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520Y1 - 밀가루 반죽기 - Google Patents

밀가루 반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520Y1
KR200195520Y1 KR2020000010565U KR20000010565U KR200195520Y1 KR 200195520 Y1 KR200195520 Y1 KR 200195520Y1 KR 2020000010565 U KR2020000010565 U KR 2020000010565U KR 20000010565 U KR20000010565 U KR 20000010565U KR 200195520 Y1 KR200195520 Y1 KR 200195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flour
blade
blade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자
Original Assignee
심영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자 filed Critical 심영자
Priority to KR2020000010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6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horizontally-mounted mixing or kneading tools; Worm or screw mixer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 A21C1/141Tools having mixing or cutting elements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ir a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가루 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밀가루반죽기는, 밀가루가 투입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대향측벽에 각각 설치된 반죽날개(12)를 구비하고; 상기 반죽날개(12)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그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부(12a)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된 반죽부(12b)로 구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부분만을 점유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반죽부(12b)는 반죽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성형된다. 이러한 밀가루반죽기에 의하면, 반죽날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부분만을 점유하고 있고, 반죽부가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서, 보다 찰진상태의 반죽을 제공함은 물론, 밀가루가 반죽날개에 엉켜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밀가루 반죽기{Wheat flouring device}
본 고안은 밀가루 반죽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가루의 반죽시 반죽날개에 밀가루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밀가루를 반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가루반죽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밀가루 반죽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밀가루반죽기는 밀가루를 넣어서 반죽을 수행하기 위한 용기(1)와, 상기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어, 용기 내부에 반죽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동력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 등이 부착되는 기계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의 내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은 한쌍의 반죽날개(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반죽날개(2)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밀가루를 반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죽날개(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는 통상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계부(5)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한쌍의 구동모터에서의 동력은, 상기 회전축(4)에 의하여 전달되어, 상기 한쌍의 반죽날개(2)를 각각 구동시키게 된다.
종래의 반죽날개(2)의 형상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날개는, 용기(1)의 내부에서 각각 대향하는 벽면에 부착되어,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다. 종래의 반죽날개(2)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축(4)을 중심으로, 양측면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반죽날개(2)는, 비록 완전한 대칭인 형상은 아니지만,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는 제1날개부(2a)와 제2날개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반죽날개는, 비록 완전한 대칭인 형상은 아닐지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날개부(2a,2b)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회전축(4)을 중심으로 양측을 점유하는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도록 반죽날개를 형성하는 것은, 밀가루의 반죽을 보다 철저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반죽날개의 형상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상기 반죽날개가, 회전축(4)을 중심으로 양측공간을 전부 점유하는 대칭적으로 성형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밀가루를 반죽하는 경우에는, 밀가루가 상기 양측의 날개부(2a,2b)에 엉켜붙게 된다. 즉 반죽인인 밀가루는, 덩어리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덩어리형상에 대하여 양측에서 한쌍의 날개부(2a,2b)가 휘젓게 되면, 실제로 밀가루가 상기 날개부에 엉켜붙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 밀가루 반죽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특히 밀가루의 반죽이 완성된 경우, 반죽덩어리가 상기 날개부(2a,2b)에 엉켜붙어 있기 때문에, 완성된 반죽덩어리를 용기(1)에서 빼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밀가루의 반죽을 진행할 수 있는 밀가루반죽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제로 밀가루를 보다 효율적으로 반죽한다는 것은, 밀가루를 보다 찰진 상태로 반죽한다는 의미와, 반죽되는 밀가루가 반죽날개에 엉켜붙지 않아서 아주 찰지게 반죽된 반죽덩어리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가루 반죽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기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반죽날개
12a ..... 지지부 12b ..... 반죽부
14 ..... 회전축 20 ..... 기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밀가루 반죽기는, 밀가루가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대향측벽에 각각 설치된 반죽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반죽날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된 반죽부로 구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부분만을 점유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죽부는 반죽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반죽과정에서 밀가루반죽이 반죽날개에 엉켜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다 찰진 상태의 반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밀가루반죽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가루 반죽기는, 밀가루를 투입하여 반죽을 만들기 위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 내부에서 밀가루의 반죽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거나,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기계부(20)로 구성된다.
상기 기계부(20)의 내부에는 한쌍의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한쌍의 모터의 동력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있는 한쌍의 반죽날개(12)에 각각 전달될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12)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12)는, 용기(10)의 대향하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반죽날개(12)는, 실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완전히 대칭으로 설치된다.
도 2에서 도면상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반죽날개(12)를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12)는, 회전축(14)을 기준으로 일측으로만 대략 ㄱ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4)으로는, 기계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구동모터에서 각각 회전력이 인가되어, 상기 한쌍의 반죽날개(1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반죽날개(12)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일정거리 연장된 지지부(12a)와, 상기 지지부(12a)에서 다시 축방향으로 연장성형되는 반죽부(12b)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부(12a)는 반죽부(12b)를 형성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반죽부(12b)에 의하여 밀가루가 충분하게 반죽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죽부(12b)는, 상기 지지부(12a)에서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양측에서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나, 반죽날개의 회전방향(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의 후방으로 유선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를 살펴보면, 실제로 회전축(14)에서 일측방향으로만 연장, 성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반죽날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면을 점유하도록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12)는, 회전축(14)에서 일측방향으로만 대략 ㄱ자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더욱이 반죽날개(12)의 반죽부(12b)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반죽날개에 의한 동작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쌍의 반죽날개(12)는, 기계부(20)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구동모터에 의하여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한쌍의 반죽날개(12)는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반죽날개(12)는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그 중심부분에서 반죽되는 밀가루 반죽에 대하여 보다 균형적으로 반죽을 수행하는 주기적인 힘을 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한쌍의 반죽날개(1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14)에서의 회전동력은 지지부(12a)를 통하여 반죽부(12b)로 전달된다. 상기 반죽부(12b)는, 밀가루반죽이 수행되는 동안에 양자가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하여, 실제로는 반죽덩어리를 양측에서 비트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반죽덩어리를 비트는 동작은, 예를 들면 빨래를 짤때, 빨래의 양측을 손으로 잡고 서로 비트는 것에 의하여 물기를 짜내는 것과 거의 유사한 동작이 된다. 이러한 동작이 가지는 중요성은, 이렇게 비트는 것에 의하여 반죽이 보다 찰진 상태로 되어, 보다 쫄깃한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반죽날개(12)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만 대략 ㄱ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반죽이 다되면 반죽덩어리를 쉽게 용기(10)에서 빼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반죽날개(12)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일측으로만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반죽되는 밀가루덩어리가 날개에 엉켜붙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반죽날개의 반죽부(12b)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반죽부(12b)가 밀가루 반죽에 접촉하게 될 때, 반죽부(12b)의 내측에서 부터 외측단부에 이르면서 점차적으로 반죽에 접하게 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밀가루반죽을 더욱 내측으로 밀어넣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여 반죽되는 밀가루 반죽 덩어리는, 반죽이 완성되면서 점점 구형의 덩어리로 뭉쳐지면서, 더욱 찰지게 반죽되고, 완료된 상태에서는 구상의 덩어리형상을 가지게 되어, 보다 쉽게 용기(10)에서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한쌍의 반죽날개가 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만 성형되어 있다는 점에 기술적 요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반죽날개의 반죽부(12b)가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있는 점에도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반죽날개에 의한 회전시 밀가루가 반죽날개에 엉켜붙지 않음은 물론이고, 보다 찰진 상태의 밀가루 반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따라서 본 고안 밀가구 반죽기에 의하여 반죽된 것을 이용하는 국수, 우동 또는 만두피 등과 같은 음식은, 보다 쫄깃한 미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2)

  1. 밀가루가 투입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대향측벽에 각각 설치된 반죽날개(12)를 구비하고; 상기 반죽날개(12)는 회전축(14)을 중심으로 그 방사상으로 연장된 지지부(12a)와, 상기 지지부에서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된 반죽부(12b)로 구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부분만을 점유하도록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가루반죽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부(12b)는 반죽날개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유선형을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가루반죽기.
KR2020000010565U 2000-04-14 2000-04-14 밀가루 반죽기 KR200195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65U KR200195520Y1 (ko) 2000-04-14 2000-04-14 밀가루 반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565U KR200195520Y1 (ko) 2000-04-14 2000-04-14 밀가루 반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520Y1 true KR200195520Y1 (ko) 2000-09-01

Family

ID=1965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565U KR200195520Y1 (ko) 2000-04-14 2000-04-14 밀가루 반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52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465B1 (ko) * 2018-10-10 2019-08-13 곽정연 스팀 반죽교반기
KR20200092572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반죽시트 성형장치
KR20200092569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반죽기
KR20200092571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스팀주입형 반죽기
KR20210142506A (ko) 2020-05-18 2021-11-25 김종완 밀가루 반죽기
KR20210002930U (ko) 2020-06-22 2021-12-29 박창화 부침개용 밀가루 반죽기
KR20220152704A (ko) 2021-05-10 2022-11-17 용 석 장 반죽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465B1 (ko) * 2018-10-10 2019-08-13 곽정연 스팀 반죽교반기
KR20200092572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반죽시트 성형장치
KR20200092569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반죽기
KR20200092571A (ko) 2019-01-25 2020-08-04 용 석 장 스팀주입형 반죽기
KR20210142506A (ko) 2020-05-18 2021-11-25 김종완 밀가루 반죽기
KR20210002930U (ko) 2020-06-22 2021-12-29 박창화 부침개용 밀가루 반죽기
KR20220152704A (ko) 2021-05-10 2022-11-17 용 석 장 반죽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2004B1 (en) A food kneading appliance
KR200195520Y1 (ko) 밀가루 반죽기
JPH0824833B2 (ja) 密閉式混合機及び該密閉式混合機に使用する非噛み合い4翼ロータ
JP2001037406A (ja) 製麺機
WO2017121055A1 (zh) 容器可摇摆的食物处理装置
US10660341B2 (en) Counter-rotating dough making mechanism
JP4195699B2 (ja) 麺生地のミキシング方法
KR101599837B1 (ko) 보드식 반죽기
JP3730728B2 (ja) 麺用ミキサの駆動方法
JP4313332B2 (ja) 混練機
CN209403401U (zh) 一种揉压式和面机
KR200166774Y1 (ko) 반죽기
KR0140014B1 (ko) 회전 교반식 혼합기
JPH0520426Y2 (ko)
CN209996136U (zh) 搅拌机构、和面杯组件以及面食加工装置
CN211963956U (zh) 一种棒糖原料搅拌机
CN218681789U (zh) 一种均匀搅拌的豆腐脑机
CN214339700U (zh) 搅拌组件及面食加工电器
JP3067811U (ja) 製麺機における捏交ぜ装置
JPS6335595Y2 (ko)
CN209826409U (zh) 一种行星式转动打蛋器
KR200241780Y1 (ko) 밀가루 반죽기
KR20110027497A (ko) 반죽기
CN209271227U (zh) 一种灌筑料用双电机搅拌装置
JP6478944B2 (ja) 自動製パ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