형 바닥면 일측에 스팀주입구(180)와 반죽물을 안내하는 방향유도경사면(171)을 갖는 방향유도판(170)이 구비된다.
스팀주입구(180)는 스팀주임연결관(181)로 연장되어 스팀발생수단(미도시함)의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할 수 있고, 전방에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팀공간확보턱(182)을 구비하여 임펠러(200)의 회전방향으로 쳐올려지는 반죽물과의 공간을 형성하여 스팀주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팀주입구(180)의 후방에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탈유도턱(183)을 구성하여 임펠러(200)의 회전으로 쳐올려지는 스팀혼합의 찰진 반죽물을 떨구어서 반대측의 치대기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반죽통(100)의 쳐올림이 구간에 설치된 방향유도판(170)은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찰진 반죽물의 수직상승을 방향유도경사면(171)에 의해 차단하면서 반죽통(100)의 치대기 방향측으로 안내하여 반죽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펠러(200)는 반죽통(100)의 반원형상의 중심선을 축선(X)으로 하여 회전가능케 조립되되, 축판(230)을 중심으로 일정 각을 벌린 상태로 뻗은 제1, 제2 날개(240,250)로 형성되어 좌, 우측에서 날개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좌, 우측날개판(210,220), 제1, 제2 날개(240,250) 간을 대각선상으로 각각 연결하여 좌, 우측날개판(210,220)을 동기회전하는 한 쌍의 제1, 제2 교반봉(260,270)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각 축판(230)에 형성되는 제1, 제2 날개(240,250)는 축판(230)의 축공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간이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제2 교반봉(260,270)이 각각의 제1 날개(240)와 제1 날개(240), 제2 날개(250)와 제2 날개(250) 간이 연결되어 제1, 제2 교반봉(260,270)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축선(X)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조립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임펠러(200)는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제1,제2 날개(240,250)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대향측에 벌려진 상태로 있는 제1, 제2 날개(240,250)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쳐올리는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은 임펠러(200)의 연속회전으로 반복되는 것으로서, 반죽통(100)의 반원형의 마찰구간(A)에서 내벽과 임펠러(200)의 제1, 제2 교반봉(260.270)과의 마찰로 치대면서 회전방향의 상향으로 치어 올리고 이를 다시 끌고 회전하면서 반죽물을 글루텐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팀주입구(180)을 통한 스팀의 분사로 반죽물이 제1, 제2 교반봉(260,270)의 마찰 반죽으로 찰진 반죽물이 성형된다.
이러한 반죽물의 성형은 각각의 좌, 우측날개판(210,220)은 제1, 제2 교반봉(260,270)에 의해 동기회전되고 동시에 제1, 제2 교반봉(260,270)이 제1, 제2 날개판(210,220)의 축선(X)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휘젓으면서 반죽물을 중앙으로 모으면서 스팀주입구(180)을 통한 스팀을 분사하면서 혼합 및 반죽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물론, 임펠러(200)의 회전은 반죽통(100)의 양측에서 반원형상의 축선(X)에 결합하여 임펠러(200)의 양측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축판(230)과 각각 축 결합하면서 외부에 구동풀리(330)를 구비한 제1 축받이(310)와 제2 축받이(320)로 구성된 회전지지축부(300)에 의해 제공된다.
즉, 구동원인 모터(미도시함)을 통해 구동풀리(330)에 벨트 연동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구동풀리(330)의 회전으로 좌측날개판(310)이 회전함과 동시에 제1, 제2교반봉(260,270)으로 대향측에서 제1, 제2 날개(240,250)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배치하고 연결된 우측날개판(220)을 동기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임펠러(200)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날개판(210)의 제1 날개(240), 우측날개판(220)의 제1 날개(240)가 반죽물을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의 시작점에 간격을 두고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우측날개판(220)의 제2 날개(250), 좌측 날개판(210)의 제2 날개(250)가 반죽물을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의 끝점으로 쳐올리면서 회전하고, 연이서 우측날개판(220)의 제2 날개(250), 좌측날개판(210)의 제2 날개(250)가 반죽물을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의 시작점에 간격을 두고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좌측날개판(210)의 제1 날개(240), 우측날개판(220)의 제1 날개(240)가 반죽물을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의 끝점으로 쳐올리면서 회전하는 반복동작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에 연계되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측날개판(210,220)의 제1, 제2 날개(210,220)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의 제1, 제2 교반봉(260,270)이 축선(X)을 중심으로 지그재그상으로 휘저으면서 회전으로 반죽물을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중앙으로 모으면서 혼합 및 반죽하고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에서 치대기를 하여 글루텐화한다.
한편, 반죽통(100)의 쳐올림 구간에 설치되는 방향유도판(170)의 방향유도경사면(171)에 의해 스팀분사로 반죽된 찰진 반죽물의 수직상승이 억제되어 치대기 방향의 이송이 적체가 없이 임펠러(200)의 좌,우측날개판(210,220)이 회전으로 끌고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의 시작점으로 안내를 하고,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를 임펠러(200)의 제1, 제2 교반봉(260)이 경유하면서 반죽통(100)의 벽에서 반죽물이 끌고 가면서 치대기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반죽물의 치대기을 위한 반죽물은 스팀분사로 반죽되어 찰진상태의 반죽물임으로 임펠러(200)의 회전으로 쳐올림시에 수직방향으로 올려짐으로 인한 치대기방향의 적체현상을 상기 방향유도판(170)의 방향유도경사면(171)이나 이탈유도턱(183)의 도움으로 원활한 치대기 방향의 안내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반죽물의 치대기 작용에 따른 반죽물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반죽통(100)의 상부 내벽면에 달라붙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무독성수지, 예로서 우레탄수지로 코팅처리해서 반죽물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지지축부(300)의 제1 축받이(310) 및 제2 축받이(320)는 반죽통(100)의 내부에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임펠러(200)의 좌,우측날개판(210,220)의 축판(230)과 각각 축조립되고, 제1 축받이(310)는 반죽통(100)의 외측에 조립된 구동풀리(33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 축받이(310)은 감속기어부(340)을 일체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지지축부(300)의 회전부재의 회전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베어링과 이를 보호하는 베어링하우징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해도 본 발명의 설명에는 문제가 되지 않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반죽 작업의 완료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죽통(100)의 상부뚜껑(120)을 분리하고 입구(110)을 통해 반죽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하고 임펠러(200)을 감속회전하게 되면 반죽물을 입구(110)을 통해 쉽게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반죽통(100) 내에서 임펠러(200)가 좌, 우측날개판(210,220)의 제1, 제2 날개(230,240)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회전함과 동시에 좌, 우측날개판(210,220)에 대각선방향으로 연결된 제1, 제2 교반봉(260,270)이 축선(X)을 중심으로 지그재그의 회전으로 반죽물을 좌,우측날개판(210,220)의 사이의 중심으로 이동시키고 스팀주입구(180)의 스팀분사로 교반이 진행되어 반죽통(100)의 마찰작용구간(A)에서 치대기 작용으로 신속한 반죽 및 반주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반죽통 110: 입구
120: 상부뚜껑 170: 방향유도판
171: 방향유도경사면 180: 스팀주입구
181: 스팀주입연결과 182: 스팀공간확보턱
183: 이탈유도턱 200: 임펠러
210: 좌측날개판 220: 우측날개판
230: 축판 240: 제1 날개
250: 제2 날개 260: 제1 교반봉
270: 제2 교반봉 300: 회전지지축부
310: 제1 축받이 320: 제2 축받이
330: 구동풀리 340: 감속기어부
A: 마찰작용구간 X: 축선(축중심선)

Claims (6)

  1. 밀가루 반죽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입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단면상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 일측에 스팀주입구와 반죽물을 안내하는 방향유도경사면을 갖는 방향유도판이 구비된 반죽통;
    상기 반죽통의 반원형상 중심선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가능케 조립되되, 축판을 중심으로 일정 각을 벌린 상태로 뻗은 제1, 제2 날개로 형성되어 좌, 우측에서 날개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좌, 우측날개판의 제1, 제2 날개 간을 대각선상으로 각각 연결하여 상기 좌, 우측날개판을 동기회전하는 한 쌍의 제1, 제2 교반봉으로 구성된 임펠러; 및,
    상기 반죽통의 양측에서 반원형상의 축선에 결합하여 상기 임펠러의 양측 좌, 우측날개판의 축판과 각각 축 결합하면서 외부에 구동풀리를 구비한 제1 축받이와 제2 축받이로 구성된 회전지지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좌, 우측날개판의 제1,제2날개가 반죽물을 끌고 회전함과 동시에 대향측의 제1,제2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는 회전이 제1, 제2교반봉에 의해 동기회전되고 동시에 상기 반죽통의 스팀주입구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이 반죽물에 분사되는 상태로 상기 제1, 제2교반봉이 제1, 제2날개판의 축선을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휘젓으면서 혼합한 상태로 쳐올리면서 방향유도판의 방향유도경사면에 의해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전환하여 치대기 반죽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좌측날개판의 제1날개, 우측날개판의 제1날개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회전하면서 치대기함과 동시에 우측날개판의 제2날개, 좌측 날개판의 제2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면서 회전하고, 연이서 우측날개판의 제2날개, 좌측날개판의 제2날개가 반죽물을 자르듯이 회전하면서 치대기함과 동시에 좌측날개판의 제1날개, 우측날개판의 제1날개가 반죽물을 쳐올리면서 회전하는 반복동작과, 좌,우측날개판의 제1, 제2날개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향의 제1, 제2교반봉이 지그재그상으로 휘저으면서 회전으로 반죽물을 좌, 우측날개판의 중앙으로 모으면서 스팀분사의 혼합 및 반죽하고 치대기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좌, 우측날개판에 형성되는 제1, 제2 날개는 축판의 축공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호 간이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2 교반봉이 각각의 제1 날개와 제1 날개, 제2 날개와 제2 날개 간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 교반봉이 상호 평행한 상태로 상기 좌, 우측날개판의 축선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통의 스팀주입구의 전방에는 스팀공간확보턱을 구비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으로 쳐올려지는 반죽물과의 공간을 형성하여 스팀주입이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주입구의 후방에는 이탈유도턱을 구성하여 상기 임펠러의 회전으로 쳐올려지는 스팀으로 찰진 반죽물을 떨구어서 치대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축부의 제1 축받이 및 제2 축받이는 상기 반죽통의 내부에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좌,우측날개판의 축판과 각각 축조립되고, 상기 제1 축받이는 상기 반죽통의 외측에 조립된 구동풀리 및 감속기어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좌측날개판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축받이는 상기 제1, 제2교반봉에 의해 상기 우측날개판이 동기회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주입형 반죽기.
KR1020190009643A 2019-01-25 2019-01-25 스팀주입형 반죽기 KR10220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43A KR102206810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주입형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643A KR102206810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주입형 반죽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571A true KR20200092571A (ko) 2020-08-04
KR102206810B1 KR102206810B1 (ko) 2021-01-22

Family

ID=7204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43A KR102206810B1 (ko) 2019-01-25 2019-01-25 스팀주입형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1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870A (ja) * 1996-11-14 1998-05-26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麺用ミキサの駆動方法
KR200195520Y1 (ko) 2000-04-14 2000-09-01 심영자 밀가루 반죽기
KR200438306Y1 (ko) 2006-11-07 2008-02-11 종 기 박 밀가루 반죽기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20006445U (ko) *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101269844B1 (ko) 2010-10-26 2013-05-31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50035925A (ko) * 2015-03-09 2015-04-07 용 석 장 반죽기의 임펠러를 이용한 반죽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870A (ja) * 1996-11-14 1998-05-26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麺用ミキサの駆動方法
KR200195520Y1 (ko) 2000-04-14 2000-09-01 심영자 밀가루 반죽기
KR200438306Y1 (ko) 2006-11-07 2008-02-11 종 기 박 밀가루 반죽기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101269844B1 (ko) 2010-10-26 2013-05-31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120006445U (ko) *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20150035925A (ko) * 2015-03-09 2015-04-07 용 석 장 반죽기의 임펠러를 이용한 반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810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3888A4 (en) Raw material mixing apparatus for health care products
CN207100343U (zh) 一种使用方便的面条机
KR102289010B1 (ko) 반죽기
EP2762004A2 (en) A food kneading appliance
KR101836790B1 (ko) 재료를 반죽 덩어리로 반죽하기 위한 반죽 장치 및 반죽 공구
CN109744278A (zh) 一种方便揉面的食品加工用和面设备
CN212212503U (zh) 一种立式面食机
KR20200092572A (ko) 반죽시트 성형장치
CN109954424A (zh) 一种化工用搅拌器
CN114307812A (zh) 一种用于食品添加剂生产工艺的智能混料系统
EP3089591B1 (en) Rotor for alimentary dough kneader machines and dough kneading machine
KR20200092571A (ko) 스팀주입형 반죽기
CN202190679U (zh) 双桨搅拌式和面机
CN207707160U (zh) 一种便于清洁的面粉搅拌机
CN207356973U (zh) 多功能鲜花饼拌料机
CN213187849U (zh) 一种和面组件及立式面食机
CN211270273U (zh) 一种出面率高的面食机
CN213078109U (zh) 一种食品搅拌机
CN212697424U (zh) 包馅机的定量送料机构
CN207871989U (zh) 涂料搅拌装置
CN214802010U (zh) 用于面食机的挤面螺杆及面食机
CN206101442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20918868U (zh) 一种月饼烘焙用馅料搅拌装置
CN108201931A (zh) 一种农副产品精深加工装置
CN220799781U (zh) 一种挂面生产用混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