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716B1 -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716B1
KR100349716B1 KR1020000067004A KR20000067004A KR100349716B1 KR 100349716 B1 KR100349716 B1 KR 100349716B1 KR 1020000067004 A KR1020000067004 A KR 1020000067004A KR 20000067004 A KR20000067004 A KR 20000067004A KR 100349716 B1 KR100349716 B1 KR 10034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amper
receiving groove
depth
fri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915A (ko
Inventor
임을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7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7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3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치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부재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시에 작용하는 댐핑력이 달라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는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乘降)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나머지에 접하도록 설치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DAMPER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DAMPER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장치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부재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시에 작용하는 댐핑력이 다르도록 한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승강장치는 건물의 엘리베이터나 주차장의 출입구 개폐도어,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와 같은 가전제품의 자동개폐도어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통상 기계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재와, 승강부재의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승강장치에는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을 하는 승강부재의 완급조절 및 진동방지를 위해 소정량의 댐핑력(Damping Force)을 부여하는 댐퍼가 채용되고 있다. 이때 통상의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댐퍼로는 안내수단과 승강부재 사이에 소정량의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마찰댐퍼와, 공기압을 이용한 공압실린더 형태의 댐퍼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장치용 댐퍼는 승강부재의 자중으로 인해 승강부재의 상승조건과 하강조건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승강부재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시에 작용하는 댐핑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승강부재의 상승시에는 승강부재가 느리게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빠르게 하강하는 등 승강동작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즉 통상의 승강장치용 댐퍼는 승강부재의 하강동작시의 충격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하강조건에 맞추어 설계되기 때문에 승강부재의 상승동작시에 승강부재의 자중과 아울러 댐핑력이 작용하여 구동수단에 걸리는 부하를 크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부재의 상승동작과 하강동작시에 작용하는 댐핑력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치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승강부재의 하강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 승강부재의 상승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가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가 주차빌딩의 출입구 개폐도어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승강부재, 2: 안내부재,
11,12,21: 수용홈, 11a: 수용홈의 상부공간,
11b: 수용홈의 하부공간, 13,14: 마찰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는,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乘降)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나머지에 접하도록 설치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이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가 얕고 상기 하부공간의 깊이가 깊게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상하길이가 상기 하부공간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되고, 상기 마찰부재의 두께가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보다 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홈이 상기 안내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가 깊고 상기 하부공간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의 상하길이가 상기 상부공간의 상하길이보다 긴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소정구간 구름운동을 하는 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승강부재(1)와, 이 승강부재(1)의 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부재(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1)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안내부재(2)를 구비한다. 또한 승강장치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승강부재(1)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모터와,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전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래크와 피니언 등의 운동변환수단, 그리고 구동수단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한편, 이러한 승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댐퍼(10)는 승강부재(1)의 일면에 형성되는 수용홈(11)과, 이 수용홈(11)의 내부에서 소정구간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마찰부재(13)를 포함한다.
수용홈(11)은 안내부재(2)의 표면과 대향하는 승강부재(1)의 일면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11)은 내측 바닥면이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부공간(11a)의 깊이가 얕고 하부공간(11b)의 깊이가 깊도록 구성되며, 상부공간(11a)과 하부공간(11b)의 경계를 이루는 단차부(11c)는 수용홈(11) 내부에서 승강하는 마찰부재(13)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약간 상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부공간(11a)의 상하길이(A1)는 내부에 수용되는 마찰부재(13)의 상하길이(B1)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고, 하부공간(11b)의 상하길이(A2)는 마찰부재(13)의 상하길이(B1) 보다 약간 작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3)가 하부공간(11b) 쪽으로 완전히 내려왔을 때 마찰부재(13)의 상단 일부가 상부공간(11a)에 위치하도록 하여 마찰부재(13)의 재 상승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마찰부재(13)는 수용홈(11)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진 사각의 블록형태로 제작되며, 재질이 마찰력과 탄성력이 큰 통상의 고무로 마련된다. 이때 마찰부재(13)의 두께(B2)는 상부공간(11a)의 깊이보다 두꺼워서 승강부재(1)의 하강으로 마찰부재(13)가 상부공간(11a)에 위치했을 때 마찰부재(13)의 일부가 수용홈(11) 외측으로 돌출하여 인접하는 안내부재(2)의 표면에 접하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구성의 승강장치용 댐퍼(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의 동작으로 승강부재(1)가 상승할 때 마찰부재(13)의 일부가 안내부재(2)의 표면에 접한 상태이므로, 마찰부재(13)가 수용홈(11)의 하부공간(11b)으로 이동된다. 이때는 마찰부재(13)가 깊이가 깊은 수용홈 하부공간(11b)에 수용되므로, 마찰부재(13)의 대부분이 안내부재(2)와 이격되고 상단 일부만 안내부재(2)에 접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는 마찰부재(13)의 댐핑력(마찰력)이 현저하게 작아져서승강부재(1)의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구동수단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마찰부재(13)의 상단 일부는 안내부재(2)와 접한 상태에서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승강부재(1)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승강부재(1)가 하강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13)가 수용홈(11)의 상부공간(11a)으로 이동된다. 이때는 마찰부재(13)가 깊이가 얕은 수용홈(11) 상부공간(11a)에 수용되므로, 상부공간(11a)의 깊이보다 두께가 두꺼운 마찰부재(13)가 수용홈(11)의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안내부재(2)의 표면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이때는 마찰부재(13)와 안내부재(2)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댐핑력이 커져서 승강부재(1)의 하강동작을 완화시키는 실질적인 댐핑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작이 수행될 때 마찰부재(13)는 상하길이(B1)가 수용홈 하부공간(11b)의 상하길이보다 길어서 상단 일부가 상부공간(11a)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공간(11a)으로의 상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10)는 승강부재(1)의 상승동작시에 댐핑이 이루어지지 않고 하강동작시에만 댐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1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마찰부재(13)를 수용하는 수용홈(21)이 안내부재(2)에 형성된 것이다. 이때는 수용홈(21)이 형성되는 안내부재(2)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수용홈(21)의 상부공간(21a)의 깊이가 깊게 형성되고 하부공간(21b)의 깊이가 얕게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부재(1)의 상승동작시에는 마찰부재(13)가 상부로 이동되어 댐핑력을 발휘하지 않고, 승강부재(1)가 하강할 때에는 마찰부재(13)가하부공간(21b)으로 이동하면서 승강부재(1)의 표면에 가압 밀착되어 승강부재(1)의 댐핑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1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수용홈(12) 내에 설치되는 마찰부재(14)가 구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는 마찰부재(14)가 구름운동을 하여 승강하도록 하고, 수용홈의 내면이 경사면(12a)을 이루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가 상술한 실시 예들과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10)가 공기조화기(30)의 토출구(31)를 상하로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적용된 예를 보인 것이다.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는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조화공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구동모터(33)에 의해 피니언기어(34)가 회전될 때 셔터(35)와 결합된 래크(36)의 승강이 이루어지고, 래크(36)와 결합된 셔터(35)는 토출구(31) 양측에 마련된 지지판(37)의 레일(37a)을 따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댐퍼(10)의 수용홈(11)은 셔터(35)의 양단에 형성되고, 수용홈(11)에 설치된 마찰부재(13)가 이에 대향하는 지지판(37)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는 셔터(35)가 상승할 때 댐핑이 이루어지지 않고, 셔터(35)가 하강할 때에만 댐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셔터(35)는 상술한 승강부재(1)에 해당하고, 지지판(37)은 안내부재(2)에 해당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10)가 주차빌딩의 출입구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적용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때는 댐퍼(10)의 수용홈(11)이 개폐도어(41)의 양단에 마련되고, 수용홈(11) 내에서 승강하는 마찰부재(13)가 개폐도어(41)의 승강을 안내하는 출입구(40) 양단의 레일(4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도어(41)는 승강부재(1)에 해당하고, 출입구(40)의 레일(42)은 안내부재(2)에 해당한다. 개폐도어(41)의 댐핑동작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댐퍼는 승강부재가 상승할 때는 댐핑력이 거의 생기지 않고 승강부재가 하강할 때에만 댐핑력이 생김으로써, 승강장치의 구동수단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부재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승강(乘降)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안내부재 중 나머지에 접하도록 설치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이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가 얕고, 상기 하부공간의 깊이가 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상하길이는 상기 하부공간의 상하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두께는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보다 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이 상기 안내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간의 깊이가 깊고, 상기 하부공간의 깊이가 얕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상하길이는 상기 상부공간의 상하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소정구간 구름운동을 하는 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탄성을 가진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
  9. 본체의 전면에 마련된 토출구와, 상기 토출구를 승강하여 개폐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양측에 마련되며 레일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셔터의 승강시 완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과 상기 셔터 사이에 마련되는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셔터와 상기 지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깊이가 다르게 형성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부가 상기 셔터와 상기 지지판 중 나머지에 접하도록 설치된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댐퍼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0000067004A 2000-11-11 2000-11-11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34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004A KR100349716B1 (ko) 2000-11-11 2000-11-11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004A KR100349716B1 (ko) 2000-11-11 2000-11-11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915A KR20020036915A (ko) 2002-05-17
KR100349716B1 true KR100349716B1 (ko) 2002-08-24

Family

ID=1969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004A KR100349716B1 (ko) 2000-11-11 2000-11-11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915A (ko) 200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96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닫힘장치
JP5424254B2 (ja) エレベータ
KR100349716B1 (ko) 승강장치용 댐퍼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867847B1 (ko) 차량의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톱퍼
KR20010094686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US2473125A (en) Elevator door and bridge
JP6874880B1 (ja) ドア装置を具えるエレベーター
JP4542853B2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CN212898093U (zh) 提升塞拉窗
WO2006010992A1 (en) Elevator car guiding device for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CN108367896B (zh) 电梯装置
KR20030085656A (ko) 저층 엘레베이터 2단 스크류 잭
KR100587936B1 (ko) 도어 윈도우 글래스의 승강 완충장치
CN209778026U (zh) 一种货物升降机的厅门开关控制装置
CN210066581U (zh) 栏杆机
KR100376461B1 (ko) 자동차의 도어 그래스 작동장치
WO202317327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elevator
CN216317376U (zh) 清洁组件升降装置及清洁设备
CN219733182U (zh) 提升传动机构及提升推拉门
CN216190134U (zh) 一种具有楼层呼叫功能的无人式施工升降机
KR20050046215A (ko) 가열로 도어장치
KR200142626Y1 (ko) 자동차 윈도우 글래스 승강용 받침구조
JP2017121982A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KR940002170Y1 (ko)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9990037326U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슈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