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476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476A
KR20200079476A KR1020207002248A KR20207002248A KR20200079476A KR 20200079476 A KR20200079476 A KR 20200079476A KR 1020207002248 A KR1020207002248 A KR 1020207002248A KR 20207002248 A KR20207002248 A KR 20207002248A KR 20200079476 A KR20200079476 A KR 2020007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case
removal device
filter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973B1 (ko
Inventor
시게노리 하토
토시후미 하시모토
히토시 미나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7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린트 제거 장치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는 건조기를 개시한다.
건조기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과,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와, 드럼 내부의 공기를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와,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를 급기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와, 배기구와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와,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린트 제거 장치는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고, 연결 덕트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조기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의류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린트(보풀)가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기순환형의 의류 건조기에서는, 공기가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순환하며, 따라서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에 공기 중에 혼입된 린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린트를 포착하는 린트 제거 장치 및 열교환기가 드럼의 하측에 설치된 의류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착하고 아울러 분리 가능한 필터와, 필터의 표면에 남는 린트를 긁어서 상기 필터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밀어내는 린트 이송체 및 필터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아울러 상기 필터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밀어내어진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를 구비한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의류 건조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배기 덕트와 연통하는 연결 덕트를 구비하고, 린트 제거 장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연결 덕트를 구성하는 부분에 조립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101368호 공보
최근에는 소형이면서도 대용량을 가지는 의류 건조기가 요구되고 있다. 즉, 케이스 전체 크기는 콤팩트하면서도, 드럼의 용량은 큰 의류 건조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의류 건조기의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관점에서, 케이스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의류 건조기의 경우, 케이스의 전후 방향의 크기를 작게 함과 아울러, 드럼의 용량을 크게 하면, 연결 덕트에 내부의 공기 유로가 좁아진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연결 덕트 상에 린트 제거 장치를 배치하면, 상기 린트 제거 장치에 의한 공기(여기서는 배기)의 압손이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린트 제거 장치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린트 제거 장치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급기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 와,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덕트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연결 덕트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지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포집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린트 이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덕트는 그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를 향하여 하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 덕트는 그 내부에서 상기 연결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드럼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후방으로 흐르도록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연결 덕트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배기 덕트 내에서 상기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배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수용하여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린트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린트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배기 덕트 내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케이스는,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방 벽부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벽부와, 상기 하측 벽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전방 벽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상기 린트 케이스에 장착될 때,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방 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은, 상기 린트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벽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 우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의 폭은 상기 연결 덕트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에 따르면, 린트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에 배치되기 때문에, 린트 제거 장치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저감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의류 건조기 외관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며, 도어를 오픈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의류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의류 건조기의 주요 기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의류 건조기의 주요 기기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벽 유닛을 전면 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벽 유닛을 후면 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린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린트 제거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린트케이스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린트케이스가 케이스에 세트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린트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는 린트케이스에 린트 제거 장치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드럼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린트 제거 장치의 주변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또, 설명에서 사용하는 상하 좌우 등의 방향은 도 1에 나타낸 화살표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의류 건조기의 전체 구조)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의류 건조기(1)를 나타낸다. 의류 건조기(1)는 공기 순환형이며,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조 공기로 의류를 건조한다.
의류 건조기(1)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2)를 포함하고, 케이스(2)의 전면(前面) 상부에는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투입구(3)가 형성된다.
투입구(3)는 말굽 형상의 외관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투입구(3)의 가장자리의 상측 부분은 우호(優弧)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입구(3)의 가장자리의 하단부는 좌우 폭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현(弦)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입구(3)의 상측에는 터치 패널 등의 조작부(4)가 설치된다. 케이스(2)의 내부에서 조작부(4)의 후방에는 기판 등의 전자 부품(5)이 설치된다. 케이스(2)의 전면에는 도어(6)가 힌지를 통하여 결합되고, 투입구(3)는 도어(6)에 의해 개폐된다.
케이스(2)의 전면 내측에는 벽 유닛(10)이 일체로 조립된다(도 5, 도 6 참조). 벽 유닛(10)이 조립됨으로써, 케이스(2)의 전방부에는 원환 형상으로 오목한 환상 오목부(2a)와, 환상 오목부(2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투입구(3)를 구획하는 외측 플랜지부(2b)와, 외측 플랜지부(2b)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케이스(2)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하는 통 형상의 내측 플랜지부(11) 등이 형성된다.
도어(6)의 투입구(3) 측에는 환상 오목부(2a), 외측 플랜지부(2b), 및 내측 플랜지부(11)에 끼워 넣어지는 도어 돌출부(6a)가 마련된다. 내측 플랜지부(11)의 하단부에는 배기구(20)가 마련된다.
(드럼)
케이스(2)의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된다.
드럼(30)은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드럼(30)의 전단부에는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개구(30a)가 형성된다.
드럼(30)은 개구(30a)가 투입구(3)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축(J)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케이스(2)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드럼(30)의 후단부의 중심 부분이 케이스(2)의 후방부에 피봇되고, 드럼(30)의 전단부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이 케이스(2)의 전방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3)에 지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30)의 후단부에는 메시 필터로 덮어진 원형의 통기구(30b)가 형성된다.
드럼(30)의 내면에는 교반판(30c)이 부착된다. 건조 운전시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드럼(30)이 회전 구동된다.
(구성 기기)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40), 송풍 장치(50), 린트 제거 장치(100), 린트 박스(70) 등의 의류 건조기(1)를 구성하는 주요 기기는 의류 건조기(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들 기기가 의류 건조기(1)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대형이면서 고성능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重心)이 내려가므로 의류 건조기(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들 기기가 건조 운전 시에 진동을 발생하는 드럼(30)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순환 경로를 대형화,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저항을 줄여 압손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드럼(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열교환기(40)까지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는 후술하는 린트케이스(60)에 조립되어 있으며, 의류 건조기(1)의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흐르는 배기 덕트(45)에 배치된다.
(벽 유닛)
도 5 및 도 6에, 케이스(2)의 전면 내측에 결합되고 케이스(2)의 일부를 구성하는 벽 유닛(10)을 나타낸다.
벽 유닛(10)은 케이스(2)의 전면 내측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14)에는 외기 도입 팬(55), 배기구(20)가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13)는 지지 프레임(14)의 내면에 피봇된다.
내측 플랜지부(11)는 지지 프레임(14)에 의해 구성되며, 내측 플랜지부(11)의 하측에는 연결 덕트(15)가 형성된다.
연결 덕트(15)는 배기구(20)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기구(20)와 배기 덕트(45)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연결 덕트(15)는 세로 폭보다 큰 가로 폭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연결 덕트(15)의 하단부는 배기 덕트(45)와 연통된다.
연결 덕트(15)의 하측에는 좌우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배기 덕트(45)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자 형상 공간(16)이 형성된다. 상자 형상 공간(16)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 및 후술하는 린트케이스(60)가 장착된다.
상자 형상 공간(16)의 내측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가 마련된다. 상기 개구는 배기 덕트(45)의 전면의 개구(공기 유입구(17))와 일체로 접속된다.
상자 형상 공간(16)의 좌측 옆에는 린트 박스(70)가 배치된다.
린트 박스(70)의 상측에는 외기 도입 팬(55)이 배치된다.
(배기구)
배기구(20)는 복수의 핀 등으로 구성되며, 내측 플랜지부(11)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연결 덕트(15)의 상부의 내측 부분은 배기구(20)에 의해 구성된다. 배기구(20)의 상부(20a)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배기구(20)의 내측부(20b)는 궁형(弓形)으로 형성되며, 드럼(30)의 개구(30a)의 하단부와 앞뒤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배기구(20)의 폭 방향의 중심은 드럼(30)의 중심의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회전하는 드럼(30)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를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6)가 닫혔을 때, 배기구(20)의 상부(20a)는 도어(6)의 도어 돌출부(6a)와 간극을 두어 상하로 대향하고, 배기구(20)의 내측부(20b)는 드럼(30)의 내부와 대향한다. 즉 배기구(20)는 도어(6)가 닫혀진 상태에서 드럼(30)의 전방부와 연통된다.
건조 운전 중의 드럼(30)의 공기는 주로 배기구(20)의 내측부(20b)를 통하여 연결 덕트(15)로 안내되어 하측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배기 덕트)
배기 덕트(4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덕트(15)가 연장되는 방향(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배기 덕트(45)는 연결 덕트(15)의 하측 단부와 연통되고 아울러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 배기 덕트(45)는 연결 덕트(15)와 함께, 좌우 방향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한다.
배기 덕트(45)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상술한 상자 형상 공간(16)이 위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기 덕트(45)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을, 상자 형상 공간(16)으로 정의한다.
배기 덕트(45)는 케이스(2)의 바닥면(2c)에 덕트 커버(44)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상자 형상 공간(16)은 케이스(2)의 바닥면(2c)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고, 벽 유닛(10)의 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는 배기 덕트(45)의 일 부분은 세로 폭보다 큰 가로 폭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배기 덕트(45)의 유로 단면적은 연결 덕트(15)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마련되며, 배기 덕트(45)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 즉 상자 형상 공간(16)이 가장 유로 단면적이 넓은 영역으로 마련된다. 즉, 케이스(2)의 좌, 우 방향으로 상자 형상 공간(16)의 폭은 연결 덕트(15)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40)는 증발기(41), 응축기(42), 압축기(43) 등으로 구성된다.
증발기(41), 응축기(42)는 모두 세로 폭 보다 가로 폭이 큰 직육면체 형상의 외관을 가지고, 앞뒤로 나란하게 덕트 커버(44) 내에 수용, 배치된다. 즉 열교환기(40)는 배기 덕트(45)에 배치된다.
열교환기(40)는 배기 덕트(45)의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도 2의 화살표 참조)을 따라 린트 제거 장치(100)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드럼(30)의 바로 아래에 형성된 공간은 드럼(3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비하여 좁기 때문에, 체적이 큰 증발기(41) 등은 드럼(30)의 하부 일측에 치우쳐서 배치된다. 따라서, 건조 운전 시에 배기구(2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증발기(41)의 전방측으로부터 열교환기(40)로 유입되고, 증발기(41)에서 냉각되어 제습된 후, 응축기(42)에서 재가열되고, 건조한 상태로 열교환기(40)로부터 유출된다.
압축기(43)는 덕트 커버(44)의 좌측 옆에 배치된다.
열교환기(40)에는 이들 이외에도 도시를 생략한 밸브나 배관 등이 더 설치된다.
(송풍 장치)
송풍 장치(50)는 모터(51), 송풍팬(52), 팬 커버(53) 등으로 구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장치(50)는 배기 덕트(45)의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도 2의 화살표 참조)을 따라 열교환기(40)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케이스(2)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도입 팬(55)은 압축기(43)의 전방에 배치된다. 외기 도입 팬(55)은 벽 유닛(10)에 결합된다.
송풍팬(52)은 예를 들면 원심팬 등이며, 팬 커버(53)에 의해 커버된다. 팬 커버(53)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설치되며, 흡입구는 배기 덕트(45)의 후단(하류측)에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후방벽의 내면을 따라서, 급기 덕트(56)가 설치된다.
팬 커버(53)의 토출구는 급기 덕트(56)의 일단에 접속된다.
급기 덕트(56)의 타단에는 원형의 급기구(57)가 형성된다. 급기구(57)가 드럼(30)의 통기구(30b)와 대향됨으로써, 급기 덕트(56)는 급기구(57) 및 통기구(30b)를 통하여 드럼(30)의 후방부와 연통된다.
송풍팬(52)은 건조 운전 시에,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배기구(20)로부터 급기구(57)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드럼(30)을 경유하는 공기의 순환이 형성된다(도 2의 화살표 참조). 송풍팬(52)과 열교환기(40)에 의해, 개구(30a) 및 배기구(20)를 통하여 습한 공기가 드럼(30)으로부터 유출되고, 급기구(57) 및 통기구(30b)를 통하여 건조한 공기가 드럼(30)으로 유입된다.
(린트 제거 장치)
린트 제거 장치(100)는 배기구(2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도 7 및 도 8에, 린트 제거 장치(100)를 상세히 나타낸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프레임 부재(110), 스크류(120)(린트 이송체), 린트 필터(130)(제1 필터) 등으로 구성된다.
스크류(120)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에 마련된 나선 형상의 핀(122)을 포함한다. 핀(122)은 회전축(121)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핀(122)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핀(122)의 외경은 모두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스크류(120)의 일단에는 모터 등의 구동 장치(미도시)가 결합되어, 스크류(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한다.
프레임 부재(110)는 린트 처리부(112), 린트 도출부(113) 등으로 구성된다.
린트 처리부(11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 본체(112a)와, 스크류(120)의 회전축(121)의 축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의 격자(112b)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12a)와 격자(112b)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격자(112b) 사이에는 공기 도입구(112c)가 형성되며, 연결 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도입구(112c)로부터 린트 필터(130)로 유입된다.
격자(112b)는 린트 필터(130)를 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도 8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112b)의 하면은 상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포함한다. 이 곡면의 형상은 스크류(120)의 회전 궤적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린트 처리부(112)의 프레임 본체(112a)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에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2개의 돌출부(112d)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12d)는 린트 필터(1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임과 동시에, 린트 제거 장치(100)가 유지보수 박스(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린트 처리부(112)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된 린트 필터(13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린트 필터(130)는 린트를 통과시키지 않는 직경의 구멍을 갖는 시트 형상의 메시 필터(131)와, 메시 필터(131)를 지지하는 U자 형상 단면을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된 필터 프레임(132)으로 구성된다.
린트 필터(130)는 그 내측의 단면 원호 형상의 표면(포착면(130a))이 공기 유로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착면(130a)의 내경은 스크류(120)의 핀(122)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핀(122)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포착면(130a)에 접하는 고무판(122a)(탄성부재)이 부착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필터(130)는 프레임 부재(1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필터 프레임(132)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고, 필터 프레임(132)의 양측부의 상단 각각에는 돌기부(132a)가 마련된다. 린트 처리부(112)의 돌출부(112d)에는 돌기부(132a)에 대응한 걸림부(112e)가 형성된다.
필터 프레임(132)을 프레임 부재(110)의 하측에서부터 스크류(120)를 씌우도록 밀어넣으면, 필터 프레임(132)이 탄성 변형되여, 각 돌기부(132a)가 각 걸림부(112e)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린트 필터(130)가 린트 처리부(112)에 장착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의류의 건조 운전 중에는 작동하지 않고, 의류의 건조 운전이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예를 들면, 의류 건조기(1)의 운전 종료 후 또는 운전 시작 전 등의 송풍 장치(50)나 열교환기(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건조 운전 중에 순환하는 공기 중의 린트는 린트 필터(130)에 포착되고, 포착면(130a)에 축적된다. 린트 필터(130)는 적어도 1회의 건조 운전에서 발생하는 린트량으로는 막힘이 생기지 않는 크기 및 형상으로 설계된다.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는 포착면(130a)에 남는 린트에 의해 막 형상의 린트 덩어리가 형성되기 쉽다(린트막). 이 린트막은 스크류(12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120)에 의해 린트 필터(130)로부터 긁어 내어져서, 린트 필터(130)의 좌측으로 밀어 내어진다.
한편, 린트막을 긁어낼 수 있는 것이라면, 핀(122)에 고무판(122a)을 부착하지 않고, 핀(122)과 포착면(130a)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설정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 핀(122)의 선단의 일부에, 포착면(130a)에 접하여 린트막을 걸려들게 하는 돌기(기모 돌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 운전 중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으며, 린트를 일괄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린트의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복잡한 제어나 고기능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재 비용이나 러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린트 도출부(113)는 린트 처리부(112)의 좌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린트 도출부(113)는 린트 필터(130)로부터 밀어내어지는 린트막을 받아들여서, 그 린트막을 린트 박스(70)로 안내한다.
린트 도출부(11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21)의 축심 방향으로 린트 박스(70) 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된다. 린트 도출부(113)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13a)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13a)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유지보수 박스(60)에 부착된 상태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지지한다.
(린트 박스)
린트 박스(70)는 린트 도출부(113)의 좌측에 배치되며, 포착면(130a)로부터 긁어내어진 린트막을 저장한다.
린트 필터(130)의 좌단부에 인접하여 린트 박스(70)가 배치됨으로써, 복잡한 이송 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린트막을 용이하게 린트 박스(70)로 이송할 수 있다.
린트 박스(70)는 린트막을 수용하는 수용부(71)와, 수용부(71)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케이스(2)에 부착되는 전방 벽부(72)를 포함한다.
린트 박스(70)의 수용부(71)와 린트 도출부(113)는 케이스(2)(엄밀하게는 벽 유닛(10))의 상자 형상 공간(16)의 우상측의 일 부분에 형성된 린트 반송구(70a)와, 수용부(71)의 좌상측의 일 부분에 형성된 린트 수용구(71a)를 통하여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린트 필터(130)로부터 밀어내어진 린트막은 그대로 린트 박스(70)의 수용부(71) 내로 이송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의 린트 박스(70)는 린트케이스(60)와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린트케이스(60)와는 달리, 케이스(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박스(70)의 전방 벽부(72)에는 좌우로 파지부(73)가 각각 설치된다. 파지부(73)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당김으로써 린트 박스(7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벽부(72)의 일부는 투명하게 마련되며, 린트 박스(7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린트 박스(70) 내에 린트가 어느 정도가 쌓여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의장성의 관점에서, 린트 박스(70)의 전방 벽부(72)에 투명한 부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으므로, 린트 박스(70)의 전방 벽부(72)에 반드시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린트케이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에는 착탈 가능한 린트케이스(60)가 구비된다. 린트케이스(60)는, 케이스(2)의 전면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7)를 개방한 후, 케이스(2)에 인입되거나 케이스(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케이스(60)는 전방 벽부(62), 지지 프레임(63), 2차 필터(64)(제2 필터) 등을 일체로 포함하며, 상자 형상 공간(16)에 결합된다.
전방 벽부(62)와 2차 필터(64) 사이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는 린트케이스(60)를 통하여,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방 벽부(62)는 린트케이스(60)의 전면을 구성하며, 가로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지지 부재이다.
전방 벽부(62)의 전면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걸어서 린트케이스(60)의 인출이나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파지부(62a)가 형성된다.
전방 벽부(62)의 전면의 양단에는 린트케이스(60)를 상자 형상 공간(16)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한 쌍의 스토퍼(62b)가 설치된다. 한 쌍의 스토퍼(62b)에 의해, 전방 벽부(62)는 그 전면이 전방을 향하게 한 상태로 케이스(2)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3)은 가로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하측 벽부(63a), 우측 벽부(63b), 필터 지지부(63c) 등으로 구성된다.
하측 벽부(63a)는 전방 벽부(62)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우측 벽부(63b)는 하측 벽부(63a)의 우측 가장자리와 이어지고, 전방 벽부(62)의 우측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필터 지지부(63c)는 하측 벽부(63a)의 후방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필터 지지부(63c)의 우측 단부는 우측 벽부(63b)의 후단 가장자리와 연결된다.
전방 벽부(62), 하측 벽부(63a), 우측 벽부(63b), 및 필터 지지부(63c)가 접하는 경계 부분에는 이들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곡면부(63d)가 형성된다.
2차 필터(64)는 린트 제거 장치(100)의 린트 필터(130)를 통과한 린트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이다.
2차 필터(64)는 공기 유입구(17)를 덮는 메시 형상의 필터를 가지며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마련되는 프레임 부재(64a)와, 프레임 부재(64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2차 필터 본체(64b)를 포함한다.
프레임 부재(64a)는 전방 벽부(62)와 앞뒤로 떨어져서 대향하도록, 필터 지지부(63c)에 지지된다. 2차 필터 본체(64b)는 포집 성능이 높은 다공질성의 스폰지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 부재(64a)는 필터 지지부(63c)에 나사 고정됨으로써, 린트케이스(60)와 일체화된다. 2차 필터 본체(64b)는 프레임 부재(64a)에 삽입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린트케이스(6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필터 본체(64b)의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우수하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케이스(60)의 전방 벽부(62)와 필터 지지부(63c) 사이의 영역은 린트 제거 장치(1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65)으로 마련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가 수용 공간(65) 내에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 벽부(62) 및 필터 지지부(63c)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케이스(60)에 부착될 때, 린트 제거 장치(1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66)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전방 벽부(62)에는 우측 단부보다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와 좌측 단부보다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홈(66a)이 각각 형성되고, 필터 지지부(63c)에는, 전방 벽부(62)의 우측에 위치한 전방측 홈(66a)에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측 홈(66b)이 형성된다.
한편, 린트 처리부(112)의 전방측 부분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측으로 돌출된 전방측 돌기(114)가 각각 형성되고, 린트 처리부(112)의 후방측 부분의 우측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측으로 돌출된 후방측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를 린트케이스(60)에 장착할 때, 린트 처리부(112)의 좌우의 전방측 돌기(114)가 전방 벽부(62)의 좌우의 전방측 홈(66a)에 각각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린트 처리부(112)의 후방측 돌기(미도시)가 필터 지지부(63c)의 후방측 홈(66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린트 제거 장치(100)를 수용 공간(65)의 상측으로부터 수용 공간(65)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원활하게 수용 공간(65) 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케이스(60)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수용 공간(6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67)와 하측 지지부(68)가 설치된다.
전방측의 상측 지지부(67)는 전방 벽부(62)의 상부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된다(도 11 참조). 후방측의 상측 지지부(67)는 지지 프레임(63)의 필터 지지부(63c)의 상단의 가장자리부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가 수용 스페이스(6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측 지지부(67)에는 린트 처리부(112)의 돌출부(112d)가 결합된다.
하측 지지부(68)는 지지 프레임(63)의 하측 벽부(63a)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다. 하측 지지부(68)는 상측이 개방된 얇은 상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지지부(68)에는 하측 지지부(68)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날개 형상부(68a)가 형성되며, 린트 제거 장치(100)의 린트 도출부(113)의 돌출부(113a)는 날개 형상부(68a)의 선단 부분에 결합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가 수용 공간(65)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날개 형상부(68a)의 선단에 돌출부(113a)가 결합된다.
돌출부(113a)가 날개 형상부(68a)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린트 제거 장치(100)가 지지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제거 장치(100)는 린트케이스(60)에 장착된 상태로, 지지 프레임(63)의 하측 벽부(63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케이스(2)의 바닥면(2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린트케이스(60)는, 린트케이스(60)에 린트 제거 장치(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린트케이스(60) 전방 벽부(62)가 전방을 향한 상태로 상자 형상 공간(16)에 끼워 넣어지고,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케이스(2) 내부의 린트케이스(60)가 배치되는 부분의 바닥면, 즉 상자 형상 공간(16)을 구성하는 케이스(2)의 바닥면(2c)(엄밀하게는 벽 유닛(10)의 바닥면)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브(18)가 형성된다. 린트케이스(60)는, 복수개의 리브(18)에 지지 프레임(63)의 하측 벽부(63a)가 마운트된 상태로, 상자 형상 공간(16)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리브(18)에는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18)가 마운트된다.
복수개의 리브(18)에 의해, 케이스(2)의 바닥면(2c)과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 간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할 때 및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에 장착할 때, 케이스(2)의 바닥면(2c)과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 간의 미끄럼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린트케이스(60)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린트케이스(60)이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도 8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제거 장치(100)는 상자 형상 공간(16) 내, 즉 배기 덕트(45)의 내부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에, 린트 필터(130)가 케이스(2)의 바닥면(2c)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 린트 제거 장치(10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체가 열교환기(40)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2차 필터(64)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케이스(60)가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기 덕트(45)의 내부에서 열교환기(40)보다 상류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17)의 전면에 밀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린트케이스(60)가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린트 도출부(113)의 개구와 린트 반송구(61a)는 서로 연결된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린트케이스(60)가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는 케이스(2)에는 직접 지지되지 않고, 또, 2차 필터(64)도 린트 제거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2)에는 직접 지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린트케이스(60)가 케이스(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 및 2차 필터(64)가 케이스(2)에 직접 지지되지 않으므로,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했을 때, 린트 제거 장치(100) 및 2차 필터(64)도 린트케이스(60)와 함께 케이스(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나 2차 필터(64)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하면, 린트 제거 장치(100) 및 2차 필터(64)가 린트케이스(60)와 함께 케이스(2)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7)는 상자 형상 공간(16)의 안쪽에 있어서, 린트 필터(130)보다도 경사지게 후방에 위치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로 긴 배기구(20)의 우측 경사 하측에, 가로로 긴 연결 덕트(15)를 통하여 가로로 긴 린트 제거 장치(100)가 근접하게 위치한다. 린트 제거 장치(100)의 후방측에 가로로 긴 공기 유입구(17)가 근접하게 위치한다. 공기 유입구(17)의 후방에는 증발기(41)가 근접하게 위치한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덕트(15)가 아니라 연결 덕트(15)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배기 덕트(45)에 린트 제거 장치(100)가 배치된다. 따라서, 드럼(30)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가로 폭이 큰 띠 형상의 흐름을 형성하고, 공기 흐름의 단면적이 거의 변하지 않고, 배기 덕트(45) 내로 안내되어 열교환기(40)까지 도달한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으며, 낮은 부하로 원활한 공기의 순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덕트(45) 내부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상자 형상 공간(16)에 린트 제거 장치(100)가 배치된다. 상자 형상 공간(16)은 배기 덕트(45) 전체에서 유로 단면적이 큰 부분이기 때문에,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린트 필터(130)가 케이스(2)의 바닥면(2c)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배기 덕트(45)를 흐르는 공기는 린트 필터(130) 전체를 빠져 나갈 수 있다.
또한, 린트 필터(130)는 가늘고 긴 통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충분히 큰 여과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120)에 의해, 린트 필터(130)의 전역에 흐트러짐이 적은 공기가 고르게 분배되므로, 린트 필터(130)의 전역에서 린트가 균등하게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린트의 발생량이 많아도 막힘이 생기지 않으므로,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를 통과하여 흐르는 공기 중에서, 스크류(120)의 안쪽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핀(122)의 경사에 의해, 우측 경사 하측을 향하는 흐름으로 정류된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의 우측 경사 하측에 위치하는 2차 필터(64) 및 공기 유입구(17)로 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스크류(120)의 전방을 흐르는 공기는 핀(122)의 경사에 의해, 공기 유입구(17)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즉, 배기구(20)로부터 좌측 경사 하측을 향하는 흐름으로 정류된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상자 형상 공간(16)에서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공기가 린트 제거 장치(100)의 린트 필터(130)를 좌측 경사 하측을 향하여 빠져 나온 후, 린트 제거 장치(100)의 하측에 있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 도달한다. 상기 공간에는 장해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상기 공간에 도달한 공기는 송풍 장치(50)의 작용에 의해 2차 필터(64) 및 공기 유입구(17)를 향하여 흐른다.
또, 린트 제거 장치(100)의 린트 필터(130)를 빠져 나오는 공기의 일부는 후방으로 편향되지만, 상자 형상 공간(16)에 배치되는, 린트케이스(60)의 지지 프레임(63)에는 곡면부(63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 덕트(15)로부터 상자 형상 공간(16)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2차 필터(64) 측에 더욱 한층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에 장착했을 때 린트 제거 장치(100)가 상자 형상 공간(16)에 위치하고,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했을 때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케이스(60)와 함께 케이스(2)로부터 분리되도록,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케이스(60)에 장착된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의 착탈이 용이하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린트 제거 장치(100)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린트 제거 기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에 린트가 쌓이는 것에 따른 공기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고,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더 한층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전후 방향으로 전방 벽부(62)와 필터 지지부(63c) 사이에서, 하측 벽부(63a)로부터 이격하여 장착된다. 따라서 린트케이스(60), 린트 제거 장치(100) 및 2차 필터(64)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유지보수 시에, 린트 제거 장치(100) 및 2차 필터(64)가 린트케이스(60)에 장착된 상태로, 린트케이스(60)를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린트케이스(60)을 케이스(2)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전방 벽부(62)와 필터 지지부(63c) 사이에 린트 제거 장치(100)를 장착할 때, 린트 제거 장치(1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66)가 전방 벽부(62) 및 필터 지지부(63c)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성이 한층 향상된다. 즉 린트 제거 장치(100)를 쉽게 유지보수하기 하기 위해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를 린트케이스(6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지보수 이후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를 다시 린트케이스(60)에 부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장착할 때에, 린트 제거 장치(100)를 안내하는 가이드부(66)가 설치되어 있으면, 린트 제거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유지보수성이 한층 향상된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부재(110)의 린트 처리부(112)에 격자(112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린트막을 린트 박스(70)로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 즉 스크류(120)를 회전시킴으로써 린트 필터(130)로부터 린트막을 긁어낼 때 스크류(120)의 핀(122)을 따라서 긁어낸 린트막이 상측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린트 처리부(112)에 격자(112b)가 설치되어 있으면, 이 린트막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격자(112b)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1 실시형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가 배기 덕트(4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이 저감되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건조기(201)에 있어서, 린트 제거 장치(100)의 주변을 나타낸다.
본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케이스(60)에 장착되지 않고 케이스(2)(엄밀하게는 벽 유닛(10))에 직접 장착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본 제2 실시형태에서는, 2차 필터(64)도 린트 제거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린트케이스(60)에 부착되지 않고 케이스(2)에 직접 장착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덕트(45),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 덕트(45)에서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도 15의 상자 형상 공간(16))에, 케이스(2)의 바닥면(2c)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린트 제거 장치(100)에 의한 공기의 압손을 저감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케이스(2)에 고정되거나,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를 케이스(2)의 내부에 지지하기 구조는, 린트 제거 장치(100)를 케이스(2)의 바닥면(2c)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자 형상 공간(16)에 배치할 수 있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린트 제거 장치(100)의 린트 처리부(112)의 프레임 본체(112a)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울러 프레임 본체(112a)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돌출부가 형성되고, 케이스(2)의 좌우의 측벽부에 상기 돌출부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홈이 형성되어, 린트 처리부(112)의 상기 돌출부를 케이스(2)의 측벽부의 상기 걸어맞춤 홈에 걸어맞춤으로써, 린트 제거 장치(100)가 케이스(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배기 덕트(45) 내부의 연결 덕트(15)와 연통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기 덕트(45) 내부의 열교환기(40)보다 상류측의 부분이라면, 린트 제거 장치(100)가 연결 덕트(15)와 연통 부분 이외의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덕트(45)는 연결 덕트(15)와 함께, 좌우 방향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지만, 배기 덕트(45)와 연결 덕트(15)가 대략 L자 형상을 이루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박스(70)는 린트케이스(60)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린트 박스(70)가 린트케이스(6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린트케이스(60)의 전방 벽부(62)가 케이스(2)의 전방 벽부(벽 유닛(10)의 전방 벽부)의 폭방향을 따라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린트 제거 장치(100)에서, 린트막이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반송되어 좌측에 설치된 린트 박스(70)로 유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 유입구(17)의 우측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린트 박스(70)가 공기 유입구(17)의 우측에 배치되고, 린트막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반송되도록 린트 제거 장치(1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의 바닥면(2c)에 복수개의 리브(18)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의 바닥면(2c)에 리브가 형성되지 않고, 대신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의 하면에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케이스(2)의 바닥면(2c)과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 간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케이스(2)의 바닥면(2c)과 린트케이스(60)의 하측 벽부(63a) 간의 미끄럼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의류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에 유용하다.

Claims (2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급기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 덕트;
    상기 배기구와 상기 배기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 와,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덕트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연결 덕트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가지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포집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린트 이송체를 포함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덕트는 그 내부에서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기 덕트를 향하여 하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기 덕트는 그 내부에서 상기 연결 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드럼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후방으로 흐르도록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연결 덕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덕트 내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되는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배기 덕트 내에서 상기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하류에 배치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단부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배기 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 1 필터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건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수용하여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린트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그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배기 덕트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린트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제 1 필터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를 포함하는 건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는 상기 배기 덕트 내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건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케이스는, 전방 벽부와, 상기 전방 벽부의 후방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전방 벽부의 내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벽부와, 상기 하측 벽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필터를 지지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케이스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전방 벽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 사이에 수용되는 건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부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가 상기 린트 케이스에 장착될 때,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방 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건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은, 상기 린트 케이스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하측 벽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건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린트 제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좌, 우 방향으로 상기 수용 공간의 폭은 상기 연결 덕트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건조기.
  20. 제1항에 있어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덕트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형성되는 건조기.
KR1020207002248A 2017-11-24 2018-11-23 건조기 KR102629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5387A JP7044525B2 (ja) 2017-11-24 2017-11-24 衣類乾燥機
JPJP-P-2017-225387 2017-11-24
PCT/KR2018/014563 WO2019103544A1 (ko) 2017-11-24 2018-11-2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476A true KR20200079476A (ko) 2020-07-03
KR102629973B1 KR102629973B1 (ko) 2024-01-29

Family

ID=6663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248A KR102629973B1 (ko) 2017-11-24 2018-11-23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41257B2 (ko)
JP (1) JP7044525B2 (ko)
KR (1) KR102629973B1 (ko)
WO (1) WO20191035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50A1 (ko) * 2022-02-24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3965A1 (ja) * 2017-09-01 2019-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KR20210075449A (ko) * 2019-12-13 2021-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WO2022108146A1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US11098437B1 (en) * 2021-01-13 2021-08-24 Kenneth Steve Ramsey Lint exhaust duct cleaning tool and method for cleaning a clothes dryer ventilation system
US20220349112A1 (en) * 2021-04-28 2022-11-03 Whirlpool Corporation Side access panel for lint filter of laundry appliance
USD1017149S1 (en) * 2021-10-15 2024-03-0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rying machine for laundry purpo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789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JP2014033841A (ja) *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1580B2 (ja) * 1993-07-30 2000-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H11319380A (ja) * 1998-05-12 1999-11-24 Sharp Corp 洗濯機
KR101603106B1 (ko) * 2009-03-0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JP2014068655A (ja) * 2012-09-27 2014-04-21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102029241B1 (ko) * 2012-12-07 2019-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5747240B2 (ja) 2014-01-24 2015-07-08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薬剤が細胞に与える影響を評価するシステム
KR102201868B1 (ko) * 2014-03-07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6282196B2 (ja) * 2014-08-25 2018-02-2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6101373A (ja) * 2014-11-28 2016-06-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US10077528B2 (en) * 2014-11-28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JP2016107025A (ja) * 2014-11-28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US10443180B2 (en) 2015-02-16 2019-10-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706962B1 (ko) * 2015-03-02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789A (ja) * 2011-12-28 2013-07-11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JP2014033841A (ja) *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450A1 (ko) * 2022-02-24 2023-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92900A (ja) 2019-06-20
US20200378055A1 (en) 2020-12-03
KR102629973B1 (ko) 2024-01-29
JP7044525B2 (ja) 2022-03-30
WO2019103544A1 (ko) 2019-05-31
US11441257B2 (en)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9476A (ko) 건조기
US11932983B2 (en) Lint removing apparatus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KR101993226B1 (ko) 의류처리장치
TWI395853B (zh) 烘乾機
WO2017023122A1 (ko) 세탁물 처리장치
CN101775735B (zh) 干衣机及其异物去除装置
KR102086508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2342579B1 (ko) 의류 건조기
JP2016107025A (ja) 衣類乾燥機
JP5292222B2 (ja) 衣類乾燥機
KR20140087555A (ko) 의류처리장치
TWI437150B (zh) Drying apparatus
KR20140087553A (ko) 의류처리장치
JP2018033794A (ja)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TWI448602B (zh) A drying treatment device and a removing device
KR20210047013A (ko) 의류 건조기
CN111164256B (zh) 烘干机
JP2016101368A (ja) 衣類乾燥機
JP5596210B2 (ja) 衣類乾燥機
CN111051600A (zh) 衣物处理装置
JP2016101374A (ja) 衣類乾燥機
JP2014073289A (ja) 除去装置及び乾燥処理装置
CN111074511B (zh) 过滤组件及衣物处理装置
US10132024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5387097A (zh) 衣物处理设备及其烘干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