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426A -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426A
KR20200068426A KR1020180155402A KR20180155402A KR20200068426A KR 20200068426 A KR20200068426 A KR 20200068426A KR 1020180155402 A KR1020180155402 A KR 1020180155402A KR 20180155402 A KR20180155402 A KR 20180155402A KR 20200068426 A KR20200068426 A KR 2020006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carrier plate
elastic member
plate
impac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현
강관희
이국훈
김수복
강희원
조훈주
안준희
김기수
윤남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8426A/ko
Priority to US16/661,756 priority patent/US11028629B2/en
Priority to CN201921988821.5U priority patent/CN211390907U/zh
Publication of KR2020006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도어 글래스의 정지시에 발생하는 충격소음이 감소되도록한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10)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11)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0)와, 상기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하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는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승강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키는 충격음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DOOR GLASS ASSEMBLY WITH REDUCED NOISE DURING ELEVA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도어 글래스의 정지시에 발생하는 충격소음이 감소되도록한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채광과 환기를 위한 도어 글래스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는 레귤레이터 등에 의해서 승강되도록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내부에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하단이 체결되는 글래스 홀더(11)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4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4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40)를 승강시키는 레귤레이터(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레귤레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 글래스(10)는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시, 상기 도어 글래스(10)를 지지하고 있는 글래스 홀더(11)가 도어의 내부 구조물과 접촉하거나,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40)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120)에 접촉하면서,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고급 차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0)를 속도 가변형 모터로 적용하여, 최대로 상승하는 시점과 최대로 하강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속도를 저감시켜, 상기 글래스 홀더(11)가 상기 도어의 구조물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속도 가변형 모터는 일반적인 모터에 비하여, 고가이어서, 차량의 생산원가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생산 원가가 높아지기 때문에 일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었고, 그 이외의 차종에는 적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30)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거나, 추가적이 구성요소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5-0027803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가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승강을 완충하는 충격음 방지 수단을 구비하여,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속도 가변형 모터를 적용하지 않고 일반 모터로도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충격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토록 한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승강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키는 충격음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가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승과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정지 직전에 상기 스토퍼와 접하여 압축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한 스토퍼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한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한 스토퍼와 상기 하한 스토퍼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로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한 스토퍼와 상기 하한 스토퍼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궤적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을 압축되거나 신장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스토퍼가 진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커버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승과 하강을 제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정지 직전에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압축되는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궤적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따르면, 충격음 방지 수단이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글래스 홀더와 접촉하여 글래스 홀더의 서서히 감속시키므로,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 또는 최대 하강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속도 가변형 모터를 적용하지 않고, 저가의 일반모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도어의 모듈 플레이트에 도어 글래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4a는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이고, 도 4b는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C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6a는 도어 글래스의 최대 하강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b는 도어 글래스의 최대 하강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가 적용된 도어에서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서 캐리어 플레이트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10)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11)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40)와, 상기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하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는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승강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키는 충격음 방지 수단이 구비된다.
차량의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모듈 플레이트(20)가 구비된다.
도어 글래스(10)는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일측, 예컨대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하단이 글래스 홀더(11)에 고정된다.
캐리어 플레이트(40)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상단에 상기 글래스 홀더(11)가 설치된다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승강시키기 위한 레귤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레귤레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모터(30)는 일반적인 모터, 즉 종래기술과 달리 속도 가변기능이 없는 모터가 적용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충격음을 없애기 위하여, 고가의 속도 가변형 모터가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충격음 방지 수단의 적용으로 속도 가변 기능이 없는 일반 모터로도 동일한 효과, 즉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 최대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충격음의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이 완료되기 직전 또는 최대 하강이 완료되기 직전에 작동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상승 종료 또는 하강 종료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감속시키면서 상승 또는 하강이 종료됨으로써,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접촉시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이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스토퍼(21)(22)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1)(22)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궤적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상승하는 위치에 상한 스토퍼(21)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하강하는 위치에 하한 스토퍼(2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1)는 외력이 작용하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는 부재로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51)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상승하면 상기 상한 스토퍼(21)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상승속도를 감속시켜 점전적으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1)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하한 스토퍼(22)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하강속도를 감속시켜 점진적으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51)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정지시 발생하는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1)는 상기 상한 스토퍼(21), 상기 하한 스토퍼(22)에 접촉하면 압축되면, 접촉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컨대, 상기 탄성부재(51)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승강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코일 스프링(5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51)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41)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41)의 내부에 코일 스프링(51)의 형태의 탄성부재가 수용된다.
상기 가이드(41)는 상기 탄성부재(51)의 양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상기 탄성부재(51)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한 스토퍼(21)와 하한 스토퍼(22)가 상기 가이드(41)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탄성부재(51)에 접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41)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부재(5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부캡(52)과 하부캡(53)이 구비되어, 상기 상한 스토퍼(21)와 상기 하한 스토퍼(22)가 상기 상부캡(52)과 하부캡(53)을 통하여 상기 탄성부재(51)를 압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의 스토퍼(21)(22)와 탄성부재(51)의 위치를 바꾸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탄성부재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로부터 돌출되게 스토퍼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각각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탄성부재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완전 폐쇄를 위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상승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정지하여 충격음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개방을 위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정지하여 충격음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탑승자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구동모터(30)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30)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만약,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어 글래스(10)를 최대로 상승시키거나 최대로 하강시키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서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할 수 있는 위치로 하강하고, 작동 종료시(최대 승강 종료시 또는 최대 하강 종료시)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는 작동 종료 직전에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점진적으로 감속하면서 정지하여 충격음을 방지한다.
예컨대, 상기 탑승자가 상기 도어 글래스(10)를 최대로 상승시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승을 종료시,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에 의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완충하면서 정지하여,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시 발생하는 충격음이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로 상승하면, 종료 직전(도 4a 참조)에 상기 상한 스토퍼(21)에 상기 스프링(51)이 접촉한다. 상기 상한 스토퍼(21)에 상기 스프링(51)이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51)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해 조작력이 상쇄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상승이 감속된다.
이후,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 상승이 완료되면(도 4b 참조), 상기 스프링(51)은 최대로 압축된 상태이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6b에는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로 하강하는 상태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로 하강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하강이 완료되기 직전에(도 6a 참조) 상기 하한 스토퍼(22)에 상기 스프링(51)이 접촉한다. 상기 하한 스토퍼(22)에 상기 스프링(51)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의 하강은 감속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51)이 최대로 압축되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는 더 이상 하강할 수 없으므로, 상기 도어 글래스(10)는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 상승이 완료되는 시점 또는 최대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스프링(51)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를 감속시킨 후,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 글래스(10)가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할 때,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가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와 접촉시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속도 가변형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모토를 구동모터(30)로도 충격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40)에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에 탄성부재를 설치한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이,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스토퍼가 상기 도어 글래스(10)의 최대 상승과 최대 하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20)의 탄성부재에 접촉하면서, 감속 후 정지됨으로써,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도어 글래스 11 : 글래스 홀더
20 : 모듈플레이트 21 : 상한스토퍼
22 : 하한스토퍼 30 : 구동모터
40 : 캐리어 플레이트 41 : 가이드
51 : 스프링 52 : 상부캡
53 : 하부캡 120 : 모듈플레이트
130 : 구동모터 140 : 캐리어 플레이트

Claims (16)

  1. 차량의 도어 글래스가 고정되는 글래스 홀더가 결합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차량의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승강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점진적으로 감속시키면서 정지시키는 충격음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모듈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가 최대로 상승하거나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와 접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승과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정지 직전에 상기 스토퍼와 접하여 압축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한 스토퍼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 글래스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한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스토퍼와 상기 하한 스토퍼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로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스토퍼와 상기 하한 스토퍼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궤적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을 압축되거나 신장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스토퍼가 진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커버하는 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음 방지 수단은,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승과 하강을 제한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글래스의 최대 상승시 또는 최대 하강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정지 직전에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여 압축되는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차량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궤적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모듈 플레이트에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강방향으로 압축되거나 신장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을 구속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KR1020180155402A 2018-12-05 2018-12-05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KR20200068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02A KR20200068426A (ko) 2018-12-05 2018-12-05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US16/661,756 US11028629B2 (en) 2018-12-05 2019-10-23 Door glass assembly configured to reduce impact noise during upward/downward movement of a door glass
CN201921988821.5U CN211390907U (zh) 2018-12-05 2019-11-18 在车门玻璃上升/下降期间减小撞击声的车门玻璃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402A KR20200068426A (ko) 2018-12-05 2018-12-05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426A true KR20200068426A (ko) 2020-06-15

Family

ID=7097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402A KR20200068426A (ko) 2018-12-05 2018-12-05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8629B2 (ko)
KR (1) KR20200068426A (ko)
CN (1) CN2113909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70A (ko) * 2020-11-26 2022-06-03 (주)광진기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9719A1 (de) * 2017-06-08 2018-1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ensterheberbaugruppe mit Sicherungselement und Sicherungsabschnitt für die Sicherung eines Zugmittels
JP6762970B2 (ja) * 2018-01-19 2020-09-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DE102018204432A1 (de) * 2018-03-22 2019-09-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Mitnehmer für einen Fahrzeugfensterhe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803A (ko) 2003-09-16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988A (en) * 1988-04-25 1990-03-20 Asmo Co., Ltd. Self-driving closure device
US5647171A (en) * 1995-12-26 1997-07-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ard-top vehicle window regulator system
US20040111970A1 (en) * 2002-04-18 2004-06-17 Fenelon Paul J. Window lift mechanism
KR20090120269A (ko) * 2008-05-19 2009-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글래스 승강장치
JP4573887B2 (ja) * 2008-08-08 2010-11-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
US20140007507A1 (en) * 2010-06-30 2014-01-09 Hi-Lex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US20130111816A1 (en) * 2011-11-07 2013-05-09 Shiroki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JP2013249683A (ja) * 2012-06-04 2013-12-12 Yachiyo Industry Co Ltd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における駆動モータの固定方法及び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8943750B2 (en) * 2012-06-22 2015-02-0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lift plate
JP5833154B2 (ja) * 2014-02-06 2015-12-16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10287811B1 (en) * 2017-12-06 2019-05-14 Hi-Lex Controls, Inc. Window regulator assembly with carrier plate
JP6762970B2 (ja) * 2018-01-19 2020-09-30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7029975B2 (ja) * 2018-02-22 2022-03-04 株式会社城南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803A (ko) 2003-09-16 2005-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레귤레이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270A (ko) * 2020-11-26 2022-06-03 (주)광진기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1965A1 (en) 2020-06-11
US11028629B2 (en) 2021-06-08
CN211390907U (zh)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8426A (ko) 승강시 충격음이 저감되는 도어 글래스 어셈블리
JP605817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0313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超過速度調整装置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6147686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955103A (zh) 电梯曳引绳制动器
JP505052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326024B1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KR20140143531A (ko) 밀폐형 자동 슬라이딩 도어
JP2008069571A (ja) 開閉部材制御装置及び開閉部材の制御方法
JP6709877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578248B2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09358553B (zh) 升降机运动控制方法及装置、升降机控制器及升降机系统
CN216918483U (zh) 一种设有安全缓冲结构的升降机
JP2014227234A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戸開走行挟まれ防止方法
KR10042383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CN220782624U (zh) 一种激光切割防护包围装置
JPS5943342Y2 (ja) エレベ−タの非常止め装置
CN215160141U (zh) 一种施工升降机单开门与小翻板联动机构
KR100872933B1 (ko) 도어의 윈도우 리프팅 장치
KR20160085532A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장치
KR19980045128A (ko)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폐장치
JP200235628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349716B1 (ko)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44086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상승 제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