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322A -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322A
KR20180098322A KR1020187021010A KR20187021010A KR20180098322A KR 20180098322 A KR20180098322 A KR 20180098322A KR 1020187021010 A KR1020187021010 A KR 1020187021010A KR 20187021010 A KR20187021010 A KR 20187021010A KR 20180098322 A KR20180098322 A KR 20180098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d
carry
container
area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506B1 (ko
Inventor
강 허
야오저우 장
지엔 시아
지엔밍 진
옌 리앙
쓰밍 스
치 루
Original Assignee
상하이 젠후아 헤비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젠후아 헤비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젠후아 헤비 인더스트리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8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해안 작업 영역(shore working area), 반입-반출 채널(loading-unloading channels), 저장 야드(storage yards) 및 집결-후송 채널(assembly-evacuation channels)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 개시된다.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에 배치되고, 선박(100)은 해안에 도킹된다. 상기 저장 야드는 복수의 저장 야드 유닛(108)을 포함한다. 모든 인접한 저장 야드 유닛(108)들 사이에는 이격 영역(106)이 형성된다. 각 저장 야드 유닛(108)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야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저장 야드를 둘러싸는 집결-후송 채널은 각 저장 야드 유닛(108) 내에 배치된다. 모든 인접한 저장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는 반입-반출 채널(115)이 배치된다. 상기 반입-반출 채널(115)은 저장 야드 및 해안측 작업 영역과 연통한다. 상기 집결-후송 채널은 상기 저장 야드 유닛(108)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반입-반출 채널(115) 및 상기 집결-후송 채널은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내에 위치되지만,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된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컨테이너선의 반입/반출하는 방법 및 컨테이너항의 집결/후송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위한 컨테이너 반입-반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구성 스킴 및 그에 대응하는 반입-반출 방법(loading-unloading method) 및 수집-후송 방법(collection-evacuation method)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야드(yard)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컨테이너 작업 공정은 2가지 부분, 즉 야드와 선박 간의 반입-반출 공정, 및 야드와 외부 영역 간의 수집-후송 공정을 구비한다.
야드와 선박 간의 반입-반출 공정에서는, 수평방향 운송 차량이 야드와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해안 크레인과 같은 해안 작업 장비는 해안 작업 영역(shore working area)에서 반입-반출 작업을 선박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야드 크레인과 같은 야드 작업 장비는 야드 내로 컨테이너를 적층하거나 또는 야드로부터 컨테이너를 반출한다.
야드와 외부 영역 간의 수집-후송 공정에서는, 야드 크레인과 같은 야드 작업 장비가 야드 내로 컨테이너를 적층하거나 또는 야드로부터 컨테이너를 반출한다. 그리고 수평방향 운송 차량은 야드 내로 또는 야드 외부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해안 작업 영역에서는, 선박측 반입-반출 방식이 널리 채택되는데, 즉 해안 작업 장비는 선박의 측면 상에서 작동되어 선박의 길이가 충분히 이용되므로, 높은 작업 효율을 제공한다. 야드 작업 영역(yard operation area)에서는, 2가지 종류의 작업 방식이 있는데, 그 하나는 야드-단부 작업 방식이다. 야드 크레인은 야드의 단부에 배치되어 반입-반출 작업을 수평방향 운송 장비로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각 야드 내에는 2개까지의 야드 크레인만이 배치될 수 있다. 야드의 단부 개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작업 위치가 제한되고 야드 크레인의 개수가 증가될 수 없다. 더욱이, 야드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이송하여 야드의 종방향을 따라 야드의 단부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야드 크레인의 높은 품질, 낮은 운동속도 및 높은 에너지 소모로 인해, 컨테이너를 이송하는데 야드 크레인을 이용하는 것이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든다. 상기한 이유로 인해, 야드-단부 작업 방식은 일부 자동화된 터미널에서만 이용된다. 다른 방식은 야드-측 작업 방식이다. 수평방향 운송 차량은 야드의 측부로 이동한다. 야드 크레인은 야드의 종방향을 따라 이동할 필요가 없고, 야드 크레인의 트롤리만이 컨테이너를 운송하도록 야드의 횡방향을 따라 이동할 필요가 있다. 트롤리는 높은 속도 및 낮은 에너지 소비를 갖는다. 더욱이, 야드-측 작업 방식에서는, 복수의 야드 크레인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따라서, 야드-측 작업 방식은 대개 컨테이너 터미널 작업 방식이다.
그러나, 야드-측 작업 방식은 문제점을 가지는데, 즉 수평방향 운송 차량이 경로를 횡단한다는 점이다. 수평방향 운송 차량은 야드와 선박 간의 반입-반출 공정과, 야드와 외부 영역 간의 수집-후송 공정 양자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데 이용된다. 야드-단부 작업 방식에 의하면, 반입-반출 공정을 위한 수평방향 운송 차량 및 수집-후송 공정을 위한 수평방향 운송 차량은 야드의 상이한 단부에서 작동하여 그 경로가 교차하지 않는다. 야드-측 작업 방식에 의하면, 양자의 공정을 위한 수평방향 운송 차량은 야드 영역 내로 들어가서 야드의 측면으로 이동할 것이다. 그 결과, 수평방향 운송 차량의 이동 경로가 교차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혼잡, 방해를 야기하여 작업 효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경로 교차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몇 가지의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
중국특허출원 CN104986581호는 직각의 해안선 멀티-정박지 배치(right-angled shoreline multi-berth arrangement)를 위한 자동 컨테이너 부두 취급 시스템(automatic container wharf handling system)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해안 크레인(shore crane),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ARMG 및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서브시스템(overhead travelling crane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오버헤드 이동형 크레인 서브시스템은 고가교(viaduct) 및 오버헤드 이동 크레인(overhead travelling crane)으로 구성된다. 해안 크레인은 정면 정박지의 정면 에지 및 측면 정박지의 정면 에지 상에 배치된다. 해안 크레인은 컨테이너 선박으로부터 해안측 작업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운송하는데 이용된다. 컨테이너 야드의 ARMG 트랙은 정면 정박지 해안선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정면 정박지 단부에 가까이 인접한 컨테이너 야드의 영역은 야드의 정면 정박지 단부이다. 후방 수집 및 분배 채널에 가까이 인접한 컨테이너 야드의 영역은 야드 랜드측 단부(yard land side end)이다. 야드의 측면 정박지 단부에 가까이 인접한 컨테이너 야드의 영역은 야드의 측면 정박지 단부이다.
중국특허출원 CN1872643호는 야드 내의 컨테이너가 선박 상에서 컨테이너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 구성 스킴을 개시한다. 상기 스킴은 반입 및 반출될 컨테이너가 항상 제1 방향에 있는 해안 크레인; 제1 방향을 따라 로우 브릿지 트랙, 로우 브릿지 리프팅 트롤리 및 로우 브릿지 평탄 트롤리를 구비하는 로우 브릿지 시스템(low bridge system)으로서, 상기 로우 브릿지 리프팅 트롤리는 로우 브릿지 평탄 트롤리와 함께 컨테이너를 반입 및 반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로우 브릿지 시스템은 해안 크레인에 의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는, 상기 로우 브릿지 시스템; 제2 방향을 따라 이송 트롤리 레일과, 이송 트롤리를 구비하는 이송 트롤리 시스템(transfer trolley system)으로서, 상기 이송 트롤리는 반입된 컨테이너를 90°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이송 트롤리 시스템은 로우 브릿지 시스템에 의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는, 상기 이송 트롤리 시스템; 및 제2 방향을 따라 야드 크레인 레일을 가지며 이송 트롤리 시스템과 함께 컨테이너를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야드 크레인을 구비한다.
중국특허출원 CN105059955호는 물류 센터형 자동화된 컨테이너 터미널을 위한 반입 및 반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반입 및 반출 시스템은 복수의 해안 크레인, 연안 다중 경로 장방형-보행-평면 자동 운송 시스템(nearshore multipath rectangular-ambulatory-plane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상승형 컨테이너 자동 반입 및 반출 시스템(elevated container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야드, 컨테이너 후송 포트측 다중 경로 장방형-보행-평면 자동 운송 시스템(container evacuating port side multipath rectangular-ambulatory-plane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컨테이너 후송 포트 운송 시스템(container evacuating port transportation system), 전용 환형 컨테이너 채널(annular special container channel)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술한 모든 몇 가지의 해결책은 운송 경로에서의 교차 지점을 회피하기 위해 상이한 운송 차량이 상이한 평면 상에서 운송하게 하도록 상이한 높이, 고가교 또는 로우 브릿지를 갖는 상이한 운송 평면이 마련되는 것을 채택한다. 상이한 레벨의 운송 평면을 갖는 해결책이 경로의 교차 지점에 대한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지만, 고가교를 건설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아 터미널의 확장을 크게 제한할 것이다. 야드 영역 또는 해안선이 확장되면, 고가교가 재건설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새로운 작업 영역에 맞출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및 그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수집-후송 방법에 대한 레이아웃 개요를 제공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 및 수집-후송 차량은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에 배치되지만, 그 주행 경로가 분리되어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터미널이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은 해안 작업 영역(shore working area), 반입-반출 통로(loading-unloading passages), 야드 영역(yard area) 및 수집-후송 통로(collection-evacuation passages)를 포함한다. 상기 해안 작업 영역에는 해안 작업 장비(shore operation equipments)가 배치된다. 상기 야드 영역에는 야드 작업 장비(yard operation equipments)가 배치된다. 상기 반입-반출 통로 상에서 반입-반출 운송 차량이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수집-후송 차량이 주행한다. 상기 해안 작업 장비는 선박과 함께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해안 작업 영역과 상기 야드 영역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상기 야드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컨테이너를 위한 수집 또는 후송 운송을 수행한다.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해안에 선박이 도킹된다. 상기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을 포함하고,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에는 이격 영역이 형성된다. 각 야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야드를 포함하고, 각 야드 유닛은 상기 야드를 둘러싸는 수집-후송 통로와 함께 배치된다.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상기 이격 영역 내에는 반입-반출 통로가 배치된다. 상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야드 영역과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을 연결한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상기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된다. 상기 반입-반출 통로 및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내에 있지만,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야드 유닛은 야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하나의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야드를 둘러싼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야드의 측면 영역과, 상기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양자를 점유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야드 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 및 제2 야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하나의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야드를 둘러싼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 상기 제1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야드 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 및 제2 야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2개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이 각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야드 및 상기 제2 야드를 각각 둘러싼다. 상기 제1 야드를 둘러싸는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상기 제1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상기 제2 야드를 둘러싸는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상기 제2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1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2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반입-반출 통로는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on-site loading-unloading passages)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connection loading-unloading passages)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야드 영역과 상기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현장 반입-반출 통로는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지만, 단일의 야드 유닛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근접한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근접한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해안 작업 장비의 랜드측 작업 영역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 및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 및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야드 영역과, 그 내의 상기 야드 유닛의 방향은 해안에 각도를 이루고, 상기 각도는 0 내지 18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입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반입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부터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반입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방법은,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야드 영역 내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 상에서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주행하여 해안 반입-반출 통로에 도달하고,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수집-후송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단계; 및
해안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선박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반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반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반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선박으로부터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방법은,
해안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선박으로부터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주행하여 현장 반입-반출 통로에 도달하고,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수집-후송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단계; 및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야드 영역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후송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후송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후송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방법은,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수집-후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상기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컨테이너 수집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컨테이너 수집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수집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방법은,
수집-후송 차량이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상기 야드 영역으로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고,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수집-후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야드 영역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수집-후송 방법은 반입-반출 운송 차량 및 수집-후송 차량을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에 배치하지만, 그 주행 경로는 분리되어 주행 공정 동안에 서로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교를 건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낮은 비용 및 더 양호한 확장성을 가진다.
도면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다른 특징, 본질 및 이점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 실시의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특정한 실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터미널은 해안 작업 영역, 반입-반출 통로, 야드 영역 및 수집-후송 통로를 포함한다. 해안 작업 영역에는 해안 작업 장비(101)가 배치된다. 야드 영역에는 야드 작업 장비(109)가 배치된다. 반입-반출 통로 상에서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이 주행하고,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수집-후송 차량(111)이 주행한다. 해안 작업 장비(101)는 선박과 함께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을 수행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해안 작업 영역과 야드 영역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야드 영역 내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위한 수집 또는 후송 운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입-반출 통로는 선박 컨테이너 작업 및 이동을 위한 통로로서 정의된다. 즉, 반입-반출 통로는 해안 작업 영역 및 야드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수집-후송 통로는 컨테이너를 야드 영역으로 수집하거나 컨테이너를 야드 영역으로부터 후송하기 위한 현장외 컨테이너 운송 차량(off-site container transportation vehicle)을 위한 통로로서 정의된다. 즉, 반입-반출 통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외부 도로와 야드 영역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선박(100)은 해안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도킹된다. 선박(100)의 측부는 해안에 도킹된다. 해안 작업 장비(101)는 해안 크레인이다. 복수의 해안 크레인은 선박(100)의 측부를 따라 배치되어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해안 크레인은 선박(100)의 측부 상에서 작동한다. 해안 크레인의 거더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다.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는 해안 작업 장비(101), 즉 해안 크레인의 랜드측 작업 영역 아래에 위치된다.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는 해안 작업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는 해안 방향을 따르고,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는 복수의 평행한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108)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의 특정한 실시에 의하면, 야드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다. 이는 야드 구성에 대한 통상적인 방식이다. 물론, 본 발명은 야드가 해안에 수직인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후술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야드 유닛(108)은 해안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의 야드 유닛(108)은 야드 영역을 형성한다. 하기의 설명에 대한 편의를 위해, "야드 유닛(yard unit)"의 개념이 본원에 정의된다. 야드 유닛은 야드와, 야드 주위의 일부 영역을 구비하는 가상의 개념이다. 야드 주위의 영역은 통로, 주로 수집-후송 통로로서 이용될 것이다. 본원의 "야드 유닛(yard unit)"의 개념을 정의하는 목적은 수집-후송 통로 및 반입-반출 통로가 서로 교차하지 않는 설계를 실시하는 점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야드 유닛(108)은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데, 각 야드 유닛(108)은 제1 야드(181), 제2 야드(182),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의 간격, 제1 야드(181)의 다른 측부에 인접한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구비한다. 도 1에 의하면, 제1 야드(181)의 좌측부 상의 영역의 일부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 및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야드 유닛(108)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시, 야드 유닛(108)은 가상의 개념이다. 실제의 야드 스킴에서는, 물리적 경계부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야드 유닛(108)은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의 배치 및 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기술하도록 본원에 정의된다.
야드 유닛(108)의 정의 후에, 도 1을 계속 참조한다.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에는 이격 영역(106)이 있다. 각 야드 유닛(108)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181) 및 제2 야드(182)를 구비한다. 각 야드 유닛 내의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에는 간격(110)이 제공된다.
수집-후송 통로는 각 야드 유닛(108) 내에 주로 배치되고,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106)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전체의 야드 영역에 대한 사시도로부터, 수집-후송 통로는 야드 영역의 랜드측에서 야드 영역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나온다. 도 1에 의하면, 수집-후송 통로는 야드 영역의 상부에서 야드 영역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나온다.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주로 배치되고, 각 야드 유닛(108)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전체의 야드 영역에 대한 사시도로부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의 바다측에서 야드 영역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나온다. 도 1에 의하면,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의 하부에서 야드 영역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나온다. 이로써, 수집-후송 통로 및 반입-반출 통로가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즉 지반면 상에 배치되지만, 그 경로는 서로 분리되어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을 연결하고, 수집-후송 통로는 야드 영역 내에 배치되고,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는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내에 있지만,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 및 수집-후송 차량은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각각 주행하여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가 인접하는 영역, 예컨대 각 야드 유닛(108) 내의 제1 야드(181)의 좌측부 상의 영역에서, 반입-반출 통로와 수집-후송 통로를 분리하도록 물리적 격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하나의 야드 유닛(108) 내에 배치된다.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며 제1 야드(181)를 둘러싼다.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의 전체 간격(110), 제1 야드(181)의 바다측 단부 영역, 및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여기서, 야드의 방향이 해안에 수직이기 때문에, 야드의 단부는 랜드측 단부 및 바다측 단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야드의 방향이 해안에 수직이 아니라면, 야드의 단부를 정의하도록 랜드측 및 바다측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제1 야드(181)의 바다측 단부에서의 영역에 대한 더 일반적인 설명은 야드의 제1 단부의 영역이다(도 1의 제1 단부는 바다측 단부이다). 구체적으로,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3가지 섹션, 즉 제1 섹션(112), 제2 섹션(113) 및 제3 섹션(114)을 구비한다. 제1 섹션(112)은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의 전체 간격(110)을 점유한다. 제1 섹션(112)은 몇 개의 평행한 통로(모두 제2 방향을 따름)를 구비할 수 있다. 야드에 근접한 통로는 반입-반출 컨테이너를 위한 작업 위치로서 설정될 수 있고, 야드로부터 더 먼 통로는 도로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섹션(113)은 제1 야드(181)의 바다측 단부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섹션(113)은 실질적으로 원호 형상이다. 제3 섹션(114)은 야드 유닛(108) 내에 있으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제1 야드(181)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에 위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3 섹션(114)은 제1 야드(181)의 좌측부 상의 부분 영역에 위치되며, 각 야드 영역(108) 내에 있다. 제3 섹션(114)은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106)에 인접하고, 즉 제3 섹션(114)은 반입-반출 통로에 인접한다. 따라서, 실제의 구성 스킴에서, 제3 섹션(114)은 반입-반출 통로에 인접한 위치에서 격리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가 분리될 수 있다.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는 이러한 영역에만 인접하고, 다른 위치에서 상당히 분리된다. 상술한 제1 섹션(112), 제2 섹션(113) 및 제3 섹션(114)은 제1 야드(181)의 U-자형 수집-후송 통로를 함께 형성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제2 섹션에 의해 야드의 바다측에 근접하고, 수집-후송 통로는 야드의 랜드측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수집-후송 통로는 랜드측에서 야드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야드로부터 나온다.
반입-반출 통로는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는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간격(106) 내에 배치되지만, 단일의 야드 유닛(108)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에서 야드 유닛(108)이 가상의 개념임을 다시 주목해야 한다. 상기 정의된 야드 유닛(108)의 정의에 의하면, 각 제2 야드(182)의 우측부와 또 다른 제1 야드(181)의 좌측부 사이의 영역은 2개의 부분으로 나뉘는데, 하나의 부분은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106)에 속하고, 다른 부분은 야드 유닛(108)에 속한다. 그 다음, 반입-반출 통로 및 수집-후송 통로는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격리된 구성에 해결책이 명확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에서, 야드에 근접한 통로는 컨테이너를 반입-반출하기 위한 작업 위치로서 설정될 수 있고, 야드로부터 먼 통로는 도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는 수집-후송 통로의 제3 섹션(114)에 인접함으로써,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와 제3 섹션(114) 사이에는 격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지만, 야드 영역 또는 해안 작업 영역 내로 들어가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해안에 평행한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와, 해안에 수직인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104)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는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통로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는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는 야드의 바다측 단부에 배치되고,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의 위치는 야드의 바다측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다. 따라서,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는 수집-후송 통로의 제2 섹션(113)(원호형 섹션)으로부터 상당히 분리되어 서로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그에 대응하게,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는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와 연결하는 거리를 위해 바다측을 향해 연장될 것이다.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104)는 제2 방향을 따르고,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 및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를 해안 작업 영역에서 연결한다.
제1 야드(181) 및 제2 야드(182)를 구비하는 각 야드를 위해, 야드 크레인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야드 작업 장비(109)가 제공된다. 각 야드 작업 장비(109)는 하나의 제1 야드 또는 하나의 제2 야드를 제공한다.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야드 작업 장비의해 제공되는 제1 야드(181) 또는 제2 야드(182),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더 구체적으로, 야드 작업 장비는 수집-후송 통로 유닛 내의 제1 섹션의 작업 위치와, 현장 반입-반출 통로의 작업 위치를 커버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변형례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6에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배치에 대한 주요 사상을 주로 실시하는 단순화된 방식을 채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개시한다.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특정 실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 작업 영역(202)은 해안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201)은 해안에 도킹된다. 야드 영역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다.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203)을 포함한다. 각 야드 유닛(203)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204) 및 제2 야드(205)를 구비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U-자형이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하나의 야드 유닛(203) 내에 배치되어 제1 야드(204)를 둘러싼다. 표현의 편의를 위해,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에 의해 둘러싸인 야드는 제1 야드(204)로 지칭되고,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야드는 제2 야드(205)로 지칭된다. 실제 배치에서, 어느 야드가 수집-후송 통로 유닛에 의해 둘러싸일지는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제1 야드(204)와 제2 야드(205) 사이의 전체 간격, 제1 야드(204)의 제1 단부 영역, 및 야드 유닛(203) 내에 있으며 제2 야드에 반대편의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반입-반출 통로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208)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는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점유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2개의 부분, 즉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 및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로 나뉠 수 있다. 또는,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통합되어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야드 영역 내의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개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 작업 영역(202)은 해안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201)은 해안에 도킹된다. 야드 영역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다. 각 야드 유닛(203)은 야드(204)를 포함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U-자형이며,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하나의 야드 유닛(203) 내에 배치되어 야드(204)를 둘러싼다.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야드의 측면 영역과,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양자를 점유한다. 반입-반출 통로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208)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는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점유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야드 영역 내의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개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 작업 영역(202)은 해안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201)은 해안에 도킹된다. 야드 영역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다. 각 야드 유닛(203)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204) 및 제2 야드(205)를 포함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U-자형이다. 2개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각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된다. 2개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제1 야드(204) 및 제2 야드(205)를 각각 둘러싼다. 제1 야드(204)를 둘러싸는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제1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제2 야드에 반대편의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제2 야드(205)를 둘러싸는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제1 야드와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제2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제1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제1 야드의 반대편의 제2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야드 유닛(203) 내에서, 제1 야드(204)와 제2 야드(205) 사이의 간격은 양측부 상에서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에 의해 각각 점유되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반입-반출 통로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208)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는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점유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야드 영역 내의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개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 작업 영역(202)은 해안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201)은 해안에 도킹된다. 야드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각도를 이루고, 이는 0~180°이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야드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수직이거나 또는 90°의 각도이다.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야드는 해안에 대해 경사, 즉 0~180°의 각도에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야드의 내부 구조 및 수집-후송 통로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바,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203)을 포함한다. 각 야드 유닛(203)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204) 및 제2 야드(205)를 포함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U-자형이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하나의 야드 유닛(203) 내에 배치되어 제1 야드(204)를 둘러싼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3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야드의 내부 구조 및 수집-후송 통로의 구조는 경사질 수도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반입-반출 통로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208)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는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점유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야드 영역 내의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배치에 대한 개략도를 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의하면, 해안 작업 영역(202)은 해안을 따라 배치되고, 선박(201)은 해안에 도킹된다. 야드의 방향은 해안 방향에 평행, 즉 해안에 0°또는 180°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야드의 내부 구조 및 수집-후송 통로의 구조는 제5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바,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203)을 포함한다. 각 야드 유닛(203)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204) 및 제2 야드(205)를 포함한다.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을 포함한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U-자형이다.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206)은 하나의 야드 유닛(203) 내에 배치되어 제1 야드(204)를 둘러싼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3 또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야드의 내부 구조 및 수집-후송 통로의 구조는 해안에 평행할 수도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반입-반출 통로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208)를 포함한다. 현장 반입-반출 통로(207)는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어 인접한 야드 유닛(203)들 사이의 이격 영역을 점유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야드 영역과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2개의 부분으로 나뉘거나 또는 통합될 수 있다. 야드 영역 내의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가까운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가까운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한다.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의하면, 야드 영역으로부터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반입하기 위한 컨테이너 반입 방법은 하기와 같다.
야드 작업 장비(109)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으로 야드 영역 내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 상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야드 작업 장비(109)가 작동하고 있을 때, 컨테이너는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 상에 위치되고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작업 위치에 있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주행할 때 도로 상에서 이동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와,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4) 및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를 구비하는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주행하여,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에 도달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수집-후송 통로 내에는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해안 작업 장비(101)는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 상의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으로부터 선박(100)으로 컨테이너를 반입한다.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의하면, 선박으로부터 야드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 컨테이너 반출 방법은 하기와 같다.
해안 작업 장비(101)는 선박(100)으로부터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 상의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으로 컨테이너를 반출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해안 반입-반출 통로(103)로부터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로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104) 및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105)를 구비하는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주행한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수집-후송 통로 내에는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야드 작업 장비(109)는 현장 반입-반출 통로(115) 상의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으로부터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적층한다. 야드 작업 장비(109)가 작동하고 있을 때, 컨테이너는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으로부터 적층되고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작업 위치에 있다. 반입-반출 운송 차량(102)은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주행할 때 도로 상에서 이동한다.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의하면, 야드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후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후송 방법은 하기와 같다.
야드 작업 장비(109)는 야드 영역으로부터 수집-후송 통로 상의 수집-후송 차량(111)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한다. 야드 작업 장비(109)가 작동하고 있을 때, 수집-후송 차량(111)은 작업 위치에 있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주행할 때 도로 상에서 이동한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야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주행한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 의하면,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수집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집 방법은 하기와 같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야드 영역으로 주행한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절대 들어가지 않는다.
야드 작업 장비(109)는 수집-후송 통로 상의 반입-반출 운송 차량(111)으로부터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적층한다. 야드 작업 장비(109)가 작동하고 있을 때, 수집-후송 차량(111)은 작업 위치에 있다. 수집-후송 차량(111)은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주행할 때 도로 상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수집-후송 방법은 반입-반출 운송 차량 및 수집-후송 차량을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내에 여전히 배치하지만, 그 주행 경로는 분리되어 주행 공정 동안에 서로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교를 건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 낮은 비용 및 더 양호한 확장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각종 변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지는 조건 하에서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 또는 이용하도록 당업자에게 제공되고, 상기한 실시예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기보다는 청구범위에 언급된 획기적인 특징에 대한 최대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Claims (12)

  1. 해안 작업 영역(shore working area), 반입-반출 통로(loading-unloading passages), 야드 영역(yard area) 및 수집-후송 통로(collection-evacuation passages)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해안 작업 영역에는 해안 작업 장비가 배치되고, 상기 야드 영역에는 야드 작업 장비가 배치되고, 상기 반입-반출 통로 상에서 반입-반출 운송 차량이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수집-후송 차량이 주행하고, 상기 해안 작업 장비는 선박과 함께 컨테이너의 반입-반출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해안 작업 영역과 상기 야드 영역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상기 야드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컨테이너를 위한 수집 또는 후송 운송을 수행하고,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해안에 선박이 도킹되고,
    상기 야드 영역은 복수의 야드 유닛을 포함하고,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에는 이격 영역이 형성되고, 각 야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야드를 포함하고, 각 야드 유닛은 상기 야드를 둘러싸는 수집-후송 통로와 함께 배치되고,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상기 이격 영역 내에는 반입-반출 통로가 배치되고,
    상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야드 영역과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상기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반입-반출 통로 및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동일한 수평방향 평면 내에 있지만, 서로 교차하지 않는,
    컨테이너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각 야드 유닛은 야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하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하나의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야드를 둘러싸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야드의 측면 영역과, 상기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양자를 점유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각 야드 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 및 제2 야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하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하나의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야드를 둘러싸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 상기 제1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4. 제1항에 있어서,
    각 야드 유닛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야드 및 제2 야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후송 통로는 복수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을 포함하고, 각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U-자형이고, 2개의 수집-후송 통로 유닛이 각 야드 유닛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야드 및 상기 제2 야드를 각각 둘러싸고,
    상기 제1 야드를 둘러싸는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상기 제1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2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1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하고,
    상기 제2 야드를 둘러싸는 상기 수집-후송 통로 유닛은 상기 제1 야드와 상기 제2 야드 사이의 간격의 일부, 상기 제2 야드의 제1 단부 영역, 및 상기 야드 유닛 내에 있으며 상기 제1 야드의 반대편의 상기 제2 야드의 측면 영역의 일부인 영역을 점유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반출 통로는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on-site loading-unloading passages) 및 연결 반입-반출 통로(connection loading-unloading passages)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야드 영역과 상기 해안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현장 반입-반출 통로는 인접한 야드 유닛들 사이의 이격 영역 내에 배치되지만, 단일의 야드 유닛으로 들어가지 않는,
    컨테이너 터미널.
  6. 제5항에 있어서,
    각 야드 작업 장비는 하나의 야드에 제공되고, 각 야드 작업 장비의 작업 범위는 제공되는 야드, 가장 근접한 수집-후송 통로 유닛 및 가장 근접한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적어도 커버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 작업 영역은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해안 작업 장비의 랜드측 작업 영역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 및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 반입-반출 통로는 상기 제1 연결 반입-반출 통로 및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연결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 영역과, 그 내의 상기 야드 유닛의 방향은 해안에 각도를 이루고, 상기 각도는 0 내지 180°인,
    컨테이너 터미널.
  9. 제1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부터 선박으로 컨테이너를 반입하기 위한 컨테이너 반입 방법에 있어서,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야드 영역 내의 현장 반입-반출 통로 상에서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현장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주행하여 해안 반입-반출 통로에 도달하고,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수집-후송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단계; 및
    해안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선박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반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입 방법.
  10. 제1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선박으로부터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반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반출 방법에 있어서,
    해안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선박으로부터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반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상기 해안 반입-반출 통로를 따라 연결 반입-반출 통로를 주행하여 현장 반입-반출 통로에 도달하고,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은 수집-후송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상기 컨테이너 반출 단계; 및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반입-반출 운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야드 영역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반출 방법.
  11. 제1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후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후송 방법에 있어서,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수집-후송 통로 상에서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수집-후송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상기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상기 야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게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는,
    컨테이너 후송 방법.
  12. 제1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상에서 야드 영역으로 컨테이너를 수집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집 방법에 있어서,
    수집-후송 차량이 수집-후송 통로를 따라 상기 야드 영역으로 주행하고, 상기 수집-후송 차량은 반입-반출 통로 내로는 들어가지 않고,
    야드 작업 장비에 의해, 상기 수집-후송 차량으로부터 상기 야드 영역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수집 방법.
KR1020187021010A 2015-12-25 2016-04-22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KR102573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92788.3 2015-12-25
CN201510992788.3A CN105417190B (zh) 2015-12-25 2015-12-25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PCT/CN2016/079967 WO2017107350A1 (zh) 2015-12-25 2016-04-22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322A true KR20180098322A (ko) 2018-09-03
KR102573506B1 KR102573506B1 (ko) 2023-09-01

Family

ID=55495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010A KR102573506B1 (ko) 2015-12-25 2016-04-22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7530B2 (ko)
KR (1) KR102573506B1 (ko)
CN (1) CN105417190B (ko)
BR (1) BR112018012940A2 (ko)
SG (1) SG11201805408VA (ko)
WO (1) WO20171073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587A (ko) * 2018-11-28 2020-06-10 잇반샤단호진 코우왕 니야쿠 기카이 시스테무 쿄우카이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7190B (zh) 2015-12-25 2017-10-27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CN108516357B (zh) * 2018-05-16 2024-03-15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自动化集装箱装卸码头
CN110040527B (zh) * 2019-05-21 2024-04-02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的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CN110835054A (zh) * 2019-11-22 2020-02-25 上海国际港务(集团)股份有限公司尚东集装箱码头分公司 一种码头双集装箱吊装系统及其方法
CN114030906B (zh) * 2021-11-01 2023-11-21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CN114093065B (zh) * 2021-11-29 2024-01-12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码头堆场与自动化轨道吊的安全控制系统及方法
CN114455339B (zh) * 2022-02-14 2022-09-27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双梳状结构的自动化集装箱堆场边装卸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1093654A (ja) * 2009-10-29 2011-05-12 Japan Association Of Cargo-Handling Machinery Systems コンテナターミナ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3335A (ja) 1996-08-13 1998-0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H10139169A (ja) * 1996-11-08 1998-05-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03292168A (ja) * 2002-04-05 2003-10-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における無人搬送台車の運用方法
JP4370126B2 (ja) * 2002-10-31 2009-11-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検査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検査方法
PT1616822E (pt) * 2004-07-06 2007-01-31 Perpetuma Um procedimento e um sistema para transferência de cargas
JP2006151574A (ja) * 2004-11-29 2006-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用荷役機械、コンテナ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荷役方法
JP2006282386A (ja) 2005-03-31 2006-10-19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コンテナヤードにおける設備の配置構造
JP2007223782A (ja) 2006-02-27 2007-09-06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00545065C (zh) 2006-04-20 2009-09-3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布置方案及装卸流程
JP5793323B2 (ja) * 2011-03-28 2015-10-14 三井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CN104108610B (zh) * 2013-04-18 2016-05-25 天津港(集团)有限公司 集装箱码头用穿梭搬运车系统及其运送集装箱的方法
CN104108611B (zh) * 2013-04-18 2016-05-25 天津港(集团)有限公司 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KR101709743B1 (ko) 2014-05-15 2017-02-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N105059955B (zh) 2015-06-29 2017-03-29 天津东方海陆集装箱码头有限公司 配送中心式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CN104986581B (zh) 2015-07-07 2017-04-26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5417190B (zh) 2015-12-25 2017-10-27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625A (ja) * 2001-08-06 2003-0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1093654A (ja) * 2009-10-29 2011-05-12 Japan Association Of Cargo-Handling Machinery Systems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6587A (ko) * 2018-11-28 2020-06-10 잇반샤단호진 코우왕 니야쿠 기카이 시스테무 쿄우카이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용 방법
US11479421B2 (en) 2018-11-28 2022-10-25 Japan Association Of Cargo-Handling Machinery Systems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47530B2 (en) 2020-05-12
CN105417190B (zh) 2017-10-27
SG11201805408VA (en) 2018-07-30
CN105417190A (zh) 2016-03-23
BR112018012940A2 (pt) 2018-12-11
US20190016545A1 (en) 2019-01-17
WO2017107350A1 (zh) 2017-06-29
KR102573506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8322A (ko) 컨테이너 터미널, 컨테이너 반입-반출 방법 및 컨테이너 집결-후송 방법
CN108298329B (zh) 一种新型江海联运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AU2013290869B2 (en) Overhead crane and assembly of at least two overhead cranes
KR100812485B1 (ko) 해안쪽 크레인과 적하장 크레인 사이에 있는 하부 프레임 브릿지형의 캐리어 이송용 적재 및 하역 장치
CN104986581B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05270875A (zh) 高架轨道交通式集装箱码头装卸系统
Kim et al. New conceptual handling systems in container terminals
CN112010053B (zh) 一种立体式自动化集装箱码头
CN208683973U (zh) 一种立体式自动化集装箱码头的总体布置及其装卸系统
CN210735627U (zh) 一种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
WO2022061509A1 (zh) 一种立体式自动化集装箱码头
CN204917265U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CN105621264A (zh) 港池式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作业系统及作业方法
KR100737362B1 (ko)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CN110467008A (zh) 一种平面布置的中小型码头及其装卸方法
CN116477386A (zh) 一种作业高效的集装箱港口陆域系统及其运行方法
CN113879858B (zh) 立体轨道式自动化集装箱码头水平运输装置及其运输方法
CN113788328A (zh) 顺岸式全自动化码头混合车流的隔离式车道布置方式及其运行方法
CN110254449A (zh) 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和方法
JP2009242085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スイッチバック式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Naicker et al. Evaluating straddle carriers and rubber Tyredgantrys to determine which would be the most suitable container handling infrastructure between the quay and stack area at the Durban Container Terminal; Pier 2
CN117566473B (zh) 散货港口无人卸船方法
US9617124B2 (en) Crane
CN114180352A (zh)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