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449A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5449A KR20210075449A KR1020190166523A KR20190166523A KR20210075449A KR 20210075449 A KR20210075449 A KR 20210075449A KR 1020190166523 A KR1020190166523 A KR 1020190166523A KR 20190166523 A KR20190166523 A KR 20190166523A KR 20210075449 A KR20210075449 A KR 202100754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r
- lint
- coupled
- driving device
- clothes dr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B01D46/006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8—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using one or more blowing devices, e.g. nozzle bar, the effective area of which is adjustable to the width of the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건조기가 개시된다.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와,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린트 제거 장치의 결합 및 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열풍을 드럼 내로 강제 송풍시켜 드럼에 투입되어 있는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건조기는 기본적으로 드럼세탁기와 그 외형에 있어 서로 비슷하며, 히터와 송풍팬을 통해 가열된 열풍을 드럼 내로 강제 순환시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린트(보풀)가 포함될 수 있다.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드럼 내로 순환되며 따라서 순환 전에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린트 제거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착하며 분리가 가능한 필터와, 필터의 표면에 남는 린트를 긁어서 필터의 일 단부로부터 밀어내는 회전부재 및 필터의 타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필터의 타 부로 밀어내진 린트를 축적하는 린트 박스를 구비할 수 있다.
건조기 필터는 사용자가 직접 탈거하여 청소 후 장착하게 되어 있으며 건조기 내에 별도의 필터 청소 모듈이 구비되지 않았다. 따라서, 건조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탈거해야 했고, 필터 청소를 하지 않을 경우 린트가 누적되어 건조 성능이 저하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린트 제거 장치를 쉽게 분리 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린트 제거 장치가 쉽게 분리되기 때문에 린트 필터를 쉽게 청소 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와,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2커플러가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회전되게 마련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커버를 따라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가 열리면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게 마련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홀더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커플러를 상기 제2커플러에서 분리시키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2커플러의 외측에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홀더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의 회전방향을 안내하는 나사산 형상의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플러를 향하도록 가압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와,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나선형의 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 시킬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일체로 형성되는 종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종단기어와 결합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형성되는 나사산 및 상기 종단기어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어 상기 종단기어의 회전방향을 안내하는 나사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와,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나선형의 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홀더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커플러를 상기 제2커플러에서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플러를 향하도록 가압되는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커플러 구조를 사용하여 쉽게 분리 될 수 있는 린트 제거 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홀더와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간편한 동작으로 린트 제거 장치를 분리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커플러 구조를 사용하여 구동장치와 린트 제거 장치의 결합장치에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린트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 케이스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린트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 케이스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의류 건조기(1)를 나타낸다. 의류 건조기(1)는 공기 순환형이며,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건조 공기로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는 캐비닛(2)과 투입구(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은 직육면체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입구(3)는 캐비닛(2)의 전면(前面) 상부에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3)는 말굽 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구(3)의 상측 부분은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투입구(3)의 하단부는 수평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3)의 상측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조작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2) 내부의 조작부(4) 후방에는 제어부(5)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의 전면에는 도어(6)가 힌지를 통하여 결합되고, 투입구(3)는 도어(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30)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30)의 전방에는 의류를 넣고 빼기 위한 개구(30a)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개구(30a)가 투입구(3)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드럼 및 열교환기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드럼(3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비닛(2)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30)의 후단부의 중심 부분이 캐비닛(2)의 후방부에 결합되고, 드럼(30)의 전단부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이 캐비닛(2)의 전방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13)에 지지된다.
드럼(30)의 후단부에는 메시 필터로 덮어진 원형의 통기구(30b)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면에는 교반판(30c)이 부착될 수 있다. 교반판(30c)은 드럼(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 운전시에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드럼(30)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열교환기(40), 송풍 장치(50), 린트 제거 장치(100), 린트 박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40), 송풍 장치(50), 린트 제거 장치(100), 린트 박스(70)는 의류 건조기(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대형이면서 고성능의 의류 건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무게 중심(重心)이 아래로 내려가므로 의류 건조기(1)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건조 운전 시에 진동을 발생하는 드럼(30)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의 순환 경로를 대형화,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공기 저항을 줄여 압력 손실을 저감시키고, 드럼(30)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열교환기(40)까지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린트 제거 장치(100)는 후술하는 린트케이스(60)에 조립되어 있으며, 의류 건조기(1)의 하부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흐르는 배기 덕트(45)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 장치(50)는 송풍모터(51), 송풍팬(52), 팬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장치(50)는 배기 덕트(45)의 내부에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열교환기(40) 보다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2)의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기 도입 팬(55)은 압축기(4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도입 팬(55)은 전방 벽(10)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52)은 원심 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송풍팬(52)은 팬 커버(53)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팬 커버(53)에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설치되며, 흡입구는 배기 덕트(45)의 하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급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의 후방벽 내면을 따라서 급기 덕트(56)가 설치될 수 있다. 팬 커버(53)의 토출구는 급기 덕트(56)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 덕트(56)의 타단에는 급기구(57)가 형성될 수 있다. 급기구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56)는 급기구(57) 및 통기구(30b)를 통하여 드럼(30)의 후방부와 연통될 수 있다.
송풍팬(52)은 건조 운전 시에, 송풍모터(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배기구(20)로부터 급기구(57)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드럼(30)을 경유하는 공기의 순환이 형성된다(도 2의 화살표 참조). 송풍팬(52)과 열교환기(40)에 의해, 개구(30a) 및 배기구(20)를 통하여 습한 공기가 드럼(30)으로부터 유출되고, 급기구(57) 및 통기구(30b)를 통하여 건조한 공기가 드럼(30)으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전방 벽을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방 벽(10)은 캐비닛(2)에 포함될 수 있고, 전면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벽(10)은 캐비닛(2)의 전면 내측에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지지 프레임(14)에는 외기 도입 팬(55), 배기구(2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3)는 지지 프레임(14)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1)는 지지 프레임(14)에 의해 형성되며, 내측 플랜지부(11)의 하측에는 연결 덕트(15)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플랜지부(11)의 하단부에는 배기구(2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덕트(15)는 배기구(20)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기구(20)와 배기 덕트(45)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덕트(15)는 세로 폭이 가로 폭 보다 크도록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덕트(15)의 하단부는 배기 덕트(45)와 연통될 수 있다.
연결 덕트(15)의 하측에는 좌우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배기 덕트(45)의 일부를 포함하는 수용 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6)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 및 후술하는 린트 케이스(60)가 장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6)의 내측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개구가 마련될수 있다. 상기 개구는 배기 덕트(45)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17)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수용 공간(16)의 일측에는 린트 박스(70)가 배치될 수 있다. 린트 박스(70)의 상측에는 외기 도입 팬(55)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덕트(15) 상부의 내측 부분은 배기구(20)와 연결될 수 있다. 배기구(20)의 상부(20a)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0)의 내측부(20b)는 역으로 된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은 드럼(30)의 중심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드럼(30)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를 치우침 없이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6)가 닫혔을 때, 배기구(20)의 상부(20a)는 도어(6)의 도어 돌출부(6a)와 간극을 두어 상하로 마주보게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20)는 도어(6)가 닫혀진 상태에서 드럼(30)의 전방부와 연통될 수 있다.
건조 운전 중의 드럼(30)내 공기는 주로 배기구(20)의 내측부(20b)를 통하여 연결 덕트(15)로 안내되어 하측을 향하여 흐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45)는 연결 덕트(15)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기 덕트(45)는 연결 덕트(15)의 하측 단부와 연통되고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기 덕트(45)는 좌우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 덕트(45)와 연결 덕트(15)가 연통되는 부분에는 수용 공간(16)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배기 덕트(45)와 연결 덕트(15)가 연통되는 부분을 수용 공간(16)로 정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 제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린트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린트케이스(60)의 착탈 과정을 나타낸 개략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린트 제거 장치(100)는 배기구(2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장치이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프레임 부재(110), 회전부재(120), 린트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20)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에 마련된 나선 형상의 핀(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핀(122)은 회전축(121)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핀(122)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핀(122)의 외경은 모두 동일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120)의 일단에는 모터(143a)를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결합되어, 회전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프레임 부재(110)는 린트 처리부(112), 린트 도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린트 처리부(11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본체(112a)와, 회전부재(120)의 회전축(121)의 축 방향과 교차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복수의 격자(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은 제2회전축(121)이 될 수 있다. 제1회전축(182)은 후술한다.
프레임 본체(112a)와 격자(112b) 사이 및 서로 인접하는 격자(112b) 사이에는 공기 도입구(112c)가 형성되며, 연결 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 도입구(112c)로부터 린트 필터(130)로 유입된다.
격자(112b)는 린트 필터(130)를 향하는 하면을 포함할 수 있고, 격자(112b)의 하면은 상측으로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의 형상은 회전부재(120)의 회전 궤적의 일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린트 처리부(112)에서 프레임 본체(112a)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에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2개의 돌출부(112d)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2d)는 린트 필터(1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케이스(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다.
린트 필터(130)는 린트 처리부(112)에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린트 필터(130)는 린트 처리부(11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린트 필터(130)는 린트를 통과시키지 않는 홀을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메시 필터(131)와, 메시 필터(131)를 지지하는 U자 형상 단면을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된 필터 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린트 필터(130)는 그 내측의 단면 원호 형상의 수집면(130a)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면(130a)은 공기 유로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면(130a)의 안쪽 직경은 회전부재(120)의 핀(122)의 바깥쪽 직경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핀(122)의 외측에는 수집면(130a)에 접하는 고무판(122a)이 부착될 수 있다.
린트 필터(130)는 프레임 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132)은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 프레임(132)의 양측부 상단 각각에는 돌기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린트 처리부(112)의 돌출부(112d)에는 돌기부(132a)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걸림부(112e)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프레임(132)을 프레임 부재(110)의 하측에서부터 회전부재(120)를 씌우도록 밀어 넣으면, 필터 프레임(132)이 탄성 변형되여, 각 돌기부(132a)가 각 걸림부(112e)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린트 필터(130)가 린트 처리부(112)에 장착된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의류 건조기(1)의 운전 종료 후 또는 운전 시작 전, 예를 들면, 송풍 장치(50)나 열교환기(4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건조 운전 중에 순환하는 공기 중의 린트는 린트 필터(130)에 포착되고, 수집면(130a)에 축적된다. 린트 필터(130)는 적어도 1회의 건조 운전에서 발생하는 린트량으로는 막힘이 생기지 않는 크기 및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는 수집면(130a)에 남는 린트에 의해 막 형상의 린트 덩어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린트막은 회전부재(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재(120)에 의해 린트 필터(130)로부터 긁어 내어져서, 린트 필터(130)의 일측으로 밀어 내질 수 있다.
한편, 린트막을 긁어낼 수 있다면, 핀(122)에 고무판(122a)을 부착하지 않고, 핀(122)과 수집면(130a)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핀(122)의 선단의 일부에 수집면(130a)에 접하여 린트막이 걸리게 하는 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
건조 운전 중에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건조 운전 전 또는 운전 종료 후에 린트를 일괄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린트의 제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복잡한 제어나 고기능의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기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린트 도출부(113)는 린트 처리부(112)의 일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린트 도출부(113)는 린트 필터(130)로부터 밀어내지는 린트막을 린트 박스(70)로 안내할 수 있다.
린트 도출부(113) 회전축(121)의 축 방향으로 린트 박스(70)를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드 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린트 도출부(113)는 그 하면에서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13a)는 린트 제거 장치(100)가 린트 케이스(60)에 부착된 상태로 린트 제거 장치(100)를 지지할 수 있다.
린트 박스(70)는 린트 도출부(113)의 일측에 배치되며, 수집면(130a)로부터 긁어내어진 린트막을 저장할 수 있다.
린트 필터(13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여 린트 박스(70)가 배치됨으로써, 복잡한 이송 기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린트막을 용이하게 린트 박스(70)로 이송할 수 있다.
린트 박스(70)는 린트막을 수용하는 수용부(71)와, 수용부(71)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캐비닛(2)에 부착되는 박스 전면(72)을 포함할 수 있다.
린트 박스(70)의 수용부(71)와 린트 도출부(113)는 수용 공간(16)의 오른쪽 상측의 일 부분에 형성된 린트 반송구(70a)와, 수용부(71)의 왼쪽 상측의 일 부분에 형성된 린트 수용구(71a)를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린트 필터(130)로부터 긁어 내어진 린트막은 린트 박스(70)의 수용부(71) 내로 이송될 수 있다.
의류 건조기(1)의 린트 박스(70)는 린트 케이스(60)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며, 캐비닛(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린트 제거 장치(100)는 우측에 배치되는 구동장치(140)와 결합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린트 박스(70)의 박스 전면(72)에는 좌우로 파지부(73)가 각각 설치된다. 파지부(73)를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당김으로써 린트 박스(70)를 캐비닛(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박스 전면(72)의 일부는 투명하게 마련되며, 린트 박스(70)를 캐비닛(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린트 박스(70) 내에 린트가 어느 정도가 쌓여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린트 박스(70)의 박스 전면(72)에 투명한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린트케이스(60)를 개방할 수 있도록 린트케이스(60)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 커버(8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면 커버(80)의 내부에는 린트케이스(60)가 수용될 수 있다.
전면 커버(80)를 열면 린트케이스(60)의 내측에는 린트 제거 장치를 인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손잡이(6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의류 건조기는 링크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커버(80)는 전면 커버(80)가 열림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부재(170)와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재(170)는 후술할 결합장치(150)의 홀더(154)와 연결될 수 있고 홀더(154)도 링크부재(170)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결합장치(150)의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 된 경우에 전술한 손잡이(61)를 이용하여 린트 제거 장치(100)를 의류 건조기(1)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이하게 린트 제거 장치(100)를 청소하고, 린트 필터(130)를 교체할 수 있다.
린트 제거 장치(100)는 케이스(181), 구동장치(140), 결합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내부에 복수의 기어(1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연결된 모터(143a)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3a)는 작동하여 동력을 생산할 수 있다.
모터(143a)와 연결된 복수의 기어(142)를 통해 생산된 동력은 회전부재(1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부재(120)는 린트 필터(130)에 축적된 린트막을 긁어내어 린트 박스(70)로 보낼 수 있다.
케이스(181)는 구동장치(14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81)는 복수의 기어(14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케이스(181a)와 후술할 종단기어(141)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케이스(1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181a)는 제1회전축(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182)에는 후술할 종단기어(141)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종단기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동력을 결합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탄성부재(153)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복수의 기어(142)와 연결되어 모터(143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41a)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1a)는 제1커플러(151)와 결합되도록 제1커플러(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41a)는 돌출부(141a)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3a)에서 전달된 동력은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로 연결되어 회전부재(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결합장치(150)는 제1커플러(151), 제2커플러(152), 탄성부재(153), 홀더(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플러(151)는 종단기어(141)의 돌출부(141a)와 결합되어 제2커플러(152)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커플러(151)와 종단기어(141)는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는 종단기어(141)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플랜지에 대응되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커플러(151)의 홀에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커플러(152)는 제1커플러(151)에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커플러(152)는 제1커플러(151)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커플러(152)는 제2회전축(121)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2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린트 제거 장치(100)의 결합 및 분리에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사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기어만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던 경우에 기어가 깨졌던 점을 해결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제1커플러(151)와 종단기어(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므로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전면 커버(80)가 열리는 경우 링크부재(170)와 홀더(154)가 회전하며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종단기어(141) 측으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력을 받은 탄성부재(153)는 전면커버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80)가 더 많이 열릴수록 개방하는데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전면 커버(80), 링크부재(170), 홀더(154)가 연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면 커버(80)를 개폐함으로써 하나의 동작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홀더(154)는 프레임 부재(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 경사면(154d)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홀더(154)가 이탈되지 않을 수 있고, 전면 커버(80)가 회전함에 따라 홀더 경사면(154d)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홀더(154)가 회전할 수 있다.
홀더(154)는 홀더 바디(154a)와 홀더 암(154b)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154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암(154b)은 홀더 바디(154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154a)와 홀더 암(154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154)는 링크부재(170)와 연결되어 전면 커버(80)의 개폐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전면 커버(80)가 열림에 따라 홀더(154)가 A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홀더(15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한 탄성부재(153)의 압축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전면 커버(80)가 닫힌 경우 홀더 암(154b)은 상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전면 커버(80)가 열리는 경우 홀더(154)는 A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홀더 암(154b)은 전방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154)가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B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체결부(172)와 결합된 삽입 홀(154c)은 제2체결부(172)를 통해 링크부재의 제3부분(170c) 측으로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전면 커버(80)가 열린 경우, 링크부재의 제3부분(170c)과 삽입 홀(154c)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 암(154b)은 삽입 홀(154c)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은 홀더 암(154b)의 단부에 링크부재(1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링크부재(170)는 제1부분(170a), 제2부분(170b), 제3부분(17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170a)의 일 단부는 전면 커버(8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부분(170a)은 전면 커버(8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부분(170b)은 제1부분(170a)과 제3부분(170c)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부분(170a)과 제3부분(170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부분(170a)과 제2부분(170b)의 연결부는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170b)과 제3부분(170c)의 연결부도 절곡된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부분(170c)의 일 단부는 홀더 암(154b)과 연결되도록 제2체결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부분(170c)은 홀더(15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 암(154b)에 마련된 삽입 홀(154c)과 제2체결부(172)는 압입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홀더 암(154b)과 제2체결부(172)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 커버(80)와 린트케이스(60)는 일 측에 마련된 힌지부(81)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81)는 스토퍼(18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토퍼(184)는 제2케이스(181b)의 일측에 마련되어 홀더(154)의 회전 각도 및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전면 커버(80)가 닫힌 경우 홀더 암(154b)은 스토퍼(184)의 제1부분(184a)에 의해 A방향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반면, 전면 커버(80)가 열리는 경우 홀더 암(154b)은 스토퍼(184)의 제2부분(184b)에 의해 A방향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184)로 인해 홀더(154)가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고 전면 커버(80)의 개폐 및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과 분리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1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는 각각 결합면(151b, 152b)과 경사면(151c, 152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커플러(151)는 제1결합면(151b)과 제1경사면(151c)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커플러(152)는 제2결합면(152b)과 제2경사면(152c)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구동모터(143b)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키지 않고 결합장치(15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의류 건조기는 양방향 구동모터(143b)의 회전방향을 제어할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면(151b)과 제2결합면(152c)은 구동모터(143b)가 정방향으로 회전시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면(151c)과 제2경사면(152c)은 구동모터(143b)가 역방향으로 회전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52c)에서 외주면의 길이는 내주면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주면에서 경사가 외주면에서 경사 보다 가파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 및 제2커플러(152)가 결합면(152b)과 경사면(152c)을 각각 포함하므로 정방향 회전시 결합면(152b)에 맞물려 동력 전달이 잘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역방향 회전시 경사면(152c)을 통해 용이하게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143b)는 정방향으로 회전시 회전부재(120)가 회전하여 린트 필터(130)에 축적된 린트막을 긁어 낼 수 있다. 반면, 역방향으로 회전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서로의 역회전 경사면(152c)을 미끄러지면서 분리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각각 경사면(151c, 152c)을 가지기 때문에 구동모터(143b)의 비교적 약한 구동력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제1케이스(181a)는 제1회전축(1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182)에는 종단기어(14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축(182)은 나사산(182a)을 포함할 수 있다. 종단기어(141)에는 나사산(182a)에 대응한 나사골(14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종단기어(141)와 제1회전축(182)이 보다 잘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43b)에 의해 A방향으로 회전시 종단기어(141)의 나사골(141b)과 제1회전축(182)의 나사산(182a)이 결합된 부분을 따라 종단기어가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나사산(182a)과 나사골(141b)로 인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및 분리에 따라 경로의 이탈 없이 용이하게 종단기어(141)가 회전하여 B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탄성부재(153)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복수의 기어(142)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제1커플러(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에서 종단기어(141)로 전달된 동력은 제2커플러(152)로 전달되어 회전부재(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종단기어(141)를 포함하고, 결합장치(150)가 제1커플러(151)를 포함하나, 종단기어(141)와 제1커플러(151)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구동장치(140)와 결합장치(150)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제1케이스(181a)와 종단기어(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43b)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탄성부재(153)는 제2회전축(121) 상에 마련되며 제2커플러(152)와 핀(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143b)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되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종단기어(141)로부터 제1케이스(181a) 측으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력을 받은 탄성부재(153)는 제1커플러(151) 및 제2커플러(152)가 경사면(152c)을 통해 미끄러져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때까지 점점 더 많은 구동모터(143b)의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므로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분리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홀더(15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54)는 홀더 바디(154a), 홀더 바(154e), 홀더 넥(154d)을 포함 수 있다. 홀더 바디(154a), 홀더 바(154e), 홀더 넥(154d)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홀더 바(154e)는 제1커플러(151) 및 제2커플러(152)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경우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르고 밀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홀더 넥(154d)은 홀더 바디(154a)와 홀더 바(154e)를 연결시키도록 배치된다. 홀더 바디(154a), 홀더 넥(154d) 및 홀더 바(154e)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154e)를 A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하기 제1가이더(183)를 따라 홀더(154)가 회전하게 되고, 홀더(154)는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홀더(154)가 B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는 분리될 수 있다.
홀더(154)는 제1커플러(151)의 외측에 제1커플러(151)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케이스(181b)는 홀더(154)의 회전운동(A방향 운동)이 직선운동(B방향 운동)으로 바뀌는 것을 반영하고, 홀더(15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가이더(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홀더(154)와 제1가이더(183)의 기능을 통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제1가이더(183)의 상부에는 가이더 홈(18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가이더 홈(183a)을 통해 홀더(154)를 분리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140)는 종단기어(141)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동력을 결합장치(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단기어(141)는 결합 및 분리에 상관 없이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복수의 기어(142)와 연결되어 모터(143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41a)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41a)는 제1커플러(151)와 결합되도록 제1커플러(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41a)는 돌출부(141a)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플랜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41b)는 돌출부(14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서 플랜지(141b)는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모터(143a)에서 전달된 동력은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로 연결되어 회전부재(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는 각각 결합면과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제1커플러(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제1케이스(181a)와 종단기어(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플러(151) 및 종단기어(141)가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므로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110)는 나사산 형상의 제2가이더(11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54)는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가이더(111)는 홀더(154)가 필터 프레임(132)에 결합되는 경우 회전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 암(154b)을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154)는 필터 프레임(132)에 형성된 제2가이더(111)를 따라 C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홀더(154)가 C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는 분리될 수 있다. 즉, A방향 회전운동이 C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킬 수 있다.
홀더(154)는 사용자에게 이용되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및 분리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레임 부재(110)에 형성되는 제2가이더(111)로 인해 홀더(154)가 이동방향의 이탈 없이 안정적인 경로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복수의 기어(142)와 연결되어 모터(143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제1커플러(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143a)에서 종단기어(141)로 전달된 동력은 제2커플러(152)로 전달되어 회전부재(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홀더(154)는 홀더 바디(154a)와 홀더 암(154b)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154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암(154b)은 홀더 바디(154a)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홀더 바디(154a)와 홀더 암(154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153)는 제2커플러(152)와 회전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여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반면, 홀더가 회전하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키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회전부재(120) 측으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력을 받은 탄성부재(153)는 완전히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때까지 점점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므로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서 구동장치와 결합된 결합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분리된 상태의 구동장치 및 결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결합장치(150)는 레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55)는 제2커플러(152)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버(155)는 레버 바디(155a) 및 푸쉬 바(155b)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55)는 레버 바디(155a)에서 푸쉬 바(155b) 쪽으로 반대 방향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바(155b)의 일 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버 바디(155a)와 푸쉬 바(155b)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바디(155a)와 푸쉬 바(155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푸쉬 바(155b)를 C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155)를 사용하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레버는 제2커플러(152)의 외측에 결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커플러(151)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커플러(151)의 외측에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가 C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푸쉬 바(155b)를 가압하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킬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복수의 기어(142)와 연결되어 모터(143a)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종단기어(141)는 제1커플러(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143a)에서 종단기어(141)로 전달된 동력은 제2커플러(152)로 전달되어 회전부재(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제2커플러(152)와 회전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반면, 레버(155)를 눌러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를 분리시키는 경우 탄성부재(153)는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153)는 회전부재(120) 측으로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압축력을 받은 탄성부재(153)는 완전히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때까지 압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의 사용으로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의 결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분리시 압축이 발생하므로 다시 결합할 경우 탄성부재(153)의 복원력으로 적은 힘으로 재결합 시킬 수 있다.
레버(155)는 제2커플러(152)를 향하도록 가압되어 제1커플러(151)와 제2커플러(152)가 분리될 수 있다. 레버(155)는 가압됨에 따라 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의류 건조기
2; 캐비닛
3; 투입구
6; 도어
20; 배기구
30; 드럼
60; 린트케이스
70; 린트 박스
80; 전면 커버
100; 린트 제거 장치
120; 회전부재
130; 린트 필터
140; 구동장치
150; 결합장치
2; 캐비닛
3; 투입구
6; 도어
20; 배기구
30; 드럼
60; 린트케이스
70; 린트 박스
80; 전면 커버
100; 린트 제거 장치
120; 회전부재
130; 린트 필터
140; 구동장치
150; 결합장치
Claims (20)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2커플러가 결합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의 전면을 개폐시키도록 회전되게 마련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커버를 따라 회전되도록 배치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가 열리면 상기 링크부재를 통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분리되는 의류 건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게 마련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홀더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커플러를 상기 제2커플러에서 분리시키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의류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2커플러의 외측에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마련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홀더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의 회전방향을 안내하는 나사산 형상의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플러를 향하도록 가압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급기구;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나선형의 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 시키는 의류 건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장치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일체로 형성되는 종단기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 제거 장치는,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종단기어와 결합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에 형성되는 나사산; 및
상기 종단기어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어 상기 종단기어의 회전방향을 안내하는 나사골을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 필터;
상기 린트 필터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내 수집하도록 나선형의 핀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제1커플러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로 동력을 전달 하는 제2커플러를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커플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커플러의 외측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홀더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제1커플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1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더는 상기 홀더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1커플러를 상기 제2커플러에서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는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린트 제거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가 역방향 회전시 미끄러지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플러와 제2커플러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제2커플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플러를 향하도록 가압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린트 제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523A KR20210075449A (ko) | 2019-12-13 | 2019-12-13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PCT/KR2020/017764 WO2021118188A1 (ko) | 2019-12-13 | 2020-12-07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EP20899750.2A EP4019693A4 (en) | 2019-12-13 | 2020-12-07 | LINT REMOVAL DEVICE AND DRYER COMPRISING THE SAME |
CN202080085437.3A CN114829697A (zh) | 2019-12-13 | 2020-12-07 | 除绒装置以及具有该除绒装置的干衣机 |
US17/119,763 US11932983B2 (en) | 2019-12-13 | 2020-12-11 | Lint removing apparatus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
US18/427,611 US20240191423A1 (en) | 2019-12-13 | 2024-01-30 | Lint removing apparatus and clothes drye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6523A KR20210075449A (ko) | 2019-12-13 | 2019-12-13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5449A true KR20210075449A (ko) | 2021-06-23 |
Family
ID=7631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6523A KR20210075449A (ko) | 2019-12-13 | 2019-12-13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1932983B2 (ko) |
EP (1) | EP4019693A4 (ko) |
KR (1) | KR20210075449A (ko) |
CN (1) | CN114829697A (ko) |
WO (1) | WO202111818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53896A4 (en) * | 2022-01-03 | 2024-10-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37201A1 (en) * | 2022-06-09 | 2023-12-14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Microparticles filter device for a laundry washing machine, the device being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the cleaning device |
WO2023237199A1 (en) * | 2022-06-09 | 2023-12-14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microparticles filter device |
WO2023237198A1 (en) * | 2022-06-09 | 2023-12-14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washing machine having a microparticles filter device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the cleaning device |
WO2023237200A1 (en) * | 2022-06-09 | 2023-12-14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microparticles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machine |
JP2024046232A (ja) * | 2022-09-22 | 2024-04-03 | 三星電子株式会社 | リント除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8857Y1 (ko) | 1985-09-17 | 1991-11-12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의류 건조기 |
JP2576253Y2 (ja) | 1992-12-08 | 1998-07-09 | リンナイ株式会社 | 衣類乾燥器のフィルタ装置 |
US6193053B1 (en) * | 2000-03-31 | 2001-02-27 | Mark K. Gaalswyk | Concentric auger feeder |
KR101241899B1 (ko) * | 2006-08-08 | 2013-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의 습식 회전 디스크 필터를 이용한 린트 프리 모듈 |
KR100826535B1 (ko) | 2007-02-20 | 2008-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필터 청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덕트리스 건조기 |
US9062410B2 (en) | 2008-12-17 | 2015-06-23 | Lg Electronics Inc. |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
KR101153661B1 (ko) * | 2008-12-17 | 2012-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
JP5418203B2 (ja) * | 2009-12-22 | 2014-02-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RU2450962C1 (ru) * | 2010-11-25 | 2012-05-20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орны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Г.В. Плеханова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Винтовой конвейер |
JP2014076229A (ja) * | 2012-10-12 | 2014-05-01 | Panasonic Corp | 衣類乾燥機 |
EP2843103B1 (en) * | 2013-08-30 | 2022-02-23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Appliance for drying laundary with auxiliary de-fluff filter |
JP2016101374A (ja) * | 2014-11-28 | 2016-06-02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衣類乾燥機 |
US10077528B2 (en) * | 2014-11-28 | 2018-09-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dryer |
JP2016101373A (ja) * | 2014-11-28 | 2016-06-02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衣類乾燥機 |
JP2016179146A (ja) * | 2015-03-25 | 2016-10-13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JP7044525B2 (ja) | 2017-11-24 | 2022-03-30 | 三星電子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
2019
- 2019-12-13 KR KR1020190166523A patent/KR2021007544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
- 2020-12-07 WO PCT/KR2020/017764 patent/WO2021118188A1/ko unknown
- 2020-12-07 CN CN202080085437.3A patent/CN114829697A/zh active Pending
- 2020-12-07 EP EP20899750.2A patent/EP4019693A4/en active Pending
- 2020-12-11 US US17/119,763 patent/US11932983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1-30 US US18/427,611 patent/US20240191423A1/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53896A4 (en) * | 2022-01-03 | 2024-10-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932983B2 (en) | 2024-03-19 |
CN114829697A (zh) | 2022-07-29 |
US20210180240A1 (en) | 2021-06-17 |
WO2021118188A1 (ko) | 2021-06-17 |
EP4019693A1 (en) | 2022-06-29 |
US20240191423A1 (en) | 2024-06-13 |
EP4019693A4 (en) | 2022-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75449A (ko) | 린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 |
KR102629973B1 (ko) | 건조기 | |
KR101716821B1 (ko) | 의류건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린트 청소장치 | |
KR101993226B1 (ko) | 의류처리장치 | |
CN105648724B (zh) | 干衣机 | |
KR20200048006A (ko) |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 |
JP2018033794A (ja) |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 |
KR10199322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40087555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3614303B (zh) | 洗干一体机 | |
KR101153661B1 (ko) |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 |
JP2018110789A (ja) | 洗濯乾燥機 | |
JP2023020270A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1191210B1 (ko) | 건조기 | |
KR101191208B1 (ko) | 건조기 | |
JP6807694B2 (ja) |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 |
CN218833951U (zh) | 一种自清洁过滤装置和具有其的干衣机 | |
JP2016101368A (ja) | 衣類乾燥機 | |
KR10162932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91207B1 (ko) | 건조기 | |
KR101265644B1 (ko) | 건조기 | |
KR101609143B1 (ko) | 의류 건조기 | |
JP6910024B2 (ja) |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乾燥機 | |
CN115945002A (zh) | 一种自清洁过滤装置和具有其的干衣机 | |
JP2023136778A (ja) | 乾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