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904Y1 -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 Google Patents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904Y1
KR200372904Y1 KR20-2004-0029735U KR20040029735U KR200372904Y1 KR 200372904 Y1 KR200372904 Y1 KR 200372904Y1 KR 20040029735 U KR20040029735 U KR 20040029735U KR 200372904 Y1 KR200372904 Y1 KR 200372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filter material
opening
cov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찬
Original Assignee
안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찬 filed Critical 안영찬
Priority to KR20-2004-0029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통과,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와,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과, 상기 인입통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와,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재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을 오염수로부터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재의 교체가 용이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A Pollutant purification filter}
본 고안은 오염수(汚染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시키기 위한 정화필터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원은 방지와 관리의 편의를 목적으로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된다. 점오염원은 하수장, 폐수처리장, 발전소, 폐광, 석유탱크, 유정 등과 같이 특정위치에서 하수관이나 도랑에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가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는 것이며, 비점오염원은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넓은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삼림벌채지역, 도시지역,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의 지역을 지나 온빗물이 지표면에 쌓여있는 오염물을 하천이나 바다 등에 유입시켜 오염을 유발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이러한 오염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단순히 물에 섞여 이동하는 입자상 물질, 물에 용해되지는 않지만 물과 함께 부유하면서 이동하는 기름이나 유지류, 물에 용해되거나 콜로이드상태로 되어 물과 함께 이동하는 용해성 물질 등이 있다.
따라서 오염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서는, 오염원의 종류에 따라서 특정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오염수정화필터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정화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기존의 오염수정화장치는 오염수정화필터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필터의 재생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특정 오염원에 맞게 구성된 오염수정화필터만이 그 의미가 있어서 목적에 따라서 다른 오염원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예를 들어 모래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기름을 정화시키는 필터로 대용될 수 없는 것을 상기하라), 소규모 생산에 따른 제품단가의 상승을 가져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첫째, 수명이 다한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면서도, 둘째,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의 전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의 응용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5 및 도6은,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7, 도8, 도9 및 도10은,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의 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2 및 도13은, 도11의 오염수정화필터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설명*
100, 200: 오염수정화필터 10, 201: 인입통
10a: 인입공 10b: 걸침턱
10c: 힌지구 10d: 돌출단
10d-1: 돌출단 20: 필터재
30, 203: 배출관 30a: 배출공
40, 204: 상부덮개 40a: 배출구
40b, 204b: 필터재투입구 40c, 10b-1, 10d-1: 통과공
40d, 204c: 투입구마개 40e: 손잡이
50, 205: 하부덮개 50a, 50b/205a, 205b: 덮개편
50c: 힌지축 60, 206: 개폐장치
60a, 206a: 핸들 60b: 연장단
60c: 개폐단 70, 207: 케이싱
206b: 얼레 206c: 선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인입통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덮개는 오염수가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통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덮개는 오염수가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통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통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통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덮개는 오염수가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통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 및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덮개는 오염수가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인입통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상부면에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는, 상부면에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 및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술한 오염수정화필터에서, 상기 하부덮개는,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 상기 핸들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연장단; 및 상기 연장단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단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좌우 덮개편의 외측단을 열거나 잠그는 개폐단; 를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술한 오염수정화필터에서, 상기 하부덮개는,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얼래; 및 상기 얼래에 일 측이 감기거나 풀리고, 타 측은 상기 덮개편의 외측 끝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편을 열거나 잠그는 선재; 를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함으로써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되,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에 관한 절개도이고, 도2는 도1의 오염수정화필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100)는, 오염수가 인입되는 인입공(10a)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인입통(10), 오염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필터재(20), 상기 필터재(20)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관(30), 상기 인입통(10)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상부덮개(40) 및 하부덮개(50), 상기 하부덮개(50)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60) 및 상기 인입통(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10)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입통(10)은, 상기 케이싱(70)에 걸쳐지도록 상단 테두리에는 갓모양의 걸침턱(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침턱(10b)에는 후술할 개폐장치(60)의 연장단이 통과되는 통화공(10b-1)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하단에는 상기 하부덮개(50)가 힌지결합 될 수 있는 힌지구(10c) 한 쌍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다수개의 인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인입공(10a)은 오염수는 인입되되 내부의 필터재(20)는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바람직하다. 또, 인입통(10)의 하단에는 개폐장치(60)의 연장단이 통과되는 통과공(10d-1)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단(10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재(20)는, 상기 인입통(10)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어떠한 오염물질(예를 들면, 침전물-입자상 물질, 기름 또는 유지류, 용해성금속, 유기물, 총인, 용해성인, 총질소, 용해성 암모니아)을 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가에 따라서 그 종류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재로는 입자상 활성탄(GAC), 여과사(Sand), 페라이트(Perite), 제오라이트(Zeolite), Pleated Fabric(주름진 섬유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필터재(20)는 사용의 반복에 의하여 그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의 필터재를 대신하여 새로운 필터재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30)은 원통형상으로 상기 상부덮개(4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인입통(10)의 내측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재(20)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3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관(30)은 본 실시 예에서처럼 정화수를 반드시 상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부덮개(40)로부터 고정되어 하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되지 않아도 되며,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배출관(30')이 인입통(10')의 측면으로 정화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어도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배출공(30a)은 정화수는 배출시키되 내부의 필터재(20)는 배출시키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면 어떠한 형상이든지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덮개(40)는 인입통(10)의 상부를 덮으며, 중심에는 상기 배출관(30)과 대응되는 배출구(40a)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재(20)를 투입시키기 위한 필터재투입구(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측에는 개폐장치(60)의 연장단이 통과되는 통과공(40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필터재투입구(40b)를 개폐하는 투입구마개(40d)와, 상부덮개(40)를 들어올리기 위한 손잡이(40e)가 더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입구마개(40d)는 일반적인 병마개처럼 필터재투입구(40b)에 나사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물론, 필터재투입구(40b)를 개폐하기 위한 투입구마개(40d)는 응용예에 따라서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다. 만일 도1 및 2에서와 같이 상부덮개(40)의 상측으로 정화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투입구마개(40d)가 필요적으로 구성될 필요성이 있지만,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화수가 인입통(10')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투입구마개가 필요적으로 구성될 필요성은 없는 것이다.
상기 하부덮개(50)는, 상기 인입통(10)의 하부를 덮으며,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50a, 50b)과, 좌우 덮개편(50a, 50b)이 하방향으로 접히도록 연결하면서 상기 인입통(10)의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구(10c)에 힌지결합하는 힌지축(50c) 등을 포함한다. 또, 이러한 하부덮개(50)에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50d)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응용에 따라서는 하부덮개가 케이싱에 힌지결합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개폐장치(60)는, 상기 하부덮개(50)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40)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60a)과, 상기 핸들(60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상부덮개(40)의 통과공(40c) 및 인입통(10)의 통과공(10b-1, 10d-1)을 통과한 후 상기 하부덮개(50)까지 연장되는 연장단(60b)과, 상기 연장단(60b)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단(60b)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좌우 덮개편(50a, 50b)의 외측단을 열거나 잠그는 개폐단(60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단(60c)은 상기 연장단(60b)의 끝단에서 연장단(60b)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70)은, 상기 인입통(10)의 외측에 원통형상으로 구비된다. 만일 홍수 등에 의해 오염수에 자갈 등이 섞여 빠른 속도로 이동할 경우에는 자갈이 인입통 등에 부딪혀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70)에 의해 케이싱(70) 내부의 구성을 보호한다. 따라서 만일 그러한 인입통(10) 등의 손상에 대한 염려가 없는경우라면 케이싱은 불필요한 구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인입통과 함께 구성되는 케이싱(70)은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이러한 오염수정화필터(100)는 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수 정화에도 사용될 수 있고,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된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염수의 정화에도 사용될 수 있다. 비점오염원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정화장치에 구성되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염수정화필터(100)의 작용에 대하여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오염수는 하부덮개(50)에 형성된 인입구(50d)를 통과한 후, 일부는 직접 인입통(10)의 내측으로 유입되고, 일부는 인입통(10)의 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0a)을 통하여 인입통(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인입통(1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필터재(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정화수는 배출관(30)의 배출공(30a) 및 상부덮개(40)의 배출구(40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오랜 사용에 의해 필터재의 기능이 상실되면, 관리자는 기존의 필터재를 새로운 필터재로 교체해 줌으로써, 정화기능을 유지시켜야 한다.
도5 및 도6은, 필터재(20)의 교체작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관리자는 도5에서와 같이 핸들(60a)을 회전시켜 개폐단(60c)이 인입통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개폐단(60c)이 인입통(10)의 외측으로 향하면, 내부의 필터재(20)의 무게에 의하여 하부덮개(50)의 양 덮개편(50a, 50b)이 하방향으로 젖혀지면서내부의 필터재(20)가 쏟아져 나온다.
내부의 필터재(20)가 다 쏟아져 나오면 도6에서와 같이, 관리자는 양 덮개편(50a, 50b)을 상방향으로 다시 닫은 후, 개폐단(60c)을 돌려 양 덮개편(50a, 50b)을 지지하도록 한 뒤 상기 필터재투입구(40b)를 통하여 새로운 필터재를 투입시킨다. 새로운 필터재가 알맞게 투입되면 투입구마개(40d)로 필터재투입구(40b)를 닫는다.
물론, 필터재(20)의 유형에 따라서는 필터재투입구(40b)를 통하여 투입하기에 부적절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부덮개(40)를 들어올린 후 필터재를 투입하면 된다.
<제1실시예의 제1응용예>
도7은 제1실시예의 제1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700)는, 별도의 배출관을 구성하는 대신에 상부덮개(40-7)에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40-7a)을 형성시키고 있다.
<제1실시예의 제2응용예>
도8은 제1실시예의 제2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800)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800)는, 제1실시예와 같은 인입통을 구성시키지 아니하고 케이싱(70-8)만을 구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싱(70-8)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하부덮개(50-8)의 인입구(50-8d)만을 통하여 필터재로 유입되게 된다.
<제1실시예의 제3응용예>
도9는 제1실시예의 제3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900)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900)는, 제1실시예와 같은 인입통을 구성시키지 아니하고 케이싱(70-9)만을 구성시키고 있으며, 또한, 별도의 배출관을 대신하여 상부덮개(40-9)에 다수개의 배출공(40-9a)을 형성시키고 있다.
<제1실시예의 제4응용예>
도10은 제1실시예의 제4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1000)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응용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1000)는, 상부덮개 대신에 하부로만 개방된 인입통(10-10)을 구성시키고 있으며, 그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공(10-1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은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필터재투입구(10-10b)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마찬가지로 필터재투입구(10-10b)를 개폐시키기 위한 투입구마개(10-10c)가 함께 구성된다.
필터재는 목적에 따라서 종류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자 크기가 큰 필터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입자 크기가 작은 필터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자크기가 작은 필터재를 사용할 목적이라면 필터재투입구를 통하여 필터재를 투입하면 되므로,제1실시예에서처럼 상부덮개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시키지 않고, 본 응용예에서처럼 하부만 개방된 인입통(10-10)을 구성시켜도 바람직할 것이다.
<제2실시예>
도11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200)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200)는, 오염수가 인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인입통(201), 오염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필터재(미도시),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03), 상기 인입통(201)의 상부 및 하부를 덮는 상부덮개(204) 및 하부덮개(205), 상기 하부덮개(205)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206) 및 상기 인입통(201)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201)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20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덮개(205)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205a, 205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개폐장치(206)는, 상기 하부덮개(205)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덮개(204)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206a)과,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얼레(206b)와, 상기 얼레(206)에 일 측이 감기거나 풀리고 타 측은 상기 덮개편(205a, 205b)의 외측 끝단에 연결 고정되는 선재(206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얼래(206b)는 상기 상부덮개(204)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얼래(206b)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얼래지지단(204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지지된다.
도12 및 도13은, 필터재의 교체작업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관리자는 도12에서와 같이 핸들(206a)을 회전시켜 선재(206c)가 얼레(206b)에서 풀리도록 한다. 선재(206c)가 얼레(206b)에서 풀리게 되면, 내부의 필터재의 무게에 의하여 하부덮개(205)의 양 덮개편(205a, 205b)이 하방향으로 젖혀지면서 내부의 필터재가 쏟아져 나온다.
내부의 필터재가 다 쏟아져 나오면 도13에서와 같이, 관리자는 다시 핸들(206a)을 회전시켜 선재(206c)가 얼레(206b)에 감기도록 하여 양 덮개편(2065a, 205b)을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입통(201)의 하부를 닫은 후, 새로운 필터재를 필터재투입구(204b)를 통하여 투입시킨다. 새로운 필터재가 알맞게 투입되면 투입구마개(204c)로 필터재투입구(204b)를 닫는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나 응용예들은, 본 고안을 구체화한 일예들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설명된 실시예나 응용에들의 각 구성이 상호 유기적으로 조합되는 변형예가 본 고안의 기본적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실시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즉, 본 고안은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러한 내용의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는 기술사상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염수정화필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명이 다한 필터의 교체가 간편하다.
둘째, 필터재만 달리하면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동일한 형상으로 가지면서 필터재만 선택적으로 적용하면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따라서 제품을 저렴하게 생산 및 소비할 수 있다.

Claims (13)

  1.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인입통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2.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3. 통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4. 통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상기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6.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가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7. 측면에는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입공이 형성되고, 상부면은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 및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인입통;
    상기 인입통의 인입공을 통해 인입된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상기 인입통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인입통의 하부를 덮으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8. 제1항, 제2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오염수가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통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인입통의 외측에 마련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10. 상부면에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필터재투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형성되며, 상기 인입통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배출관;
    상기 케이싱의 상부를 덮는 상부덮개;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11. 상부면에 필터재를 투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재투입구 및 필터재에 의해 정화된 정화수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재;
    상기 케이싱의 하부를 덮으면서 오염수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덮개; 및
    상기 하부덮개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폐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12.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
    상기 핸들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연장단; 및
    상기 연장단의 끝단에서 상기 연장단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좌우 덮개편의 외측단을 열거나 잠그는 개폐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지름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접히는 좌우 덮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하부덮개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덮개의 상측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얼래; 및
    상기 얼래에 일 측이 감기거나 풀리고, 타 측은 상기 덮개편의 외측 끝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덮개편을 열거나 잠그는 선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수정화필터.
KR20-2004-0029735U 2004-10-21 2004-10-21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200372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35U KR200372904Y1 (ko) 2004-10-21 2004-10-21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35U KR200372904Y1 (ko) 2004-10-21 2004-10-21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327A Division KR100605358B1 (ko) 2004-10-18 2004-10-18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904Y1 true KR200372904Y1 (ko) 2005-01-21

Family

ID=4944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35U KR200372904Y1 (ko) 2004-10-21 2004-10-21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6B1 (ko) * 2006-08-05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오염수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846B1 (ko) * 2006-08-05 2007-05-04 주식회사 차세대환경 오염수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022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90293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0417011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200452222Y1 (ko) 비점 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614687B1 (ko) 우수 정화처리장치에 설치되는 더블유형 스크린장치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00113943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10123978A (ko) 초기우수 분리용 개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605358B1 (ko)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200372904Y1 (ko) 오염수(汚染水)정화필터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713591B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0719944B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64381B1 (ko)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650347B1 (ko) 가로수 보호가능한 저영향개발을 위한 우수 침투용모듈
KR200343186Y1 (ko) 우수받이 기능을 가진 노면 배수 처리장치
KR200398981Y1 (ko) 오폐수 정수장치용 필터 카트리지
KR200388942Y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KR20160090599A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59724Y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KR200392662Y1 (ko)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