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895B1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895B1
KR101298895B1 KR1020110094548A KR20110094548A KR101298895B1 KR 101298895 B1 KR101298895 B1 KR 101298895B1 KR 1020110094548 A KR1020110094548 A KR 1020110094548A KR 20110094548 A KR20110094548 A KR 20110094548A KR 101298895 B1 KR101298895 B1 KR 101298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ystem
yard
container terminal
cran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942A (ko
Inventor
정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Priority to KR1020110094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8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에 대해 수직하게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야드블록에서 야드크레인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야드블록 사이에 상기 야드크레인들의 공동작업이 이루어지는 공동작업영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컨테이너 처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CONTAINER TERMINAL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드크레인의 공차 운행 회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Container)를 선적, 하역 또는 보관하기 위한 일체의 항만시설을 총칭하는 것으로, 크레인(Crane), 장치장, 각종 운반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장치장은 안벽에 대한 야드블록(Yard Block)의 배치 방식에 따라 수직형과 수평형으로 구분되는데, 수직형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크레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수직형 야드블록이 적용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선박(20)에 적재된 컨테이너(10)가 안벽크레인(30)에 의해 에이프런(Apron)(40)으로 운반되면 AGV, Yard Tractor, Shuttle Carrier 등과 같은 에이프런 작업 차량(도면 미도시)이 이를 적재하여 야드블록(41)의 해측중계지점(Transfer Point)(41a)으로 이송한다.
이후,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에 적재된 상기 컨테이너(10)를 야드크레인(31)이 픽업(Pick Up)하여 상기 야드블록(41)에 장치하거나 반대편의 육측중계지점(41b)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육측중계지점(41b)의 외측에는 외부차량중계지점(42)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 때에는 상기 컨테이너(10)가 별도의 반출 차량에 의해 상기 외부차량중계지점(42)으로 이송된 후 대기중인 외부차량에 상차되어 외부로 반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마무리되면 상기 야드크레인(31)은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으로 다시 복귀하고, 추가적으로 반출 요구된 컨테이너를 픽업하여 장치 또는 이송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60)에서는 상기 야드크레인(31)이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반입되는 컨테이너가 없을 경우 공차 운행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야드크레인이(31)의 장치작업 뿐 아니라 상기 해측중계지점(41a)과 상기 육측중계지점(41b) 사이의 컨테이너 이송을 수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결과로서 야드크레인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여기서, 야드크레인의 생산성은 단위 시간당 컨테이너의 취급 개수로 계산되며, 크레인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고, 이동 거리 및 공차 운행 회수에는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종래부터 야드크레인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야드크레인의 컨테이너 취급 속도를 향상시키기거나 야드크레인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수를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들은 대부분 야드크레인 자체에 변형을 가하거나 다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추가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 설비된 야드크레인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야드크레인의 공차 운행 회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자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거듭한 끝에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직형 야드 블록이 배치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야드크레인의 공차 운행 회수를 낮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에 대해 수직하게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야드블록에서 야드크레인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야드블록 사이에 상기 야드크레인들의 공동작업이 이루어지는 공동작업영역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공동작업영역에는 상기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궤도 또는 무궤도 방식의 운반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반수단에는 무선전원교환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상기 전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수단을 궤도 방식으로 구성할 때에는 상기 공동작업영역에 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은 상기 공동작업영역의 해측중계지점과 육측중계지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레일은 인접하는 레일과 상호 교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해측중계지점 또는 상기 육측중계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운반수단과 다른 운반수단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를 교환하기 위한 크레인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는 상기 다른 운반수단의 작업대기공간과 상기 컨테이너의 임시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는 상기 공동작업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운반수단을 상기 야드 크레인과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야드크레인들은 캔틸레버 타입 또는 라멘 타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크기 및 형태를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형 야드블록 사이에 야드크레인의 공동작업영역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동작업영역에 궤도 또는 무궤도 운반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컨테이너를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야드크레인의 겐트리 이동거리가 최소화되어 야드크레인의 이송시간이 단축되며, 그 결과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해측중계지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적용시 가능한 야드크레인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해측중계지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100)은 다수의 수직형 야드블록(41) 사이에 야드크레인(31) 상호간의 공동작업영역(R)을 형성하고, 상기 공동작업영역(R)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기 설비된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 공동작업영역(R)의 다양한 구현 형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공동작업영역(R)에는 컨테이너(10)의 신속, 간편한 이송을 위한 운반수단(12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운반수단(120)으로는 불특정한 방향으로 운행 가능한 타이어 차량 또는 무궤도 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운반수단(120)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반수단(120)으로 궤도 차량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동작업영역(R)에 레일(110)이 설치되어 상기 궤도 차량의 운행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10)은 상기 궤도 차량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다수의 야드블록(41) 사이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레일(110)의 설치 개수는 상기 야드블록(41) 사이의 간격과 상기 컨테이너(10)의 물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면에서 파선은 상기 운반수단(120)의 이동경로를 단순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110)은 상기 야드블록(41)의 양단에 위치하는 해측중계지점(41a)과 육측중계지점(41b)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설될 수 있다. 즉, 선박(20)으로부터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으로 이송된 컨테이너 중에서 상기 야드블록(41)에 장치되지 않고 즉시 외부로 반출할 필요가 있는 컨테이너를 상기 레일(110)을 따라 상기 육측중계지점(41b)으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110)을 배치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야드블록(41) 사이에 상기 공동작업영역(R)을 형성하고, 상기 운반수단을 궤도 또는 무궤도 방식으로 설치하면 상기 야드크레인(31)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이송과 무관하게 상기 야드블록(41) 내에서 장치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컨테이너 이송작업까지 병행함에 따른 공차 운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운반수단(120)을 궤도 방식으로 구성하면 일반 타이어 방식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실현 가능하고, 고속운전 및 자동화를 위한 제어에 유리하며,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환경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행속도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레일(110)에는 상기 궤도 차량이 하나의 차선에서 다른 차선으로 자유롭게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차선교차시설(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궤도 차량의 작업 방향 차이에 따른 정체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표 지점 변경과 같은 새로운 운행정보도 신속하게 반영하여 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10)의 처리속도가 현저하게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궤도 차량으로는 자체 동력을 가진 통합형 또는 별도의 동력장치와 다수의 플랫폼(platform)으로 구성되는 형태의 트레일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일(110) 상에서 일정한 궤도를 이동할 수만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궤도 차량은 전기 모터 또는 디젤 엔진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모터를 사용할 때에는 외부접점 방식 또는 무선전원교환 방식(Wireless Power Transfer 또는 On Line Electric)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접점 방식의 경우에는 차선이 변경되는 지점에서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무선전원교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모터를 사용할 경우 동력은 배터리(battery)에 의해 공급되며, 배터리는 특정 구간에서 충전하는 방식이 아닌 운행구간 전체에서 충전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터리의 용량을 줄여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제작가격을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운반수단(120)의 운행은 제어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10)의 적재, 이동, 교차로 진입, 정차, 정지 등의 동작은 상기 야드크레인(31)과 연동하여 수행되도록 프로그램화된 상기 제어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 센서 시스템 등 공지된 형태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자동화하여 구현함으로써 획기적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해측중계지점(41a) 및 육측중계지점(41b)가 상기 공동작업구역(R)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110) 및 상기 운반수단(120)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공간을 버퍼(Buffer) 지역으로 활용하여 하나의 중계지점에서 여러 블록에 적재되었던 또는 적재되어야 할 상기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10)가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에 도착한 이후 어느 블록에 적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어 작업의 실시간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어 추가적인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적용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적용시 가능한 야드크레인의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멘(Rhamen) 타입의 야드크레인(31a)과 캔틸레버(Cantilever) 타입의 야드크레인(31b)을 병렬로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야드크레인(31a)의 내측에 상기 레일(110)이 배치되고,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타입의 야드크레인(31b) 또는 접이식 캔틸레버 타입의 야드크레인(31c)을 병렬로 설치할 경우에는 각 야드 크레인(31b)(31c) 사이에 상기 레일(11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일(110)을 병렬 설치되는 야드블록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야드블록에 설치된 야드크레인(31a)(31b)(31c)이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 상기 공동작업영역(R)이 모든 곳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야드블록 사이에만 설치되면 족하기 때문에 상기 캔틸레버 타입의 야드크레인(31b)은 싱글 캔틸레버(Single Cantilever)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처리의 속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을 해측의 선박 작업에 사입되는 에이프런 작업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해측중계지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의 운영은 안벽크레인(30)에 의해 선박(20)으로부터 하역된 상기 컨테이너(10)가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에 의해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으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트랜스퍼 에리어(Transfer Area)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50)이 설치되며, 상기 해측중계지점(41a)에서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이 상기 운반수단(120)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어느 영역이든 자유롭게 상기 컨테이너(10)를 병렬로 정차하면,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Overhead Crane)(50)이 상기 운반수단(120)으로 옮겨 싣는다. 수출화물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으로 스스로 상기 컨테이너(10)를 적치할 능력이 없는 Yard Tractor나 AGV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 터미널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야드크레인(31)이 상하차 해 줄 때까지 대기해야 하나, 상기 야드크레인(31)이 하나의 작업을 상기 야드블록(41)에서 완료한 후에야 처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 하락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50)이 상기 야드블록(41)에서 작업중인 상기 야드크레인(31)의 작업 부하를 고려하여, 적절한 상기 운반수단(120)에 상차하거나, 가용한 상기 운반수단(12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이 점유하지 않은 버퍼 지역에 하차하여 둠으로써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의 가동률을 제고하여 상기 안벽크레인(30)에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이 적절하게 공급되지 못함으로써 발생되는 생산성 하락을 방지함은 물론 보다 적은 수의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으로도 동일한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생산성 향상 목적으로 상기 에이프런 작업차량(121)으로 Straddle Carrier가 사용되는데 안전상의 목적으로 상기 Straddle Carrier가 작업하는 동안에는 상기 아드크레인(31)이 상기 트랜스퍼 에리어에 진입하지 못하고 대기하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야드크레인(31)의 작업과 상기 Straddle Carrier의 작업이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야드크레인(31) 및 상기 Straddle Carrier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테이너 20 : 선박
30 : 안벽크레인 31 : 야드크레인
31a : 라멘 타입의 야드크레인
31b : 캔틸레버 타입의 야드크레인
31c : 접이식 캔틸레버 타입의 야드크레인
40 : 에이프런 41 : 야드블록
41a : 해측중계지점 41b : 육측중계지점
42 : 외부차량중계지점 50 : 오버헤드 크레인
60 : 종래기술에 의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00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10 : 레일
120 : 운반수단 121 : 에이프런 작업차량
R : 공동작업영역

Claims (16)

  1. 삭제
  2. 선박이 접안하는 안벽에 대해 수직하게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야드블록에서 야드크레인들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야드블록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야드크레인들의 공동작업이 이루어지는 공동작업영역과;
    상기 공동작업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 상에 궤도운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레일은 상기 공동작업영역의 해측중계지점과 육측중계지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운반수단에 무선전원교환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운반수단의 운행 중에 상기 전원장치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측중계지점 또는 상기 육측중계지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운반수단과 다른 운반수단 사이에 상기 컨테이너를 교환하기 위한 크레인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다른 운반수단의 작업대기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의 임시저장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는 상기 공동작업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상기 운반수단을 상기 야드 크레인과 연동하여 동작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크레인들은 서로 높이가 다른 캔틸레버 타입의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크레인들은 라멘 타입의 크레인과 상기 라멘 타입의 크레인보다 높은 캔틸레버 타입의 크레인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드크레인들은 같은 높이를 가지되, 상기 공동작업영역에 위치하는 빔을 절첩시킬 수 있는 캔틸레버 타입의 크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1020110094548A 2011-09-20 2011-09-20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10129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48A KR101298895B1 (ko) 2011-09-20 2011-09-20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48A KR101298895B1 (ko) 2011-09-20 2011-09-20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42A KR20130030942A (ko) 2013-03-28
KR101298895B1 true KR101298895B1 (ko) 2013-08-21

Family

ID=4818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548A KR101298895B1 (ko) 2011-09-20 2011-09-20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8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3532A (zh) * 2014-01-13 2014-04-16 上海海事大学 多层框架式集装箱自动化码头堆场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KR20150131989A (ko) 2014-05-15 2015-11-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N108861639A (zh) * 2018-08-10 2018-11-23 三海洋重工有限公司 自动化码头装卸系统
CN111629983A (zh) * 2018-11-28 2020-09-04 一般社团法人港湾荷役机械系统协会 集装箱码头的运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66844B (zh) * 2018-05-16 2024-01-09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
CN113879858B (zh) * 2021-10-22 2023-07-25 武汉理工大学 立体轨道式自动化集装箱码头水平运输装置及其运输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422A (ko) * 2003-02-22 2005-08-30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422A (ko) * 2003-02-22 2005-08-30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3532A (zh) * 2014-01-13 2014-04-16 上海海事大学 多层框架式集装箱自动化码头堆场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CN103723532B (zh) * 2014-01-13 2015-11-18 上海海事大学 多层框架式集装箱自动化码头堆场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KR20150131989A (ko) 2014-05-15 2015-11-2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20160132352A (ko) 2014-05-15 2016-11-18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N108861639A (zh) * 2018-08-10 2018-11-23 三海洋重工有限公司 自动化码头装卸系统
CN111629983A (zh) * 2018-11-28 2020-09-04 一般社团法人港湾荷役机械系统协会 集装箱码头的运用方法
CN111629983B (zh) * 2018-11-28 2022-01-04 一般社团法人港湾荷役机械系统协会 集装箱码头的运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42A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895B1 (ko)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JP5676338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US9546054B1 (en) Automated marine container terminal and system
CN103010767B (zh) 一种新型集装箱装卸系统
CN102171132B (zh) 集装箱装卸系统和用于装卸集装箱的方法
JP5793323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CN105270875A (zh) 高架轨道交通式集装箱码头装卸系统
KR20130058001A (ko) 인터모달 콘테이너들의 운송, 보관 및 인도 시스템
CN103826993A (zh) 集装箱处理和输送系统及其使用以及处理集装箱的方法
Kim et al. New conceptual handling systems in container terminals
CN104108610A (zh) 集装箱码头用穿梭搬运车系统及其运送集装箱的方法
CN104326205A (zh) 一种具有360度转向功能的智能穿梭车
CN109132610B (zh) 一种单箱跨距堆场起重机自动化码头装卸系统及方法
CN110525988A (zh) 一种集装箱堆场输送系统及码头集装箱输送系统
CN106049200A (zh) 一种悬挂式单轨车辆道岔系统
CN106029547A (zh) 一种设有集装箱中间存放区的堆垛起重机
CN104555318A (zh) 采用超级电容供电车的循环运输系统
JP5698051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CN107311081A (zh) 一种适用于货运集装箱的物流取码车
JP6155217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CN112794110A (zh) 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立体连续装卸作业系统及方法
CN112794111A (zh) 一种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连续装卸系统及方法
CN108861639B (zh) 自动化码头装卸系统
CN207129684U (zh) 船岸输送系统
CN204237080U (zh) 一种具有360度转向功能的智能穿梭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