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705B1 -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 Google Patents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705B1
KR102197705B1 KR1020180156167A KR20180156167A KR102197705B1 KR 102197705 B1 KR102197705 B1 KR 102197705B1 KR 1020180156167 A KR1020180156167 A KR 1020180156167A KR 20180156167 A KR20180156167 A KR 20180156167A KR 102197705 B1 KR102197705 B1 KR 10219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ermeable wall
purification
permeabl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051A (ko
Inventor
허지용
허남국
한종훈
박원석
강연화
Original Assignee
(주)이데아이엔에스
대한민국(육군3사관학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데아이엔에스, 대한민국(육군3사관학교장) filed Critical (주)이데아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8015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몸체와, 투수벼??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슬릿과, 투수벽체 몸체의 중앙에 위치되며 슬릿을 통해 유입된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와, 투수벽체 몸체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투수벽체 체결부와, 투수벽체 몸체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투수벽체 체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투수벽체와, 이러한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Permeable reactive barrier, Barrier module use permeable reactive barrier}
본 발명은 투수벽체와,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투과시키는 과정에서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 가능한 투수벽체와, 투수벽체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벽체 결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 상의 오염물질이 지하수를 통해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체는, 지하수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는 차단 벽체와, 지하수를 투수시키며 지하수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내부에 구비된 충진제에서 흡착, 고착, 정화시키는 투수 벽체로 구분된다.
즉, 지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목적을 가질 경우 오염물질이 혼합된 지하수를 투수하며 지하수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투수 벽체가 사용되고, 지중의 오염물질을 비오염 지역과 완전히 격리하는 목적을 가질 경우 차단 벽체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벽체들 중 투수벽체는 일반적으로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판 형상을 가지나, 투수벽체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시 투수벽체의 강도가 낮아져, 지진등의 자연재해 상황에서 쉽게 파손될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는 지상에는 특히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종래의 판형 투수벽체는 내구성이 떨어져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되는 지역과,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될 요소가 많은 존재하는 지상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투수벽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한 새로운 투수벽체와, 이러한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29301호(명칭: 오염지하수 정화용 투수성 반응벽체의 반응성 회복방법, 공개일: 2005.03.2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강도를 높여 보다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투수벽체와,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투수벽체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몸체(11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슬릿(120)과,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슬릿(110)을 통해 유입된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13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단면 형상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흡착공간(130A)과, 상기 흡착공간(130A) 상에 구비되는 나노흡착제(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공간(1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천공홀(210)이 형성되는 분리판(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흡착제(130B)는 상기 분리판(200)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영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흡착제(130B)는 상기 분리판(200)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영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판(200)은 상기 나노흡착제(230B)를 상기 천공홀(2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는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150)가 형성되는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가 형성되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투수벽체(100)가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인접한 투수벽체(100)의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15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은,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31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32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330)로 구성되는 차단벽체(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가 폭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의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끼움부(33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부(410)와, 상기 입구부(4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420)와, 상기입구부(410)와 상기 출구부(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입구부(410)에서 상기 출구부(4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430)로 구성되며, 상기 차단벽체(3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정화벽체(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화벽체(400)는 상기 차단벽체(3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입구부(210)와 상기 출구부(220)가 하측에 상기 차단벽체(1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옹벽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공간(11)이 형성되는 옹벽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옹벽 체결부(20)와, 상기 몸체(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옹벽 체결부(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옹벽 끼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비공간(11)상에 시멘트, 콘크리트, 철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벽체 결합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옹벽(1)이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인접한 옹벽(1)의 상기 옹벽 체결부(20)와 상기 옹벽 끼움부(3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둥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몸체(11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슬릿(120)과,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슬릿(110)을 통해 유입된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150)를 포함하는 투수벽체(100);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31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32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330)로 구성되는 차단벽체(300); 및 상기 차단벽체(1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정화벽체 출구부(42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에서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430)로 구성되는 정화벽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벽체(400)는 상기 차단벽체(3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이 차단벽체(3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정화벽체(4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 하단에 상기 차단벽체(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가 형성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방출되는 기체가 부상하며 주변의 유체의 움직임이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로 향하게 하는 폭기부(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가 폭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의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끼움부(33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투수벽체는 다각 기둥 또는 원형 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강도를 가지는 투수벽체를 연결하여 벽체 결합 모듈을 형성 가능하므로, 벽체 결합 모듈이 오염물질이 지하수와 함께 이동하여 비오염지역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 역할을 동시에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투수벽체가 중심부가 비어 있는 다각 또는 원형 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필요에 따라 중심부에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시멘트, 콘크리트, 철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비어있는 투수벽체의 중심부에 삽입하여 투수벽체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옹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옹벽을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분리판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분리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흡착제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투수벽체의 A-A 단면도.
도 13은 투수벽체와 차단벽체가 모여 이루어진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투수벽체와 차단벽체 및 정화벽체가 모여 이루어진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정화벽체의 B-B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옹벽(1)을 이용한 투수벽체(100)와,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옹벽(1)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옹벽(1)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공간(11)이 형성되는 옹벽 몸체(10)와, 상기 옹벽 몸체(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옹벽 체결부(20)와, 상기 옹벽 몸체(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옹벽 체결부(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옹벽 끼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스틸 시트 파일 또는 콘크리트벽을 이용하여 제방 보호벽 또는 토양유실 보호벽과 같은 벽체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벽체는 단순히 판형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어 활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옹벽 몸체(10)를 다각 또는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옹벽의 강도를 상승 시켰으며, 옹벽 몸체(10)의 중앙부에 필요에 따라 시멘트, 콘크리트, 철골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하여 옹벽의 강도를 필요에 따라 더욱 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즉, 내주면과 외주면의 단면 형상을 다각 또는 원형으로 하여 1차적으로 옹벽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옹벽 몸체(10)의 내측에 구비공간(11)을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구비공간(11) 상에 옹벽 몸체(10)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삽입하여, 옹벽(1)의 강도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2는 옹벽을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벽체 결합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옹벽(1)은 상기 옹벽 체결부(20)와 상기 옹벽 끼움부(3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벽체 결합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옹벽(1)은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지하수와 같은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지하수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해수가 담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을 격리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옹벽 몸체(10)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옹벽 체결부(20)를 형성하고, 옹벽 몸체(20)의 폭방향 타측에 상기 옹벽 체결부(20)에 끼움 결합 가능한 형상의 옹벽 끼움부(30)를 형성하여, 옹벽(1)으로 차단하여야 하는 면적이 넓어질 시 복수개의 옹벽(1)을 폭 방향으로 나열하고, 서로 인접한 옹벽(1)의 옹벽 체결부(20)와, 옹벽 끼움부(3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게 한 것이다.
도 3과 도 4에는 투수벽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수벽체(100)는 기둥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몸체(11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슬릿(120)과,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슬릿(110)을 통해 유입된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 상에 유체가 통과 가능한 슬릿(120)을 형성하여 유체가 슬릿(120)을 통해 투수벽체 몸체(110)를 통과하게 하되, 유체가 슬릿(120)을 통하여 이동하는 몸체(110)의 내부에 유체상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를 형성하여, 유체가 투수벽체(1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게 함과 동시에, 투수벽체(100)가 다각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지게 하여, 투수벽체(100)의 강도 또한 향상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단면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권장하나, 이 외에도 다양한 다각 또는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투수벽체(100)는 복수개가 연결되어 벽체 결합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상기 투수벽체(100)가 폭 방향으로 나열되고, 서로 인접한 투수벽체(100)의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15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벽체 모듈(100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과, 상기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 상에 구비되는 투수벽체 나노흡착제(13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노흡착제(130B)는 다공성 물질로 오염물질이 흡착 또는 부착되는 나노 내지 마이크로 사이즈의 공극이 복수개 형성된 다공성 물질일 수 있고, 상기 투수벽체(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나노 튜브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나노 구조체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지하수가 통과 가능하되 통과하는 지하수 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슬릿(120)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두께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가 상기 이물질 제거부(130)로 유입되는 유입부 슬릿(120A)과, 이물질 제거부(130)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부 슬릿(12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 슬릿(120A)과 상기 출구부 슬릿(120B)은 동일한 유로 단면적을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출구부 슬릿(120B)의 유로 단면적을 입구부 슬릿(120B)보다 작게 하여, 유체가 출구부 슬릿(120B)으로 이동하는 유동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체의 움직임이 미약할 경우 유체의 움직임이 정체되어 지하수 정화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슬릿(120A)이 출구부 슬릿(120B)보다 약 2배 가량의 유로 단면적을 가지게 하여, 유체가 유입부 슬릿(120A)에서 출구부 슬릿(120B)으로 보다 활발한 유동을 가질 수 있게 하여, 투수벽체(100)의 정화 능력을 보다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투수벽체(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서로 분리된 공간을 연통하는 천공홀(210)이 형성된 분리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100)는 유체를 통과시키며 유체 상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상기 흡착공간(130A) 상에 위치된 나노흡착제(130B)가 제거하여, 오염지역에 위치되는 오염물질이 투수벽체(100)에 의해 보호되는 비오염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충진제를 투수벽체(100) 내부에 형성된 흡착공간(130A)을 가득 채울 경우 나노흡착제(130B) 소모가 지나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판(200)을 이용하여 상기 흡착공간(130A)을 유입측 흡착공간(130A-1)과, 배출측 흡착공간(130A-2)으로 분리한 후, 배출측 흡착공간(130A-2) 상에만 나노흡착제(130B)를 위치시켜, 나노흡착제(130B) 소모를 최소화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210)은 분리판(200)을 관통 형성하여 유입측 흡착공간(130A-1)과 배출측 흡착공간(130A-2)을 연통하면 충분하므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나열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이 상측과 하측에서 모두 일어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판(200)은 상기 투수벽체 나노흡착제(130B)를 상기 천공홀(2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나노흡착제(130B)를 상기 흡착제 고정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천공홀(210)에 밀착 배치시켜, 투수벽체(100)가 보다 소량의 나노흡착제(130B)를 이용하여 충분한 이물질 제거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아울러,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투수벽체(10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는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끼움부(150)가 형성되는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가 형성되는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가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나노흡착제(130B)는 투수벽체 몸체(110)의 유입부 슬릿(120A)에서 출구부 슬릿(120B)으로 이동하는 유체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이때 유체의 이동 경로는 유입부 슬릿(120A)에서 출구부 슬릿(120B)을 연장한 선형으로 나타나므로, 나노흡착제(130B)의 특정 위치에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흡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를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관리자가 유체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되는 나노흡착제(130B)의 특정 영역에 오염물질이 일정 이상으로 흡착되어 나노흡착제(130B)의 이물질 제거능력이 감소할 경우,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를 회전시켜 유체의 이동경로 상에 나노흡착제(130B) 중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가 위치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와 상기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는 서로 다양한 방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1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투수벽체 몸체(110A)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부(110A-1)가 내측 투수벽체 몸체(110B)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형성된 홈부(110B-1)에 끼워져 회전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투수벽체(100)는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310)와,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320)와,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차단벽체 체결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330)로 구성되는 차단벽체(300)와 함께 벽체 결합 모듈(10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는 상기 차단벽체(300)와 유체를 투수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혼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100)를 목적에 따라 폭 방향으로 나열하고, 서로 인접한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차단벽체 끼움부(330)와, 투수벽체 끼움부(150)와 차단벽체 체결부(320)를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벽체 결합 모듈을 형성 한 것이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벽체(300) 상측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정화벽체 출구부(42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에서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430)로 구성되는 정화벽체(4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벽체(400)의 입구부(410)와 출구부(420)는 차단벽체(300)를 사이에 두고 정화벽체(400)의 하측에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정화벽체 출구부(420)를 정화벽체(4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 측면에 형성할 경우, 정화벽체(400)의 내부 유로가 정화벽체(4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가 통과하는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430) 상의 지하수 이동 경로가 짧아져, 이물질 제거부(430)의 오염물질 제거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벽체 입구부(410)를 정화벽체(400)의 두께방향 일측 하단에 형성하고, 정화벽체 출구부(420)를 정화벽체(400)의 두께방향 타측 하단에 형성하여, 유체가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430)를 통과하는 이동 경로가, 이물질 제거부(430)가 유체에 혼합된 오염물질의 제거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벽체(400)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의 하측에서 기체를 방출하여 유체의 움직임이 정화벽체 입구부(410)로 향하게 하는 폭기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정화벽체 출구부(420)를 정화벽체(400)의 하측에 형성 시 정화벽체 입구부(41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폭기부(440)를 이용하여 정화벽체 입구부(410) 하측에 기체를 방출함으로써, 기체 입자가 상승하며 유체를 밀어 유체가 입구부(110)로 유입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폭기부(440)에서 방출하는 기체는 공기 또는 산소와 같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430) 상의 오염물질을 분해 가능한 호기성미생물을 번식시킬 수 있는 특정 기체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정화벽체(400)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폭기부(440)에서 정화벽체 입구부(410)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옹벽 10 : 옹벽 몸체
11 : 구비공간 20 : 옹벽 체결부
30 : 옹벽 끼움부
100 : 투수벽체 110 : 투수벽체 몸체
110A : 외측 투수벽체 몸체 110B : 내측 투수벽체 몸체
120 : 슬릿 130 :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
130A : 투수벽체 흡착공간 130B : 투수벽체 나노흡착제
140 : 투수벽체 체결부 150 : 투수벽체 끼움부
200 : 분리판 210 : 천공홀
220 : 흡착제 고정부
300 : 차단벽체 310 : 차단벽체 몸체
320 : 차단벽체 체결부 330 : 차단벽체 끼움부
400 : 정화벽체 410 : 정화벽체 입구부
420 : 정화벽체 출구부 430 :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

Claims (10)

  1. 기둥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몸체(11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슬릿(120)과,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슬릿(120)을 통해 유입된 유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투수벽체 체결부(140)와,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폭방향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투수벽체 체결부(14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투수벽체 끼움부(150)를 포함하는 투수벽체(100);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차단벽체 몸체(31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차단벽체 체결부(320)와, 상기 차단벽체 몸체(310)의 폭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벽체 체결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체 끼움부(330)로 구성되는 차단벽체(300); 및
    상기 차단벽체(3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정화벽체 출구부(420)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에서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로 이동하는 유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화벽체 이물질 제거부(430)로 구성되는 정화벽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벽체(400)는 상기 차단벽체(300)보다 두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이 차단벽체(3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상기 정화벽체(400)의 두께방향 일측과 타측 하단에 상기 차단벽체(3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와 상기 정화벽체 출구부(420)가 형성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방출되는 기체가 부상하며 주변의 유체의 움직임이 상기 정화벽체 입구부(410)로 향하게 하는 폭기부(4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가 폭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투수벽체(100)와 상기 차단벽체(300)의 상기 체결부 및 상기 끼움부(330)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의 단면 형상이 다각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 이물질 제거부(130)는 상기 투수벽체 몸체(110)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과, 상기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 상에 구비되는 투수벽체 나노흡착제(1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 흡착공간(130A)을 두 개 이상의 영역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하며, 천공홀(210)이 형성되는 분리판(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벽체 나노흡착제(130B)는 상기 분리판(200)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영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200)은 상기 투수벽체 나노흡착제(130B)를 상기 천공홀(210)과 마주보게 위치시키는 흡착제 고정부(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합 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56167A 2018-12-06 2018-12-06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KR10219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67A KR102197705B1 (ko) 2018-12-06 2018-12-06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67A KR102197705B1 (ko) 2018-12-06 2018-12-06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51A KR20200069051A (ko) 2020-06-16
KR102197705B1 true KR102197705B1 (ko) 2021-01-04

Family

ID=7114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67A KR102197705B1 (ko) 2018-12-06 2018-12-06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7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955A (ja) * 1999-10-29 2001-05-15 Sumitomo Metal Ind Ltd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JP2001214432A (ja) * 2000-01-31 2001-08-07 Okuto:Kk 汚染土壌浄化用の井戸構造体及び井戸構造体列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汚染土壌浄化方法
JP2002294692A (ja)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水浄化用矢板壁及び地下水浄化設備の施工方法
KR100644164B1 (ko) * 2005-11-07 2006-11-10 광주과학기술원 이동성 반응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또는 지하수의현장내 정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301B1 (ko) 2003-09-15 2005-11-17 학교법인 한양학원 오염지하수 정화용 투수성 반응벽체의 반응성 회복방법
KR100564067B1 (ko) * 2003-10-16 2006-03-31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라인건축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 옹벽의 보수 및 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1955A (ja) * 1999-10-29 2001-05-15 Sumitomo Metal Ind Ltd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JP2001214432A (ja) * 2000-01-31 2001-08-07 Okuto:Kk 汚染土壌浄化用の井戸構造体及び井戸構造体列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汚染土壌浄化方法
JP2002294692A (ja) * 2001-03-28 2002-10-09 Nishimatsu Constr Co Ltd 地下水浄化用矢板壁及び地下水浄化設備の施工方法
KR100644164B1 (ko) * 2005-11-07 2006-11-10 광주과학기술원 이동성 반응 벽체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또는 지하수의현장내 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051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90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KR102197705B1 (ko) 투수벽체, 투수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KR20150105763A (ko) 수조용 여과기 및 이를 포함한 여과장치
KR102106901B1 (ko) 힘의 전달 및 흐름의 지시를 위한 하부집수 및 방법
JP2007268388A (ja) 膜カートリッジおよび浸漬型膜分離装置
US8382980B2 (en) Household water filter
JP3624763B2 (ja) 地中連続壁を用いた土壌・地下水汚染の浄化構造および浄化方法
KR20090005777U (ko) 정수기의 카본필터
KR102197709B1 (ko) 차단벽체, 차단 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US20050232702A1 (en) Contamination diffusion preventing structure in contaminated area
KR102231710B1 (ko)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2192875B1 (ko) 투수성 반응벽체, 투수성 반응벽체를 이용한 벽체 결합 모듈
JP4802621B2 (ja) 地下水のpH調整方法
JP2008246356A (ja) 膜カートリッジ
JP6989083B2 (ja) 地盤改良構造
US8182678B2 (en) Flow through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JP3755099B2 (ja) ろ過装置
JP6282878B2 (ja) 汚染土壌及び地下水の浄化システム
KR102242085B1 (ko)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N218321002U (zh) 污水过滤装置
JP5442073B2 (ja) 膜カートリッジ
KR102179907B1 (ko) 지하수댐 조성 공법
JP2009095803A (ja) 水質浄化装置
JPH11303153A (ja) 地下水用取水装置と循環式水処理方法と循環式水処理装置
JP2010110745A (ja) 汚水の油処理方法および油分解吸着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