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987B1 -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987B1
KR100691987B1 KR1020060023424A KR20060023424A KR100691987B1 KR 100691987 B1 KR100691987 B1 KR 100691987B1 KR 1020060023424 A KR1020060023424 A KR 1020060023424A KR 20060023424 A KR20060023424 A KR 20060023424A KR 100691987 B1 KR100691987 B1 KR 10069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crete
leachate
packing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신
Original Assignee
이옥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신 filed Critical 이옥신
Priority to KR102006002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침출수를 배수 유도하는 시공과정이 간단화되고, 침출수를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 및 교체하기에 용이하며, 주위온도가 결빙점에 도달하더라도 탄력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동파로 인한 콘크리트 파손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은 콘크리트 균열부에 콘트리트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천공단계; 상기 필터설치공로부터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패킹설치홈 형성단계; 콘크리트 균열부에 보수재를 충진하여 보수하는 균열보수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 및 패킹설치홈의 표면을 방수재로 도장하는 방수코팅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필터를 압입 설치하는 필터 설치단계; 유로홈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을 패킹설치홈에 설치하는 배수유도용 패킹 고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균열부, 침출수, 필터, 필터설치공, 배수유도용 패킹, 여과재

Description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METHOD AND STRUCTURE OF DRAINING GUIDANCE FOR CONCRETE AND FILTER USE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의해 균열 및 누수되는 콘크리트에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대한 시공 순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터 10 : 필터지지체
11 : 걸림링 12 : 관통공
13 : 나사선 14 : 접착제
20 : 필터몸체 21 : 여과재 수용홀
22 : 플랜지부 23 : 망사부
24 : 회전용 손잡이 25 : 나사선
30 : 여과재 31 : 토목섬유층
32 : 제 1잔골재층 33 : 제 2잔골재층
40 : 배수유도용 패킹 41 : 유로홈
50 : 콘크리트 51 : 균열부
52 : 필터설치공 53 : 패킹설치홈
60 : 토사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침출수를 배수 유도하는 시공과정이 간단화되고, 상기 침출수를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로 용이하게 배수시키는 한편, 침출수를 여과하여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필터가 설치 및 교체하기에 간편한 구조로 되며, 주위온도가 결빙점에 도달하더라도 탄력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동파로 인한 콘크리트 파손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토사체에 인접하고 있는 옹벽이나 교대 또는 터널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치지역의 특성상 콘크리트에 인접한 토사체에 물을 많이 함유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우수나 지하수가 유입되어 콘크리트 배면의 토사체에 고이게 되면 콘크리트는 토사압력 외에 배면에 고인 물의 수압을 가중하여 받게 된다.
콘크리트의 배면 수압이 높아 콘크리트에 과도한 수평 또는 수직 하중이 가해지면 내구력이 약화되고 균열이 진행되어 이 균열부를 통하여 물(침출수,沈出水)이 외부로 유출된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 균열부위의 수분 함유 및 결빙과 해빙의 반복에 의해 균열이 가중되고, 콘크리트내의 철근이 부식되며, 또한 상기 침출수에 토사가 함께 유출되어 콘크리트 배면에 큰 공극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반 침하 문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침출수를 배수 유도하는 방법이 여러 제안되었다.
일례를 들어 간략하게 설명하면, 침출수가 유출되는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어 배수 파이프를 박고, 이 배수 파이프를 콘크리트 표면을 따라 바닥 배수로까지 연장 설치하여 침출수를 배수 유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침출수 배수 유도방법은 배수 파이프가 콘크리트 표면상에 돌출되어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뿐더러 주위기온이 결빙점에 도달하게 되면 배수 파이프내 침출수가 쉽게 얼게되고 상기 배수 파이프가 동파되어 유지관리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일례로 상기의 여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침출수 배수를 유도하면서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이 특허등록 제0288058로 제안되었다.
상기 특허등록 제0288058호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지점을 일정크기로 절삭해 내어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홈내의 누수지점에 소정 직경의 집수용 파이프를 박아 벽면 내부에 장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집수용 파이프의 단부에 누수된 물을 배수로로 흘려 보내기 위한 연결 파이프를 곡관 및 연결 이음부재 등을 이용하여 결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절삭홈 내부를 지수용 재료로 채운 후, 표면을 평탄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 투수성을 가진 필터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의 유도배수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0288058호는 구조물의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시킨 홈에 상기 파이프들을 매설하고 모르타르를 발라서 표면을 평탄화하는 등 작업과정이 복잡하고, 콘크리트 표면에 근접하여 매설함으로써 주위 온도가 매우 낮을 경우 동파에 의해 파이프의 파손은 물론 이로 인해 파이프 주변 콘크리트까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필터가 상기 파이프와 함께 콘크리트 내부로 매설된 후 이를 모르타르를 발라서 콘크리트와 일체화시킴으로 인해서 상기 필터가 여과능력이 한계에 도달하여 막힐 경우 침출수가 배수되지 않아 콘크리트 배면 수압을 증가시키게 되어 콘크리트의 추가 균열을 초래하게 되고 콘크리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필터의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필터의 여과능력이 저하되었을 때 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의 지속적인 안정성이 확보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사용하고 여과된 침출수의 배수를 유도하는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안정성 확보는 물론 시공 과정이 간단화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해치치 않으면서, 침출수가 배수유도용 패킹 내부에서 결빙되어 부피가 팽창되더라고 탄력적으로 신축 대응되어 동파되지 않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출수가 유출되는 콘크리트 균열부에 콘트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공에 필터가 설치되어 침출수를 여과하고 배수작용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압입하여 설치되는 관형상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환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링이 형성된 필터지지체; 상기 필터지지체의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며, 중심에 길이방향 양쪽으로 소통된 여과재 수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안쪽 테두리를 연결하여 여과재보다 작은 크기의 통수구멍을 가지는 망사부가 형성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여과재 수용홀에 채워지며 침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는, 상기 필터지지체에 상기 필터몸체를 결합할 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필터지지체의 내면 및 상기 필터몸체 외면에는 각각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몸체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지지체에 상기 필터몸체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 및 분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회전용 손잡이가 납작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는, 상기 여과재가 상기 필터몸체의 여과재 수용홀에서 상기 망사부에 인접하는 얇은 토목섬유층과, 상기 토목섬유층과 인접하여 모래알 굵기 정도인 다공성의 제 1잔골재층과, 상기 제1잔골재와 인접하여 제 1잔골재보다 굵기가 더 큰 다공성의 제 2잔골재층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은, 침출수 배수에 적합한 콘크리트 균열부의 소정지점에 콘트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천공단계; 상기 필터설치공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까지 콘크리트 표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패킹설치홈 형성단계; 콘크리트 균열부에 보수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하는 콘크리트 균열보수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 및 패킹설치홈의 표면을 방수재로 도장하는 방수코팅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압입 설치하는 필터 설치단계;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을 상기 유로홈이 상기 콘크리트의 패킹설치홈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패킹설치홈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설치하는 배수유도용 패킹 고정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은 상기 침출수 여과용 필터가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압입하여 설치되는 관형상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환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링이 형성된 필터지지체; 상기 필터지지체의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중심에 길이방향 양쪽으로 소통된 여과재 수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향된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 안쪽 테두리를 연결하여 여과재보다 작은 크기의 통수구멍을 가지는 망사부가 형성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여과재 수용홀에 채워지며 침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패킹설치홈은 그 수평 단면 형상이 홈 입구로부터 홈 바닥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은,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이 내부에 기포층을 다수 갖는 러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는, 침출수 배수에 적합한 콘크리트 균열부의 소정지점에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설치공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까지 콘크리트 표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패킹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균열부에는 보수재가 충진 경화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 및 패킹설치홈의 표면에는 방수재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가 압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의 패킹설치홈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이 상기 유로홈 형성부위와 상기 패킹설치홈 바닥면과 인접되도록 패킹설치홈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의해 균열 및 누수되는 콘크리트에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대한 시공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소정지점에 콘트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52)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50) 바닥 배수로(미도시)까지 콘크리트(50) 표면에 패킹설치홈(53)을 형성하며, 이후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 보수재를 충진하여 보수하고,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52) 및 패킹설치홈(53)의 표면을 방수재로 도장하며, 다음으로 상기 필터설치공(52)에 침출수 여과용 필터(1)를 압입 설치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41)이 형성된 배수유도용 패킹(40)을 패킹설치홈(53)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에 사용되기 위하여 미리 제작되어야할 구성품들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침출수 여과용 필터(1)는 콘크리트(50) 벽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필터설치공(52)에 설치되며 침출수에 혼입된 토사체(60)를 여과하여 배수작용함으로써 콘크리트(50) 배면에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침출수 여과용 필터(1)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 설치되는 관형상의 필터지지체(10)와, 상기 필터지지체(10)에 삽입 결합되며 중심에 여과재 수용홀(21)이 형성된 필터몸체(20)와, 상기 필터몸체(20)의 여과재 수용홀(21)에 채워지며 침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지지체(10)는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 압입하여 설치되는 관형상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필터몸체(2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13)이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환형으로 수직 돌출된 다수의 걸림링(11)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길이는 콘크리트(50) 벽체의 두께 이상이 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지지체(10)의 외경은 상기 필터설치공(52)의 내경과 같을 수도 있겠지만 약간 더 크도록 하여서 상기 필터지지체(10)를 콘크리트(50) 필터설치공(52)에 압입할 때 상기 걸림링(11)이 상기 필터설치공(52)의 입구 내주연에 걸리어 휘어져서 삽입된 후 필터설치공(52)의 내주면에 걸리어 고정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를 위해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걸림링(11)은 압입시의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탄력성을 가진 금속재 또는 수지재로 형성하되 상기 필터지지체(10)가 상기 필터설치공(52)에 압입 설치된 후에는 콘크리트(50) 배면의 토사체(60)의 압력과 수압에 의해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밀려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필터몸체(20)는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관통공(12)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에 길이방향 양쪽으로 소통된 여과재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향된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22) 안쪽 테두리를 연결하여 여과재(30)보다 작은 크기의 통수구멍들을 가지는 망사부(23)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필터지지체(10)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선(25)이 형성되고 이 나사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전면에는 납작한 판재형상으로 수직 돌출된 회전용 손잡이(24)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2)는 상기 필터몸체(20)가 필터지지체(10)에 완전 나사결합 되었을 때 필터지지체(10)의 입구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필터몸체(20)의 길이는 대략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길이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재(30)는 공극의 크기가 토립자를 유실시키지 않는 적정 크기가 되도록 하되 가능한 투수성이 큰 소재 및 배치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여과재(30)는 다공성의 잔골재이거나 부직포 또는 토목섬유(geotextile)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여과재(30)는 침출수에 혼입된 토사체(60)의 특성에 부합되어 단일 선택 되어지거나 여러 종류로 복수 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재(30)의 종류 및 배치구조의 바람직한 일예를 들면 상기 필터몸체(20)의 여과재 수용홀(21)에서 상기 망사부(23) 안쪽에 얇은 토목섬유층(31)을 배 치하고 그 다음 모래알 굵기정도의 다공성인 제 1잔골재층(32)과 이에 인접하여 상기 제1잔골재보다 굵기가 더 큰 다공성의 제 2잔골재층(33)으로 분리하여 배치되도록 한다.<도 3 참조>
상기 필터(1)의 길이 및 외경크기는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침출수 유출량과 침출수에 혼입되는 토사체(60)의 양에 따라 여러 규격으로 제작되고 여러 규격중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침출수의 유출량 및 침출수에 혼입된 토사체량이 많을경우 필터(1)의 외경 및 길이를 크게 하여 내부 여과재(30)의 충입량을 늘려서 충분한 여과능력을 가지면서 원활한 배수량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배수유도용 패킹(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50) 표면에 형성된 패킹설치홈(53)에 배수유도용 패킹(40)이 삽입 설치된다.
즉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콘크리트(50) 표면에 상기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50) 바닥 배수로(미도시)까지 소정깊이의 패킹설치홈(53)이 형성되면 이 패킹설치홈(53)에 삽입되어 홈 입구를 밀폐시키면서 콘크리트(50) 표면과 동일 표면을 가진다.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상기 필터(1)를 통과한 침출수의 배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41)이 형성된다. 이 유로홈(41)의 입구크기는 필터(1)를 통과하여 나오는 침출수의 유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형 성됨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유로홈(41)이 상기 패킹설치홈(53)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패킹설치홈(53)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설치홈(53)과 접촉되는 배수유도용 패킹(40)의 외면형상은 패킹설치홈(53) 형상과 서로 대응되도록 대략 일치되는 형상을 가지게 하여 접촉면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패킹설치홈(53)과 배수유도용 패킹(40)간의 접촉면 밀폐력 증대와 상기 패킹설치홈(53)으로부터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들간의 접촉면 수평 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되나 보다 바람직한 형상은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50) 패킹설치홈(53)이 입구로부터 내부 바닥으로 들어갈수록 확장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 또한 이 형상에 대응하여 맞도록 형성됨이 좋다.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단열성 증대를 위해 내부에 기포층을 무수히 갖도록 하며, 재질은 상기 패킹설치홈(53)에 압입에 의해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되 탄성 복원력이 좋은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탄력적인 신축성이 용이한 러버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탄력적인 신축성으로 인해 상기 패킹설치홈(53)에 압입시 용이하게 설치되는 한편, 콘크리트 표면이 터널 등과 같이 굴곡되더라고 용이하게 굴곡설치되며, 특히 주위온도가 낮아 상기 유로홈(41)에서 배수유도되는 침출수가 얼어 부피팽창되더라도 탄력적으로 신축 대응하여 동파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대한 시공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은, 콘크리트 천공단계(S1), 패킹설치홈 형성단계(S2), 콘크리트 균열보수단계(S3), 방수코팅 단계(S4), 필터 설치단계(S5), 배수유도용 패킹 고정단계(S6)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천공단계(S1)는 침출수 배수에 적합에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소정지점에 콘트리트(50)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1)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필터설치공(52)을 형성한다.
상기 콘크리트 천공지점은 균열부에서 침출수의 누수상태를 확인하여 누수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30~50Cm 정도되는 곳의 콘크리트(50) 균열부(51)로 설정한다. 상기 콘크리트 천공지점을 누수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설정한 이유는 콘크리트(50) 배면에 고여있을 침출수를 최대한 자연배수상태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콘크리트 천공지점이 설정되면 그 지점에서 별도의 철근검사기를 통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미도시)이 중첩되지 않음을 확인한 후 콘크리트를 천공하며, 상기 철근이 중첩되면 그 근처의 철근이 중첩되지 않는 지점으로 하여 콘크리트(50)를 천 공한다.
콘크리트(50) 천공 크기는 침출수 유출량을 고려하여 설정하되 필터(1)를 압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미리 제작된 필터(1)의 필터지지체(10) 외경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패킹설치홈 형성단계(S2)는 상기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50) 바닥 배수로(미도시)까지 콘크리트(50) 표면을 따라 배수유도용 패킹(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의 홈을 형성한다. 도 2, 도 4,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패킹설치홈(53)의 수평 단면 형상은 홈 입구로부터 홈 바닥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유도용 패킹(40) 또한 상기 패킹설치홈(53)의 형상에 맞게 미리 제작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균열보수단계(S3)는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 에폭시 등의 보수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하는 것으로써, 균열부(51)를 통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더 이상의 균열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며 콘크리트(50) 내구력을 회복한다. 상기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 대한 보수재 및 보수 방법은 통상의 기술이 이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방수코팅 단계(S4)는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 및 패킹설치홈(53)의 표면을 방수재로 도장한다. 이는 침출수가 콘크리트(50)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50)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상기 방수코팅 단계(S4)와 상기 콘크리트 균열보수단계(S3)는 시공시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필터 설치단계(S5)는 상기 필터설치공(52)에 침출수 여과용 필터(1)를 압입 설치한다. 상기 필터설치공(52)에 침출수 여과용 필터(1)를 압입할 때는 먼저 필터지지체(10)로 부터 필터몸체(20)를 분리한 후 필터지지체(10)를 압입 설치한다. 이때에는 상기 필터지지체(10) 둘레의 걸림링(11) 사이에 접착제(14)가 충분히 고일 수 있도록 도포한 후 압입한다. 이렇게 압입하게 되면 상기 필터설치공(52) 내주면과 필터(1) 외주면 사이가 접착제(14)의 의해 완전 밀폐됨과 동시에 일체화된다. 이후 상기 필터지지체(10)에 필터몸체(20)를 나사결합시키면 콘크리트(50) 배면의 침출수는 필터(1)로만 유입되고 배출된다.
다음으로 배수유도용 패킹 고정단계(S6)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41)이 형성된 배수유도용 패킹(40)을 상기 유로홈(41)이 상기 콘크리트(50)의 패킹설치홈(53)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패킹설치홈(53)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설치된다.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상기 필터설치공(52)에 설치된 필터(1)의 전면을 커버하여 패킹설치홈(53)에 설치되도록 하고 그래서 침출수가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유로홈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을 패킹설치홈(53)에 설치할 땐 설치시 접촉될 면들에 접착제(14)를 미리 도포하여 서로 일체화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패킹설치홈(53)에 설치된 후 노출된 표면이 콘크리트(50) 표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그럼, 배수유도공법에 의해서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는, 침출수 배수에 적합한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소정지점에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까지 콘크리트(50) 표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패킹설치홈(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는 보수재가 충진 경화되고,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 및 패킹설치홈(53)의 표면에는 방수재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1)가 압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50)의 패킹설치홈(53)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41)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40)이 상기 유로홈(41) 형성부위와 상기 패킹설치홈(53) 바닥면과 인접되도록 패킹설치홈(53)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 설치되어 있는 배수유도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에 있어서, 침출수 여과용 필터(1)는, 앞서 실시예로서 제시되었던 필터(1)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50)의 패킹설치홈(53)은 그 수평 단면 형상이 홈 입구로부터 홈 바닥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됨이 좋고 이 홈에 설치되는 배수유도용 패킹(40) 또한 접촉되는 면이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형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유연한 러버재질이 좋고 그 러버재질 내부에는 기포층이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에 의해서, 상기 콘크리트(50) 배면으로 유입된 우수 또는 지하수 등의 침출수는 상기 필터(1)에 의해 토사체들이 걸러지면서 배수되고, 이후 침출수는 상기 패킹설치홈(53)에 설치된 배수유도용 패킹(40)의 유로홈(41)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콘크리트 바닥의 배수로(미도시)로 자연 유도 배출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1)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여과능력이 저하될 때에 필터(1)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필터(1)의 교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을 필터(1)를 커버하고 있는 부분만 필터(1)로부터 강제 이격시킨다. 이후 상기 필터몸체(20)를 회전용 손잡이(24)를 잡고 나사결합이 분리되도록 돌려서 필터지지체(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여과재가 충입된 필터몸체를 필터지지체(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이격되었던 배수유도용 패킹(40)을 필터(1)가 커버될 수 있도록 패킹설치홈(53)내로 탄력적으로 압입시키며 이로써 간편하게 필터(1)가 교체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과 패킹설치홈(53)과의 접촉된 부분은 접착제(14)로 접착시켜 접촉된 부위로의 누수를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는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필터의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필터수명이 다 되었을 때 그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며, 토사체의 유실차단에 따른 콘크리트 배면에 공극형성이 방지되므로 콘크리트의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침출수 여과용 필터와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을 압입설치하게 됨으로써 시공 과정이 간단화되는 이점이 있고, 그리고 콘크리트 표면이 터널 등에서와 같이 굴곡되어 있더라도 배수유도용 패킹의 탄력적인 유연성으로 인하여 용이하게 굴곡 설치될 수 있으므로 그 시공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배수유도용 패킹의 노출표면이 콘크리트와 동일 표면을 이루므로 콘크리트의 외관을 해치치 않게 되고, 주위온도가 매우 저하되어 침출수가 배수유도용 패킹의 유로홈에서 결빙되어 부피가 팽창되더라고 배수유도용 패킹이 탄력적으로 신축 대응되므로 동파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침출수가 유출되는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 콘트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52)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설치공(52)에 필터가 설치되어 침출수를 여과하고 배수작용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 압입하여 설치되는 관형상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환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링(11)이 형성된 필터지지체(10);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관통공(12)에 삽입 결합되며, 중심에 길이방향 양쪽으로 소통된 여과재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향된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22) 안쪽 테두리를 연결하여 여과재(30)보다 작은 크기의 통수구멍들을 가지는 망사부(23)가 형성된 필터몸체(20);
    상기 필터몸체(20)의 여과재 수용홀(21)에 채워지며 침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체(10)에 상기 필터몸체(20)를 결합할 때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필터지지체(10)의 내면 및 상기 필터몸체(20) 외면에는 각각 나사선(13, 25)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몸체(20)의 전면에는 상기 필터지지체(10)에 상기 필터몸체(20)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 및 분리하기에 용이하도록 회전용 손잡이(24)가 납작하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30)는 상기 필터몸체(20)의 여과재 수용홀(21)에서 상기 망사부(23)에 인접하는 얇은 토목섬유층(31)과, 상기 토목섬유층(31)과 인접하여 모래알 굵기 정도인 다공성의 제 1잔골재층(32)과, 상기 제1잔골재와 인접하여 제 1잔골재보다 굵기가 더 큰 다공성의 제 2잔골재층(33)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
  4. 침출수 배수에 적합한 콘크리트 균열부의 소정지점에 콘트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천공단계;
    상기 필터설치공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까지 콘크리트 표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홈을 형성하는 패킹설치홈 형성단계;
    콘크리트 균열부에 보수재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보수하는 콘크리트 균열보수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 및 패킹설치홈의 표면을 방수재로 도장하는 방수코팅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필터설치공에 침출수 여과용 필터를 압입 설치하는 필터 설치단계;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을 상기 유로홈이 상기 콘크리트의 패킹설치홈 바닥면과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패킹설치홈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하여 설치하는 배수유도용 패킹 고정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여과용 필터는,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침출수 여과용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의 패킹설치홈은 그 수평 단면 형상이 홈 입구로부터 홈 바닥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은 내부에 기포층을 다수 갖는 러버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8. 침출수 배수에 적합한 콘크리트(50) 균열부(51)의 소정지점에 콘크리트 벽체를 관통하여 필터설치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설치공(52)으로부터 길게 하방향으로 콘크리트 바닥 배수로까지 콘크리트(50) 표면을 따라 소정깊이의 패킹설치홈(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50) 균열부(51)에는 보수재가 충진 경화되고,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 및 패킹설치홈(53)의 표면에는 방수재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1)가 압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50)의 패킹설치홈(53)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유로홈(41)이 형성된 탄력성의 배수유도용 패킹(40)이 상기 유로홈(41) 형성부위와 상기 패킹설치홈(53) 바닥면과 인접되도록 패킹설치홈(53) 내부에 탄력적으로 압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 여과용 필터(1)는,
    상기 콘크리트(50)의 필터설치공(52)에 압입하여 설치되는 관형상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공(12)이 형성되고 외측면 둘레에 환형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링(11)이 형성된 필터지지체(10);
    상기 필터지지체(10)의 관통공(12)에 삽입 결합되며, 중심에 길이방향 양쪽으로 소통된 여과재 수용홀(2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외향된 플랜지부(22) 및 상기 플랜지부(22) 안쪽 테두리를 연결하여 여과재(30)보다 작은 크기의 통수구멍들을 가지는 망사부(23)가 형성된 필터몸체(20);
    상기 필터몸체(20)의 여과재 수용홀(21)에 채워지며 침출수를 여과하는 여과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50)의 패킹설치홈(53)은 그 수평 단면 형상이 홈 입구로부터 홈 바닥으로 갈수록 점점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용 패킹(40)은 러버재질이며 그 러버재질 내부에는 기포층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
KR1020060023424A 2006-03-14 2006-03-14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KR10069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24A KR100691987B1 (ko) 2006-03-14 2006-03-14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424A KR100691987B1 (ko) 2006-03-14 2006-03-14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832U Division KR200417597Y1 (ko) 2006-03-14 2006-03-14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987B1 true KR100691987B1 (ko) 2007-03-12

Family

ID=3810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424A KR100691987B1 (ko) 2006-03-14 2006-03-14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9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53B1 (ko) * 2009-05-29 2012-06-01 김순용 배수재 및 그 생산방법
KR200477688Y1 (ko) * 2013-09-03 2015-07-09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옹벽용 배수파일
KR20200053080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20210035791A (ko) * 2021-03-18 2021-04-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123A (ja) 1984-03-23 1985-10-08 Ise Bosui Kogyo:Kk コンクリ−ト壁の防水方法
KR100288058B1 (ko) 1998-08-28 2001-05-02 이계철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의 유도배수방법
KR2005010356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9123A (ja) 1984-03-23 1985-10-08 Ise Bosui Kogyo:Kk コンクリ−ト壁の防水方法
KR100288058B1 (ko) 1998-08-28 2001-05-02 이계철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의 유도배수방법
KR2005010356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쓰레기 매립장용 배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553B1 (ko) * 2009-05-29 2012-06-01 김순용 배수재 및 그 생산방법
KR200477688Y1 (ko) * 2013-09-03 2015-07-09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옹벽용 배수파일
KR20200053080A (ko) * 2018-11-07 2020-05-18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2231710B1 (ko) * 2018-11-07 2021-03-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20210035791A (ko) * 2021-03-18 2021-04-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KR102242085B1 (ko) * 2021-03-18 2021-04-2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987B1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공법 및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CN109208651B (zh) 地下工程超长结构体变形缝防排水结构施工方法及结构
CN207527149U (zh) 一种地下结构预埋穿墙管防水装置
KR101186104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익스펜션 조인트 보수공법
KR101017117B1 (ko) 비개착 지중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강관루프구조체의 배수식 방수 방법 및 장치
KR100930421B1 (ko)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KR101200016B1 (ko) 배수식 강관루프구조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의 축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배수식 지중구조물
US20080298895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late-type vertical drain and circular horizontal drainpipe and method of constructing horizontal drain layer in soft ground using the same
KR10195845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KR200417597Y1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침출수 배수유도구조와 이에 사용되는 침출수 여과용 필터
JP6183869B2 (ja) マンホールの更新方法及びマンホールの新設方法
JP4576636B2 (ja) 水路の補修方法
CN107504277A (zh) 一种地下结构预埋穿墙管防水装置
JP4299715B2 (ja) 人孔内周面の更生工法
KR20060134754A (ko) 부분 도막방수 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29362B1 (ko)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KR20090130515A (ko) 지반정착 앵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앵커구조체시공방법
KR20080045600A (ko) 튜브가 추가된 플라스틱 연직배수재 및 연약지반 개량공법
KR100593190B1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벽체 배수구조
KR100823602B1 (ko) 집수정
JP6165195B2 (ja) コンクリート製壁の背面又は下面の土砂利中の水を抜く水抜き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50126087A1 (en) Manhole structure, flexible water shut off joint for manhol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manhole structure
KR20000072175A (ko) 터널방수공용 방수시트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LT5582B (lt) Filtro vamzd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