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131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131B1
KR100457131B1 KR10-2002-0059676A KR20020059676A KR100457131B1 KR 100457131 B1 KR100457131 B1 KR 100457131B1 KR 20020059676 A KR20020059676 A KR 20020059676A KR 100457131 B1 KR100457131 B1 KR 10045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e
concrete structure
cap
drainag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858A (ko
Inventor
홍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5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3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일정 영역내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일측면에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부재에 삽입되는 원형관부; 및 상기 원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성토체 내의 지하수 및 침투수를 흡수 및 안내하여 배수공 내의 파이프 부재 내에 토출하는 섬유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의 입구에 설치되어 지하수나 침투수의 배출 시 흙이나 모래가 배수공을 통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공이 막히거나 토사 유출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공동이 발생되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Cap for preventing clogging of drainage holes in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의 입구에 설치되어 지하수나 침투수의 배출 시 흙이나 모래가 배수공을 통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공이 막히거나 토사 유출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공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예컨대, 옹벽)의 배면에 빗물 등이 침투하면 성토체의 단위중량이 증가하고, 내부 마찰각과 점착력이 저하되며, 특히 점성토일 경우에는 팽창을 일으켜 토압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침투압이나 정수압이 작용하여, 토압을 더욱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옹벽의 뒷채움에는 점성토보다는 투수성이 좋은 사질토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배면에는 배수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옹벽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시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옹벽(101)의 배면 부위에는 통상 뒷채움에 의한 성토체(102)를 형성하고, 성토체(102)와 콘크리트 옹벽(101)이 접하는 부위에는 배수시설을 마련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 옹벽(101)의 배면과 성토체(102) 사이에는 모래와 잔자갈로 구성된 연직배수층(103)을 두고, 연직배수층(103)과 옹벽(101)의 배면 사이에는 부직포 필터(104)를 설치하며, 옹벽(101)의 내부로는 배수공(weep hole)(101h)을 형성한다. 이때, 배수공(101h) 내에는 PVC 파이프를 설치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종래 배수시설이 마련되어 있는 콘크리트 옹벽에 있어서, 상기 연직배수층(103) 및 필터(104)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지하수 및 침투수가 배수공(101h)을 통해 유출될 시 토사가 함께 유출될 수가 있으며, 그에 의해 배수공 (101h)이 막히거나 옹벽(101)의 배면 성토체(102) 내에 공동이 생겨 지반이 침하되는 사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입구에 설치되어 지하수나 침투수의 배출 시 토사가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옹벽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시설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캡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내의 PVC 파이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에 채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콘크리트 옹벽 102...성토체
103...연직배수층 104...부직포 필터
101h...배수공 201...원판부
202...원형관부 201h...배수용 관통공
203...섬유실부재 210...PVC 파이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일정 영역내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일측면에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부재에 삽입되는 원형관부; 및
상기 원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성토체 내의 지하수 및 침투수를 흡수 및 안내하여 배수공 내의 파이프 부재 내에 토출하는 섬유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내의 PVC 파이프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200)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캡 부재 본체와 그 캡 부재의 관통공(201h)에 끼워져 설치되는 섬유실 부재(203)로 구성된다.
상기 캡 부재는 몸체의 일정 영역내에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201h)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부(201)와, 그 원판부(201)의 일측면에 원판부(201)와 일체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내에 설치되어 있는 PVC 파이프 부재(210)에 삽입되는 원형관부(20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캡 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섬유실 부재(203)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 성토체 내의 지하수 및 침투수를 흡수 및 안내하여 배수공 내의 PVC 파이프 부재(210) 내에 토출하는 것으로서, 배수용 토목섬유실이 사용된다. 특히, 이 섬유실 부재(203)를 상기 원판부 (201)의 관통공(201h)에 삽입, 설치할 시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실 부재(203)의 일정 부위에 매듭을 지어 섬유실 부재(203)가 관통공(201h)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에 채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200)은 콘크리트 옹벽(101)의 배수공(101h) 입구에 설치되며, 이때, 섬유실 부재(203)의 일측 단부는 연직배수층(103)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성토체 (102) 내의 지하수 및 침투수는 연직배수층(103)을 거쳐 배수공(101h)을 통해 콘크리트 옹벽(101)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지하수 및 침투수는 연직배수층 (103) 내에 존재하는 섬유실 부재(203)에 흡수되어, 섬유실 부재(203)를 타고 흐르게 된다. 그리고, 섬유실 부재(203)의 타측 단부, 즉 배수공(101h) 내의 PVC 파이프(210)(도 3 참조) 내에 위치하는 단부에서 PVC 파이프(210) 내로 토출되어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옹벽(101)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지하수 및 침투수가 배수공 (101h)을 통해 직접 배출되는 메커니즘으로서, 지하수 및 침투수의 배출 시 입자가 비교적 작은 토사가 함께 유출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의 캡(200)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지하수 및 침투수가 섬유실 부재(203)에 흡수되어 배출되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어, 토사가 함께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유출 토사에 의한 배수공(101h) 막힘이나 콘크리트 옹벽(101) 배면부에의 토사 유출에 따른 공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이 콘크리트 옹벽의 배수공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은 이상과 같은 콘크리트 옹벽은 물론이고, 터널이나 지하갱의 배수공 등,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공의 입구에 설치되어 지하수나 침투수의 배출 시 흙이나 모래가 배수공을 통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수공이 막히거나 토사 유출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면에 공동이 발생되어 지반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일정 영역내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정 두께와 직경을 갖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일측면에 원판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 부재에 삽입되는 원형관부; 및
    상기 원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에 끼워지며, 성토체 내의 지하수 및 침투수를 흡수 및 안내하여 배수공 내의 파이프 부재 내에 토출하는 섬유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실 부재는 배수용 토목섬유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KR10-2002-0059676A 2002-10-01 2002-10-0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KR10045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76A KR100457131B1 (ko) 2002-10-01 2002-10-0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676A KR100457131B1 (ko) 2002-10-01 2002-10-0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033U Division KR200255710Y1 (ko) 2001-09-04 2001-09-04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58A KR20030020858A (ko) 2003-03-10
KR100457131B1 true KR100457131B1 (ko) 2004-11-16

Family

ID=2772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676A KR100457131B1 (ko) 2002-10-01 2002-10-01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668B2 (en) 2002-02-07 2017-03-28 Apple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2445105B1 (ko) 2022-05-27 2022-09-20 (주)동진이엔시 옹벽용 배수 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710B1 (ko) * 2018-11-07 2021-03-25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배출수 여과기능을 구비한 벽체구조물
KR102242085B1 (ko) * 2021-03-18 2021-04-2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과토압 방지 배수구조를 구비한 옹벽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668B2 (en) 2002-02-07 2017-03-28 Apple Inc. Mod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2445105B1 (ko) 2022-05-27 2022-09-20 (주)동진이엔시 옹벽용 배수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858A (ko)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537B2 (en) Self-drainage anchor cable system for slope prot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296660B2 (ja) 斜面安定化工法
JP2009179945A (ja) 道路用井戸暗渠及びその施行方法
JP3789127B1 (ja) 耐震構造
KR1004571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JP2890869B2 (ja) 排水機能付矢板、その製作方法、および栓
JPS6282113A (ja) 地盤安定工法
KR20025571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배수공 막힘 방지용 캡
KR101340646B1 (ko) 사면안정을 위한 지중흡수관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KR100641069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100954527B1 (ko)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JPH08302661A (ja) 噴砂防止マット工法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KR100749052B1 (ko) 링 팽창지수제 스리브를 구비한 옹벽용 배수관
JPH11256609A (ja) 構造物の浮上防止方法及び浮上防止構造
JP2976390B2 (ja) 既設構造物直下地盤の液状化抑止方法
JP3247324B2 (ja) 法面補強土工法
JP7474585B2 (ja) 繰出し式排水パイプ、地盤排水構造、及び繰出し式排水パイプの貫入方法
JP3227025U (ja) 雨水貯留浸透槽
JPH09256353A (ja) 地盤液状化防止方法とその通水筒及びその埋設方法
JP2857907B2 (ja) 浸透式簡易リチャージ排水工法
JPS60123615A (ja) 地盤の地下水排水工法
KR100953375B1 (ko) 지반 굴착용 흙막이 말뚝
JPH09158164A (ja) 地盤液状化防止方法とその通水筒及びその埋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