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868A -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868A
KR20150082868A KR1020140002355A KR20140002355A KR20150082868A KR 20150082868 A KR20150082868 A KR 20150082868A KR 1020140002355 A KR1020140002355 A KR 1020140002355A KR 20140002355 A KR20140002355 A KR 20140002355A KR 20150082868 A KR20150082868 A KR 2015008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crane
trolle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태
이성준
우일국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868A/ko
Publication of KR2015008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으로 컨테이너를 상하역 하는 물류 이송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은 복수의 컨테이너선이 나란이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부가 형성된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상역 또는 하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선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 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메인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선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Container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선으로 컨테이너를 상하역 하는 물류 이송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 사이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 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키고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항만 또는 항구가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 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을 항구에 접안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기 위해 항구에 설치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선박에 놓인 컨테이너를 들어올린 후 항구에서 운행하는 컨테이너 수송용 트레일러에 옮긴다. 그리고 컨테이너 트레일러가 하역장으로 이동하면 하역장에 설치된 겐트리 크레인을 이용해 컨테이너를 하역장에 적층하는 방식으로 하역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대로 하역장의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선에 상역할 때에도 겐트리 크레인, 트레일러, 컨테이너 크레인을 거쳐 운송이 이루어졌는데,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경우 컨테이너의 상하역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선박의 정박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1-0017228호 :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공개특허 제10-2010-0097588호 : 부유식 환적 전용 컨테이너 터미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컨테이너의 이송경로를 단순화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상하역 시간을 줄이고 컨테이너 수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은 항구에 정박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를 하역 또는 상역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를 픽업 및 야적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운반된 컨테이너를 적재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겐트리 크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선이 정박하는 항구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와, 상기 서포트부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선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야적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따라 각각 주행하면서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반하는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와, 상기 서포트부에 설치되며 제1 트롤리에 의해 운반된 컨테이너를 제2 트롤리로 픽업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은 복수의 컨테이너선이 나란이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부가 형성된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상역 또는 하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선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 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메인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선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크레인은 오버헤드 크레인이 적용되며,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지지대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1 트롤리와 제2 트롤리가 상기 이송지지대를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크레인은 상기 접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컨테이너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지지된 겐트리 크레인이 적용되고, 상기 겐트리 크레인에는 두 대의 트롤리가 좌우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수송 과정이 단순화됨에 따라 컨테이너의 상,하역 단계가 축소되고, 시간이 단축되어 전체적인 물류 운송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100)은 부두에 정박한 컨테이너선(2)으로부터 컨테이너(1)를 하역 또는 상역하기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110)과, 하역장에 설처되어 하역된 컨테이너(1)를 정리하기 위한 겐트리 크레인(14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크레인(110)은 부두에 설치된 서포트부(111)와, 서포트부(111)의 상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이송지지대(120)와, 이송지지대(120)를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1)를 클램핑하는 제1 트롤리(131) 및 제2 트롤리(132)를 포함한다.
이송지지대(120)는 서포트부(111)의 상단에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데, 일측은 컨테이너선(2)의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지지대(121)가 있으며, 제1 지지대(121)의 단부로부터 하역장을 향해 연장된 제2 지지대(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트롤리(131)와 제2 트롤리(132)는 각각 제1 지지대(121)와 제2 지지대(122)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컨테이너(1)를 운반한다.
상기 서포트부(111)에는 컨테이너(1)를 임시로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112)가 마련되어 있는데, 제1 트롤리(131)에 의해 컨테이너선(2)으로부터 이송된 컨테이너(1)를 안착부(112)에 안착시키면 상기 제2 트롤리(132)가 안착부(112)에서 컨테이너(1)를 야적장(3)으로 이송한다.
제2 트롤리(132)에 의해 야적장(3)으로 이송된 컨테이너(1)는 겐트리 크레인(140)에 의해 적절한 적재장소로 이송되어 적재된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100)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110)의 이송지지대(120)가 야적장(3)을 향해 연장된 제2 지지대(122)를 포함하고 있고, 제2 지지대(122)를 따라 이동하는 제2 트롤리(132)가 컨테이너(1)를 상기 안착부(112)와 야적장(3) 사이에서 이송함에 따라 컨테이너(1)를 야적장(3)까지 운반하던 트레일러가 필요치 않게 되어 컨테이너(1)의 운송 과정이 단순화되며 트레일러의 운행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고 컨테이너(1)의 하역 시간도 단축된다.
240 및 도 4에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2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200)은 두 대의 컨테이너선(2)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부(4)가 형성되어 있고, 접안부(4)에 접안된 컨테이너선(2)의 상부에 메인크레인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메인크레인은 오버헤드 크레인(210)이 적용되었는데, 오버헤드 크레인(2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이송지지대(220)를 따라 주행하는 제1 트롤리(221)와 제2 트롤리(222)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 트롤리(221)는 일측의 컨테이너선(2)과 일측 야적장(3) 사이를 주행하면서 컨테이너(1)를 운반한다. 그리고 제2 트롤리(222)는 타측 컨테이너선(2)과 타측 야적장(3) 사이를 주행하면서 컨테이너(1)를 운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야적장(3)에는 겐트리 크레인(240)이 설치되어 야적장(3)에 이송된 컨테이너(1)를 정리하는데 이용된다.
오버헤드 크레인(21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컨테이너선(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데, 각 오버헤드 크레인(210)들은 각각의 위치에서 컨테이너(1)를 운반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200)은 오버헤드 크레인(210)에 의해 이송된 컨테이너(1)를 컨테이너선(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230)를 포함하고 있다. 이송컨베이어(230)는 컨테이너(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벨트가 컨테이너선(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컨테이너(1)가 이송컨베이어(23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적재되거나 야적장(3)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200)은 두 척의 컨테이너선(2)이 인접하도록 접안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의 상하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측 컨테이너선(2)과 타측 컨테이너선(2) 사이에서 컨테이너(1)를 바로 이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측 컨테이너선(2)에 적재된 컨테이너(1)를 타측 컨테이너선(2)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트롤리(221)에서 일측 컨테이너선(2)의 컨테이너(1)를 픽업한 후 이송컨베이어(230)에 안착시킨다. 컨테이너선(2)의 길이방향을 따라 컨테이너(1)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송컨베이어(23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주행하도록 가동하고, 길이방향 이동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이송컨베이어(230)의 가동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2 트롤리(222)가 이송컨베이어(230) 상의 컨테이너(1)를 픽업한 후 이를 타측 컨테이너선(2)에 적재함으로써 양측 선박 사이에 컨테이너(1)의 운송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선(2)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크레인으로 오버헤드 크레인(210)이 적용되었으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메인크레인에 대형 겐트리 크레인(250)이 적용될 수도 있다.
겐트리 크레인(250)이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고, 두 대의 트롤리(251)가 좌우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양측 컨테이너선(2)에 적재된 컨테이너(1)들을 상,하역하거나 컨테이너선(2) 사이에서 이동 적재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1)의 운송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컨테이너 2; 컨테이너선
3; 야적장 4; 접안부
100;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110; 컨테이너 크레인
111; 서포트부 112; 안착부
120; 이송지지대
121; 제1 지지대 122; 제2 지지대
131; 제1 트롤리 132; 제2 트롤리
140; 겐트리 크레인
200;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210; 오버헤드크레인
220; 이송지지대
221; 제1 트롤리 222; 제2 트롤리
230; 이송컨베이어
240; 겐트리 크레인
250; 겐트리크레인
251; 트롤리

Claims (4)

  1. 항구에 정박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를 하역 또는 상역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를 픽업 및 야적장으로 운반하기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운반된 컨테이너를 적재위치로 이송하여 적재하는 겐트리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은 컨테이너선이 정박하는 항구측에 설치되는 서포트부와,
    상기 서포트부로부터 상기 컨테이너선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단부로부터 야적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송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를 따라 각각 주행하면서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반하는 제1 트롤리 및 제2 트롤리와,
    상기 서포트부에 설치되며 제1 트롤리에 의해 운반된 컨테이너를 제2 트롤리로 픽업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2. 복수의 컨테이너선이 나란이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부가 형성된 항구에서 컨테이너를 상역 또는 하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선의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이송지지대를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 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메인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선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크레인은 오버헤드 크레인이 적용되며,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반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지지대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1 트롤리와 제2 트롤리가 상기 이송지지대를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크레인은 상기 접안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컨테이너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지지된 겐트리 크레인이 적용되고,
    상기 겐트리 크레인에는 두 대의 트롤리가 좌우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컨테이너를 픽업 및 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KR1020140002355A 2014-01-08 2014-01-08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KR2015008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55A KR20150082868A (ko) 2014-01-08 2014-01-08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55A KR20150082868A (ko) 2014-01-08 2014-01-08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68A true KR20150082868A (ko) 2015-07-16

Family

ID=5388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355A KR20150082868A (ko) 2014-01-08 2014-01-08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519A (zh) * 2020-05-22 2020-08-25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适应码头两侧卸船作业的桥式抓斗卸船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519A (zh) * 2020-05-22 2020-08-25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适应码头两侧卸船作业的桥式抓斗卸船机
CN111573519B (zh) * 2020-05-22 2022-07-08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适应码头两侧卸船作业的桥式抓斗卸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79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US3812987A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JP5676338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US20100183407A1 (en)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CN105270875A (zh) 高架轨道交通式集装箱码头装卸系统
US20180002119A1 (en) Method and container transfer installation for placing containers into and removing containers from container storare areas
WO2012133280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2005075537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CN107399621B (zh) 岸边装卸设备及装卸方法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JP2015193483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20150082868A (ko) 컨테이너 물류 시스템
JP5840853B2 (ja) 岸壁クレーンを備えた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20150019523A (ko) 고효율 컨테이너 적하역 시스템 및 그 적하역 시스템의 컨테이너 리프트장치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AU2016363678A1 (en) Super shallow draft bulk carrier
KR101652697B1 (ko)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적용 바지선의 벌크 화물 선적방법
CN210914434U (zh) 用于集装箱的收纳及转移装置及相关系统
KR101652695B1 (ko) 바지선을 이용한 벌크 화물 선적 시스템
KR102273793B1 (ko) 스마트 물류 이송 시스템
Dávid Automation of handling systems in the container terminals of maritime ports
JP2013212884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101192601B1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JP6038335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コンテナ荷役方法、および、クレーン数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