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587A -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587A
KR20200066587A KR1020197024615A KR20197024615A KR20200066587A KR 20200066587 A KR20200066587 A KR 20200066587A KR 1020197024615 A KR1020197024615 A KR 1020197024615A KR 20197024615 A KR20197024615 A KR 20197024615A KR 20200066587 A KR20200066587 A KR 2020006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rea
vehicle
transport vehicle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128B1 (ko
Inventor
히데토 키요하라
테츠야 시라이시
히토시 노구치
요시하루 요시다
료마 이누이
켄이치 마루노
Original Assignee
잇반샤단호진 코우왕 니야쿠 기카이 시스테무 쿄우카이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머시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반샤단호진 코우왕 니야쿠 기카이 시스테무 쿄우카이, 제이에프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미쯔이 이앤에스 머시너리 filed Critical 잇반샤단호진 코우왕 니야쿠 기카이 시스테무 쿄우카이
Publication of KR2020006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 B65G63/04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 B65G63/04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horizontal transit by bridges equipped with conveyor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전달 영역의 운용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수직 방식으로 배치된 장치 블록(14)의 장치 영역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이며, 장치 블록(14)과, 에이프런 등의 사이에 컨테이너 반송 차량(24)를 주회시켜, 길이 방향 측부에서 장치 블록(14)과 컨테이너 반송 차량(24) 사이에서 컨테이너(30)의 전달을 행하고,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 영역에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외래 차량(34)의 컨테이너(30)의 전달 영역(28)을 정하고, 외래 차량(34)에는, 외래 주행 레인(36)이 정해지고, 전달 영역(28)에서의 컨테이너(30)의 전달은,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외래 차량(34)이 함께, 장치 블록(1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藏置) 영역에서의 화물 처리 및 장치 영역과 외래 차량의 컨테이너 전달의 효율화에 적합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안벽(岸壁)에 대해 주행 레인이 거의 수직으로 구성되도록 장치 블록을 배치하고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이 있다. 이러한 장치 블록의 배치 형태는, 안벽에 대해 병행하게 장치 블록을 배치하는 병행 방식에 비해, 수직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배치 구성의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장치 블록에서의 안벽 측단부에는, 당해 단부에서 갠트리 크레인까지의 사이 영역(에이프런)을 주행하는 자동 반송 대차에 대한 하역 공간이 설치되고, 육측(陸側) 단부에는 외래 트레일러와의 사이에서의 컨테이너 전달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장치 블록의 양측 에 장치 블록을 길이 방향으로 오가는 왕복 대차를 배치하는 동시에, 각 장치 블록에는, 장치 블록과 왕복 대차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하역을 행하는 하역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전달 영역에도 각각 하역 기기가 배치되고, 왕복 대차와 자동 반송 대차, 또는 왕복 대차와 외래 트레일러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환적이 이루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65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47765호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컨테이너의 반송 경로를 단순하게 하는 동시에, 장치 영역에 외부 트레일러(이하, 외래 차량이라 한다.)가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주로 장치 영역에서 컨테이너를 반송하는 차량(이하, 컨테이너 반송 차량이라 한다.)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하역, 반송에 따른 기기의 자동 운전화, 원격 조작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컨테이너 반송 차량 등의 주행은, 장치 영역에 있어서 왕복 이동하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반송한 후의 귀로가 공차(空荷)가 되는 일이 많아, 반송 효율에 과제로 남는다. 또한, 장치 영역의 육측 단부에 설치된 전달 영역에는, 외래 차량의 방향 전환을 고려한 넓이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래 차량의 도착 타이밍의 오차나 방향 전환은, 대기 시간의 발생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치 영역에서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의 왕복 이동 및 전달 영역에서의 외래 차량의 방향 전환의 필요성을 없애고, 보다 효율적인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은, 안벽에서 육측을 향해 주행 레인이 형성되도록 장치 블록이 배치된 수직 방식의 장치 영역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 측부와, 상기 장치 블록의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의 영역, 및 에이프런 사이에 컨테이너 반송 차량을 주회(周回)시켜, 상기 길이 방향 측부에서 상기 장치 블록과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 사이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을 행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의 영역에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과 외래 차량 사이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 영역을 정하고, 상기 외래 차량에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사이에, 상기 전달 영역을 통과하는 일방향의 외래 주행 레인이 정해지고, 상기 전달 영역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은,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과 상기 외래 차량이 함께,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달 영역에는,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 정지 위치와, 상기 외래 차량 정지 위치 사이에,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올려 놓는(載置) 컨테이너 가치(假置) 영역을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것에 따르면, 컨테이너 반송 차량의 정지 타이밍과 외래 차량의 정지 타이밍에 오차가 생겼을 경우라도, 그것에 기인한 외래 차량 등의 대기 시간이 줄어들어,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은,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 측부를 주행할 때, 안벽 측을 향해 주행하는 경우와, 육측을 향해 주행하는 경우가 다른 측부를 주행하도록하면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것에 따르면, 컨테이너 반송 차량은 주회 루트를 주회하면서 컨테이너의 전달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 레인 상에는 실질적으로 대향(對向)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대향차를 피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 영역 내에서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끼리의 사고 등을 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송 차량을 주회시키는 것으로, 1회의 주회 중에 장치 블록과 복수 회의 컨테이너의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달 영역에서의 외래 차량의 방향 전환의 필요성을 없애서,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장치 블록과 컨테이너 반송 차량 사이에서의 컨테이너 전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전달 영역에서의 장치 블록과 이재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 외래차량 및 가치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외래 주행 레인의 레인 수를 늘리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래 주행 레인의 레인을 이재기(移載機)의 각부(脚部) 사이에 배치하는 경우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에 관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형태는 본 발명을 적절하게 실시하기 위한 일부의 형태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그 대응을 변화시킨 경우라도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기본 운용 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을 적용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벽(18)에 대해 거의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주행 레인(12)이 연장(延設)되도록 장치 블록(14)이 배치된, 소위 수직 방식의 장치 영역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10)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중에 있어서, 안벽(18)에서 장치 영역(16)의 안벽측 단부까지의 영역(A로 나타내는 범위의 영역)을 "에이프런", 장치 영역(16)(B로 나타내는 범위의 영역)을 "야드 내(內)", 장치 영역(16)에서의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의 영역(C로 나타내는 범위의 영역)을 "외래"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안벽(18)에는, 컨테이너(30)을 하적, 또는 하역하는 선박(본선(20))이 정박하고, 본선(20)에 대한 하역 작업을 위한 갠트리 크레인(22)이 배치되어 있다. 장치 영역(16)에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이재기(트랜스퍼 크래인)(2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영역(16)에서의 육측 단부의 외래에는, 전달 영역(28)이 정해져 있다. 전달 영역(28)에는 컨테이너를 이재하기 위한 이재기(트랜스퍼 크래인)(32)가 구비되어 있다.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은, 장치 블록(14)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주행 레인(12)을 이동함과 동시에, 갠트리 크레인(22)이나 이재기(26) 및 이재기(32) 사이에서 전달이 이루어지는 컨테이너(30)를 반송하는 역할을 맡는 차량이다. 이재기(26)는, 예를 들면 도 2에 정면 구성을 나타내듯이, 각부(26a)가 장치 블록(14)을 걸치도록 배치되고, 짝을 이루는 각부(26a) 사이를 가로지르는 거더(26b)가 각부(26a)의 외측까지 연장되고, 각부(26a)의 외측을 달리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에 대한 컨테이너의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거더(26b)에는 컨테이너(30)를 파지(把持)하는 스프레더(26c)를 거더에 따라 이동 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트롤리(26d)가 횡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부(26a)에는 주행 수단(26a1)이 구비되어, 외래 주행 레인에 따른 방향(컨테이너 가치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재기(26)는 원격 조작 및 자동 운전이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은 도 1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육측으로 향할 때(에이프런에서 외래로 향할 때)의 주행 레인(12)과, 안벽 측으로 돌아올 때(외래에서 에이프런으로 향할 때)의 주행 레인(12)이 다르고, 각 주행 레인은, 장치 블록(14)의 한쪽 측부와 다른 쪽의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회(周回)형의 주행 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 주행 레인(12)을 왕복 루트로 하는 경우에는 곤란함이 있었다. 하나의 주행 레인(12)에 복수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장치 블록(14) 마다 주행 레인(12)을 설치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장치 블록(14) 사이에는, 2차선의 주행 레인이 설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의 추월 등도 가능해져 하적 또는 하역에 기인한 정체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에는, 유인 트레일러 뿐만 아니라, AGV와 같은 무인 반송 대차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야드 내는, 유인 영역이어도, 무인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은, 컨테이너(30)의 적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한쪽 주행 레인(12)에서의 육측 단부까지 주행해서, U턴하고 다른 쪽의 주행 레인(12)를 주행해서, 안벽 측으로 되돌아가고 있다. 이러한 운용 형태이어도,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의 주행 레인(12)을 주회 루트로 하여, 가고 오는 것이 다른 주행 레인(12)를 지나가는 것으로 하면, 상기 운용 형태의 일부로 간주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전달 영역(28)에서의 외래 차량(34)의 정지 장소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이 U턴하는 장치 블록(14)의 육측 단부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달 영역(28)에서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의 정지 방향과, 외래 차량(34)의 정지 방향은 모두, 장치 블록(1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하고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정지 방향으로 하는 것으로, 외래 차량(34)이 정지 장소로 진입할 때, 차량의 방향 변경(방향 전환)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정지 장소에 방향 전환을 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방향 전환에 기인한 후속 차량의 대기 시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컨테이너 터미널(10)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운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래에서의 외래 차량(34)의 주행 레인(외래 주행 레인(36))을 컨테이너 터미널(10)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일방 통행의 주행 레인으로 하는 것으로, 접촉 사고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래 차량(34)의 왕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10)에서는, 전달 영역(28)에서의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의 정지 장소와, 외래 차량(34)의 정지 장소 사이에, 컨테이너 가치 영역(38)를 설치하고 있다.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은,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외래 차량(34)의 정지 타이밍이 맞지 않는 경우 등에, 반출입되는 컨테이너(30)를 일시적으로 올려 놓기 위한 영역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가치 영역(38)를 설치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외래 차량(34) 사이의 타이밍의 오차에 기인한 대기 시간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달 영역(28)에 배치되는 이재기(32)는, 장치 블록(14)에 배치된 이재기(26)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각부(32a)와 거더(32b), 스프레더(32c) 및 트롤리(32d)를 기본으로 구성하고, 각부(32a)에는 주행 수단(32a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각부(32a)는 가치 영역(38)을 걸치도록 배치되고, 거더(32b)는 한 쌍의 각부(32a) 사이를 가로지르는 것과 동시에, 각부(32a)의 외측에 연장부를 가진다. 스프레더(32c)는, 거더(32b)에 따라 횡행하는 트롤리(32d)에 매달아서, 컨테이너(30)의 파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 반송의 운용예]
상기와 같이, 주회 루트로 주행하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은, 갠트리 크레인(22)의 직하, 장치 블록(14)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주행 레인(12) 및 전달 영역(28)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전달을 행한다.
전달 영역(28)에서는, 장치 블록(14)에 따른 주행 레인(12)을 U턴하는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이 정지할 때의 진행 방향과, 외래 주행 레인에 따라 진행하는 외래 차량(34)이 정지할 때의 진행 방향이 일치한다. 이로 인해,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의 길이 방향을 걸치도록 거더(32b)가 배치된 이재기(32)에 의해, 차량 간에 서의 컨테이너(30)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또한,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이 전달 영역(28)에 정지하는 타이밍과, 외래 차량(34)이 전달 영역(28)에 정지하는 타이밍에 오차가 있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이 이용된다.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의 이용은, 컨테이너 반송 차량(24), 또는 외래 차량(34)에 컨테이너(30)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재기(32)에 의해 탑재 컨테이너를 가치 영역(38)에 일시적으로 올려 놓는 조치가 채용된다.
한편, 컨테이너(30)를 탑재하지 않은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이나 외래 차량 (34)이 전달 영역(28)에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에, 반출입의 지시가 있는 컨테이너(3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컨테이너(30)를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에서 픽업하여 컨테이너 반송 차량(24), 또는 외래 차량(34)에 탑재한다.
이러한 운용 방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반송 차량(24)과 함께 외래 차량(34)도, 컨테이너(30)의 전달시의 대기 시간을 억제할 수 있고, 컨테이너 터미널(10)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상, 전달 영역(28)에서의 외래 차량(34)의 주행 레인(외래 주행 레인(36))은, 1 레인만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래 주행 레인(36)을 2 레인으로 해도 된다. 외래 차량(34)의 주행 레인(외래 주행 레인(36))을 늘리는 것에 따르면, 외래 차량(34)의 정체 완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가치 영역(38)의 이용 빈도도 향상된다. 이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래 주행 레인(3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인 수를 더 늘릴 수도 있다(도 5에 나타낸 예에서의 외래 주행 레인의 레인 수는 3). 이러한 운용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 이재기(32)에 대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부(32a)를 외래 주행 레인(36)의 외측에 배치하고, 거더(32b)의 오버행 거리가 길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물인 컨테이너(30)를 매달 때, 각부(32a) 보다 외측은 거더(32b)가 캔틸레버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캔틸레버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 거더(32b)에 대한 부하가 과대해지는 것과 동시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이재기(32) 자체의 지지 상태가 불안정해 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외래 주행 레인(36)에 더해, 컨테이너 반송 차량(24)의 주행 레인(12)도, 한 쌍의 각부(32a)의 내측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러한 구성의 이재기(32)를 채용한 경우라도,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의 실시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작용·효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전달 영역(28)에서의 외래 차량(34)의 방향 전환의 필요성을 없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해진다.
10 : 컨테이너 터미널 12 : 주행 레인
14 : 장치 브록 16 : 장치 영역
18 : 안벽 20 : 본선
22 : 갠트리 크레인 24 : 컨테이너 반송 차량
26 : 이재기 26a : 각부
26a1 : 주행 수단 26b : 거더
26c : 스프레더 26d : 트롤리
28 : 전달 영역 30 : 컨테이너
32 : 이재기 32a : 각부
32a1 : 주행 수단 32b : 거더
32c : 스프레더 32d : 트롤리
34 : 외래 차량 36 : 외래 주행 레인
38 : 컨테이너 가치 영역

Claims (3)

  1. 안벽에서 육측을 향해 주행 레인이 형성되도록 장치 블록이 배치된 수직 방식의 장치 영역을 가지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이며,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 측부와, 상기 장치 블록의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의 영역, 및 에이프런 사이에 컨테이너 반송 차량을 주회시켜,
    상기 길이 방향 측부에서 상기 장치 블록과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 사이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을 행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육측 단부보다도 육측의 영역에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과 외래 차량 사이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 영역을 정하고,
    상기 외래 차량에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사이에, 상기 전달 영역을 통과하는 일방향의 외래 주행 레인이 정해지고,
    상기 전달 영역에서의 컨테이너의 전달은,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과 상기 외래 차량이 함께,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영역에는,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 정지 위치와, 상기 외래 차량 정지 위치 사이에,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올려 놓는 컨테이너 가치 영역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반송 차량은, 상기 장치 블록의 길이 방향 측부를 주행할 때, 안벽측을 향해 주행하는 경우와, 육측을 향해 주행하는 경우로 다른 측부를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KR1020197024615A 2018-11-28 2019-05-17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KR102385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22166A JP6762017B2 (ja) 2018-11-28 2018-11-28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JP-P-2018-222166 2018-11-28
PCT/JP2019/019692 WO2020110349A1 (ja) 2018-11-28 2019-05-17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587A true KR20200066587A (ko) 2020-06-10
KR102385128B1 KR102385128B1 (ko) 2022-04-08

Family

ID=7085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615A KR102385128B1 (ko) 2018-11-28 2019-05-17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9421B2 (ko)
JP (1) JP6762017B2 (ko)
KR (1) KR102385128B1 (ko)
CN (1) CN111629983B (ko)
WO (1) WO2020110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14174A1 (en) * 2019-12-24 2021-07-15 Wickedhyper, Llc System, method, and layout for loading, unloading, and managing shipping containers and passenger containers transported by monorail, maglev line, grooved pathway, roadway, or rail track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6282383A (ja) * 2005-03-31 2006-10-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2201482A (ja) * 2011-03-28 2012-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2015196556A (ja) 2014-03-31 2015-11-09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2016047765A (ja) 2014-08-28 2016-04-07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KR20180098322A (ko) * 2015-12-25 2018-09-03 상하이 젠후아 헤비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195B2 (ja) * 2003-08-29 2010-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
US7780390B2 (en) * 2004-03-12 2010-08-24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Co., Ltd. Container inspection/cargo-handling method and container inspection/cargo-handling system
KR101298895B1 (ko) * 2011-09-20 2013-08-21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JP6413544B2 (ja) * 2014-09-23 2018-10-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207417914U (zh) * 2018-01-23 2018-05-29 唐山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装箱转运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6282383A (ja) * 2005-03-31 2006-10-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2201482A (ja) * 2011-03-28 2012-10-2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2015196556A (ja) 2014-03-31 2015-11-09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2016047765A (ja) 2014-08-28 2016-04-07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KR20180098322A (ko) * 2015-12-25 2018-09-03 상하이 젠후아 헤비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0349A1 (ja) 2020-06-04
JP6762017B2 (ja) 2020-09-30
US20210354937A1 (en) 2021-11-18
KR102385128B1 (ko) 2022-04-08
CN111629983B (zh) 2022-01-04
JP2020083570A (ja) 2020-06-04
CN111629983A (zh) 2020-09-04
US11479421B2 (en)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900B2 (en) Contain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76247B1 (ko)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JP5755404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5793323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TWI801571B (zh) 搬運系統
JP6492324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12639649B (zh) 输送车系统
CN108016889A (zh) 一种集装箱转运系统布置方法
JP4418195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WO2012133280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6413544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KR20200066587A (ko)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TWI794358B (zh) 搬運車系統中的搬運車的部署方法
JP2019206426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201519348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5840853B2 (ja) 岸壁クレーンを備えた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WO2014097669A1 (ja) コンテナ受け渡し方法、およ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6113551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WO2017200959A1 (en) Horse and saddle transfer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4010284A (ja) 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およびトランスファークレーン制御方法
JP6038335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コンテナ荷役方法、および、クレーン数決定方法
EA014996B1 (ru)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ых путей
US20230080097A1 (en) Method for transshipping load carriers between road and rail
KR20040057752A (ko) 무인 천정크레인의 이송물 이송방법
JPH01182161A (ja) 搬送台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