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341A -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 Google Patents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341A
KR20200088341A KR1020207014784A KR20207014784A KR20200088341A KR 20200088341 A KR20200088341 A KR 20200088341A KR 1020207014784 A KR1020207014784 A KR 1020207014784A KR 20207014784 A KR20207014784 A KR 20207014784A KR 20200088341 A KR20200088341 A KR 20200088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ste
mass
powder
less
dispers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4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114B1 (ko
Inventor
츠요시 가와시마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5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01G4/302Stacked capacitors obtained by injection of metal in cavities formed in a ceramic bod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갖고, 또한,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우수한 도전성 페이스트 등을 제공한다. 도전성 분말, 분산제,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분산제는, 산계 분산제인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고, 바인더 수지는, 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기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등에 의해 제공.

Description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본 발명은,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디지털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에 수반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에 대해서도 소형화 및 고용량화가 요망되고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복수의 내부 전극층을 교대로 적층한 구조를 갖고, 이들 유전체층 및 내부 전극층을 박막화함으로써, 소형화 및 고용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티탄산바륨 (BaTiO3) 등의 유전체 분말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유전체 그린 시트의 표면 상에, 도전성 분말,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 등을 포함하는 내부 전극용 페이스트 (도전성 페이스트) 를, 소정 전극 패턴으로 인쇄하고, 건조시켜 건조막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건조막과 유전체 그린 시트가 교대로 겹치도록, 다층으로 겹쳐 쌓은 후, 가열 압착하여 일체화하여, 압착체를 형성한다. 이 압착체를 절단하고, 산화성 분위기 또는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탈유기 바인더 처리를 실시한 후, 소성을 실시하여, 소성 칩을 얻는다. 이어서, 소성 칩의 양단부에 외부 전극용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소성 후, 외부 전극 표면에 니켈 도금 등을 실시하여,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얻어진다.
도전성 페이스트를 유전체 그린 시트에 인쇄할 때에 사용되는 인쇄법으로는, 종래, 스크린 인쇄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전자 디바이스의 소형화, 박막화나 생산성 향상의 요구로부터, 보다 미세한 전극 패턴을 생산성 높게 인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법의 하나로서, 제판에 형성된 오목부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하고, 이것을 피인쇄면에 꽉 누름으로써 그 제판으로부터 도전성 페이스트를 전사하는 연속 인쇄법인 그라비아 인쇄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라비아 인쇄법은, 인쇄 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우수하다. 그라비아 인쇄법을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 중의 바인더 수지, 분산제, 용제 등을 적절히 선택하고, 점도 등의 특성을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서는, 복수의 세라믹층 및 상기 세라믹층 사이의 특정한 계면을 따라 연장되는 내부 도체막을 구비하는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에 있어서의 상기 내부 도체막을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30 ∼ 70 중량% 의 고형 성분과, 1 ∼ 10 중량% 의 에톡시기 함유율이 49.6 % 이상인 에틸셀룰로오스 수지 성분과, 0.05 ∼ 5 중량% 의 분산제와, 잔부로서의 용제 성분을 포함하고, 전단 속도 0.1 (s-1) 에서의 점도 η0.1 이 1 Pa·s 이상이고, 또한 전단 속도 0.02 (s-1) 에서의 점도 η0.02 가 특정한 식으로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는, 틱소트로피 유체인, 도전성 페이스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1 과 동일하게 그라비아 인쇄에 의해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30 ∼ 70 중량% 의 고형 성분과, 1 ∼ 10 중량% 의 수지 성분과, 0.05 ∼ 5 중량% 의 분산제와, 잔부로서의 용제 성분을 포함하고, 전단 속도 0.1 (s-1) 에서의 점도가 1 Pa·s 이상인 틱소트로피 유체로서, 전단 속도 0.1 (s-1) 에서의 점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전단 속도 10 (s-1) 에서의 점도 변화율이 50 % 이상인, 도전성 페이스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2 에 의하면, 이들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단 속도 0.1 (s-1) 에서의 점도가 1 Pa·s 이상인 틱소트로피 유체로, 그라비아 인쇄에 있어서 고속에서의 안정적인 연속 인쇄성이 얻어져, 양호한 생산 효율을 가지고, 적층 세라믹 콘덴서와 같은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에는, 도전성 분말 (A), 유기 수지 (B), 및 유기 용제 (C), 첨가제 (D), 및 유전체 분말 (E) 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내부 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유기 수지 (B) 는, 중합도가 10000 이상 50000 이하인 폴리비닐부티랄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100000 이하인 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고, 유기 용제 (C) 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혹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와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의 혼합 용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와 미네랄 스피릿의 혼합 용제의 어느 것으로 이루어지고, 첨가제 (D) 는, 분리 억제제와 분산제로 이루어지고, 그 분리 억제제로서 폴리카르복실산 폴리머 혹은 폴리카르복실산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그라비아 인쇄용 도전성 페이스트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 의하면, 이 도전성 페이스트는,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가져, 페이스트의 균일성·안정성이 향상되고, 또한, 건조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763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4283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74797호
최근의 내부 전극층의 박막화에 수반하여, 도전성 분말도 소입경화하는 경향이 있다. 도전성 분말의 입경이 작은 경우, 그 입자 표면의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도전성 분말 (금속 분말) 의 표면 활성이 높아지고,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어, 보다 높은 분산성을 갖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그라비아 인쇄법을 사용하여 인쇄하는 경우, 스크린 인쇄법보다 낮은 페이스트 점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비교적 비중이 큰 도전성 분말이 침강하여,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2 에 기재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서는, 필터를 사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 중의 괴상물을 제거함으로써,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개선시키고 있지만, 괴상물을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번잡해지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페이스트 점도를 갖고, 또한, 페이스트의 분산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는, 도전성 분말, 분산제,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분산제는, 산계 분산제인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고, 바인더 수지는, 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유기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산계 분산제는, 인산알킬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제는, 추가로 염기계 분산제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분산제는,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총량으로 0.2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분말은, Ni, Pd, Pt, Au, Ag, Cu 및 이들의 합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분말은, 평균 입경이 0.05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는,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평균 입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는, 적층 세라믹 부품의 내부 전극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단 속도 100 sec-1 의 점도가 0.8 Pa·S 이하이고, 전단 속도 10000 sec-1 의 점도가 0.19 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전자 부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서는,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을 적층한 적층체를 적어도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내부 전극은,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갖고, 또한, 페이스트의 분산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의 전극 패턴은, 박막화한 전극을 형성할 때에도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적층 세라믹 콘덴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전성 페이스트]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도전성 분말, 분산제,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전성 분말)
도전성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Ni, Pd, Pt, Au, Ag, Cu, 및 이들의 합금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내식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Ni, 또는 그 합금의 분말이 바람직하다. Ni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Mn, Cr, Co, Al, Fe, Cu, Zn, Ag, Au, Pt 및 Pd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 이상의 원소와 Ni 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Ni 합금에 있어서의 Ni 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질량% 이상이다. 또한, Ni 분말은, 탈바인더 처리 시, 바인더 수지의 부분적인 열 분해에 의한 급격한 가스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수백 ppm 정도의 S 를 포함해도 된다.
도전성 분말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 1.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0.5 ㎛ 이하이다. 도전성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인 경우, 박막화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용 페이스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건조막의 평활성 및 건조막 밀도가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전성 분말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BET 법에 기초하여 얻어진 비표면적으로부터 산출한 입경이다. 예를 들어, 니켈 분말의 평균 입경의 산출식은 이하와 같다.
평균 입경 = 6/S.A × ρ···(식)
(ρ = 8.9 (니켈의 진밀도), S.A = 니켈 분말의 BET 비표면적)
도전성 분말의 함유량은,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이다. 도전성 분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도전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세라믹 분말)
도전성 페이스트는, 세라믹 분말을 포함해도 된다. 세라믹 분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용 페이스트인 경우, 적용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공지된 세라믹 분말이 선택된다. 세라믹 분말로는, 예를 들어, Ba 및 Ti 를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티탄산바륨 (BaTiO3) 이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1 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세라믹 분말로는, 티탄산바륨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화물을 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을 사용해도 된다. 산화물로는, Mn, Cr, Si, Ca, Ba, Mg, V, W, Ta, Nb 및 희토류 원소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세라믹 분말로는, 예를 들어, 티탄산바륨 (BaTiO3) 의 Ba 원자나 Ti 원자를 다른 원자, 예를 들어, Sn, Pb, Zr 등으로 치환한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 강유전체의 세라믹 분말을 들 수도 있다.
내부 전극용 페이스트 중의 세라믹 분말로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 그린 시트를 구성하는 유전체 세라믹 분말과 동일 조성의 분말을 사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소결 공정에 있어서의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층의 계면에서의 수축의 미스매치에 의한 크랙 발생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세라믹 분말로는, 상기의 Ba 및 Ti 를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 이외에, 예를 들어, ZnO, 페라이트, PZT, BaO, Al2O3, Bi2O3, R(희토류 원소)2O3, TiO2, Nd2O3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세라믹 분말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0.01 ㎛ 이상 0.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0.3 ㎛ 이하이다. 세라믹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임으로써, 내부 전극용 페이스트로서 사용한 경우, 충분히 가늘고 얇은 균일한 내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세라믹 분말의 평균 입경은, 상기의 도전성 분말과 동일하게, BET 법에 기초하여 얻어진 비표면적으로부터 산출한 입경이다.
세라믹 분말의 함유량은,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다.
세라믹 분말의 함유량은,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이다.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는, 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한다. 아세탈계 수지로는,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부티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가 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그린 시트와의 접착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 전체에 대하여, 아세탈계 수지를 20 질량% 이상 포함해도 되고, 30 질량% 이상 포함해도 되고, 60 질량% 이상 포함해도 되고, 아세탈계 수지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아세탈계 수지의 함유량은,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8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아세탈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다른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수지로는,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용제에 대한 용해성, 연소 분해성의 관점 등에서, 에틸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바인더 수지의 분자량은, 예를 들어, 20000 ∼ 200000 정도이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은,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8 질량부 이하이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은,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6 질량% 이하이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도전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및, 아세테이트계 용제 중, 적어도 1 개를 포함하고,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에테르류,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PNB)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가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술한 바인더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또한, 건조성이 우수하다.
유기 용제는, 예를 들어, 유기 용제 전체에 대하여,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25 질량% 이상 포함해도 되고, 50 질량% 이상 포함해도 되고,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만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세테이트계 용제로는, 예를 들어, 디하이드로터피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프로피오네이트, 이소보르닐부티레이트, 이소보르닐이소부티레이트나,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1-메톡시프로필-2-아세테이트 등의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가 아세테이트계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디하이드로터피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프로피오네이트, 이소보르닐부티레이트 및 이소보르닐이소부티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아세테이트계 용제 (A) 를 포함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세테이트계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제외한 유기 용제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함유된다.
또한, 유기 용제가 아세테이트계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의 아세테이트계 용제 (A) 와,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아세테이트계 용제 (B) 를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혼합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조정을 실시할 수 있고, 도전성 페이스트의 건조 스피드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아세테이트계 용제 (A) 와 아세테이트계 용제 (B) 를 포함하는 혼합액의 경우, 아세테이트계 용제 전체에 대하여, 아세테이트계 용제 (A) 를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 함유한다. 상기 혼합액의 경우, 아세테이트계 용제 전체에 대하여, 아세테이트계 용제 (B) 를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 함유한다.
또한, 유기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및 아세테이트계 용제 이외의 다른 유기 용제를 포함해도 된다. 다른 유기 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바인더 수지를 용해시킬 수 있는 공지된 유기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유기 용제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이소부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계 용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테르피네올, 디하이드로테르피네올 등의 테르펜계 용제, 트리데칸, 노난,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계 탄화수소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족계 탄화수소 용제가 바람직하고, 지방족계 탄화수소 용제 중 미네랄 스피릿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유기 용제는, 1 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유기 용제는, 예를 들어, 주용제로서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고, 부용제로서 지방족계 탄화수소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는,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 포함되고, 지방족계 탄화수소 용제는,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 40 질량부 이하 포함된다.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13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이다.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도전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유기 용제의 함유량은,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도전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분산제)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산계 분산제로서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 그 중에서도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도전성 페이스트에 사용하는 분산제에 대하여, 다양한 분산제를 검토한 결과, 상기 서술한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와 함께,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그 이유는 불명하지만, 내부 전극을 형성했을 때에 괴상물의 발생이 매우 억제되고,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은, 알킬기를 갖는 인산에스테르이다. 또한,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은,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산알킬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은, 직사슬 구조의 분산제여도 되고, 복잡한 분기 구조 (예를 들어, 분기 사슬이 2 개 이상) 를 갖는 분산제여도 되지만, 직사슬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이하의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1) 중, X 는, 탄소수 1 ∼ 18 의 직사슬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Y 는, -(OCH2CH2)n- 을 나타내고, n 이 1 ∼ 18 이다.
인을 포함하는 분산제로서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그 상세한 것은 불명하지만, 인산 부위가 도전성 분말 등의 표면에 흡착되어, 표면 전위를 중화, 혹은 수소 결합 부위를 불활성화하고, 또한, 인산 이외의 부위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특정한 입체 구조가, 효과적으로 도전성 분말 등의 응집을 억제하여, 페이스트 점도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는,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과, 그 밖의 인산계 분산제의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산알킬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는,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단일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는,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질량부 이상 2 질량부 이하 함유되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2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 함유된다.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 중의 도전성 분말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는,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3 질량% 이하 함유된다.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이다. 상기의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의 함유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1 질량% 이상이다.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제품으로부터, 상기 특성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분산제는,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특성을 만족하도록 제조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분산제로서, 상기의 인산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만을 사용해도 되지만,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 이외의 다른 산계 분산제를 사용해도 된다. 다른 산계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고급 지방산, 고분자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이어도 되고 포화 카르복실산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리놀레산, 라우르산, 리놀렌산 등 탄소수 11 이상의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올레산, 또는 스테아르산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의 산계 분산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모노알킬아민염으로 대표되는 알킬모노아민염형, N-알킬 (C14 ∼ C18) 프로필렌디아민디올레산염으로 대표되는 알킬디아민염형,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대표되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형, 야자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대표되는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형, 알킬·디폴리옥시에틸렌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대표되는 4 급 암모늄염형, 알킬피리디늄염형, 디메틸스테아릴아민으로 대표되는 3 급 아민형,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으로 대표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형, N,N',N'-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N-알킬 (C14 ∼ 18) 1,3-디아미노프로판으로 대표되는 디아민의 옥시에틸렌 부가형에서 선택되는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산제는, 산계 분산제 이외의 분산제를 포함해도 된다. 산계 분산제 이외의 분산제로는, 염기계 분산제, 비이온계 분산제, 양쪽성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염기계 분산제로는, 예를 들어, 라우릴아민, 폴리에틸렌글리콜라우릴아민, 로진아민, 세틸아민, 미리스틸아민, 스테아릴아민 등의 지방족 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와 함께, 추가로 염기계 분산제를 함유하는 경우, 시간 경과적인 점도 안정성과, 페이스트 분산성을 매우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염기계 분산제는, 예를 들어,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1 질량부 이상 2 질량부 미만 함유되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부 이상 0.5 질량부 이하 함유된다. 또한, 염기계 분산제는, 예를 들어, 상기의 산계 분산제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 3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상 150 질량부 이하 함유될 수 있다. 염기계 분산제를 상기 범위로 함유하는 경우, 페이스트의 시간 경과적인 점도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염기계 분산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페이스트 전체에 대하여, 예를 들어, 0 질량% 이상 2.5 질량% 이하 함유되고,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0.8 질량% 이하 함유된다. 염기계 분산제를 상기 범위로 함유하는 경우, 페이스트의 시간 경과적인 점도 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다.
도전성 페이스트에 있어서, 분산제 전체 (인을 포함하는 산계 분산제, 및, 그 이외의 임의의 분산제를 포함한다) 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질량부 이상 2 질량부 이하여도 되고, 0.2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 (전체) 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의 건조성이 악화되거나, 시트 어택이 발생하거나, 그린 시트를 대지의 PET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필요에 따라, 상기의 성분 이외의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소포제, 가소제, 계면 활성제, 증점제 등의 종래 공지된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예를 들어, 상기의 각 성분을, 3 개 롤 밀, 볼 밀, 믹서 등으로 교반·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도전성 분말 표면에 미리 분산제를 도포하면, 도전성 분말이 응집하지 않고 충분히 풀려, 그 표면에 분산제가 넓게 퍼지게 되어, 균일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얻기 쉽다. 또한, 미리, 바인더 수지를 유기 용제의 일부에 용해시켜, 유기 비이클을 제작한 후, 페이스트 조정용의 유기 용제에, 도전성 분말, 세라믹 분말, 분산제, 및, 유기 비이클을 첨가한 후, 교반·혼련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단 속도 100 sec-1 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8 Pa·S 이하이다. 전단 속도 100 sec-1 의 점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 그라비아 인쇄용의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그라비아 인쇄용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전단 속도 100 sec-1 의 점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2 Pa·S 이상이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단 속도 10000 sec-1 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0.19 Pa·S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 Pa·S 이하이다. 전단 속도 10000 sec-1 의 점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 그라비아 인쇄용의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도,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그라비아 인쇄용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전단 속도 10000 sec-1 의 점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Pa·S 이상이다.
도전성 페이스트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유전체 그린 시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유전체층 및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내부 전극층을 갖는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는, 유전체 그린 시트에 포함되는 유전체 세라믹 분말과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세라믹 분말이 동일 조성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적층 세라믹 디바이스는, 유전체 그린 시트의 두께가, 예를 들어 3 ㎛ 이하인 경우에도, 시트 어택이나 유전체 그린 시트의 박리 불량이 억제된다.
[전자 부품]
이하, 본 발명의 전자 부품 등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적절히, 모식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나, 축척을 변경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부재의 위치나 방향 등을, 적절히, 도 1 등에 나타내는 XYZ 직교 좌표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XYZ 직교 좌표계에 있어서, X 방향 및 Y 방향은 수평 방향이고, Z 방향은 연직 방향 (상하 방향) 이다.
도 1A 및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전자 부품의 일례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 (1)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적층 세라믹 콘덴서 (1) 는, 유전체층 (12) 및 내부 전극층 (11) 을 교대로 적층한 세라믹 적층체 (10) 와 외부 전극 (20) 을 구비한다.
이하, 상기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한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전체 그린 시트 상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고, 건조막을 형성한다. 이 건조막을 상면에 갖는 복수의 유전체 그린 시트를, 압착에 의해 적층시킨 후, 소성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세라믹 콘덴서 본체가 되는 적층 세라믹 소성체 (세라믹 적층체 (10)) 를 제작한다. 그 후, 세라믹 적층체 (10) 의 양단부에 1 쌍의 외부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콘덴서 (1) 가 제조된다.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미소성의 세라믹 시트인 유전체 그린 시트를 준비한다. 이 유전체 그린 시트로는, 예를 들어, 티탄산바륨 등의 소정 세라믹 분말에,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유기 바인더와 테르피네올 등의 용제를 첨가하여 얻은 유전체층용 페이스트를, PET 필름 등의 지지 필름 상에 시트상으로 도포하고, 건조시켜 용제를 제거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전체 그린 시트로 이루어지는 유전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소형화의 요청의 관점에서, 0.05 ㎛ 이상 3 ㎛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유전체 그린 시트의 편면에, 그라비아 인쇄법을 사용하여, 상기 서술한 도전성 페이스트를 인쇄하여 도포하고, 도전성 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내부 전극층 (11) 을 형성한 것을 복수 장, 준비한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로 이루어지는 내부 전극층 (11) 의 두께는, 당해 내부 전극층 (11) 의 박층화의 요청의 관점에서, 건조 후 1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지지 필름으로부터, 유전체 그린 시트를 박리함과 함께, 유전체 그린 시트와 그 편면에 형성된 도전성 페이스트 (건조막) 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적층한 후, 가열·가압 처리에 의해 적층체 (압착체) 를 얻는다. 또한, 적층체 (압착체) 의 양면에,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있지 않은 보호용의 유전체 그린 시트를 추가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어서, 적층체를 소정 사이즈로 절단하여 그린 칩을 형성한 후, 당해 그린 칩에 대하여 탈바인더 처리를 실시하고, 환원 분위기하에서 소성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소성체 (세라믹 적층체 (10)) 를 제조한다. 또한, 탈바인더 처리에 있어서의 분위기는, 대기 또는 N2 가스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바인더 처리를 실시할 때의 온도는, 예를 들어 200 ℃ 이상 400 ℃ 이하이다. 또한, 탈바인더 처리를 실시할 때의, 상기 온도의 유지 시간을 0.5 시간 이상 24 시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성은, 내부 전극층에 사용하는 금속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환원 분위기에서 실시되고, 또한, 적층체의 소성을 실시할 때의 온도는, 예를 들어, 1000 ℃ 이상 1350 ℃ 이하이고, 소성을 실시할 때의, 온도의 유지 시간은, 예를 들어, 0.5 시간 이상 8 시간 이하이다.
그린 칩의 소성을 실시함으로써, 그린 시트 중의 유기 바인더가 완전히 제거됨과 함께, 세라믹의 원료 분말이 소성되어, 세라믹제의 유전체층 (12) 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 전극층 (11) 중의 유기 비이클이 제거됨과 함께, 니켈 분말 또는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 분말이 소결 혹은 용융, 일체화되어, 내부 전극이 형성되고, 유전체층 (12) 과 내부 전극층 (11) 이 복수 장, 교대로 적층된 세라믹 적층체 (10) 가 형성된다. 또한, 산소를 유전체층의 내부에 삽입하여 신뢰성을 높임과 함께, 내부 전극의 재산화를 억제하는 등의 관점에서, 소성 후의 세라믹 적층체 (10) 에 대하여, 어닐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그리고, 제작한 세라믹 적층체 (10) 에 대하여, 1 쌍의 외부 전극 (20) 을 형성함으로써, 적층 세라믹 콘덴서 (1) 가 제조된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 (20) 은, 외부 전극층 (21) 및 도금층 (22) 을 구비한다. 외부 전극층 (21) 은, 내부 전극층 (11) 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외부 전극 (20)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동이나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부품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 이외의 전자 부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비교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방법]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 후의 점도를,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전단 속도 100 sec-1, 10000 sec-1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성)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유리 기판 (2 inch) 상에, 샘플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 을 인쇄하고 (GAP 두께 = 5 ㎛), 건조시킨다. 건조는, 벨트로 내의 최대 온도 120 ∼ 150 ℃, 대기 분위기에서 실시하였다. 건조 후에 얻어진 건조막 (2 ㎝ × 2 ㎝, 두께 3 ㎛) 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광 (백라이트) 을 쐬면서, ×100 (접안, 대물 ; 각 10 배) 으로 관찰하여 (백라이트 = 유리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광을 쐰다), 괴상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괴상물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양호」 로, 괴상물이 1 이상 관찰되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불량」 이라고 평가하였다.
[사용 재료]
(도전성 분말)
도전성 분말로는, Ni 분말 (평균 입경 0.3 ㎛) 을 사용하였다.
(세라믹 분말)
세라믹 분말로는, 티탄산바륨 (BaTiO3 ; 평균 입경 0.06 ㎛) 을 사용하였다.
(바인더 수지)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PVB, 아세탈계 수지), 에틸셀룰로오스 (EC) 를 사용하였다.
(분산제)
(1) 산계 분산제 (A) 로서, 인산알킬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2) 염기계 분산제로서, 로진아민 (B), 폴리에틸렌글리콜라우릴아민 (C), 올레일아민 (D) 를 사용하였다.
(3) 상기의 산계 분산제 (A) 이외의 산계 분산제 (비교예용) 로서, 인산폴리에스테르 (인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잔부가 인산인 인산계 분산제 (E) 를 사용하였다.
(유기 용제)
유기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PNB, 글리콜에테르계 용제), 미네랄 스피릿 (MA), 테르피네올 (TPO)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도전성 분말인 Ni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세라믹 분말 25 질량부와,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28 질량부와, 바인더 수지로서, EC 4 질량부와, PVB 2 질량부와, 유기 용제로서 PNB 48 질량부 및 MA 21 질량부를 혼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페이스트의 분산성을 상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를 0.5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를 1.0 질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28 질량부 및 로진아민 (B) 0.10 질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28 질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라우릴아민 (C) 0.10 질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28 질량부 및 올레일아민 (D) 0.10 질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28 질량부 및 올레일아민 (D) 0.22 질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분산제로서, 산계 분산제 (A) 0.56 질량부 및 올레일아민 (D) 0.44 질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바인더 수지로서, PVB 6 질량부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유기 용제로서 PNB 57 질량부 및 MA 12 질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분산제로서, 인산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인산계 분산제 (E) 0.28 질량부 및 염기계 분산제 (B) 0.10 질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유기 용제로서 테르피네올 (TPO) 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바인더 수지로서 EC 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바인더 수지로서 EC 만, 유기 용제로서 테르피네올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도전성 페이스트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도전성 페이스트의 분산제 등의 함유량을 표 1 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점도, 및, 분산성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평가 결과)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전단 속도 100 sec-1 의 점도가 0.34 ∼ 0.69 Pa·S 이고, 전단 속도 10000 sec-1 의 점도가 0.12 ∼ 0.19 Pa·S 로,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인쇄 후의 건조막 표면에 괴상물이 관찰되지 않아,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이 나타났다.
한편, 산계 분산제 (A) 이외의 인산계 분산제 (E) 를 사용한 비교예 1 의 도전성 페이스트에서는, 인쇄 후의 건조막 표면에 괴상물이 관찰되어,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불량인 것이 나타났다. 또한, 유기 용제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 2, 바인더 수지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 3, 및, 유기 용제와 바인더 수지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비교예 4 의 도전성 페이스트에서는,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얻을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비교예 2 ∼ 4 에서는, 적절한 건조막을 얻을 수 없어, 분산성의 평가를 실시할 수 없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그라비아 인쇄에 적합한 점도를 갖고, 또한, 페이스트의 분산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특히 휴대 전화나 디지털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칩 부품인 적층 세라믹 콘덴서의 내부 전극용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그라비아 인쇄용의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적층 세라믹 콘덴서
10 ; 세라믹 적층체
11 ; 내부 전극층
12 ; 유전체층
20 ; 외부 전극
21 ; 외부 전극층
22 ; 도금층

Claims (13)

  1. 도전성 분말, 분산제, 바인더 수지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
    상기 분산제는, 산계 분산제인 인산알킬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세탈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제는, 글리콜에테르계 용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계 분산제는, 인산알킬폴리옥시알킬렌 화합물인, 도전성 페이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추가로 염기계 분산제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상기 도전성 분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총량으로 0.2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 함유되는, 도전성 페이스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은, Ni, Pd, Pt, Au, Ag, Cu 및 이들의 합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은, 평균 입경이 0.05 ㎛ 이상 1.0 ㎛ 이하인, 도전성 페이스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페로브스카이트형 산화물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은, 평균 입경이 0.01 ㎛ 이상 0.5 ㎛ 이하인, 도전성 페이스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세라믹 부품의 내부 전극용인, 도전성 페이스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단 속도 100 sec-1 에서의 점도가 0.8 Pa·S 이하이고, 전단 속도 10000 sec-1 에서의 점도가 0.19 Pa·S 이하인, 도전성 페이스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전자 부품.
  13. 유전체층과 내부 전극을 적층한 적층체를 적어도 갖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상기 내부 전극은,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전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0207014784A 2017-11-30 2018-11-29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613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30980 2017-11-30
JP2017230980 2017-11-30
PCT/JP2018/044004 WO2019107500A1 (ja) 2017-11-30 2018-11-29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341A true KR20200088341A (ko) 2020-07-22
KR102613114B1 KR102613114B1 (ko) 2023-12-12

Family

ID=6666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4784A KR102613114B1 (ko) 2017-11-30 2018-11-29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279642B2 (ko)
KR (1) KR102613114B1 (ko)
CN (1) CN111373490B (ko)
TW (1) TWI798301B (ko)
WO (1) WO2019107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11020A (zh) * 2019-07-31 2021-03-16 日商住友金屬鑛山股份有限公司 凹版印刷用導電性漿料、電子零件、及積層陶瓷電容器
JP2024008536A (ja) * 2022-07-08 2024-01-1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乾燥膜、内部電極、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38A (ja) 2001-12-20 2003-07-04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3242835A (ja) 2001-12-13 2003-08-29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7021475A (ja) * 2005-07-15 2007-02-01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リン酸系分散剤、それを利用したペースト組成物及び分散方法
JP2007281306A (ja) * 2006-04-10 2007-10-25 Sekisui Che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用スクリーン印刷ペースト
JP2012174797A (ja) 2011-02-18 2012-09-1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内部電極に用いられる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
JP2017179358A (ja) * 2016-03-22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ペース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7941A1 (de) * 1987-03-12 1988-09-22 Henkel Kgaa Dispergiermittel und ihre verwendung in waessrigen kohlesuspensionen
JPH1092226A (ja) * 1996-09-11 1998-04-10 Murata Mfg Co Ltd 導電性組成物
JP4146823B2 (ja) * 2003-06-26 2008-09-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ペースト用バインダー樹脂及び導電ペースト
JP4650794B2 (ja) * 2005-07-01 2011-03-16 昭栄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用導体ペース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
KR101022415B1 (ko) * 2008-08-29 2011-03-15 에스에스씨피 주식회사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JP2010118470A (ja) * 2008-11-12 2010-05-27 Sekisui Che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ー用導電ペースト
JP5051553B2 (ja) * 2010-04-19 2012-10-1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の製造方法
KR101198004B1 (ko) * 2010-12-10 2012-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용 세라믹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5276137B2 (ja) * 2011-04-13 2013-08-28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型コンデンサ
JP5976684B2 (ja) 2012-01-20 2016-08-24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合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
EP3121829B1 (en) * 2014-03-20 2020-09-16 Sekisui Chemical Co., Ltd. Electroconductive pas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835A (ja) 2001-12-13 2003-08-29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3187638A (ja) 2001-12-20 2003-07-04 Murata Mfg Co Ltd 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07021475A (ja) * 2005-07-15 2007-02-01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リン酸系分散剤、それを利用したペースト組成物及び分散方法
JP2007281306A (ja) * 2006-04-10 2007-10-25 Sekisui Chem Co Ltd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用スクリーン印刷ペースト
JP2012174797A (ja) 2011-02-18 2012-09-10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内部電極に用いられるグラビア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
JP2017179358A (ja) * 2016-03-22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ペー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490A (zh) 2020-07-03
TWI798301B (zh) 2023-04-11
TW201926364A (zh) 2019-07-01
CN111373490B (zh) 2022-05-31
JPWO2019107500A1 (ja) 2020-12-24
WO2019107500A1 (ja) 2019-06-06
KR102613114B1 (ko) 2023-12-12
JP7279642B2 (ja)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7944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KR102621947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13227246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TWI801445B (zh) 導電性漿料、電子零件以及層積陶瓷電容器
KR20210056952A (ko)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13227233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KR102613114B1 (ko)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11902882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KR20200116446A (ko) 도전성 페이스트, 전자 부품, 및 적층 세라믹 콘덴서
CN111066098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CN111386579B (zh) 导电性浆料、电子部件以及叠层陶瓷电容器
WO2019043674A2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9043673A2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WO2019043672A2 (ja) 導電性ペースト、電子部品及び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