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52A -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52A
KR20160132352A KR1020160146038A KR20160146038A KR20160132352A KR 20160132352 A KR20160132352 A KR 20160132352A KR 1020160146038 A KR1020160146038 A KR 1020160146038A KR 20160146038 A KR20160146038 A KR 20160146038A KR 20160132352 A KR20160132352 A KR 20160132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tance
track
vehicle
y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247B1 (ko
Inventor
최상희
이언경
김갑환
허지행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수산개발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수산개발원
Publication of KR2016013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Container)를 효율적으로 선적, 하역, 보관하거나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반출입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터미널 시스템은, 안벽 측에 배치되며 컨테이너가 안벽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자동이송영역, 메인자동이송영역과 인접하여 컨테이너가 보관되는 야드영역, 야드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량이송영역, 메인자동이송영역, 야드영역 그리고 차량이송영역의 상부에 안벽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헤드 레일부, 그리고 오버헤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Container terminal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컨테이너(Container)를 효율적으로 선적, 하역, 보관하거나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은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역, 선적하거나 보관하며, 외부로 컨테이너를 반출입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은 컨테이너의 하역과 적재의 신속성, 각 영역 또는 장비 사이에서 컨테이너 이송과 연계의 용이성, 한정된 부지에서 컨테이너 보관의 효율성, 외부 컨테이너 반출입의 신속성이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존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여 컨테이너 차량을 이용하여 터미널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하고 터미널 내부로 이송된 컨테이너는 또 다른 크레인을 이용하여 야드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물류 흐름의 연계점에서 병목현상을 유발하여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컨테이너 취급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개선하는 기술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89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기술 역시 일부의 개선점은 있으나 여전히 상술한 문제점을 충분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8895호(2013. 08. 14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의 하역과 선적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인 야드영역에 컨테이너의 적재 효율을 증대시키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하는 차량의 이동량을 줄여 도로 공간을 줄이면서도 컨테이너의 선적과 하역의 효율을 높이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야드영역에 쉽게 장비를 투입하여 필요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벽 측에 배치되며 컨테이너가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자동이송영역,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과 인접하여 컨테이너가 보관되는 야드영역, 상기 야드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량이송영역,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 상기 야드영역 그리고 상기 차량이송영역의 상부에 상기 안벽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헤드 레일부, 그리고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는 상기 야드영역에 보관되는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에는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거리 궤도, 상기 단거리 궤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거리 궤도, 관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거리 궤도 또는 상기 장거리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거리 궤도 또는 장거리 궤도에는 상기 궤도차량의 이동 궤도를 전환하는 트레버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야드영역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야드영역 사이에는 차량이송영역과 서브자동이송영역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자동이송영역에는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 관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궤도에는 상기 궤도차량의 이동 궤도를 전환하는 트레버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는 동일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전용베이 레일부, 그리고 서로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혼용베이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베이 레일부는 1개의 오버헤드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오버헤드레일에는 같은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셔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용베이 레일부는 3개의 오버헤드레일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오버헤드레일에는 같거나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셔틀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궤도차량은 컨테이너가 올려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주행바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높이 조절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서브베이스, 상기 서브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주행바퀴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방향전환바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벽에 배치된 크레인과 야드영역 사이에 메인자동이송영역이 배치되고, 이 메인자동이송영역에는 궤도를 따라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궤도차량이 배치되어 컨테이너의 하역과 선적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궤도차량을 메인자동이송영역에 배치하여 화물차량이 이동하는 도로를 줄임으로써 제한된 공간인 야드영역을 더욱 넓게 배치하여 컨테이너의 적재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드영역과 야드영역 사이에 화물차량이 이용하는 도로와 서브자동이송영역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화물차량이 담당하던 물류를 궤도 차량이 수행하면서 화물차량의 이동량을 줄여 도로 공간을 줄이면서도 신속하게 컨테이너를 외부로 이송하여 컨테이너의 하역과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궤도 차량이 야드영역 간의 컨테이너 이송을 담당하므로 기존에 비해 화물 차량이 컨테이너 터미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줄여 컨테이너 터미널에 야드영역에 쉽게 별도의 필요한 장비를 투입하여 시설물 관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오버헤드 레일부가 야드영역에 배치된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셔틀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이송할 때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는 컨테이너의 회전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오버헤드 레일부의 셔틀을 이용하고, 컨테이너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바닥부의 메인자동이송영역, 서브자동이송영역 또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송수단 사이의 통행 교차와 혼잡이 없어 컨테이너의 신속한 선적, 하역, 반출입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오버헤드 레일부에 제공된 셔틀을 이용하여 야드 영역 내 컨테이너를 일괄, 대량으로 수직 이동시킬 수 있어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비해 선적과 하역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의 각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의 주요부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메인자동운송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서 전용베이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서 혼용베이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서 메인자동운송영역 내에서 플랫카의 방향을 전환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에서 하역(양하, Unloading)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박에 선적(적하, Loading)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이용하여 야드영역에 컨테이너를 반출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궤도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정면도의 주요부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궤도차량이 이동하는 변경용 궤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선박(V)이 접안되는 안벽 측에 설치되는 크레인(C)에 의해 선적되거나 하역되는 컨테이너 터미널(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C)이 설치된 안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메인자동이송영역(1), 야드영역(3), 차량이송영역(5), 서브자동이송영역(7)이 제공되고, 메인자동이송영역(1), 야드영역(3), 차량이송영역(5), 그리고 서브자동이송영역(7)의 상부에는 오버헤드 레일부(9), 그리고 셔틀(11)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자동이송영역(1), 야드영역(3), 차량이송영역(5), 그리고 서브자동이송영역(7)이 -y 방향(도 2와 도 3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야드영역(3), 차량이송영역(5), 그리고 서브자동이송영역(7)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여러 개가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오버헤드 레일부(9)는 이들 전체의 상부에 안벽을 향하는 방향(y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야드영역(3)에 보관되는 컨테이너(CT)는 길이 방향이 안벽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오버헤드 레일부(9)는 컨테이너(CT)의 길이 방향(x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y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버헤드 레일부(9)가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셔틀(11)이 컨테이너를 이송할 때 종래의 이송방법에서 적용하는 컨테이너 회전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셔틀의 구조도 매우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메인자동이송영역(1)은 안벽 측에 배치되어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러한 메인자동이송영역(1)에는 단거리 궤도(13), 장거리 궤도(15), 궤도차량(17, 도 3에 도시하고 있음), 그리고 트레버서(19, Traverser)가 배치된다.
단거리 궤도(13)는 철도 레일과 같은 철로가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단거리 궤도(13)는 다수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거리 궤도(13)에는 궤도차량(17)이 단거리 궤도(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궤도차량(17)은 컨테이너가 올려질 수 있는 플랫카(Flatcar)가 바람직하며, 별도로 설치되는 관제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한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단거리 궤도(13)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은 컨테이너를 비교적 단거리의 구간을 반복하여 이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단거리 궤도(13)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은 같은 단거리 궤도(13)에 여러대가 올려져 각각의 구간을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장거리 궤도(15)는 단거리 궤도(13)의 일측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거리 궤도(15)도 단거리 궤도(13)와 마찬가지로 철도 레일과 같은 철로가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거리 궤도(15)는 단거리 궤도(13)와 야드영역(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거리 궤도(15)에는 또 다른 궤도차량(17, 단거리 궤도(13)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함)이 배치된다. 장거리 궤도(15)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비교적 장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거리 궤도(13)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에도 컨테이너가 올려질 수 있으며 별도의 관제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으로 일정한 구간을 운행할 수 있다. 장거리 궤도(15) 역시 여러 개가 나란하게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장거리 궤도(15)의 일측에는 궤도차량(17)의 이동 궤도를 전환하는 트레버서(19)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버서(19)는 장거리 궤도(15)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을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장거리 궤도(15,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트레버서(19)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거리 궤도(15)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향전환 궤도(21)에 올려져 이동할 수 있다. 트레버서(19)의 상부에는 장거리 궤도(15)와 연결되는 이동궤도(2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장거리 궤도(15)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17)은 트레버서(19)에 제공된 이동궤도(23)에 올려져 인접하여 배치되는 또 다른 장거리 궤도(15)로 옮겨질 수 있다. 이러한 트레버서(19)도 관제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야드영역(3)은 메인자동이송영역(1)의 장거리 궤도(15)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야드영역(3)에는 컨테이너가 야적 상태로 보관되는 곳을 의미한다. 야드영역(3)에 보관되는 컨테이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이 안벽 또는 장거리 궤도(15)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야드영역(3)에 컨테이너(CT)가 배치될 때 안벽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y 축 또는 -y 축 방향)을 베이(25, 도 3에 표시하고 있음)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베이(25)에는 예를 들면 40ft(a) 전용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전용베이(27)와 40ft(a)와 20ft(b) 컨테이너를 혼용하여 적재하는 혼용베이(29)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야드영역(3)에 전용베이(27)와 혼용베이(29)를 반복하여 배치할 수 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용베이(27)들을 연속해서 배치하고 그 일측에 혼용베이(29)들을 배치할 수 도 있다.
차량이송영역(5)은 컨테이너를 싣고 이동할 수 있는 화물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를 의미하며, 야드영역(3)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량이송영역(5)은 야드영역(3)을 따라 안벽과 나란한 방향(도 3에서 x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운발 수 있는 화물차량은 주로 외부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거나 외부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컨테이너 터미널 내부로 들어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자동이송영역(7)은 차량이송영역(5)의 일측에 배치되어 야드영역(3)을 따라 안벽과 나란한 방향(도 3에서 x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자동이송영역(7)에는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31, 도 3 참조), 이 궤도(31)를 따라 이동하는 또 다른 궤도차량(17, 편의상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궤도(31)에는 궤도차량(17)을 인접한 궤도(31)로 이송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트레버서(19, 편의상 상술한 예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버서(19)도 관제장치(도시생략)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는 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브자동이송영역(7)에 설치되는 궤도(31), 궤도차량(17), 그리고 트레버서(19)는 상술한 메인자동이송영역(1)에서 설명한 예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메인자동이송영역(1)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오버헤드 레일부(9)는 안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메인자동이송영역(1), 야드영역(3), 차량이송영역(5), 그리고 서브자동이송영역(7)의 상부에 제공된다. 오버헤드 레일부(9)는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며 야드영역(3)에 보관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헤드 레일부(9)는 전용베이 레일부(33)와 혼용베이 레일부(35)를 포함한다. 전용베이 레일부(33)는 상술한 전용베이(27)의 상부를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동일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용베이 레일부(33)는 1개의 오버헤드레일(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용베이 레일부(33)의 오버헤드레일(37)에는 같은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셔틀(11)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용베이 레일부(33)에 제공된 셔틀(11)은 예를 들면 40ft의 컨테이너 전용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용베이 레일부(35)는 상술한 혼용베이(29)의 상부를 통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다. 혼용베이 레일부(35)는 3개의 오버헤드레일(37)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혼용베이 레일부(35)의 오버헤드레일(37)에는 같거나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또 다른 셔틀(11, 편의상 셔틀의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용베이 레일부(3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에 설치된 오버레드레일(37)에는 40ft 전용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는 셔틀(11)이 설치되고, 양사이드 부분에 설치된 또 다른 오버헤드레일(37a, 37b)에는 20ft 전용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는 셔틀(1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용베이 레일부(35)는 상술한 혼용베이(29)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혼용베이 레일부(35)에서는 야드영역(3)의 혼용베이(29)에 40ft용 컨테이너와 20ft 용 컨테이너를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야드영역(3)의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공간을 없애고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켜 컨테이너를 보관할 수 있는 수를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에 의해 컨테이너의 하역, 선적, 보관, 그리고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반출입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하역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크레인(C)이 선박에서 컨테이너를 인출한다. 그리고 크레인(C)은 선박에서 인출된 컨테이너를 궤도차량(17)에 올려 놓는다. 이때 컨테이너를 가까운 베이(25)로 이동시킬 경우에 크레인(C)은 단거리 궤도(13)에 있는 궤도차량(17)에 컨테이너를 올려놓는다. 그러면 관제장치에서 해당 궤도차량(17)를 제어하여 목적하는 베이(25)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오버헤드 레일부(9)에 설치된 셔틀(11)이 궤도차량(17)에 올려진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해당 베이(25)의 야드영역(3)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컨테이너를 비교적 먼거리에 배치된 베이(25)로 이동시킬 경우에 크레인(C)은 장거리 궤도(15)를 따라 이동하는 또 다른 궤도차량(17)에 컨테이너를 올려 놓는다. 마찬가지로 관제장치에 의해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궤도차량(17)은 해당하는 베이(25)로 이동된다. 그러면 해당 베이(25)에 있는 오버헤드 레일부(9)의 셔틀(11)에 의해 야드영역(3)에 보관된다.
장거리 궤도(15)에 여러 개의 궤도차량(17)이 배치되어 장거리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경우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궤도차량(17)은 트레버서(19)에 옮겨져 인접한 다른 장거리 궤도(15)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비어있는 궤도차량(17)이 트레버서(19)에 의해 이동되어 컨테이너를 싣고 있는 궤도차량(17)이 운행할 수 있도록 장거리 궤도(15)를 비워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이송할 컨테이너의 베이(25)에 설치된 오버헤드 레일부(9)의 셔틀(11)이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서브자동이송영역(7) 또는 메인자동이송영역(1)의 궤도차량(17)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관제장치가 컨테이너가 올려진 궤도차량(17)을 제어하여 소정의 목적지까지 궤도차량(17)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궤도차량(17)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다른 오버헤드 레일부(9)의 셔틀(11)이 컨테이너를 이송시켜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 위에 있는 궤도차량(17)에 올려 놓을 수 있다. 그러면 크레인(C)이 궤도차량(17)에 있는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선박에 선적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어장치에 의해 최적의 이동거리를 설정하여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운송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0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야드영역(3)에 있는 컨테이너를 화물차량을 통해 외부로 반출하거나 반대로 외부에 들어온 화물차량에 실려있는 컨테이너를 야드영역(3)에 옮기는 과정을 보여준다.
야드영역(3)에 있는 컨테이너를 반출할 필요가 있을 때, 화물차량은 차량이송영역(5)을 따라 해당 베이(25)에 와서 정차한다. 그러면 해당 베이(25)에 있는 오버헤드 레일부(9)의 셔틀(11)이 야드영역(3)에 보관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이송하여 화물차량에 싣는다. 그리고 화물 차량은 차량이송영역(5)을 따라 이동하여 외부로 컨테이너를 싣고 이동한다.
반대로 컨테이너를 싣고 들어온 화물차량은 해당 베이(25)까지 차량이송영역(5)을 따라 이동해서 정차하면, 해당 오버헤드 레일부(9)에 있는 셔틀(11)이 화물차량에 실려있는 컨테이너를 이송하여 야드영역(3)의 해당 베이(25)에 보관한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반출과 반입은 각 차량이송영역(5)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하역, 선적, 보관, 그리고 반출입 작업을 제어장치의 프로그래밍에 의해 최적화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궤도차량(39)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에서 궤도차량(39)이 방향을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선로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에서 상술한 설명과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하고 동일한 부분은 그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트레버서(19)를 생략하고, 궤도차량(39)이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의 주행은 물론 단거리 궤도(13)에서 장거리 궤도(15)로 또는 그 반대로 자체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궤도차량(39)은 베이스(41), 주행바퀴(43), 높이 조절부(45), 서브베이스(47), 그리고 방향전환바퀴(49)를 포함한다.
베이스(41)는 평평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면에 컨테이너(CT)가 배치될 수 있다. 주행바퀴(43)는 베이스(41)의 하부에 배치되며 메인구동원(51)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주행바퀴(43)는 베이스(41)가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를 주행하기 위한 바퀴이다. 이러한 주행바퀴(43)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구동원(51)은 베이스(41)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구동원(51)은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41) 또는 서브베이스(47)에 설치된 집전기(53, Pantograph)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5)는 베이스(41)에 설치되어 서브베이스(4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5)는 스크류 잭(Screw jack) 또는 유압액추에이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이 조절부(45)는 별도의 구동 및 제어 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즉, 높이 조절부(45)는 베이스(41)와 서브베이스(47)의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41)의 저면과 서브베이스(47)의 간격을 떨어뜨리는 등 서브베이스(47)를 베이스(41)에 대해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서브베이스(47)는 높이 조절부(45)에 결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41)의 저면에 대해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서브베이스(47)는 일종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전환바퀴(49)는 서브베이스(47)에 결합될 수 있다. 방향전환바퀴(49)는 주행바퀴(43)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전환바퀴(49)는 또 다른 구동원인 서브구동원(55)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서브구동원(55)도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집전기(53)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단거리 궤도(13)와 장거리 궤도(15)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용 궤도(57)에 방향전환바퀴(49)가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변경용 궤도(57)는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궤도차량(39)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궤도차량(39)이 단거리 궤도(13)를 주행하던 상태에서 장거리 궤도(15)로 변경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장거리 궤도(15)를 주행하던 상태에서 단거리 궤도(13)로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궤도차량(39)의 주행바퀴(43)를 구동하여 방향전환바퀴(49)가 변경용 궤도(57)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높이 조절부(45)를 작동시킨다. 높이 조절부(45)는 스크류 잭(Screw jack)인 경우 별도의 구동원을 통해 구동시키고, 유압엑추에이터인 경우 유압을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그러면 서브베이스(47)는 베이스(41)의 저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서브베이스(47)에 결합되어 있던 방향전환바퀴(49)가 주행바퀴(43)에 비해 지면 측을 기준으로 볼 때 더 돌출된 형태로 이동하여 변경용 궤도(57)에 방향전환바퀴(49)가 올려진다. 이때 주행바퀴(43)는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에서 들어올려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방향전환바퀴(49)가 변경용 궤도(5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면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서브구동원(55)이 구동되어 방향전환바퀴(49)가 구동된다.
계속해서 원하는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의 상부에 주행바퀴(43)가 배치되면, 제어장치(도시생략)는 높이 조절부(45)를 제어하여 서브베이스(47)를 원위치시킨다. 그러면 방향전환바퀴(49)는 지면을 기준으로 주행바퀴(43)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서 주행바퀴(43)가 단거리 궤도(13) 또는 장거리 궤도(15)의 위에 올려지면서 주행바퀴(43)로 주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궤도차량(39) 자체가 주행바퀴(43)를 이용하여 단거리궤도(13) 또는 장거리궤도(15)를 주행하다가 장거리궤도(15) 또는 단거리궤도(13)로 쉽게 바꿀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궤도차량(39)이 단거리 궤도(13)와 장거리 궤도(15)를 변경하여 컨테이너를 원하는 위치에 최단거리로 이동시켜 셔틀과의 연계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물류 처리속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단거리 궤도(13)와 장거리 궤도(15)를 자체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메인자동이송영역, 3. 야드영역,
5. 차량이송영역, 7. 서브자동이송영역,
9. 오버헤드 레일부, 11. 셔틀,
13. 단거리 궤도, 15. 장거리 궤도,
17, 39. 궤도차량, 19. 트레버서,
21. 방향전환 궤도, 23. 이동궤도,
25. 베이, 27. 전용베이,
29. 혼용베이, 31. 궤도,
33. 전용베이 레일부, 35. 혼용베이 레일부,
37, 37a, 37b. 오버헤드레일,
41. 베이스, 43. 주행바퀴,
45. 높이 조절부, 47. 서브베이스,
49. 방향전환바퀴, 51. 메인구동원,
53. 집전기, 55. 서브구동원,
57. 변경용 궤도

Claims (9)

  1. 안벽 측에 배치되며 컨테이너가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메인자동이송영역,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과 인접하여 컨테이너가 보관되는 야드영역,
    상기 야드영역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차량이송영역,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 상기 야드영역 그리고 상기 차량이송영역의 상부에 상기 안벽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버헤드 레일부, 그리고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컨테이너를 이송시키는 셔틀을 포함하며,
    상기 야드영역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야드영역 사이에는 차량이송영역과 서브자동이송영역이 배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는
    상기 야드영역에 보관되는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자동이송영역에는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거리 궤도,
    상기 단거리 궤도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거리 궤도,
    관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거리 궤도 또는 상기 장거리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이 제공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거리 궤도 또는 장거리 궤도에는
    상기 궤도차량의 이동 궤도를 전환하는 트레버서가 설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브자동이송영역에는
    상기 안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
    관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궤도차량이 제공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궤도에는
    상기 궤도차량의 이동 궤도를 전환하는 트레버서가 설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레일부는
    동일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전용베이 레일부, 그리고
    서로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혼용베이 레일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용베이 레일부는
    1개의 오버헤드레일이 배치되며, 상기 오버헤드레일에는 같은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셔틀이 설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혼용베이 레일부는
    3개의 오버헤드레일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오버헤드레일에는 같거나 다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셔틀이 각각 설치되는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1020160146038A 2014-05-15 2016-11-03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101776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214 2014-05-15
KR20140058214 2014-05-15
KR20140078440 2014-06-25
KR1020140078440 2014-06-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10A Division KR101709743B1 (ko) 2014-05-15 2015-05-12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52A true KR20160132352A (ko) 2016-11-18
KR101776247B1 KR101776247B1 (ko) 2017-09-11

Family

ID=548456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10A KR101709743B1 (ko) 2014-05-15 2015-05-12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KR1020160146038A KR101776247B1 (ko) 2014-05-15 2016-11-03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010A KR101709743B1 (ko) 2014-05-15 2015-05-12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709743B1 (ko)
CN (1) CN1062325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17190B (zh) * 2015-12-25 2017-10-27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集装箱装卸方法和集装箱集疏方法
CN108100549A (zh) * 2017-12-11 2018-06-01 机科(山东)重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化集装箱堆场系统
CN108792485A (zh) * 2018-07-31 2018-11-13 王燏斌 一种铁路集装箱货场及其输送装置
CN109019056B (zh) * 2018-08-28 2020-03-10 盐田国际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集装箱堆场双层高架轨道垂直运输设备调度方法
CN110040527B (zh) * 2019-05-21 2024-04-02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自动化集装箱码头的装卸系统及其装卸方法
CN110436222B (zh) * 2019-07-31 2021-06-01 中铁武汉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集装箱铁水联运车船直取模式作业方法
CN111932203B (zh) * 2020-08-03 2021-06-22 上海海勃物流软件有限公司 箱区集装箱翻箱自动选位分配方法、终端以及介质
CN113112862B (zh) * 2021-04-16 2022-06-17 重庆航易大数据研究院有限公司 一种商品车库场的车辆管理方法及系统
KR102347820B1 (ko) 2021-07-28 2022-01-06 주식회사 제이디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가설 구조물 기반의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KR102528987B1 (ko) 2021-07-28 2023-05-04 주식회사 제이디엔지니어링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CN113895993B (zh) * 2021-09-25 2023-05-23 张家港华达码头有限公司 一种码头集疏运系统
CN114180352A (zh) * 2021-11-04 2022-03-15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化码头集装箱装卸系统及装卸方法
CN114249136B (zh) * 2021-12-23 2022-11-01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多空间综合利用自动化集装箱码头及装卸方法
KR102623236B1 (ko) 2023-06-20 2024-01-10 주식회사 글로벌엔씨 컨테이너 터미널 게이트 자동화 컨테이너 데미지 검출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895B1 (ko) 2011-09-20 2013-08-21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60Y2 (ja) * 1987-05-29 1994-06-0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タ−ミナル装置
DE10307579A1 (de) * 2003-02-22 2004-09-09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Umschlaganlage in einem See- oder Binnenhafen
JP6020323B2 (ja) 2012-04-12 2016-11-0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送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895B1 (ko) 2011-09-20 2013-08-21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247B1 (ko) 2017-09-11
CN106232510A (zh) 2016-12-14
KR101709743B1 (ko) 2017-02-23
KR20150131989A (ko)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47B1 (ko)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CN113320994B (zh) 一种自动集装箱存储、处理和转移系统
KR101573931B1 (ko) 컨테이너 터미널용 적재/하적 시스템
WO2015174181A1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2013136458A (ja) 補助装置に配置された貨物を運送する為のシステム
CN102971241A (zh) 用于联运集装箱的转移、储存和分配的系统
CN104326205B (zh) 一种具有360度转向功能的智能穿梭车
JP5629267B2 (ja) 標準貨物保持器、特にisoコンテナおよびスワップボディを鉄道と道路との間で移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2133280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CN110104396A (zh) 一种基于过渡式升降辊道的高铁物流站台装卸系统
CN106029547A (zh) 一种设有集装箱中间存放区的堆垛起重机
JP6138720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WO2014193242A1 (en) Container terminal
JP6155217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CN111315644B (zh) 面存储器以及用于运送车辆车身或车辆车身容纳件的方法
JP2020007079A (ja) 自走搬送装置
JP6271323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2014118292A (ja) コンテナ受け渡し方法、およ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6234867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JP2013212884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5890226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6380839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運用方法
WO2015174722A1 (ko) 컨테이너 터미널 시스템
JP2799330B2 (ja) コイル移送装置
JP5890225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運搬台車の移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