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0599A -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0599A
KR20160090599A KR1020150010595A KR20150010595A KR20160090599A KR 20160090599 A KR20160090599 A KR 20160090599A KR 1020150010595 A KR1020150010595 A KR 1020150010595A KR 20150010595 A KR20150010595 A KR 20150010595A KR 20160090599 A KR20160090599 A KR 2016009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oll
main body
initia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397B1 (ko
Inventor
조창균
박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주)미래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주)미래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Priority to KR102015001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1차 여과 처리되는 전처리조(A); 및 상기 전처리조(A)와 연통되며 상기 1차 여과된 초기우수를 2차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조(B)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초기우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상기 배출구(12)가 위치되는 상측공간(S1)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하측공간(S2)으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재(20); 상기 여과재(20)에 의해 구획된 하측공간(S2)에 형성되되 본체(10) 측면에 형성된 역세척배출공(13);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11) 상측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수문(30); 및 상기 수문(3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수문(30)의 회동과 연계되어 상기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는 계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irst rainwater with auto back washing}
본 발명은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재에 흡착된 오염물을 자동으로 역세척할 수 있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우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통상 빗물에 쓸려 하천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킨다. 이때,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은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특히 초기우수와 함께 하천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원이 내포된 초기우수를 정화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분리되는 오염물 중 모래 등의 침전성 오염물들과 기름띠나 나무등과 같은 부유성 오염물들을 따로 분리하지 못하고, 이들 모두를 한 장소에 축적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비록 초기우수를 정화처리 한다고 하는 효과는 있지만, 혼합 축적된 침전성 오염물과 부유성 오염물들을 처리하려고 하면 별도의 선별작업을 통해 선별하여야 하므로 수거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가 있다.
한편, 오염물들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재에 오염물들이 계속적으로 흡착됨에 따라 여과재가 오염물들에 의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오염물들이 더 이상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여과공정이 지연되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여과재에 역세척수를 분사하여 여과재에 흡착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기도 하지만, 역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펌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08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조에 유입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재에 흡착되어 여과효율이 떨어질 때 펌프 없이 자동으로 여과재를 역세척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여과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흡착조의 흡착포가 초기우수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교체됨에 따라 여과시간이 단축되며 그로 인해 여과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1차 여과 처리되는 전처리조(A); 및 상기 전처리조(A)와 연통되며 상기 1차 여과된 초기우수를 2차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조(B)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초기우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상기 배출구(12)가 위치되는 상측공간(S1)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하측공간(S2)으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재(20); 상기 여과재(20)에 의해 구획된 하측공간(S2)에 형성되되 본체(10) 측면에 형성된 역세척배출공(13);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11) 상측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수문(30); 및 상기 수문(3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수문(30)의 회동과 연계되어 상기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는 계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여과조(B)의 본체(1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유입구(11)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40)에 의해 역세척배출공(13)이 개방되어 상기 상측공간(S1)에 위치한 우수가 하측공간(S2)의 역세척배출공(13)을 향해 빨려들어가면서 여과재(20)에 흡착된 오염물질이 자동으로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조(A)는 초기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침전물을 걸러내어 저장하는 스크린조(50) 및 침전조(60)와, 상기 스크린조(50)와 침전조(60)에서 협잡물과 침점물이 분리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흡착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조(70)는 전면에 상기 침전조(60)와 연통되는 제1연통공(7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여과조(B)와 연통되는 제2연통공(73)이 형성된 흡착조본체(71); 상기 흡착본체(71) 내부에 각각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2연통공(73)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제2연통공(73)보다 상측에 위치된 제1롤(75) 및 제2롤(76)과 제2연통공(73)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3롤(77); 상기 제1롤(75)에 권취되며 제3롤(77)을 경유하여 제2롤(76)에 감겨지는 흡착포(74); 상기 제2롤(76)에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제2롤(76)을 회전시켜 흡착포(74)를 권취시키는 래칫(78); 및 상기 래칫(78)에 연결되며 흡착조본체(71)에 유입된 초기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됨에 따라 래칫(78)을 회전시키는 부력체(7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여과조(B)의 역세척배출공(13)에는 역세척에 사용된 초기우수가 배출되는 역세척배출관(81)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역세척배출관(81)의 타단은 외부의 저장수조(8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여과조(B)에서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감소될 때 유입구(11)가 폐쇄됨과 동시에 역세척배출공(13)이 개방되어 여과재(20) 상측공간(S1)에 위치한 여과된 초기우수가 하측공간(S2)의 역세척배출공(13)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여과재(20)를 세척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펌프 및 역세척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여과재(20)를 자동으로 보다 신속하게 역세척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여과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전처리조(A)의 흡착조(70)에서 흡착포(74)에 부유물이 계속적으로 흡착됨에 따라 초기우수가 흡착포(74)를 통과하지 못해 수위가 점점 높아지면, 부력체(79)의 연결바(79a)가 제2롤(76)의 래칫(78)에 축결되어 연결바(79a)가 회동되어 래칫(78)이 회동됨에 따라 제2롤(76)이 회동되면서 흡착포(74)를 권취시키므로, 부유물이 흡착된 낡은 흡착포(74)가 부유물이 흡착되지 않은 새로운 흡착포(74)로 대체되어 부유물의 흡착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여과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이때, 별도의 센서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흡착포(74)를 교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한편, 상기 여과조(B)의 역세척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 초기우수 및 이에 포함된 미세한 오염물질을 역세척배출관(81)에 의해 저장수조(80)에 저장하고 하수처리장 등에 주기적으로 방출하여 다시 여과 처리하므로, 역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오염물질도 하천으로 방출하지 않고 한 번 더 여과처리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지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은 상기 실시예의 일요부인 여과조의 역세척과정을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다른 요부인 흡착조의 흡착포의 교체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를 1차 여과 처리하는 전처리조(A)와, 초기우수를 2차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전처리조(A)와 여과조(B) 및 저장수조(80)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면의 맨홀이 지면(1)에 노출되도록 매립된다.
상기 전처리조(A)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는 스크린조(50)와, 초기우수에 포함된 모래와 같이 입자가 작은 침전물이 침전되는 침전조(60)와, 초기우수에 포함된 기름띠 등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흡착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처리조(A)는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의 본체 내부를 격벽(2)에 의해 3개의 챔버로 구획하여 각각 스크린조(50), 침전조(60) 및 흡착조(7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어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각 격벽(2)에는 스크린조(50), 침전조(60) 및 흡착조(70)가 서로 연통되도록 연통공이 형성되고 이 연통공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도시안된 개폐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린조(50) 및 침전조(60)는 종래 초기우수 처리장치와 기능이 거의 유사하며 본 발명의 특징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흡착조(70)는 초기우수에 포함된 기름띠 등과 같은 부유물을 흡착포(74)를 이용하여 흡착 제거하고 부유물이 제거된 초기우수를 여과조(B)로 보낸다. 이와 같은 흡착조(7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흡착조본체(71), 제1 내지 제3롤(75,76,77), 래칫(78) 및 부력체(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조본체(71)는 전면에 침전조(60)와 연통되는 제1연통공(7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여과조(B)와 배관(3)에 의해 연결되는 제2연통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롤(75,76)은 제2연통공(73)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제3롤(77)은 제2연통공(73)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제1 내지 제3롤(75,76,77)은 제2연통공(73)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흡착포(74)는 제1롤(75)에 권취되어 풀려지면서 제3롤(77)을 경유하여 제2롤(76)에 감겨지는데,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흡착포(74)는 제2연통공(73)이 내측부에 위치되도록 대략 U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제1연통공(72)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제2롤(76)과 제3롤(77) 사이에 위치한 흡착포(74)를 통과하면서 제2연통공(73)으로 배출될 때 초기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이 흡착포(74)에 흡착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78)은 제2롤(76)에 동축결합되며 제2롤(76)의 폴에 걸려져서 도면에서 래칫(7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만 제2롤(76)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롤(76)이 회전되면 흡착포(74)가 제2롤(76)에 감겨진다. 상기 부력체(79)는 흡착조본체(71)에 채워진 초기우수에 부력을 받으며 떠 있고 이 부력체(79)는 상기 래칫(78)에 연결바(79a)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연결바(79a)가 래칫(78)에 축결되어 서로 일체로 회동된다.
이때, 초기우수의 부유물이 흡착포(74)에 계속적으로 흡착됨에 따라 흡착포(74)의 공극이 막혀서 초기우수가 흡착포(74)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흡착조본체(71)의 초기우수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체(79)의 연결바(79a)가 시계방향으로 일정각 회동되므로 래칫(78)이 폴에 걸려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롤(76)이 회전되어 흡착포(74)가 제2롤(76)에 감겨진다. 따라서 부유물이 흡착되지 않은 제1롤(75)과 제3롤(77) 사이에 위치된 흡착포(74)가 부유물이 흡착된 제2롤(76)과 제3롤(77) 사이로 이동되므로 부유물에 의해 막혀있는 흡착포(74)가 새로운 흡착포(74)로 자동 교체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여과조(B)는 전처리조(A)의 흡착조(70)와 연결되어 전처리조(A)에서 1차 여과 처리된 초기우수를 2차 여과 처리한다. 이와 같은 여과조(B)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체(10), 여과재(20), 역세척배출공(13), 수문(30) 및 개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전면 하측에 상기 흡착조(70)와 연통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면 상측에 여과된 초기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재(20)는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본체(10)를 상측공간(S1) 및 하측공간(S2)으로 구획한다. 이때, 상측공간(S1)에는 배출구(12)가 위치되고 하측공간(S2)에는 유입구(11)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초기우수가 유입구(11)로 계속적으로 유입되면 본체(10) 내부에 채워진 초기우수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초기우수가 여과재(20)를 통과하여 상측공간(S1)으로 이동되면서 여과 처리된다. 한편, 상기 하측공간(S2)의 본체(10)의 측면에는 역세척배출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문(30)은 본체(10)의 유입구(11) 상측에 구비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한다. 초기우수가 유입구(11)로 유입됨에 따라 수문(3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가 개방되고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감소됨에 따라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가 폐쇄된다. 이때, 본체(10)에는 수문(30)의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토퍼(32)가 내향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0)는 수문(3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수문(30)의 회동과 연계되어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폐부재(40)는 수문(30)과 별체로 이루어져서 전단이 수문(3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측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기역자부재(41)와, 이 기역자부재(41)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는 개폐판(42)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도 3에서와 같이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증가되면 수문(30)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가 개방되며, 이때 개폐부재(4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개폐판(42)이 역세척배출공(13)을 폐쇄한다. 여기서,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더욱 증가하더라도 수문(30)의 회동각은 스토퍼(32)에 의해 제한되므로 개폐부재(40)는 항상 역세척배출공(13)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초기우수가 계속 유입되어 수위가 증가되므로 초기우수가 여과재(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초기우수의 유입량이 감소되면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가 폐쇄되며, 이때 개폐부재(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즉, 역세척배출공(13)을 막고 있던 개폐판(42)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역세척배출공(13)이 개방된다. 이때, 본체(10)에 채워진 초기우수의 수위가 역세척배출공(13)의 위치보다 높은 상태에서 유입구(11)가 폐쇄되고 역세척배출공(13)이 개방되면 상기 초기우수는 역세척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빠르게 배출된다.
여기서, 초기우수가 여과재(20)에 여과 처리됨에 따라 여과재(20)가 미세입자들에 의해 막혀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되는데, 상측공간(S1)에 위치한 초기우수는 여과재(20)를 역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여과재(20)에 흡착된 미세입자들이 여과재(20)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별도의 역세척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분사시키는 것과 달리 즉,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역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역세척배출공(13)에는 외부의 저장수조(80)가 역세척배출관(81)에 의해 연결되어 역세척에 사용된 초기우수가 역세척배출관(81)을 통해 저장수조(8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수조(80)에 채워진 초기우수는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으로 주기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한편, 개폐부재(40)는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수문(30) 후면에서 후방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역세척배출공(13)이 수문(30)의 회동영역 내부에 형성되어 수문(30)의 회동에 따라 개폐부재(40)가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1차 여과 처리되는 전처리조(A); 및 상기 전처리조(A)와 연통되며 상기 1차 여과된 초기우수를 2차 여과 처리하는 여과조(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여과조(B)는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초기우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상기 배출구(12)가 위치되는 상측공간(S1)과 유입구(11)가 위치되는 하측공간(S2)으로 구획하며,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재(20);
    상기 여과재(20)에 의해 구획된 하측공간(S2)에 형성되되 본체(10) 측면에 형성된 역세척배출공(13);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유입구(11) 상측의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유입구(11)를 개폐하는 수문(30); 및
    상기 수문(3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수문(30)의 회동과 연계되어 상기 역세척배출공(13)을 개폐하는 계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여과조(B)의 본체(1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유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수문(30)이 자중에 의해 회동되어 유입구(11)를 폐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40)에 의해 역세척배출공(13)이 개방되어 상기 상측공간(S1)에 위치한 우수가 하측공간(S2)의 역세척배출공(13)을 향해 빨려들어가면서 여과재(20)에 흡착된 오염물질이 자동으로 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A)는 초기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침전물을 걸러내어 저장하는 스크린조(50) 및 침전조(60)와, 상기 스크린조(50)와 침전조(60)에서 협잡물과 침점물이 분리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며 상기 초기우수에 포함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흡착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조(70)는 전면에 상기 침전조(60)와 연통되는 제1연통공(72)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여과조(B)와 연통되는 제2연통공(73)이 형성된 흡착조본체(71);
    상기 흡착본체(71) 내부에 각각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2연통공(73)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제2연통공(73)보다 상측에 위치된 제1롤(75) 및 제2롤(76)과 제2연통공(73)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3롤(77);
    상기 제1롤(75)에 권취되며 제3롤(77)을 경유하여 제2롤(76)에 감겨지는 흡착포(74);
    상기 제2롤(76)에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제2롤(76)을 회전시켜 흡착포(74)를 권취시키는 래칫(78); 및
    상기 래칫(78)에 연결되며 흡착조본체(71)에 유입된 초기우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됨에 따라 래칫(78)을 회전시키는 부력체(7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B)의 역세척배출공(13)에는 역세척에 사용된 초기우수가 배출되는 역세척배출관(81)의 일단이 설치되고, 이 역세척배출관(81)의 타단은 외부의 저장수조(8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150010595A 2015-01-22 2015-01-22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13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95A KR101713397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595A KR101713397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599A true KR20160090599A (ko) 2016-08-01
KR101713397B1 KR101713397B1 (ko) 2017-03-07

Family

ID=5670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95A KR101713397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343A (zh) * 2016-12-06 2017-03-22 山东中车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维护、无堵塞污水输送装置及排污方法
CN111749320A (zh) * 2020-06-28 2020-10-09 河南黄大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池及其施工方法
CN116378195A (zh) * 2023-04-15 2023-07-04 杭州伊舒蒙卫浴有限公司 一种底部带过滤排水功能的淋浴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4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체 방향 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물 정화기
KR20110084080A (ko) 2010-07-05 2011-07-2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42378B1 (ko) * 2012-11-26 2013-03-15 (주)이앤씨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4B1 (ko) * 2007-02-28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체 방향 전환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물 정화기
KR20110084080A (ko) 2010-07-05 2011-07-21 신강하이텍(주)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와 처리잔류수의 자동방류가 가능한 여과형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242378B1 (ko) * 2012-11-26 2013-03-15 (주)이앤씨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343A (zh) * 2016-12-06 2017-03-22 山东中车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快维护、无堵塞污水输送装置及排污方法
CN111749320A (zh) * 2020-06-28 2020-10-09 河南黄大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池及其施工方法
CN116378195A (zh) * 2023-04-15 2023-07-04 杭州伊舒蒙卫浴有限公司 一种底部带过滤排水功能的淋浴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97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2203152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36385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53780B1 (ko) 역세척자동화시스템이 구비된 비점오염저감시설장치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0704901B1 (ko) 강우의 특성을 고려한 우수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39617B1 (ko) 교량용 초기우수 비점오염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253591B1 (ko)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713591B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KR20170117280A (ko) 강우수 정화장치
CN211445418U (zh) 一种食品废水处理系统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764398B1 (ko) 정체수 배재 및 역세척 설비를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91606B1 (ko) 와류 챔버를 포함하는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