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9045A -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 Google Patents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9045A
KR20200069045A KR1020180156155A KR20180156155A KR20200069045A KR 20200069045 A KR20200069045 A KR 20200069045A KR 1020180156155 A KR1020180156155 A KR 1020180156155A KR 20180156155 A KR20180156155 A KR 20180156155A KR 20200069045 A KR20200069045 A KR 2020006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ermeable
blocking
permeable wall
wa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709B1 (ko
Inventor
허지용
허남국
한종훈
박원석
강연화
Original Assignee
(주)이데아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데아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이데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8015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와, 차단벽체 몸체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와, 차단벽체 몸체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차단벽체 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로 구성되는 차단벽체와,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와,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와,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에 위치되어 입구부에서 출구부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로 구성되는 투수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Impermeability barrier, Barrier module use impermeability barrier}
본 발명은 차단벽체와,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의 이동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오염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며, 서로 결합되어 모듈을 형성 가능한 차단벽체와, 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 상의 오염물질이 지하수를 통해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는, 지하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차단 벽체와, 지하수를 투수시키며 지하수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내부에 구비된 충진제에 흡착, 고착, 정화시키는 투수 벽체로 구분된다.
즉, 지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목적을 가질 경우 오염물질이 혼합된 지하수를 투수하며 지하수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투수 벽체를 사용하고, 지중의 오염물질을 비오염 지역과 완전히 격리하는 목적을 가질 경우 차단 벽체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중의 오염물질을 차단 또는 제거하는 벽체 중 차단 벽체는, 일반적으로 지면을 일정한 깊이까지 굴착한 후 굴착된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삽입하는 방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이용한 차단벽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가 부식되어 차단 벽체가 더 이상 오염물질을 차단하지 못하는 한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부식 시 콘크리트 자체가 오염물질로 작용할 수 있고, 차단 벽체가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굴착 범위가 보다 넓어지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차단 벽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새로운 차단벽체와, 이러한 차단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29301호(명칭: 오염지하수 정화용 투수성 반응벽체의 반응성 회복방법, 공개일: 2005.03.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차단벽체가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부식이 발생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공 또한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 가능한 차단벽체와, 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내식성이 높아 반영구적으로 벽체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벽체가 형성되며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 또한 최소화 가능한 차단벽체와, 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단벽체는,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110);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120);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단벽체 결합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가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 중 서로 인접한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차단벽체 결합 모듈은,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210)와, 상기 입구부(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220)와,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입구부(210)에서 상기 출구부(2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0)로 구성되는 투수벽체(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200)는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벽체(1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가 하측에 상기 차단벽체(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200)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체결부(240)가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와 복수개의 상기 투수벽체(200)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폭 방향으로 나열 시, 서로 인접한 체결부와 끼움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200)는 중앙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투수벽체 몸체(200A)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21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1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출구부(22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착공간(230A)과, 상기 흡착공간(230A) 상에 구비되는 나노흡착제(2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공간(2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천공홀(310)이 형성되는 분리판(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300)은 상기 나노흡착제(230B)를 상기 천공홀(3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는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2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는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단벽체는 복수개의 차단벽체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벽체 결합 모듈을 형성 가능하므로, 오염물질이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더라도 오염물질이 비오염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은 차단벽체와 투수벽체가 모여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므로, 오염물질이 오염지역에서 비오염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되, 지정된 지역에서 선별적으로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투수벽체 상의 흡착공간을 분리판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나노흡착제의 소모를 최소화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나노흡착제의 오염물질 제거 능력 또한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반응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성 반응벽체가 모여 이루어진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결리판을 나타낸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벽체(100)와, 벽체 결합 모듈(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차단벽체(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차단벽체(100)가 모여 벽체 결합 모듈(1000)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차단벽체(100)는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11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단벽체는 지중에 삽입되어 오염물질이 지하수의 흐름에 대응하여 이동하며 비오염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제한하며, 내식성이 높은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수지에 개선제를 첨가하여 만들어진 플라스틱 시트파일(PSP)로, 제작비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차단벽체는 오염물질이 위치된 오염지역과, 비오염 지역을 서로 격리하기 위한 장치로, 넓은 면적을 서로 격리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판형의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를 형성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차단벽체(10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벽체 결합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다시한번 설명하면, 오염지역(DS)이 넓을 경우 오염지역(DS)과 비오염지역(CP)을 차단벽체(100)로 서로 격리하여, 오염지역(DS) 상의 오염물질이 지하수의 움직임을 따라 비오염지역(CP)으로 이동하여 비오염지역(CP)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때, 폭 방향으로 나열된 차단벽체(100)간의 연결이 서로 공고히 이루어져야 차단벽체(100)간의 연결부위를 통하여 지하수가 오염지역(DS)에서 비오염지역(CP)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차단벽체(100)가 지정된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차단벽체의 양측에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차단벽체 끼움부(130)를 형성하여, 폭 방향으로 복수개의 차단벽체(100)를 나열 시, 서로 인접한 차단벽체(100)의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차단벽체 끼움부(130)가 끼워져 서로 인접한 차단벽체(100)가 서로 결합도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는 상기 돌기부(131)를 감싸는 구조를 가져, 끼움부(130)가 체결부(120)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의 사시도와 도 4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1000)은 지하수를 통과시켜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투수벽체(200)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체결부(240)가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와 복수개의 상기 투수벽체(200)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폭 방향으로 나열 시, 서로 인접한 체결부와 끼움부가 서로 결합되며 벽체 결합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240)가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와 동일한 형상을 가져, 차단벽체(100)와 투수벽체(200)를 폭 방향으로 나열 시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차단벽체 끼움부(130),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서로 결합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수벽체(200)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210)와, 상기 입구부(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220)와,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입구부(210)에서 상기 출구부(2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21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1 슬릿(210A-1)일 수 있고, 상기 출구부(22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2 슬릿(210A-2)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200)는 중앙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투수벽체 몸체(200A)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 상에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210A)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제1 슬릿과,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유체가 배출되는 제2 슬릿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슬릿이 모여 유체가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로 이동하는 상기 입구부(210)를 형성하고, 제2 슬릿이 모여 이물질 제거부(230)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220)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는 서로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210)가 형성되는 제1 영역(A)이 상기 출구부(220)가 형성되는 제2 영역(B)보다 넓은 유로 단면적을 가지게 형성되어, 입구부(210)에서 출구부(220)로 향하는 지하수의 흐름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구부(210)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슬릿의 유로단면적을 상기 출구부(220)를 형성하는 제2 슬릿의 유로단면적보다 크게 하여, 유로 단면적 차이에 의해 유체의 유동이 보다 활성화 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착공간(230A)과, 상기 흡착공간(230A) 상에 구비되는 나노흡착제(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 상에 위치되는 상기 나노흡착제(230B)는 다공성 물질로 오염물질이 흡착 또는 부착되는 나노 내지 마이크로 사이즈의 공극이 복수개 형성된 다공성 물질일 수 있고, 상기 투수벽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나노 튜브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나노 구조체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지하수가 통과 가능하되 통과하는 지하수 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1000)은 상기 흡착공간(2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천공홀(310)이 형성되는 분리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200)는 흡착공간(230A) 상에 상기 나노흡착제(230B)가 위치되어 흡착공간(230A)을 통과하는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흡착공간(230A) 상에 나노흡착제(230B)를 모두 충진시킬 경우 벽체 결합 모듈에 사용되는 나노흡착제(230B)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판(300)을 이용하여 흡착공간(230A)을 상기 입구부(210)가 형성되는 분리판(300)의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 흡착공간(230A-1)과 출구부(220)가 형성되는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제2 흡착공간(230A-2)으로 분리하고, 제2 흡착공간(230A-2) 상에만 나노흡착제(230B)를 위치시켜, 벽체 결합 모듈(1000)에 필요한 나노흡착제(230B)의 양을 최소화 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300)은 제1 흡착공간(230A-1)과 제2 흡착공간(230A-2)을 연통하는 상기 천공홀(310)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지하수가 나노흡착제(230B)의 상측과 하측에 골고루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300)의 두께방향 타측에 나노흡착제(230B)를 천공홀(3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나노흡착제(230B)를 상기 흡착제 고정부(320)에 위치시킬 경우 천공홀(310)을 통해 제1 흡착공간(230A-1)에서 제2 흡착공간(230A-2)으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흡착제 고정부(320) 상에 위치된 나노흡착제(230B)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나노흡착제(230B) 사용량을 보다 최소화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천공홀(31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 형상의 유로 단면을 가질 수 있고,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릿 형상의 유로 단면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착제 고정부(320) 또한 천공홀(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으며, 나노흡착제(230B)를 천공홀(310)에 밀착 배치시켜 천공홀(310)을 통과하는 지하수가 나노흡착제(230B)를 통하여 출구부(220)로 이동하면 충분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8의 사시도와 도 9의 A-A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벽체 결합 모듈(1000)은 투수벽체(200)가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벽체(1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가 하측에 상기 차단벽체(100)를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입구부(210)와 출구부(220)를 투수벽체(2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 측면에 형성할 경우, 투수벽체(200)의 내부 유로가 투수벽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하수가 통과하는 나노흡착제(230B) 상의 지하수 이동 경로가 짧아져, 나노흡착제(230B)의 흡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부(210)를 투수벽체(200)의 두께방향 일측 하단에 형성하고, 출구부(220)를 투수벽체(200)의 두께방향 타측 하단에 형성하여, 지하수가 나노흡착제(230B)를 통과하는 이동 경로가, 나노흡착제(230B)가 지하수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수벽체(20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210)의 하측에서 기체를 방출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입구부(210)로 향하게 하는 폭기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구부(210)와 출구부(220)를 투수벽체(200)의 하측에 형성 시 입구부(210)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폭기부(260)를 이용하여 입구부(210) 하측에 기체를 방출함으로써, 기체 입자가 상승하며 지하수를 밀어 지하수기 입구부(110)로 유입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폭기부(260)는 기체를 흡입하는 펌프(261)와, 흡입된 기체를 입구부(210) 하측으로 배출시키는 파이프(2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261)는 제어부에 의해 파이프(262)로 방출하는 기체의 양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절함으로써 입구부(210)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를 조절하여 나노흡착제(230B)가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 할 수 있는 양의 지하수만 입구부(210)로 유입되게 조절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폭기부(260)가 공급하는 기체는 나노흡착제(230B)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분해 가능한 호기성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산소 또는 산소가 함유된 공기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나노흡착제(230B)의 경우 흡착, 고착 방식으로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일정 이상의 오염물질이 나노흡착제(230B) 상에 부착되면 정화 능력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폭기부(260)를 통해 나노흡착제(230B0) 상으로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나노흡착제(230B) 상에 오염물질을 분해 가능한 호기성미생물을 번식시킴으로써, 나노흡착제(230B)를 보다 장시간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수벽체(200)는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폭기부(260)에서 입구부(210)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기부(260)는 기체를 분사하여 입구부(2100로 지하수를 유입시킨다. 이때, 폭기부(260)에서 방출하는 기체가 입구부(210)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퍼져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투수벽체(200)의 두께방향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270)를 형성하여, 폭기부(260)에서 방출되는 기체와, 기체에 의하여 움직이는 지하수의 이동이 입구부(210)를 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0의 평면도와 도 11의 B-B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는 투수벽체 체결부(2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는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가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는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상기 나노흡착제(230B)가 위치된다. 이때, 나노흡착제(230B)의 경우 일정 이상의 오염물질이 부착되면 정화능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하여,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 및 입구부(210)와 출구부(220) 사이의 지하수 이동경로 상에 위치된 나노흡착제(230B)의 특정 위치에 일정 이상의 오염물질이 부착될 시,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를 회전시켜 오염되지 않은 나노흡착제(230B)를 특정 지역에 지하수가 이동하는 경로가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와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회전 변위를 가질 수 있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절곡부(200A-1A)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에 상기 절곡부(200A-1A)의 단부가 끼워지는 홈부(200A-2A)가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차단벽체 110 : 차단벽체 몸체
120 : 차단벽체 체결부 130 : 차단벽체 끼움부
200 : 투수벽체 200A : 투수벽체 몸체
200A-1 : 외측 투수벽체 몸체 200A-2 : 내측 투수벽체 몸체
210 : 입구부 210A : 슬릿
220 : 출구부
230 : 이물질 제거부 230A : 흡착공간
230B : 나노흡착제
240 : 투수벽체 결합부 250 : 투수벽체 끼움부
300 : 분리판 310 : 천공홀
320 : 흡착제 고정부

Claims (10)

  1.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110);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120);
    상기 차단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벽체.
  2. 제 1항의 차단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가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고, 폭 방향으로 나열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 중 서로 인접한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와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3. 제 1항의 차단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210)와, 상기 입구부(2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220)와,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입구부(210)에서 상기 출구부(2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230)로 구성되는 투수벽체(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200)는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차단벽체(1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가 하측에 상기 차단벽체(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200)는 폭방향 일측에 상기 차단벽체 끼움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체결부(240)가 형성되고, 폭방향 타측에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차단벽체(100)와 복수개의 상기 투수벽체(200)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폭 방향으로 나열 시, 서로 인접한 체결부와 끼움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200)는 중앙에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투수벽체 몸체(200A)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21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1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출구부(22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두께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착공간(230A)과, 상기 흡착공간(230A) 상에 구비되는 나노흡착제(2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공간(2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천공홀(310)이 형성되는 분리판(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00)은 상기 나노흡착제(230B)를 상기 천공홀(3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 몸체(200A)는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2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250)가 형성되는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30)가 형성되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200A-2)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200A-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KR1020180156155A 2018-12-06 2018-12-06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KR10219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55A KR102197709B1 (ko) 2018-12-06 2018-12-06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55A KR102197709B1 (ko) 2018-12-06 2018-12-06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45A true KR20200069045A (ko) 2020-06-16
KR102197709B1 KR102197709B1 (ko) 2021-01-04

Family

ID=7114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55A KR102197709B1 (ko) 2018-12-06 2018-12-06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7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955A (ja) * 1999-10-29 2001-05-15 Sumitomo Metal Ind Ltd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JP2001214432A (ja) * 2000-01-31 2001-08-07 Okuto:Kk 汚染土壌浄化用の井戸構造体及び井戸構造体列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汚染土壌浄化方法
JP2002294692A (ja)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水浄化用矢板壁及び地下水浄化設備の施工方法
JP2002346539A (ja) * 2001-05-28 2002-12-03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汚染土壌の浄化方法
KR20050036667A (ko) * 2003-10-16 2005-04-20 민병이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 옹벽의 보수 및 보강장치
KR100529301B1 (ko) 2003-09-15 2005-11-17 학교법인 한양학원 오염지하수 정화용 투수성 반응벽체의 반응성 회복방법
KR100644164B1 (ko) * 2005-11-07 2006-11-10 광주과학기술원 이동성 반응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또는 지하수의현장내 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955A (ja) * 1999-10-29 2001-05-15 Sumitomo Metal Ind Ltd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JP2001214432A (ja) * 2000-01-31 2001-08-07 Okuto:Kk 汚染土壌浄化用の井戸構造体及び井戸構造体列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汚染土壌浄化方法
JP2002294692A (ja)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水浄化用矢板壁及び地下水浄化設備の施工方法
JP2002346539A (ja) * 2001-05-28 2002-12-03 Nippon Kokan Light Steel Kk 汚染土壌の浄化方法
KR100529301B1 (ko) 2003-09-15 2005-11-17 학교법인 한양학원 오염지하수 정화용 투수성 반응벽체의 반응성 회복방법
KR20050036667A (ko) * 2003-10-16 2005-04-20 민병이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 옹벽의 보수 및 보강장치
KR100644164B1 (ko) * 2005-11-07 2006-11-10 광주과학기술원 이동성 반응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또는 지하수의현장내 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709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201B2 (en) Septic system
TW201726562A (zh) 土壤淨化工法
JP2003340428A (ja) 汚染地盤の浄化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水循環装置
KR20200069045A (ko)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JP2004351293A (ja) 地下水浄化構造
JP4923472B2 (ja) 汚染土壌の通水洗浄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通水洗浄方法
JP3624763B2 (ja)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KR102192875B1 (ko) 투수성 반응벽체, 투수성 반응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TW201730410A (zh) 地盤改良工法
JP2007283230A (ja) 地下水の浄化方法
JP3831769B2 (ja) 汚染土壌の浄化設備及び浄化方法
KR102197705B1 (ko)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JP4802621B2 (ja) 地下水のpH調整方法
JP2000263068A (ja) 透過性地下水浄化壁及び地下水浄化壁
JP2014034028A (ja) 汚染土浄化装置
JP3567429B2 (ja) 地下水浄化構造及び地下水浄化方法
JP2000308878A (ja) 汚染土壌の改良装置と改良工法
JP4912932B2 (ja) 汚染土壌の浄化システム
KR101236216B1 (ko) 용존산소 증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천 구조물
JP3535437B2 (ja) 汚染土壌浄化用の井戸構造体及び井戸構造体列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汚染土壌浄化方法
JP3805280B2 (ja) 浄化機能付き半透水性遮水板、地下水浄化構造体及び汚染地下水浄化方法
KR20200084107A (ko) 지하수댐 조성 공법
JP6282878B2 (ja) 汚染土壌及び地下水の浄化システム
JP3211248U (ja) 地下汚染水除去装置
JP2012217949A (ja) 透過性浄化壁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