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832B1 -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832B1
KR100423832B1 KR10-2001-0072230A KR20010072230A KR100423832B1 KR 100423832 B1 KR100423832 B1 KR 100423832B1 KR 20010072230 A KR20010072230 A KR 20010072230A KR 100423832 B1 KR100423832 B1 KR 10042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door
rail
upper rai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437A (ko
Inventor
최봉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도어 글래스의 처짐 등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1)와; 도어 글래스(1)의 하단부가 그립을 통해 고정되는 어퍼 레일(100)과; 어퍼 레일(100)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된 센터 레일(200)과; 어퍼 레일(10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00)와; 구동모터(300)에 수직 방향으로 축 지지된채 정,역 회전되며,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홈(420)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스톱퍼(410)가 마련된 가이드 스크류(400)와; 중심 상면이 어퍼 레일(100)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가이드 스크류(400)에 볼(B)을 개재한채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더(510)가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센터 레일(200)의 가이드 홈(210)에 결합되고, 중심 상면이 연결대(530)를 통해 어퍼 레일(100)과 연결된 홀더(1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DOOR GLASS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상에는 승객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외부와의 개방성 확보를 위하여 도어 글래스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글래스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종래 구조를 보면, 도 3에서와 같이, 도어상에는 도어 글래스(1)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도어 글래스(1)의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11)이 형성된 어퍼 레일(upper rail;10)이 위치되고, 이 레일(10)상에 그립(미도시)을 통해 도어 글래스(1)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어퍼 레일(10)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하부에는 로워 레일(lower rail;20)이 설치되며, 이 로워 레일(20) 상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이드 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어퍼 레일(10)과 로워 레일(20) 사이에는 서로 크로스(cross)되도록 제 1, 2 아암(30,40)이 설치되며, 이 제 1, 2 아암(30,40)의 상단은 롤러(31,41)를 개재한채 어퍼 레일(10)의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 1 아암(30)의 하단부는 역시 롤러(32)를 개재한채 로워 레일(20)의 가이드 홈(21)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아암(40)의 하단부에는 외측면에 반원형의 기어(51)가 형성된 구동 플레이트(50)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 플레이트(50)의 기어(51)와 이 맞물림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60)에는 기어(61)가 축 지지된다.
미설명부호(70)은, 제 1, 2 아암(30,40)의 크로스 되는 지점의 축에 결합되며, 도어 글래스(1)가 상승될 때 압축되고, 하강할 때 팽창되는 판 스프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는, 구동모터(60)의 구동에 의해 기어(61)가 회전되고 이에따라 제 2 아암(40)의 구동 플레이트(50)가기어(51)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따라 제 1, 2 아암(30,40)은 상호 외측 또는 내측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구동 플레이트(50) 및 로워 레일(20)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2 아암(30,40)의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어퍼 레일(10) 및 이 어퍼 레일(10)에 결합된 도어 글래스(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특히 도어 글래스(1)가 상승할때에는 판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가 되고, 하강할때에는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제 1, 2 아암(30,40)을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작용 함으로써 구동모터(60)가 작은 힘으로 작동되어도 충분히 도어 글래스(1)를 하강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기어간의 이 맞물림을 통해 도어 글래스(1)를 승강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미세하나마 노이즈(noise)가 발생됨으로써 정숙한 주행 환경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둘째, 도어 글래스(1)가 어느정도 이상의 하중을 갖고 있을 때 예컨대 방탄차 등의 도어 글래스(1)를 승강시킴에 있어서는, 큰 하중이 부여됨으로써 큰 힘의 구동모터(60)를 사용하여야 하며, 동시에 기어간의 이 맞물림 부위에서 기어 이빨이 파손될 우려가 내재되어 있으며,
셋째, 기어간의 이 맞물림 부위에 파손이 가해지거나 조립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도어 글래스(1)의 처짐이 발생되는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도어 글래스의 처짐 등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와; 상기 도어 글래스의 하단부가 그립을 통해 고정되는 어퍼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센터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수직 방향으로 축 지지된채 정,역 회전되며,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스톱퍼가 마련된 가이드 스크류와; 중심 상면이 어퍼 레일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가이드 스크류에 볼을 개재한채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더가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센터 레일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고, 중심 상면이 연결대를 통해 어퍼 레일과 연결된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도어 글래스 100 : 어퍼 레일 200 : 센터 레일
210 : 가이드 홈 300 : 구동모터 400 : 가이드 스크류
410 : 스톱퍼 420 : 나선홈 500 : 홀더
510 : 가이더 520 : 롤러 530 : 연결대
B : 볼 S : 스프링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 상에는 도어 글래스(1)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글래스(1)는 그립(미도시)을 통해 어퍼 레일(upper rail;100)에 고정 설치된다.
어퍼 레일(100)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센터레일(center rail;200)이 고정 설치되며, 이 센터 레일(200) 상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210)이 형성된다.
또한 어퍼 레일(100)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하부에는 구동모터(300)가 고정 설치되며, 이 구동모터(300)에는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나선홈(420)이 형성된 가이드 스크류(guide screw;400)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며, 가이드 스크류(400)의 상단에는 이송거리를 한정시키기 위한 스톱퍼(410)가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 스크류(4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어 글래스(1)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홀더(holder;500)가 설치된다.
즉, 홀더(500)의 일단에는 볼(B)을 개재한채 가이드 스크류(400)를 감싸는 형태로 가이더(guider;510)가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센터 레일(200)의 가이드 홈(210)에 결합되며, 중심 상면은 연결대(530)를 통해 어퍼 레일(100)가 연결된다.
이때 특히 센터 레일(200)의 가이드 홈(210)에 결합된 홀더(500)의 타측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520)가 더 개재된다.
한편, 전술한 홀더(500)의 가이더(510)가 가이드 스크류(40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때 충격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스크류(400)의 상,하단에는 스프링(S)을 개재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도어 글래스(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00)를 통해 가이드 스크류(4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가이드 스크류(400)를 볼(B)을 개재한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가이더(510)가 상승하고,이 상승력이 홀더(500)를 통해 어퍼 레일(100)에 전달되어 어퍼 레일(100)과 함께 도어 글래스(1)가 상승한다.
이때 상승과정에서 홀더(500)의 타측면이 롤러(520)를 개재한채 센터 레일(200)의 가이드 홈(21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없이 안정되게 상승된다.
한편, 도어 글래스(1)를 하강시킴에 있어서는 구동모터(300)의 역구동을 통해 전술한 상승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도어 글래스(1)가 안정되게 하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키는 동작이 가이드 스크류와 홀더의 볼간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소음 발생없이 승강이 이루어져 정숙한 차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 감소에 따른 단가절감 및 조립 오차 등에 의한 도어 글래스의 처짐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도어상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와;
    상기 도어 글래스의 하단부가 그립을 통해 고정되는 어퍼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 센터 레일과;
    상기 어퍼 레일의 하면과 소정간격 이격된 도어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수직 방향으로 축 지지된채 정,역 회전되며,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스톱퍼가 마련된 가이드 스크류와;
    중심 상면이 어퍼 레일에 결합되고, 일측면에는 가이드 스크류에 볼을 개재한채 상,하로 이송되도록 가이더가 결합되며, 타측면에는 센터 레일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고, 중심 상면이 연결대를 통해 어퍼 레일과 연결된 홀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레일의 가이드 홈에 결합된 홀더의 타측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롤러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상,하단 외주면에는 홀더가 승강시 충격이 방지되도록 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2001-0072230A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042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30A KR100423832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230A KR100423832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37A KR20030041437A (ko) 2003-05-27
KR100423832B1 true KR100423832B1 (ko) 2004-03-22

Family

ID=2957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230A KR100423832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42B1 (ko) * 2002-07-30 2005-06-13 주식회사 효진기공 실험용 균질혼련기
KR101491336B1 (ko) * 2013-10-2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윈도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08B1 (ko) * 2007-10-16 2009-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스토퍼 구조
JP6816491B2 (ja) * 2016-03-30 2021-0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窓ガラス昇降装置、移動体駆動装置、及びサンルー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41A (ja) * 1992-12-28 1994-07-12 Atsumi Tec:Kk 窓ガラス昇降装置
JPH0679984U (ja) * 1993-04-28 1994-11-08 アラコ株式会社 ドアパワ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H08326414A (ja) * 1995-05-31 1996-12-10 Koito Mfg Co Ltd 車輌用窓ガラス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341A (ja) * 1992-12-28 1994-07-12 Atsumi Tec:Kk 窓ガラス昇降装置
JPH0679984U (ja) * 1993-04-28 1994-11-08 アラコ株式会社 ドアパワ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H08326414A (ja) * 1995-05-31 1996-12-10 Koito Mfg Co Ltd 車輌用窓ガラス昇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242B1 (ko) * 2002-07-30 2005-06-13 주식회사 효진기공 실험용 균질혼련기
KR101491336B1 (ko) * 2013-10-2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파워윈도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37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390907U (zh) 在车门玻璃上升/下降期间减小撞击声的车门玻璃组件
KR100309022B1 (ko) 차량용파워윈도우레귤레이터
CN101233290B (zh) 传力件、车窗玻璃升降装置和带车窗玻璃升降装置的机动车车门
KR10042383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US6427385B1 (en) Window lift mechanism
CN100586752C (zh) 车辆用门玻璃升降组件
KR20030008974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419520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JP2007278000A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EP1195279A2 (en) Guide track for a moveable window pane of a vehicle
KR10043996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0402866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CN219929477U (zh) 一种防止形变的支撑机构及翻转装置
JPH0538225Y2 (ko)
CN217080095U (zh) 一种降低车窗冲顶噪音的升降器结构
JP2010120541A (ja) 車両用ドア
JPH052784Y2 (ko)
KR0131892Y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KR20020080031A (ko) 자동차용 레일 및 모터 일체형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KR19990029204U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 레귤레이터의 노이즈 방지 구조
KR10044929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20060000559A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KR20030015024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가이드장치
KR10042488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