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085B1 -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085B1
KR102242085B1 KR1020210035343A KR20210035343A KR102242085B1 KR 102242085 B1 KR102242085 B1 KR 102242085B1 KR 1020210035343 A KR1020210035343 A KR 1020210035343A KR 20210035343 A KR20210035343 A KR 20210035343A KR 102242085 B1 KR102242085 B1 KR 102242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ody
filter
drain
snap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791A (ko
Inventor
강예석
현동헌
송주엽
오홍석
김연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35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0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에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을 지지하여 전면의 사용공간을 확보하고, 배면의 배출수를 전면으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수공들이 형성된 벽체와, 배수공들이 위치하는 벽체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채워져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배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배출수를 여과 및 정화하고 이렇게 여과된 배출수를 사용공간으로 유출되게 하기 때문에 사용 공간 내 수질저하를 방지하고 수질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방식으로 배수관에 교체 및 착탈이 가능하도록 필터카트리지를 구성하여, 필터카트리지의 유지관리가 용이 하다.

Description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Retainig wall having draining structure for preventing over-pressure}
본 발명은 배출수 여과 카트리지를 구비한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의로 배수되는 배출수를 정화 및 여과하여 배출수 여과기능 및 이에 의한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양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를 옹벽이라고 한다. 이러한 옹벽은 내측 토양으로 물이 흡수되면 토압과 수압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옹벽이 전도 또는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옹벽은 전도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수관을 매립 설치하여, 이러한 배수관으로 토양에서 흡수된 배출수가 유출되게 하여 옹벽의 전도 또는 붕괴를 방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옹벽용 배수관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167호는 토양에 매립 시공되는 부위로 파이프, 옹벽에 매립 시공되는 부위로 관형태의 제1,2조립관체를 상호 조립 구성하되, 상기 제1조립관체는 내부에 단차부와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조립관체는 제1조립관체에 삽입 조립되는 조립부와 경사 배수를 위한 구배부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하고, 상기 제1조립관체의 전방에는 파이프의 일측 외면에 마감캡과 패킹의 조립공이 각각 순차 삽입되어 마감캡의 체결부가 제1조립관체의 체결부와 체결되면서 패킹을 가압하여 기밀 조립하는 옹벽용 배수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킹와 마감캡은 각각 양분되게 분할 몸체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분할 몸체에는 대향되는 위치로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을 감싸며 상호 압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배수관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옹벽은 사용공간으로 배수관을 통하여 토양으로부터 흡수된 배출수가 여과과정 없이 그대로 유출되기 때문에 사용공간 내 수질이 저하되면서 수질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167호
본 발명은, 배출수를 정화 및 여과한 후 벽체의 배수관으로 유출되게 하여 사용 공간 내 수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면에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을 지지하여 전면의 사용공간을 확보하고, 배면의 배출수를 전면으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수공들이 형성된 벽체와, 상기 배수공들이 위치하는 상기 벽체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채워져 상기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상기 배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벽체는, 옹벽 또는 석축을 구성하는 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층은, 활성흡착층과, 필터층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층은, 여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입도가 설정값보다 큰 굵은 골재들로 이루어진 제1필터층과, 입도가 설정값보다 작은 잔골재들로 이루어진 제2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층은, 상기 활성흡착층과, 상기 제2필터층과, 상기 제1필터층이 상기 벽체의 배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는,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상기 벽체에 매립 설치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옹벽 구조물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유출되는 상기 배출수를 여과하는 필터카트리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배출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몸체와, 상기 내부유로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유동하는 상기 배출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몸체는, 상기 벽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의 내측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외측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과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상호 스냅방식으로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은, 내주면에 스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에 삽입 시 상기 스냅홈에 끼워져 결합하는 스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내측방향인 상기 배수공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외측방향인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각각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경사면보다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냅홈은, 상기 스냅돌기의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돌기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 내 상기 배출수의 수압이 설정값 이상이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면 중, 외주 일부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스냅홈은,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스냅돌기의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냅돌기와 면접하는 스냅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압에 의해 탈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냅홈은, 상기 배수관이 내주면을 균등 분할하여 영역이 구분되고,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스냅홈의 분할영역에 대응하여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카트리지 전면에는,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회전방향에 따른 인출수압의 차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개선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배출수를 여과 및 정화하고 이렇게 여과된 배출수를 사용공간으로 유출되게 하기 때문에 사용 공간 내 수질저하를 방지하고 수질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카트리지방식으로 배수관에 교체 및 착탈이 용이한 필터카트리지를 구성하여, 필터카트리지의 유지관리가 용이 하다.
셋째, 배수관 내 수압에 대응하여 필터카트리지가 분리되어 이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압에 의한 옹벽 전도 또는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옹벽 구조물의 정화층과 배수관 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수관에 삽입된 필터카트리지에 형성된 착탈부의 착탈돌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수관에 삽입된 필터카트리지에 형성된 착탈부의 착탈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옹벽 구조물에서 서로 나사결합하는 배수관과 카트리지몸체의 착탈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옹벽 구조물에서 스냅홈과 스냅돌기를 통하여 서로 스냅방식으로 압입결합하는 배수관과 카트리지몸체의 착탈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냅홈과 스냅돌기의 경사면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옹벽 구조물에서 배수관에 삽입된 필터카트리지가 단계별 수압에 대응하여 이탈되도록 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옹벽 구조물(이하 '옹벽 구조물'이라 한다)은, 벽체(100)와, 정화층(200)과, 필터카트리지(40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벽체(100)는, 배면에 절토사면(310)과 성토사면(300)을 지지하여 전면의 사용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구성된다. 이러한 벽체(100)는, 옹벽 또는 석축을 구성하는 벽체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벽체(100)는, 배면의 배출수를 전면으로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수공(110)들이 형성되어 배출수로 인한 붕괴(전복)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수는 벽체(100)의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와, 이러한 유입수가 필터카트리지(400a)를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한 배수공(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벽체(100)는 상기한 배수공(110)이 형성되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벽체(100)에 매립 설치되는 배수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화층(200)은, 상기 배수공(110)들이 위치하는 벽체(100)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채워져, 배수공(110)으로 유출되는 배출수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화층(200)은, 활성흡착층(210)과, 필터층(220)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활성흡착층(210)은 배출수 내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정화하는 물질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공지의 활성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필터층(220)은, 골재들로 이루어져 골재들간의 공극 사이로 배출수가 유동하면서 배출수 내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층(220)은, 여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다른 골재들을 배열하여, 배출수의 유동저항은 줄이고 여과효과는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필터층(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입도가 설정값보다 큰 굵은 골재들로 이루어진 제1필터층(221)과, 입도가 설정값보다 작은 잔골재들로 이루어진 제2필터층(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필터층(221)과 상기 제2필터층(222)의 골재들은 공지의 여과용 골재를 비롯한 다양한 여과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2층구조가 아닌 그 외 다양한 층구조를 이룰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정화층(200)이 활성흡착층(210)과, 제2필터층(222)과 제2필터층(222)을 포함하고 있는 구조인 경우, 상기 정화층(200)은 입자크기에 대응하여 활성흡착층(210)과, 제2필터층(222)과, 제1필터층(221)이 벽체(100)의 배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여과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정화층(200)을 통과하여 여과된 배출수를 여과하는 필터카트리지(400a)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벽체(100)는, 내부로 배수공(110)이 형성되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100)에 매립 설치되는 배수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상기 필터카트리지(400a)는 원통형상으로 배수관(12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배수관(120)을 통하여 유출되는 배출수를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필터카트리지(400a)는, 배수관(120)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카트리지 몸체와, 카트리지몸체(410)에 삽입되는 필터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트리지몸체(410)는, 배출수가 내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411)가 형성된 원통관 형상으로, 배수관(120)에 삽입 시 외주면이 배수관(120)의 내주면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120)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420)는, 카트리지몸체(410)의 내부유로(411)에 삽입되고, 여과물질로 이루어져 내부유로(411)를 유동하는 배출수를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몸체(410)는, 상기 벽체(10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터카트리지(400a)를 배수공(110)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탈부(412)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여, 도 3과 같이 벽체(10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거나, 또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면으로부터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카트리지몸체(410)의 단부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와 같이 작업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일측 단부만 카트리지몸체(410)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등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파지부의 세부설명은 공지의 손잡이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배수관(120)과 필터카트리지(400a)의 착탈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카트리지(400b)는 상기 배수관(14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착탈 결합되어 필터카트리지(400b)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관(120)의 내측면에는 제1나사산(121)이 형성되고, 카트리지 몸체의 외측면에는 제1나사산(121)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413)이 형성된다.
한편, 이렇게 필터카트리지(400b)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배수관(12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필터카트리지(400b)는 카트리지몸체(410)의 체결력 확보로 인해, 필터부(420)에 의한 배출수의 유동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러면 배출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벽체(100)가 균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출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필터부(420)의 구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와는 달리 상기 배수관(120)과 카트리지 몸체가 상호 스냅방식으로 착탈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상기 배수관(130)은, 내주면에 스냅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몸체(440)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수공(110)에 삽입 시 스냅홈(131)에 끼워져 결합하는 스냅돌기(4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냅돌기(414)는,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공(110)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4141)과,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공(11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4142)을 각각 갖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경사면(4141)은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에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고,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에 삽입될 시 스냅홈(131)의 대면하는 측면에 접촉하여 스냅돌기(414)의 배수관(130) 내 삽입깊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4141)은 카트리지몸체(440)의 배수관(130) 내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구성으로,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 내 삽입될 시 카트리지몸체(440)가 소정의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면(4141)은 경사각(α)이 클수록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 내에서 그 위치 제한이 수월하게 되며, 따라서 경사각(α)은 상기한 카트리지몸체(440)가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경사로 설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경사면(4142)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2경사면(4142)은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공(110)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고,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출수압에 의하여 배수관(130)으로부터 이탈될 시 스냅홈(131)의 대면하는 측면에 접촉하여 이탈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수압은 상기 스냅돌기(414)의 형태 및 재질에 의해 변화되는 값으로서 상기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으로부터 인출되는 수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경사면(4142)은 배출수압에 의하여 카트리지몸체(440)가 배수관(130)으로부터 이탈되는 힘의 정도 즉, 배출수압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그 경사각에 따라 접촉저항이 변화되어 배출수압이 다르게 된다.
이에, 상기 필터카트리지(400c)는 제2경사면(4142)의 경사각(β)을 조절하여 배출수의 수압에 대하여 이탈되는 배출수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각의 크기는 그 설계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카트리지(400c)는 스냅돌기(414)의 제1경사면(4141)에 의하여 배수관(130) 내 카트리지몸체(44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여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경사면(4142)을 통하여 배출수압에 따른 이탈정도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필터카트리지(440c)는 배출수압이 높은 경우, 집중호우, 홍수 등과 같이 배출수의 유량이 증가할 시 배출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면서 벽체(100)에 대한 배면토압 및 수압이 증가하여 벽체(100)가 붕괴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필터카트리지(400c)는 설정된 삽입깊이에 위치하도록 삽입깊이를 제한하고 체결력은 향상시키되, 배출수압에 대해서는 이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경사면(4141)의 경사각(α)은 제2경사면(4142)의 경사각(β) 보다 카트리지몸체(410)의 외주면에 대하여 보다 큰 경사각(α〉β)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먼저 상기 제1경사면(4141)은, 필터카트리지(400c)가 배수관(130) 내로 삽입되는 방향(a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서, 제1경사면(4141)의 경사각(α)은 배수관(130) 내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도가 급경사가 되도록 크게 하여, a방향으로의 필터카트리지(400c)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필터카트리지(400c)의 정확한 체결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반면, 상기 제2경사면(4142)은, 필터카트리지(400c)가 배출수압에 의하여 인출되는 방향(b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경사면으로서, 제2경사면(4142)의 경사각(β)은 배수관(13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도가 완만하도록 하여, b방향으로의 필터카트리지(400c)의 이동이 용이하여 옹벽 구조물 배면의 과수압에 대한 이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스냅돌기(414)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배수공(110) 내 배출수의 수압이 설정값 이상이면, 탄성 변형되어 필터카트리지(400a)가 배수공(1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탄성재질로 실리콘재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냅홈(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돌기(414)의 제1경사면(4141) 및 제2경사면(4142)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갖는 제1홈경사면(132)과 제2홈경사면(13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1홈경사면(132)과 제2홈경사면(133)의 경사각은 각각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몸체(440a)는 기후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서 카트리지몸체(440a)의 탈거되는 배출수압을 선택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카트리지몸체(440a)는 카트리지몸체(440a)의 외주면 중, 외주 일부면에 분할스냅돌기(415)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분할스냅돌기(415)는 카트리지몸체(440a)의 외주면에 2개가 형성되고, 각각은 카트리지몸체(440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분할스냅돌기(415)는 각각 카트리지몸체(440a)의 외주면의 1/4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있다.
상기 스냅홈은, 배수관(14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할스냅돌기(415)의 개수 및 형성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스냅홈은 2개의 분할스냅돌기(415)에 대응하여 배수관(140)의 내주면을 따라 4등분할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냅홈은,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분할스냅돌기(415)의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경사면으로 이루어도록 형성하고, 각 영역에 대하여 경사각이 β1인 제1스냅홈(141)과, 경사각이 β2인 제2스냅홈(142)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상기 카트리지몸체(440a)의 회전에 의해 분할스냅돌기(415)는 면접하는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서로 다른 인출수압에 의해 탈거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분할스냅돌기(415)는 카트리지몸체(440a)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는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 영역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분할스냅돌기(415)가 제1스냅홈(141)에 끼워지면 이에 해당하는 인출수압에 의하여 탈거되고, 회전하여 분할스냅돌기(415)가 제2스냅홈(142)에 끼워지면 상기와는 다른 인출수압에 의하여 탈거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분할스냅돌기(415)가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서로 다른 인출수압에 의해 탈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마철 홍수나 호우 등이 예상되어 인출수압을 낮춰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필터카트리지를 교환하거나 제거할 필요 없이 작업자가 현장에서 카트리지몸체(440a)를 회전시켜 분할스냅돌기(415)가 해당 스냅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배출수압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은, 배수관(120)이 내주면을 균등 분할하여 영역이 구분되고, 분할스냅돌기(415)는,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의 분할영역에 대응하여 교번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냅홈(141)과, 제2스냅홈(142)은 4개영역으로 균등분할되어 영역이 구분되고, 분할스냅돌기(415)는 이에 대응하도록 서로 대칭된 2개의 분할스냅돌기(415)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이 외 다양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필터카트리지 전면에는, 작업자가 카트리지몸체(440a)의 회전방향에 따른 인출수압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출수압이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러한 표시부는,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는 카트리지몸체(440a)의 전면에 숫자나 기호 등으로 인출수압의 정도와 위치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몸체(440a) 제조 시 성형되거나 스티커가 부착되는 등 다양한 형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벽체 110 : 배수공
120,130,140 : 배수관 121 : 제1나사산
131 : 스냅홈 132 : 제1홈경사면
133 : 제2홈경사면 141 : 제1스냅홈
142 : 제2스냅홈 200 : 정화층
210 : 활성흡착층 220 : 필터층
221 : 제1필터층 222 : 제2필터층
300 : 성토사면 400a,400b,400c : 필터카트리지
410,430,440,440a : 카트리지몸체 411 : 내부유로
412 : 착탈부 413 : 제2나사산
414 : 스냅돌기 415 : 분할스냅돌기
4141 : 제1경사면 4142 : 제2경사면
420 : 필터부

Claims (5)

  1. 배면에 절토사면 또는 성토사면을 지지하여 전면의 사용공간을 확보하고, 배면의 배출수를 전면으로 배출하도록 원통관 형상으로 매립 설치되는 배수관을 통해 복수개의 배수공들이 형성되는 벽체와;
    상기 배수공들이 위치하는 상기 벽체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채워져 상기 배수공으로 유출되는 상기 배출수를 정화하는 정화층과;
    원통형상으로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유출되는 상기 배출수를 여과하는 필터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배수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배출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몸체와;
    상기 내부유로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유로를 유동하는 상기 배출수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트리지몸체는,
    상기 벽체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관은, 내주면에 스냅홈이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몸체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에 삽입 시 상기 스냅홈에 끼워져 결합하는 스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내측방향인 상기 배수공으로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경사면과;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외측방향인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의 전면에 형성된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제1경사면의 돌출경사가 상기 제2경사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스냅돌기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외주면 중, 외주 일부 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스냅홈은,
    상기 배수관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스냅돌기의 제2경사면과 접촉하는 면의 경사각이 서로 다른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냅돌기와 면접하는 스냅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압에 의해 상기 필터카트리지 탈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카트리지 전면에는,
    상기 카트리지몸체의 회전방향에 따른 인출수압의 차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돌기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 내 상기 배출수의 수압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옹벽 또는 석축을 구성하는 벽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층은,
    활성흡착층과, 필터층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여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여 입도가 설정값보다 큰 굵은 골재들로 이루어진 제1필터층과,
    입도가 설정값보다 작은 잔골재들로 이루어진 제2필터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층은,
    상기 활성흡착층과, 상기 제2필터층과, 상기 제1필터층이 상기 벽체의 배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KR1020210035343A 2021-03-18 2021-03-18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KR102242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43A KR102242085B1 (ko) 2021-03-18 2021-03-18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343A KR102242085B1 (ko) 2021-03-18 2021-03-18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58A Division KR102231710B1 (ko) 2018-11-07 2018-11-07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91A KR20210035791A (ko) 2021-04-01
KR102242085B1 true KR102242085B1 (ko) 2021-04-21

Family

ID=7544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343A KR102242085B1 (ko) 2021-03-18 2021-03-18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0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87B1 (ko) * 2006-03-14 2007-03-12 이옥신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0009B2 (ja) * 1991-10-08 1999-07-19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擁壁排水口の化粧蓋
JPH1150478A (ja) * 1998-06-08 1999-02-23 Ikegami Shoten:Kk 濾過地盤工法
KR100457131B1 (ko) * 2002-10-01 2004-11-16 (주)신성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KR200450167Y1 (ko) 2008-01-07 2010-09-08 고의환 옹벽용 배수관 장치
KR20150061542A (ko) * 2013-11-27 2015-06-04 조영철 쌈지공원용 무동력 빗물처리 운용설비 및 빗물처리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87B1 (ko) * 2006-03-14 2007-03-12 이옥신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791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303B2 (en) Fluid filter
US9586163B2 (en) Filter assembly with modular relief valve interface
US7615148B1 (en) Seawall filter
JP4695461B2 (ja) 地下水槽の充填材及び充填構造
CN1518476A (zh) 空气过滤构件及其制造方法
KR102231710B1 (ko)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2242085B1 (ko)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US5992643A (en) In line fluid filter assembly
KR101997173B1 (ko)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KR100655605B1 (ko) 사면 설치용 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안정화공법
JP2007063977A (ja) 新設,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装置
JPS5855298B2 (ja) マンホ−ル等の蓋の雨水流入防止構造
US20070292210A1 (en) Septic system
KR100715798B1 (ko) 하천수, 호소수, 하수 등의 노천수 정화장치
JP5330011B2 (ja) 集水管
JP2021067121A (ja) ドレーン杭
JPH0513787Y2 (ko)
JPH0472004B2 (ko)
KR102595221B1 (ko)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CN207973523U (zh) 一种净水器用排水装置
JPH0730756Y2 (ja) 擁壁の水抜き孔用フィルタ
KR200194339Y1 (ko) 정수기 필터
KR100402163B1 (ko)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KR101890269B1 (ko) 콘크리트 맨홀과 하수관을 이용한 하수처리시설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하수처리시설
JP2006077536A (ja) 地中埋設用の透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