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890B1 -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890B1
KR101096890B1 KR1020090007928A KR20090007928A KR101096890B1 KR 101096890 B1 KR101096890 B1 KR 101096890B1 KR 1020090007928 A KR1020090007928 A KR 1020090007928A KR 20090007928 A KR20090007928 A KR 20090007928A KR 101096890 B1 KR101096890 B1 KR 10109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ffshore
land
conveyor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801A (ko
Inventor
김태업
Original Assignee
김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업 filed Critical 김태업
Priority to US12/398,1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183407A1/en
Publication of KR2010008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 위치한 육상컨테이너터미널과 육상으로부터 이격된 근해 상에 위치한 근해컨테이너터미널 사이에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1)은, 육상(2)으로부터 이격된 근해(3)에 구축된 근해컨테이너터미널(8)에 설치되어 선박(4)이 접안되고, 접안된 상기 선박(4)과의 사이에 컨테이너(5)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11)이 구비된 근해부두(10); 상기 근해부두(10)에 설치되어, 상기 근해부두(10) 상에서 상기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운반하는 근해컨베이어(50a); 상기 근해부두(10)의 해저 저부와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의 지하 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5)가 운반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해저터널(30); 상기 해저터널(30)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운반하는 터널컨베이어(50b); 상기 근해부두(10)와 상기 해저터널(30)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5)를 상하로 운반하는 근해승강장치(40a); 및 상기 해저터널(30)과 상기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5)를 상하로 운반하는 육상승강장치(40b); 를 포함하고: 상기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상기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컨테이너(5)의 운송방향을 바꾸기 위한 전향구역(9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향구역(90)에는 상기 전향 운반을 위한 환승차(70)가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 위치한 육상컨테이너터미널과 육상으로부터 이격된 근해 상에 위치한 근해컨테이너터미널 사이에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발전, 경제의 세계화 및 개방화, 국제 분업 체제의 확산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국제 교역량이 증가하면서 항만을 통한 컨테이너 물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컨테이너의 하역을 위해 항만의 육상에 마련되는 컨테이너터미널은, 선박에 의한 해상운송과 트럭, 열차 등에 의한 육상운송이 연결되는 거점으로서, 선박(컨테이너선)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유기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컨테이너 물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도로와 철도를 포함한 육상 운송과도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근래에 와서 컨테이너항만 간에 선박(컨테이너선)을 유치하려는 국내 및 국가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항만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 서는 화물(컨테이너) 및 선박(컨테이너선)의 체항을 최소화하고 또한 대형선박이 접안할 수 있어야 한다.
항만에서 컨테이너 물류를 적체 없이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 전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 관련 시설을 충분하게 확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항만에서 컨테이너터미널 시설을 확충하는 것에는,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충분한 수심을 가지는 부지를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육지로부터 이격되어 대형 선박의 접안에 필요한 충분한 수심이 보장되는 근해 상에 부두(근해부두)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서는 근해부두와 육상 컨테이너터미널 간의 컨테이너 운반을 위해, 컨테이너 피더선(Feeder) 혹은 외인선에 의해 견인되는 바지선(Barge) 등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그로 인한 시간지체, 항만교통 혼잡, 기상악화시 가동중단, 환경오염, 고비용 발생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2005년 12월)에 중국 상해에서 인근의 대양산도 및 소양산도에 컨테이너 부두를 구축하고 이를 약 30 킬로미터에 달하는 교량으로 육지와 연결하는 양산 심수항을 건설하여 운영 중인데 이 경우, 교량 자체가 항만의 교통방해 요인이 될 뿐 아니라, 다수의 트럭이 투입되므로, 그로 인한 시간지체, 교통혼잡, 기상악화시 가동중단, 환경오염, 고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처리 서비스 품질을 질적 및 양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박 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포함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을 확충함에 있어서, 충분한 수심을 보장하는 부지를 확보하는 어려움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깊은 수심을 요하는 대형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여 항만의 접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 운반을 자동화하여 컨테이너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감하며 아울러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상이 악화되더라도 가동을 지속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만 주변에서의 컨테이너 운송에 따른 교통 혼잡 및 그로 인한 환경오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한 수심이 보장되는 부지의 확보가 어려운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에 대한 시설확충에는 물론, 새로이 건설되는 항만의 컨테이너 터미널 구축에도 관련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없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은, 근해부두, 근해컨베이어, 해저터널, 터널컨베이어, 근해승강장치, 및 육상승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근해부두는, 육상으로부터 이격된 근해에 구축된 근해컨테이너터미널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되고, 접안된 상기 선박과의 사이에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이 구비된다.
상기 근해컨베이어는, 상기 근해부두에 설치되어, 상기 근해부두 상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운반한다.
상기 해저터널은, 상기 근해부두의 해저 저부와 육상컨테이너터미널의 지하 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운반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터널컨베이어는, 상기 해저터널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운반한다.
상기 근해승강장치는, 상기 근해부두와 상기 해저터널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5)를 상하로 운반한다.
상기 육상승강장치는, 상기 해저터널과 상기 육상컨테이너터미널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를 상하로 운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해컨베이어와 상기 근해승강장치의 상부 사이, 상기 근 해승강장치의 하부와 상기 터널컨베이어의 근해쪽 단부 사이, 상기 터널컨베이어의 육상쪽 단부와 상기 육상승강장치의 하부 사이, 및 상기 육상승강장치의 상부와 상기 육상컨테이너터미널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이동하는 환승컨베이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해승강장치 및 상기 육상승강장치는 적재함이 연속적으로 오르내리는 순환식 승강 장치이고,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는 상기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이동하기 위한 적재함컨베이어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해컨베이어와 상기 근해승강장치의 상부 사이, 상기 근해승강장치의 하부와 상기 터널컨베이어의 근해쪽 단부 사이, 및 상기 터널컨베이어의 육상쪽 단부와 상기 육상승강장치의 하부 사이에, 각각 상기 컨테이너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완충저장소가 구비된다.
상기 근해승강장치의 하부와 상기 터널컨베이어의 근해쪽 단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방향을 바꾸기 위한 전향구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향구역에는 상기 전향 운반을 위한 환승차가 운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승차는 상기 컨테이너를 측면에 적재하는 측면적재부와, 상기 컨테이너를 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횡방향크레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선박이 접안되는 근해부두를 육상이 아닌 근해에 설치하고, 근해부두와 육상의 컨테이너터미널 사이의 컨테이너 운반에 해저 터널과 컨베이어를 이용함에 따라, 선박접안시설, 컨테이너의 하역 및 운반 시설,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 등을 포함한 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함에 있어서, 충분한 수심이 보장되는 부지를 확보하는 어려움을 상당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근해컨테이너터미널에 연계된 컨테이너 야적 및 창고 시설을, 항만이나 배후도시의 혼잡구역으로부터 이격된 비혼잡 구역에 마련하여 (해저)터널로 연결하는 시스템이므로, 컨테이너의 운반에 따른 교통체증 및 그로 인한 환경오염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근해부두를 육상이 아닌 수심이 깊은 근해에 설치하는 시스템이므로, 접안에 깊은 수심을 요하는 대형 선박의 접안이 용이하여 항만의 접안능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근해부두와 육상 컨테이너터미널 간에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피더선(Feeder) 혹은 외인선에 의해 견인되는 바지선(Barge) 혹은 트럭 등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그로 인한 시간지체, 항만교통 혼잡, 기상악화시 가동중단, 환경오염, 고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을 상당히 해결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컨테이너 운반 과정을 자동화하여 컨테이너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인건비를 절감하며 아울러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물(컨테이너)이 대부분 밀폐된 터널 공간에서 운반되므로, 기상 악화에 따른 가동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근해부두를 근해에 설치하고 근해부두와 육상의 컨테이너터미널 사이의 컨테이너 운반에 해저터널과 컨베이어를 이용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축으로 인해 해당 항만의 배후도시나 기존 컨테이너터미널 시설과의 간섭이 사소하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부지확보가 어려운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에 대한 시설확충에는 물론, 관련 부지 확보의 어려움이 없이 새로운 항만의 컨테이너터미널 건설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비록 근해부두가 근해에 위치하지만 근해부두와 육상 사이의 컨테이너 운반에 교량이나 선박(컨테이너피더선, 외인선에 견인되는 바지선 등)이 아닌 해저터널이 사용되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선박 항해의 방해는 근해부두의 존재에 따른 방해만으로 최소화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육상(2)에 구축된 육상컨테이너터미널(7)과 육상(2)으로부터 이격된 근해에 설치되는 근해컨테이너터미널(8) 사이에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시스템이다.
도1은 항만에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1)을 적용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에 설치된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에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선박(4: 컨테이너선)이 접안되는 접안시설(7a), 컨테이너(5)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7b), 및 컨테이너(5)를 보관하는 야적시설(7c) 등, 컨테이너터미널에 필요한 각종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근해부두(10), 근해컨베이어(50a), 해저터널(30), 터널컨베이어(50b), 근해승강장치(40a) 및 육상승강장치(40b)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환승컨베이어(60: 도2, 도4 및 도6 참조), 환승차(70: 도7 내지 도9 참조), 완충저장소(80: 도6 참조), 및 전향구역(90: 도2, 도7 및 도8 참조)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근해부두(10)는 컨테이너(5)를 하역하기 위한 선박(4)이 접안되는 시설로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근해부두(10)는 항만의 육상(2)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육상(2)으로부터 필요한 만큼 이격된 수심이 깊은 근해(3)의 해저(6)에 고정 설치된다. 근해부두(10)에는 접안된 선박(4)과의 사이에 컨테이너(5)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11)이 설치된다.
근해부두(10)의 위치는, 항만의 특성(입지, 규모 등), 기존 컨테이너터미널의 특성, 배후도시의 특성, 해안지형의 특성(수심, 조류방향, 바람방향 등)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며, 바람직하게 컨테이너의 적체와 교통체증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충분한 수심을 가지면서, 해저터널(30)의 길이를 가능한 짧게 할 수 있는 위치로 설정한다.
근해부두(10)의 위치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도3의 A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근해부두(10)의 방향과 해저터널(30)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설정하여, 컨테이너(5) 이동방향의 전환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해부두(10)는 도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근해부두를 사이에 두고 최소 2대의 선박이 접안 할 수 있는 일자형 근해부두뿐만 아니라, 도3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부두를 사이에 두고 최소 4대의 선박을 접안할 수 있는 ㄷ자형 근해부두와 평행형 근해부두 등 다양한 형태의 다열로 구축할 수 있으며, ㄷ자형 근해부두의 경우에 근해부두(10)의 횡방향 부분(10a)은 컨테이너(5)가 임시로 머무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3의 B 및 C와 같은 다열 근해부두의 경우에 후술하는 해저터널(30)을 형성함에 있어서, 가지터널(31)을 추가로 형성하여 해저터널(30)과 연결할 수 있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부두(10)에는 방풍벽(12)을 설치하여 컨테이너 하역작업시, 강풍에 의해 컨테이너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박(4)의 접안과 컨테이너(5)의 하역에 필요한 근해부두(10)와 크레인(11)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구축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관련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근해부두(10)와 크레인(11)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종래기술을 참조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생략한다.
상기 근해컨베이어(50a)는, 선박(4)에서 근해부두(10)에 하역된 컨테이너(5)를 후술하는 근해승강장치(40a)의 위치로 수평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이다.
크레인(11)이 컨테이너(5)를 근해컨베이어(50a)에 내려놓기 직전 및 근해컨 베이어(50a)로부터 컨테이너(5)를 집어 들기 직전에 근해컨베이어(50a)는 일시적으로 정지할 필요가 있는 바, 이러한 일시정지 시간은 충분히 짧으므로 여러 대의 크레인(11)이 동시에 작업하더라도 근해컨베이어(50a)는 상당한 속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크레인(11)의 운영자가 근해컨베이어(50a)의 작동을 통제하면 될 것이다.
근해컨베이어(50a)는 단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다열로 설치할 수도 있는바,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결정짓는 해저터널(30)의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와 구조로 구축하게 된다.
상기 근해승강장치(40a)는, 도2, 도4 및 도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컨베이어(50a)에 의해 그 상부에 도착한 컨테이너(5)를 근해부두(10) 하부의 해저(6)에 형성한 해저터널(30)로 하향 운반하고, 해저터널(30)을 통해 운반되어 그 하부에 도착한 컨테이너(5)를 근해부두(10)로 상향 운반한다.
근해승강장치(40a)도 단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다수로 설치할 수도 있는바,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결정짓는 해저터널(30)의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와 구조로 구축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도2,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컨베이어(50a)와 근해승강장치(40a)의 상부 사이, 그리고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 사이에는, 각각 환승컨베이어(60)를 설치하여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승강장치(40a)는 예를 들어 적재함(41) 이 연속적으로 오르내리는 순환식 승강 장치로서, 상기 적재함(41)의 하부에 적재함컨베이어(42)를 설치하여 적재함(41)과 환승컨베이어(60) 사이에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2, 도4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컨베이어(60)는 근해부두(10) 상에서 근해컨베이어(50a)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근해승강장치(40a)의 적재함컨베이어(42)에 넘겨주거나, 적재함컨베이어(42)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근해컨베이어(50a)에 넘겨준다.
또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컨베이어(60)는 지하(해저터널의 근해쪽 단부부분)에서 근해승강장치(40a)의 적재함컨베이어(42)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터널컨베이어(50b)에 넘겨주거나, 터널컨베이어(50b)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근해승강장치(40a)의 적재함컨베이어(42)에 넘겨준다.
환승컨베이어(60)와 근해승강장치(40a)의 적재함컨베이어(42)는 수평으로 인접하여 정렬된 상태에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5)의 환승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근해승강장치(40a)는 상부에서 컨테이너(5)를 싣고(부리고) 하부에서 컨테이너(5)를 부리는(싣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근해승강장치(40a)의 정지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해승강장치(40a)와 환승컨베이어(60)의 적용으로, 근해부두(10)와 해저터널(30) 사이에 컨테이너(5)의 운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컨베이어(50a)와 근해승강장 치(40a)의 상부 사이 및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 사이에는 각각 완충저장소(80)를 구비하여 컨테이너(5)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완충저장소(80)는 근해승강장치(40a)에서 컨테이너 흐름에 지체가 발생할 경우에 컨테이너(5)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공간이다.
상기 해저터널(30)은 근해상의 근해컨테이너터미널(8)과 육상의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사이에 컨테이너 운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해저(6)에 형성한 터널로서, 구체적으로 근해(3)에 설치되는 근해승강장치(40a)의 저부와 육상에 설치된 육상승강장치(40b)의 저부 사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5)의 운반 통로를 제공한다.
해저터널(30)의 크기는 수용하는 터널컨베이어(50b)의 열수에 의존하며, 도1은 2개의 컨테이너를 나란히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2열의 터널컨베이어(50b)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해저터널(30)을 예시한 것이지만, 3열 이상의 컨베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터널컨베이어(50b)는 해저터널(30)을 따라 설치되어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육상승강장치(40b)의 하부 사이에 컨테이너(5)를 운반하는 수단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해저터널(30)을 따라 2열의 터널컨베이어(50b)를 설치한 예이지만, 1열이나 3열 이상도 가능하다.
또한, 2열 이상의 터널컨베이어(50b)를 운영하면서 한쪽의 컨베이어는 근해컨테이너터미널(8) 쪽으로만 컨테이너(5)를 운반하고 다른 쪽 컨베이어는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쪽으로만 컨테이너(5)를 운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육상승강장치(40b)는, 해저터널(30)을 통과한 컨테이너(5)를 육상컨테 이너터미널(7)로 상향 운반하고,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의 컨테이너(5)를 해저터널(30)로 하향 운반한다.
육상승강장치(40b)도 단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다수로 설치할 수도 있는바,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결정짓는 해저터널(30)의 컨테이너 운반 처리량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규모와 구조로 구축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터널컨베이어(50b)의 육상쪽 단부와 육상승강장치(40b)의 하부 사이 및 육상승강장치(40a)의 상부와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사이에 각각 전술한 환승컨베이어(60)를 설치하여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이동토록 한다.
육상승강장치(40b)는 적재함(41)이 연속적으로 오르내리는 순환식 승강 장치로서, 선택적으로 상기 적재함(41)의 하부에 적재함컨베이어(42)를 설치하여 적재함(41)과 환승컨베이어(60) 사이에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환승컨베이어(60)는 육상컨테이너터미널(7)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육상승강장치(40b)의 적재함컨베이어(42)에 넘겨주거나, 적재함컨베이어(42)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예를 들어 육상컨베이어(50c) 등을 통해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에 넘겨준다.
아울러, 환승컨베이어(60)는 지하(해저터널의 육상쪽 단부부분)에서 육상승강장치(40a)의 적재함컨베이어(42)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터널컨베이어(50b)에 넘겨주거나, 터널컨베이어(50b)로부터 컨테이너(5)를 넘겨받아 이를 육상승강장치(40b)의 적재함컨베이어(42)에 넘겨준다.
환승컨베이어(60)와 육상승강장치(40b)의 적재함컨베이어(42)도 수평으로 인 접하여 정렬한 상태에서 동시에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5)의 환승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육상승강장치(40b)도 상부에서 컨테이너(5)를 싣고(부리고) 하부에서 컨테이너(5)를 부리는(싣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육상승강장치(40b)의 정지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육상승강장치(40b)와 환승컨베이어(60)의 적용으로, 육상컨테이너터미널(7)과 해저터널(30) 사이에 컨테이너(5)의 운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터널컨베이어(50b)의 육상쪽 단부와 육상승강장치(40b)의 하부 사이에도 상기 완충저장소(80)를 구비하여 컨테이너(5)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근해승강장치(40a), 육상승강장치(40a) 및 근해컨베이어(50a) 등 각종 승강장치와 컨베이어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동 등은, 해당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관련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고, 승강장치와 컨베이어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종래기술을 참조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생략한다.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의 연결부에서는 경우에 따라 컨테이너(5)의 운송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는 바, 이러한 전향은 자동화 장치로 실현할 수도 있고 사람이 운전하는 운반차량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육상승강장치(40b)를 터널컨베이어(50b)의 컨테이너(5)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터널컨베이어(50b)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에서의 전향이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2,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해승강장치(40a)와 터널컨베이어(50b) 간에 컨테이너(5)를 전향하기 위해 그 연결부에 전향구역(90)을 형성할 수 있다. 전향구역(90)은 컨테이너의 전향을 위해 해저터널(30) 보다는 더 넓게 형성한 공간으로서, 전향구역(90)에는 컨테이너(5)의 전향 운반을 위하여 사람이 운전하는 환승차(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향구역(90)은 전술한 완충저장소(80)의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7의 구체예는 컨베이어가 2열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전향구역(90)이고, 도8의 구체예는 컨베이어가 4열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전향구역(90)으로서, 도8의 경우에 4열의 컨베이어 중에 중앙 2열의 컨베이어는 그 양측 2열의 컨베이어 보다 전향구역(90) 안으로 깊숙하게 설치됨으로써 환승차(70)가 4열 모든 컨베이어에 접근하여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전향구역(90)에서 환승차(70)는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와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 사이를, 도7 및 도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운행하면서 컨테이너(5)를 전향하게 된다.
환승차(70)는 터널컨베이어(50b)가 움직이는 속도에 맞추어 터널컨베이어(50b)를 따라 가면서 컨테이너(5)를 집어 들거나 내려놓음으로써, 가능한 상기 터널컨베이어(50b)가 중지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승차(70)는 환승컨베이어(60), 터널컨베이어(50b) 및 근해컨베이어(50a)와 완충저장소(80) 사이에 컨테이너(5)를 이동하는 용도로도 이용될 수도 있다.
환승차(70)는, 컨테이너의 근거리 운반에 흔히 사용하는 지게차와 같은 운반 차량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합하게 제작된 전용의 차량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9의 환승차(70)는 컨테이너(5)를 측면에 적재하고 횡방향으로 컨테이너(5)를 하역함으로써 개별 환승차(70)가 전향구역(90)에서 운행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결과적으로 필요한 전향구역(90)의 공간을 최소화한 예이다.
이를 위해 도9의 환승차(70)는, 컨테이너(5)를 측면서 적재하는 측면적재부(71)와 하역을 위해 컨테이너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횡방향크레인(72)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4륜 전기기동의 주행장치(73)를 이용해 전향구역(90)을 자유로이 운행할 수 있다.
상기 환승차(70)는, 그 측면적재부(71)가 환승차(70) 운행방향의 오른쪽에 장치되는 것과 왼쪽에 장치되는 것 두 종류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행토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을 컨테이너 항만에 적용하면, 육상으로부터 이격된 근해상에 구축된 근해컨테이너터미널(8)에서 선박과의 사이에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해저터널 및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근해컨테이너터미널(8)과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사이에 컨테이너를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앞서 언급한 항만에서의 컨테이너터미널 구축에 관련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시스템의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근해부두의 배치도,
도4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승강 및 환승의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승강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환승의 개략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전향구역의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전향구역의 개략도,
도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환승차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시스템 2: 육상
3: 근해 4: 선박
5: 컨테이너 6: 해저
7: 육상컨테이너터미널 8: 근해컨테이너터미널
10: 근해부두 11: 크레인
30: 해저터널 40a: 근해승강장치
40b: 육상승강장치 41: 적재함
42: 적재함컨베이어 50a: 근해컨베이어
50b: 터널컨베이어 50c: 육상컨베이어
60: 환승컨베이어 70: 환승차
71: 측면적재부 72: 횡방향크레인
80: 완충저장소 90: 전향구역

Claims (6)

  1. 육상(2)으로부터 이격된 근해(3)에 구축된 근해컨테이너터미널(8)에 설치되어 선박(4)이 접안되고, 접안된 상기 선박(4)과의 사이에 컨테이너(5)를 하역하기 위한 크레인(11)이 구비된 근해부두(10);
    상기 근해부두(10)에 설치되어, 상기 근해부두(10) 상에서 상기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운반하는 근해컨베이어(50a);
    상기 근해부두(10)의 해저 저부와 육상컨테이너터미널(7)의 지하 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5)가 운반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해저터널(30);
    상기 해저터널(30)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5)를 수평으로 운반하는 터널컨베이어(50b);
    상기 근해부두(10)와 상기 해저터널(30)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5)를 상하로 운반하는 근해승강장치(40a); 및
    상기 해저터널(30)과 상기 육상컨테이너터미널(7)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5)를 상하로 운반하는 육상승강장치(40b); 를 포함하고:
    상기 근해승강장치(40a)의 하부와 상기 터널컨베이어(50b)의 근해쪽 단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컨테이너(5)의 운송방향을 바꾸기 위한 전향구역(9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향구역(90)에는 상기 전향 운반을 위한 환승차(70)가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승차(70)는 상기 컨테이너(5)를 측면에 적재하는 측면적재부(71)와, 상기 컨테이너(5)를 횡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횡방향크레인(7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KR1020090007928A 2009-01-21 2009-02-02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KR10109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98,193 US20100183407A1 (en) 2009-01-21 2009-03-05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836 2009-01-21
KR1020090004836 2009-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801A KR20100085801A (ko) 2010-07-29
KR101096890B1 true KR101096890B1 (ko) 2011-12-22

Family

ID=4264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28A KR101096890B1 (ko) 2009-01-21 2009-02-02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8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5438A (zh) * 2021-04-25 2021-07-20 上海海事大学 一种基于深层地下通道的地下集装箱物流装卸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981A (ja) * 2000-03-22 2001-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0981A (ja) * 2000-03-22 2001-09-26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港湾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801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4102B2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US8118534B2 (en) Container cargo transfer system
KR100812485B1 (ko) 해안쪽 크레인과 적하장 크레인 사이에 있는 하부 프레임 브릿지형의 캐리어 이송용 적재 및 하역 장치
US20100183407A1 (en)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JP2008505040A (ja) 船荷移送方法及び装置
CN104986581A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210735627U (zh) 一种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
CN204917265U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KR100737362B1 (ko) 해항 또는 내륙항의 적환 시설
WO2008068504A2 (en) Floating port and method of use
CN110467008A (zh) 一种平面布置的中小型码头及其装卸方法
CN210258405U (zh) 集装箱的水-陆-水高效转运系统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WO2017091860A1 (en) Super shallow draft bulk carrier
WO2011078420A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113879858B (zh) 立体轨道式自动化集装箱码头水平运输装置及其运输方法
KR101068662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20110017228A (ko)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CN215248287U (zh) 一种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连续装卸作业系统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217866979U (zh) 一种火车移动装卸的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作业系统
KR10111369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CN116002410A (zh) 一种面向超大水位差的多用途码头装卸系统、作业方法及布置方法
KR20150082868A (ko)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