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465B1 - 스팀 반죽교반기 - Google Patents

스팀 반죽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465B1
KR102010465B1 KR1020180120650A KR20180120650A KR102010465B1 KR 102010465 B1 KR102010465 B1 KR 102010465B1 KR 1020180120650 A KR1020180120650 A KR 1020180120650A KR 20180120650 A KR20180120650 A KR 20180120650A KR 102010465 B1 KR102010465 B1 KR 10201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team
dough
shaft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연
Original Assignee
곽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연 filed Critical 곽정연
Priority to KR102018012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5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 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05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을 제조시 반죽과 찜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후 반죽교반기에 넣고 찜과 반죽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져 부드럽고 쫀득한 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반죽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된 지지대(120)(130)를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지지대(120)에 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곡물 가루와 스팀을 공급받는 상부가 개방된 교반통(200); 상기 교반통(200)의 내부 양측에 제1,2회전축(310)(410)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부(300)와 제2교반부(40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500);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팀 반죽교반기{Steam dough agitator}
본 발명은 떡 제조시 반죽하는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떡을 제조시 반죽과 찜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후 반죽교반기에 넣고 찜과 반죽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져 부드럽고 쫀득한 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반죽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고, 가루를 찐 후, 찌어진 떡쌀을 절구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찧어(반죽), 다양한 종류의 떡을 만드는 떡 음식 문화는 떡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의 발전으로 대량의 떡을 한 번에 제조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여 왔다.
특히, 떡을 만드는 공정 중, 곡물 가루를 찌고, 찌어진 가루를 교반하여 반죽을 만드는 반죽기는 사람이 힘주어 치대던 힘든 일을 대신해주는 것으로,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9-0010423호에는 믹싱볼 내에 2개의 교반축이 설치되게 하여, 신속하게 반죽이 되게 하고, 스팀분사노즐이 설치되게 하여, 반죽이 익혀지게 하며, 투입구 상부에 가이드봉이 설치되게 하여, 스크류 믹서로의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곡물 반죽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445호에는 쌀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찌어지는 쌀가루를 펀칭하여 떡쌀 반죽을 만들기 위한 반죽용 스팀 펀칭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스팀 반죽기는 곡물 등의 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하여 반죽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 반죽기는 곡물 등의 가루를 스팀으로 찌면서 쪄지는 가루를 단순히 한 쌍의 교반스크류 또는 하나 이상의 회전펀칭날개로 교반하여 반죽을 만들었기 때문에,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가 교반스크류 또는 회전펀칭날개를 통해 교반될 때 반죽의 입자가 치밀하지 못하고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반죽이 찰지지 않고 흐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스팀 반죽기는 우리 고유의 떡 제조방법인 절구통에서 떡 매질을 통해 얻어지는 떡에 비하여 찰기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반죽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팀 반죽기에 있어서는 반죽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스팀으로 가열된 교반통의 손잡이를 잡고 수작업으로 교반통을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09-0010423호(공개일자 : 2009.01.30) 특허문헌 2 :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445호(공개일자 : 2012.09.2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떡을 제조시 반죽과 찜을 동시에 실시하는 것으로 떡의 재료인 곡물을 불림, 분쇄 후 반죽교반기에 넣고 찜과 반죽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져 부드럽고 쫀득한 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반죽교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하여 교반통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교반이 완료된 후 교반통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으로 회전시켜 반죽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스팀 반죽교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의 상부에 양측으로 지지대가 배치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 지지대에 곡물 가루와 스팀을 공급받는 상부가 개방된 교반통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교반통의 내부 양측에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의 제1,2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교반통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를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제1,2교반부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교반부의 제1회전축은 교반통의 회전축 상부에 형성된 축공에 끼워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제2교반부의 제2회전축은 교반통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과 프레임의 타측 지지대에 끼워 외부로 돌출시키며, 상기 제1,2회전축의 내측에는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을 에스(S)자형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2연결편의 내측 양단에는 교반통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교반방망이와 제2교반방망이를 서로 이격되도록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교반부를 정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와 제2교반방망이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2교반부를 평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와 제2교반방망이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교반부의 제1교반방망이와 제1교반방망이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2교반부의 제2교반방망이와 제2교반방망이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구동부는 베이스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교반통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구동부는 베이스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기어을 구비하는 모터, 상기 지지대의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를 구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 상기 교반통의 회전축에 베어링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 상기 교반통의 회전축에 베어링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스프로킷, 상기 제1교반부의 제1회전축에 설치되어 제1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1종동스프로킷. 상기 제2교반부의 제2회전축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종동스프로킷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팀 반죽교반기에 따르면, 교반통의 내부 양측에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방망이와 제2교반방망이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스팀으로 쪄지는 곡물 등의 가루를 입자가 치밀하도록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찰기가 유지되는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를 이용하여 교반통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교반이 완료된 후 교반통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으로 회전시켜 반죽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의 사시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교반부와 제2교반부의 측면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통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팀 반죽교반기는 도 1 내지 도 8a,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된 지지대(120)(130)를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지지대(120)에 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곡물 가루와 스팀을 공급받는 상부가 개방된 교반통(200); 상기 교반통(200)의 내부 양측에 제1,2회전축(310)(410)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부(300)와 제2교반부(40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500);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팀 반죽교반기는 스팀으로 쪄지는 곡물 등의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여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하고, 또한 교반이 완료된 후 반죽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교반통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스팀 반죽교반기는 프레임(100), 교반통(200), 제1교반부(300), 제2교반부(400), 제1구동부(500) 및 제2구동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교반통(2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100)은 베이스(110)와 양측 지지대(120)(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1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110)의 일측 상부에는 후술하는 모터(510)(6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20)(130)는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지지대(120)(130)는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일측 지지대(120)의 상부에는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이 끼워지는 축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지지대(130)의 상부에는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이 끼워지는 축공(131)이 형성되며, 상기 양측 지지대(120)(130)의 전방 하부에는 후술하는 구동축(620)이 끼워지는 축공(122)(13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공(121)(122)(131)(132)에는 베어링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교반통(200)은 프레임(100)의 일측 지지대(120)에 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곡물 가루와 스팀을 공급받는 것으로, 이러한 교반통(200)의 상부는 개방되고, 교반통(200)의 하부는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교반통(200)의 일측 중앙부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210)이 형성되고,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 상부에는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이 끼워지는 축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교반통(200)의 타측 중앙부에는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이 끼워지는 축공(230)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220)(230)에는 베어링이 각각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반통(200)의 상부에는 뚜껑(미도시)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뚜껑에는 교반통(2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교반부(300)와 제2교반부(400)는 교반통(200)의 내부 양측에 제1,2회전축(310)(410)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교반부(300)와 제2교반부(400)는 교반통(200)의 내부에서 스팀으로 쪄지는 곡물 등의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여 찰기가 유지되는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 상부에 형성된 축공(2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은 교반통(200)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30)과 프레임(100)의 타측 지지대(1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2회전축(310)(410)의 내측에는 제1연결편(320)과 제2연결편(420)이 에스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편(320)(420)의 내측 양단에는 교반통(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가 서로 이격되도록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310)과 제2회전축(410)은 동일축선상에서 벗어나 서로 편심된 상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제2회전축(410)은 교반통(200)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30)으로 끼워지지만, 상기 제1회전축(310)은 교반통(200)의 일측 회전축(210) 상부에 형성된 축공(220)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제1회전축(310)과 제2회전축(410)은 동일축선상이 아닌 서로 편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축(31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 상부에 형성된 축공(2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회전축(310)은 제1교반부(3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연결편(320)은 제1회전축(3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연결편(320)은 에스자형으로 형성되어 제1회전축(310)의 회전력을 제1교반방망이(330)(3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교반방망이(330)(340)는 제1연결편(320)의 내측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교반통(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교반방망이(330)와 제1교반방망이(340)는 서로 이격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교반통(200)의 내부에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여 찰기가 유지되는 쫀득쫀득한 반죽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교반방망이(330)(340)는 회전하면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1교반방망이(330)(340)는 회전하면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할 때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마찰면적을 크게 넓히는 반죽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반죽 입자가 매우 고르고 입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찰진 형태의 반죽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날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회전축(410)은 교반통(200)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30)과 프레임(100)의 타측 지지대(130)의 축공(13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회전축(410)은 제2교반부(4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연결편(420)은 제2회전축(4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연결편(420)은 에스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회전축(410)의 회전력을 제2교반방망이(430)(44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제2연결편(420)의 내측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교반통(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교반방망이(430)와 제2교반방망이(440)는 서로 이격되는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교반통(200)의 내부에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여 찰기가 유지되는 쫀득쫀득한 반죽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회전하면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회전하면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교반할 때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마찰면적을 크게 넓히는 반죽의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반죽 입자가 매우 고르고 입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찰진 형태의 반죽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날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도 4에서와 같이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도 5에서와 같이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엑스(X)형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를 형성하면 반죽의 호화가 한층 더 잘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과 도 7a,7b에서와 같이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교반방망이(330)와 제1교반방망이(340)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331)(34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교반방망이(430)와 제2교반방망이(440)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431)(44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교반방망이(330)(340)에 날(331)(341)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2교반방망이(430)(440)에 날(431)(441)을 형성하면 날(331)(341)과 날(431)(441)이 반죽을 절단하면서 반죽 및 교반하기 때문에, 반죽이 절단될 때 반죽 입자는 매우 치밀해지고 입자들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반죽의 호화가 한층 더 잘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동부(500)는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1구동부(500)는 도 8a에서와 같이 교반시 교반통(200)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제1구동부(500)는 교반이 완료된 후 반죽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 8b에서와 같이 교반통(200)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도 8b에서와 같이 교반통(200)의 전방 하부에 수거통(700)을 놓고, 교반통(200)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반죽을 수거통(700)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부(500)는 베이스(110)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1)을 구비하는 모터(51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1)과 체인(521)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5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510)는 베이스(110)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정역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510)의 모터축에는 구동스프로킷(51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510)의 모터축을 구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511)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상기 종동스프로킷(52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종동스프로킷(520)은 구동스프로킷(511)과 체인(521)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510)를 구동시키면 구동스프로킷(511)이 동시에 구동하게 되고, 또한 구동스프로킷(520)이 구동하면 체인(521)을 통해 종동스프로킷(520)과 회전축(210)이 동시에 구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교반통(200)은 회전축(210)이 구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8a에서와 같이 모터(510)를 작동시키면 교반통(200)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한편 도 8b에서와 같이 모터(510)를 작동시키면 교반통(200)을 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600)는 제1,2교반부(300)(40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2구동부(600)는 베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기어(611)을 구비하는 모터(610), 상기 지지대(120)(130)의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61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621)를 구비하는 구동축(620), 상기 구동축(6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630)(631),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630)과 체인(641)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64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스프로킷(650),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에 설치되어 제1구동스프로킷(650)과 체인(661)으로 연결되는 제1종동스프로킷(660).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631)과 체인(671)으로 연결되는 제2종동스프로킷(6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610)는 베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610)의 모터축에는 구동기어(611)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610)의 모터축을 구동시키면 구동기어(611)가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610)는 정역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620)은 지지대(120)(13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축공(122)(132)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축(62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61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621)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610)를 구동시키면 구동기어(611)가 구동하게 되고, 또한 구동기어(611)가 구동하면 종동기어(621)와 구동축(620)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스프로킷(630)(631)은 구동축(62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스프로킷(630)(631)은 모터(610)의 구동시 구동축(620)과 같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종동스프로킷(64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종동스프로킷(640)은 구동스프로킷(630)과 체인(641)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610)를 구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킷(630)이 구동하게 되고, 구동스프로킷(630)이 구동하면 체인(641)을 통해 종동스프로킷(640)이 동시에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스프로킷(65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구동스프로킷(650)은 모터(610)의 구동시 종동스프로킷(640)과 같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종동스프로킷(660)은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종동스프로킷(660)은 제1구동스프로킷(650)과 체인(661)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610)를 구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동스프로킷(650)이 구동하게 되고, 제1구동스프로킷(650)이 구동하면 체인(661)을 통해 제1종동스프로킷(660)과 제1회전축(31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며, 또한 제1교반부(300)의 제1교반방망이(330)(340)가 제1회전축(310)이 구동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1교반방망이(330)(340)는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여 부드럽고 쫀득한 떡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종동스프로킷(670)은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종동스프로킷(670)은 구동스프로킷(631)과 체인(671)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모터(610)를 구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교반부(300)의 제1교반방망이(330)(340)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체인(671)을 통해 제2종동스프로킷(670)과 제2회전축(410)이 회전하게 되며, 또한 제2교반부(400)의 제2교반방망이(430)(440)가 제2회전축(410)이 구동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같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과 교반하여 부드럽고 쫀득한 떡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제1회전축(3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교반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회전축(310)을 도 8a에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가루를 교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b에서와 같이 교반통(200)을 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반죽을 수거통(700)으로 배출시킬 때, 제1회전축(31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죽을 외부로 밀어내기 때문에, 반죽을 수거통(700)으로 한층 더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교반통(200)의 내부 양측에 스팀으로 쪄지는 곡물 등의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스팀으로 쪄지는 곡물 등의 가루를 입자가 치밀하도록 반죽의 호화가 잘 이루어지므로 고품질의 반죽을 생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찰기가 유지되는 부드럽고 쫀득쫀득한 반죽을 생산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510)를 이용하여 교반통(200)을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교반이 완료된 후 교반통(200)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자동으로 회전시켜 반죽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프레임 110 : 베이스
120,130 : 지지대 200 : 교반통
210 : 회전축 220,230 : 축공
300 : 제1교반부 310 : 제1회전축
320 : 제1연결편 330,340 : 제1교반방망이
331,341 : 날 400 : 제2교반부
410 : 제2회전축 420 : 제2연결편
430,440 : 제2교반방망이 431,441 : 날
500 : 제1구동부 510 : 모터
511 : 구동스프로킷 520 : 종동스프로킷
521 : 체인 600 : 제2구동부
610 : 모터 611 : 구동기어
620 : 구동축 621 : 종동기어
630,631 : 구동스프로킷 640 : 종동스프로킷
641 : 체인 650 : 제1구동스프로킷
660 : 제1종동스프로킷 661 : 체인
670 : 제2종동스프로킷 671 : 체인
B1 : 베어링

Claims (6)

  1. 베이스(1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된 지지대(120)(130)를 구비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지지대(120)에 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곡물 가루와 스팀을 공급받는 상부가 개방된 교반통(200); 상기 교반통(200)의 내부 양측에 제1,2회전축(310)(410)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스팀으로 쪄지는 가루를 반죽하면서 교반하는 제1교반부(300)와 제2교반부(40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500);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600)는 베이스(110)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어 구동기어(611)을 구비하는 모터(610), 상기 지지대(120)(130)의 전방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기어(611)와 치합되는 종동기어(621)를 구비하는 구동축(620), 상기 구동축(6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630)(631),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630)과 체인(641)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64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베어링(B1)으로 공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제1구동스프로킷(650),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에 설치되어 제1구동스프로킷(650)과 체인(661)으로 연결되는 제1종동스프로킷(660).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631)과 체인(671)으로 연결되는 제2종동스프로킷(6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반죽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회전축(310)은 교반통(200)의 회전축(210) 상부에 형성된 축공(2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회전축(410)은 교반통(200)의 타측 중앙부에 형성된 축공(230)과 프레임(100)의 타측 지지대(1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2회전축(310)(410)의 내측에는 제1연결편(320)과 제2연결편(420)이 에스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연결편(320)(420)의 내측 양단에는 교반통(20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가 서로 이격되도록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반죽교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정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교반부(300)(400)를 평면에서 볼 때 제1교반방망이(330)(340)와 제2교반방망이(430)(440)는 단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곡선형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반죽교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300)의 제1교반방망이(330)와 제1교반방망이(340)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331)(34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교반부(400)의 제2교반방망이(430)와 제2교반방망이(440)에는 서로 대응하는 부분에 곡선을 따라 날(431)(44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반죽교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500)는 베이스(110)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1)을 구비하는 모터(510), 상기 교반통(200)의 회전축(210)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511)과 체인(521)으로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5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반죽교반기.
  6. 삭제
KR1020180120650A 2018-10-10 2018-10-10 스팀 반죽교반기 KR10201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50A KR102010465B1 (ko) 2018-10-10 2018-10-10 스팀 반죽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650A KR102010465B1 (ko) 2018-10-10 2018-10-10 스팀 반죽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465B1 true KR102010465B1 (ko) 2019-08-13

Family

ID=6762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650A KR102010465B1 (ko) 2018-10-10 2018-10-10 스팀 반죽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4988A (zh) * 2021-11-18 2022-02-01 周志豪 一种面食料理机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20Y1 (ko) * 2000-04-14 2000-09-01 심영자 밀가루 반죽기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0447704Y1 (ko) * 2009-04-03 2010-02-12 최종묵 이송이 가능한 반죽기
KR20120006445U (ko)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101224226B1 (ko) * 2010-09-09 2013-01-18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101882009B1 (ko) * 2016-12-22 2018-07-25 강두석 떡 제조용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20Y1 (ko) * 2000-04-14 2000-09-01 심영자 밀가루 반죽기
KR20090010423A (ko) 2007-07-23 2009-01-30 용 석 장 곡물 반죽기
KR200447704Y1 (ko) * 2009-04-03 2010-02-12 최종묵 이송이 가능한 반죽기
KR101224226B1 (ko) * 2010-09-09 2013-01-18 용 석 장 반죽기 일체형 제면기
KR20120006445U (ko) 2011-03-10 2012-09-20 허용범 반죽용 스팀 펀칭기
KR101882009B1 (ko) * 2016-12-22 2018-07-25 강두석 떡 제조용 교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4988A (zh) * 2021-11-18 2022-02-01 周志豪 一种面食料理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3086A (en) Food processing machine
CA1053511A (en) Pasta extrusion apparatus
KR101836790B1 (ko) 재료를 반죽 덩어리로 반죽하기 위한 반죽 장치 및 반죽 공구
US20150014227A1 (en) Sifter Apparatus
KR102010465B1 (ko) 스팀 반죽교반기
CN108556167B (zh) 一种塑料粉体物料干燥搅拌两用设备
KR100517686B1 (ko) 떡 제조방법 및 장치
CN216018807U (zh) 一种智能化全自动包子机
JPS5910211B2 (ja) 練り粉類の家庭用調合・押出し装置
KR20200102296A (ko) 압출 제면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면
KR20200092572A (ko) 반죽시트 성형장치
CN211329230U (zh) 一种园林土壤粉碎肥料混合装置
JP2009291220A (ja) ニーダの混捏子とニーダ並びに製パン機
KR200477452Y1 (ko) 건면 파지 반죽장치
KR102274505B1 (ko) 알밥성형기용 교반통
KR200380019Y1 (ko) 냉각기능을 갖는 떡 재료 반죽기
KR200166774Y1 (ko) 반죽기
JP3696783B2 (ja) 麺製造機
CN213193251U (zh) 一种高均匀度干粉混合装置
CN219836450U (zh) 一种骨再生材料混合装置
CN218189366U (zh) 一种食品配料加工用搅拌振动装置
JP3696793B2 (ja) ミキサー
KR100929973B1 (ko) 자유운동 날개를 갖는 반죽장치
CN211098784U (zh) 一种黄粉虫的饲料加工生产装置
CN212520587U (zh) 一种搅拌机构及具有该搅拌机构的烤饼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