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163B1 -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163B1
KR100402163B1 KR10-2001-0003201A KR20010003201A KR100402163B1 KR 100402163 B1 KR100402163 B1 KR 100402163B1 KR 20010003201 A KR20010003201 A KR 20010003201A KR 100402163 B1 KR100402163 B1 KR 10040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well
layer
clo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006A (ko
Inventor
김명대
Original Assignee
김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대 filed Critical 김명대
Priority to KR10-2001-000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21B33/1208Packers; Plu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ealing or pa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21B33/124Units with longitudinally-spaced plugs for isolating the intermediate space
    • E21B33/1243Units with longitudinally-spaced plugs for isolating the intermediate space with inflatable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21B33/127Packers; Plugs with inflatable slee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개발을 위한 관정 중 폐공된 관정을 신속용이하고, 완벽하게 밀폐되게 하므로서 관정을 통한 지하수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분을 흡착하면 팽창하는 고무로 밀폐구(10)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구(10)를 관정(24) 내에 투입한 다음 수분을 흡착시키므로서 밀폐용 마개(12)가 팽창되어 관정(24) 내경과 밀착되게 한 밀폐층 (26)을 구성하고, 상기 밀폐층(26) 위에 모래 및 흙으로 구성된 여과층(28)을 구성하고, 여과층(28) 위에 다시 밀폐층(26)과 여과층(28)이 교호로 반복구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Airtight device for the deserted empty pipe}
본 발명은 지하수개발을 위한 관정작업시 지하수가 나오지 않거나 고갈되어방치하는 폐공을 통한 지하수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각해져 가는 용수나 식수개발을 위하여 지하수가 나올만한 위치에 관정을 박은 다음 지하수를 뽑아 올려 용수나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관정한 상태에서 지하수가 나오지 않거나 사용중 지하수가 고갈될 경우 관정을 방치하게 되며, 이러한 관정을 일반적으로 폐공이라 한다.
상기 폐공된 관정은 원칙적으로 완전히 밀폐하여 관정을 통한 오염원이 지하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경우 이를 방치하거나 밀폐작업이 완전하지 못하여 관정을 통한 지하수오염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방치되고 있는 폐공된 관정을 밀폐하여 관정을 통한 지하수오염을 방지케 하되, 밀폐작업이 신속용이하면서 저렴한 경비로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습기나 물이 흡착되면 팽창하는 수팽창고무를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밀폐용 마개를 구성하되, 밀폐용 마개의 중앙에 체결나사봉을 관통설치한 다음 상하에 체결너트로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케 하므로서 밀폐구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구를 이용해 폐공된 관정의 밀폐에 사용하는 것이다.
밀폐구의 사용수단으로서는 2∼3개의 밀폐구를 연결너트로 연결한 다음 상기 복수개의 밀폐구를 관정바닥까지 투입한 후 물을 채워 밀폐용 마개를 팽창시켜 밀폐되게 한 밀폐층을 구성하고, 그 위에 흙과 모래를 채운 여과층을 구성하고 그 위에 다시 복수개의 밀폐구를 끼운 밀폐층과 흙과 모래를 채워 여과층이 교호로 반복구성되게 하는 방법으로 폐공된 관정이 밀폐되게 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폐구의 측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폐구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밀폐구를 다수개 연결한 상태도
도 4 : 본 발명의 시공상태도
도 5 : 본 발명에 사용된 밀폐용 마개가 팽창하여 관정의 내경과 밀착된 밀폐층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밀폐구 (12)--밀폐용 마개
(14)--관통공 (16)--체결나사봉
(18)--와샤 (20)--체결너트
(22)--연결너트 (24)--관정
(26)--밀폐층 (28)--여과층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밀폐장치에 사용되는 밀페구(10)의 정면구성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사용상태도로서 밀폐구(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위가 약간 넓고 아래가 약간 좁게 구성된 밀폐용 마개(12)의 중앙에 관통공(14)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관통공(14)에는 체결나사봉(16)을 끼운 다음 체결나사봉(16) 상하에 와샤(18)와 체결너트(20)를 끼워 체결나사봉(16)에 밀폐용 마개(12)가 고정되게 하므로서 밀폐구(10)를 구성한다.
상기 밀폐용 마개(12)의 재질은 수분을 흡착하면 팽창하는 수팽창지수고무와 같은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한 구성의 밀폐구(10)를 이용한 폐공된 관정(24)의 밀폐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구(10)를 도 3에서와 같이 서로 중첩시켜 체결나사봉(16)이 나란히 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연결너트(22)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구성된 밀폐구(10)의 연결갯수는 2개 혹은 3개정도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 연결된 밀폐구(10)를 폐공된 관정(24) 내에 투입하여 밀폐구(10)가 바닥에 위치되게 하며, 밀폐구(10)를 관정(24) 내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쉽게 삽입되는 것은 밀폐용 마개(12)의 외경이 관정(24)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쉽게 끼워지게 된다.
관정(24) 바닥에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밀폐구(10)가 끼워지게 되면 관정(24) 내에 물을 부어 밀폐용 마개(12)에 수분이 흡착되게 하므로서 밀폐용 마개(12)가 수분에 의해 팽창되게 하고, 따라서 밀폐용 마개(12)의 외경이 도 5에서와 같이 관정(24)의 내경과 밀착되어 밀폐층(26)이 형성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다시 관정(24) 내에 모래나 흙을 일정량 투입하여 밀폐층(26) 윗쪽에 여과층(28)이 구성되게 하고, 여과층(28)위에 다시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밀폐구(10)를 투입하고, 그 위에 물을 부어 밀폐용 마개(12)에 수분이 흡착되게 하므로서 수팽창성 고무로 구성된 밀폐용 마개(12)가 팽창하여 관정(24)의 내경과 밀착되어 밀폐성이 유지되게 한 밀폐층(26)을 구성하고, 그 위에 다시 모래나 흙을 채워 넣어 여과층(28)이 형성되게 하는 순으로 관정(24) 내부를 차례로 밀폐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관정(24) 내에 구성되는 밀폐층(26)과 여과층(28)의 반복은 관정(24)의 길이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하면 되고, 연결되는 밀폐구(10)의 갯수도 2∼3개 혹은 그 이상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체결나사봉을 다소 길게 구성한 다음 상기 체결나사봉에 다수의 2∼3개의 밀폐용 마개를 체결너트로 체결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공된 관정(24) 내에 밀폐구(10)로 구성된 밀폐층(26)과 흙과 모래등으로 구성되는 여과층(28)이 교호로 반복구성되어 있어, 밀폐층(26)에 의해 완벽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혹시 오염된 물이 일부 밀폐층(26)을 통과하더라도 여과층(28)에 의해 여과될 뿐 아니라, 밀폐층(26)과 여과층(28)로 반복구성되어 있어 오염된 물이 지하로 스며들 수 없게 되므로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관정(24) 내에는 항상 물이 채워져 있어 수분을 흡착하면 팽창하는 밀폐용 마개(12)는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밀폐를 완벽하게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공된 관정(24)의 밀폐작업을 위한 수단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관정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폐공된 관정의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면 팽창하는 밀폐용 마개로 구성된 밀폐층과 모래 및 흙으로 구성된 여과층이 교호로 반복구성되어 있어 관정의 완벽한 밀폐를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관정을 통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분을 흡착하면 팽창하는 밀폐용 마개(12) 중앙에 관통공(14)을 뚫고, 상기 관통공(14)에 체결나사봉(16)을 끼운 다음 체결너트(20)로 체결고정하여 밀폐구 (10)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구(10)를 폐공된 관정(24) 내에 끼운 다음 물을 부어 밀폐용 마개(12)에 수분이 흡착되게 하므로서 밀폐용 마개(12)가 팽창하여 외경이 관정(24)의 내경과 밀착되게 한 밀폐층(26)을 구성하고, 그 위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여과층(28)이 형성되게 하고, 여과층(28) 위에 다시 밀폐구(10)로 구성된 밀폐층(26)과 흙과 모래로 구성된 여과층(28)이 교호로 반복구성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KR10-2001-0003201A 2001-01-19 2001-01-19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KR10040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01A KR100402163B1 (ko) 2001-01-19 2001-01-19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201A KR100402163B1 (ko) 2001-01-19 2001-01-19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006A KR20020062006A (ko) 2002-07-25
KR100402163B1 true KR100402163B1 (ko) 2003-10-17

Family

ID=2769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201A KR100402163B1 (ko) 2001-01-19 2001-01-19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57B1 (ko) 2010-10-13 2012-12-06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지하수 오염 방지용 그라우팅 차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964B1 (ko) * 2013-07-26 2014-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추공 내 탐침봉의 걸림 방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053A (ko) * 1994-09-14 1996-04-20 조덕상 지하수 오염 방지 공법 및 장치
KR20000017659U (ko) * 1999-03-02 2000-10-05 조희남 지하수 폐공 차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053A (ko) * 1994-09-14 1996-04-20 조덕상 지하수 오염 방지 공법 및 장치
KR20000017659U (ko) * 1999-03-02 2000-10-05 조희남 지하수 폐공 차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157B1 (ko) 2010-10-13 2012-12-06 주식회사 지오그린이십일 지하수 오염 방지용 그라우팅 차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006A (ko)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264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ведения добавки в жидкость
US5195583A (en) Borehole packer
US6581682B1 (en) Expandable borehole packer
CN105324312A (zh) 二重容器
KR100402163B1 (ko) 폐공된 관정의 밀폐장치
RS49552B (sr) Špric sa cilindrom koji sadrži tečni medij i ima zaptivnu kapu
WO2001057516A3 (de) Monolithische fritte für eine kapillarsäule
CN203376179U (zh) 地下水采样器
US4773998A (en) Water filter
CN202527166U (zh) 密闭式液相色谱用流动相盛放装置
CN101463608B (zh) 卡式防盗窨井盖
JPS6214211Y2 (ko)
KR860006978A (ko) 밀폐형 화학약품 주입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5686932U (zh) 自泄式溢流盒
KR100605358B1 (ko)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102619463B1 (ko) 지중 토양 및 유동성 유류 샘플링 장치
CN208701865U (zh) 轮片式防臭地漏
CN207877322U (zh) 一种可观察水质的净水器
CN207871674U (zh) 一种净水器
CN207877323U (zh) 一种净水器的可观察水质的进水结构
KR200295898Y1 (ko) 맨홀용 방수덮개
CN102641711B (zh) 密闭式液相色谱用流动相盛放装置
KR200303388Y1 (ko) 지중 인입케이블 입상관 보호캡
KR200372904Y1 (ko)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SU1583617A1 (ru) Пробка дл уплотнени усть скважи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