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4217A -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4217A
KR20200064217A KR1020180149274A KR20180149274A KR20200064217A KR 20200064217 A KR20200064217 A KR 20200064217A KR 1020180149274 A KR1020180149274 A KR 1020180149274A KR 20180149274 A KR20180149274 A KR 20180149274A KR 20200064217 A KR20200064217 A KR 2020006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alignment mark
display panel
lay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885B1 (ko
Inventor
김영관
이보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85B1/ko
Priority to US16/679,457 priority patent/US11004912B2/en
Priority to CN201911175889.6A priority patent/CN111244135A/zh
Publication of KR2020006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217A/ko
Priority to US17/314,387 priority patent/US11711962B2/en
Priority to US18/323,513 priority patent/US20230301161A1/en
Priority to KR1020240006046A priority patent/KR2024001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1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창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여 차광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 조립 공정에 사용되는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는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LCD)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가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Back Light)를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박막에 음극(Cathode)과 양극(Anode)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다.
최근 플렉서블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표시 장치로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시인성이 향상된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1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창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여 차광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의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2 얼라인 마크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패드들과 연결된 회로 실장 필름 및 상기 회로 실장 필름과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배치된 영역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실장 필름,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 각각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정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은 중앙에 정의된 접힘 축을 따라서 접힐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층, 제2 층, 제3 층 및 제4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전극은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2 층은 상기 소스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1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4 층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투명 플라스틱층, 유색 플라스틱층 및 제2 투명 플라스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1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편광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 부재가 부착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윈도우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투과 광 또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편광 부재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윈도우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보호 필름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들이 배열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영역에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 상에 회로 실장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금속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실장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투과 광 또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회로 실장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을 상기 금속 플레이트 측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벤딩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금속층들로부터 제조된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의 얼라인 마크에 의해 선명한 얼라인 마크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모듈 조립 공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벤딩 패드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의a - a'선을 따라 절단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b의b - b'을 따라 절단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 및 벤딩 패드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A1)은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중앙 영역에 정의된 접힘 축(FA)을 포함하고, 상기 접힘 축(FA)을 따라서 상기 표시 영역(DA)은 접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접힘 축(FA)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표시부(DP1)와 제2 표시부(DP2)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신호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P)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에 제공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영역(PA)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은 모듈 조립 공정에서 필름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부재들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간의 결합 얼라인 및 결합 정밀도 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은 얼라인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주변 영역(PA)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주변 영역(PA) 중 일 측으로 연장되고, 배선 영역(LA) 및 패드 영역(PAD)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 영역(LA)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열된 신호 라인들로부터 연장된 팬아웃 라인들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영역(PDA)은 상기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역(A2)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PDA)에 정확하게 결합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사용되고, 또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A2)은 모듈 조립 공정 중 벤딩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영역(A1)의 배면으로 벤딩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벤딩 얼라인 및 벤딩 정밀도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얼라인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A2)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상기 제2 영역(A2)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 및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은 상기 표시 영역(DA), 주변 영역(PA)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하는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을 포함한다.
상기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투명 플라스틱층(101), 유색 플라스틱층(102) 및 제2 투명 플라스틱층(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 플라스틱층(102)은 투명하지 않은 충전재(fi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S)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터치 센서 전극(TSE), 제1 얼라인 마크(AM1) 및 제2 얼라인 마크(A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전극(TSE)은 제1 터치 전극(XE) 및 제2 터치 전극(Y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은 버퍼막(111), 게이트 절연막(113), 제1 층간 절연막(116), 제1 평탄화막(121), 화소 정의막(122), 봉지 부재(150), 제2 평탄화막(160), 제2 층간 절연막(170) 및 보호막(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액티브 패턴(AC),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GE)은 제1 금속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SE, DE)은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1 화소 전극(PE1), 발광층(EL) 및 제2 화소 전극(PE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은 상기 제1 평탄화막(121)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상기 드레인 전극(DE)과 연결된다. 상기 발광층(EL)은 상기 화소 정의막(12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화소 전극(PE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화소 전극(PE2)은 상기 발광층(EL)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화소 전극(PE1)과 중첩된다.
상기 봉지 부재(15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고, 주변 영역(PA) 및 상기 제2 영역(A2)을 커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봉지 부재(150)는 제2 영역(A2) 내의 패드 영역(PDA)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XE)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DA)은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의 제1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XE)은 제3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전극(YE)은 상기 터치 센서의 제2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전극(YE)은 제4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는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제1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제1 층(MG1), 상기 소스 전극(SE)과 동일한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2 층(MS1), 상기 제1 터치 전극(XE)과 동일한 제3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3 층(MX1)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XY)과 동일한 제4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4 층(MY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금속층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는 상기 제2 영역(A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는 상기 게이트 전극(GE)과 동일한 제1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제1 층(MG2), 상기 소스 전극(SE)과 동일한 제2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2 층(MS2), 상기 제1 터치 전극(XE)과 동일한 제3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3 층(MX2) 및 상기 제2 터치 전극(XY)과 동일한 제4 금속층으로 형성된 제4 층(MY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금속층들 중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으로부터 형성된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투명 플라스틱층(101), 유색 플라스틱층(102) 및 제2 투명 플라스틱층(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버퍼막(111)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막(111)은 예를 들면, 버퍼막(515)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 기상 증착, 스퍼터링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111)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제1 및 제2 층들(MG1, MS1), 제2 얼라인 마크(AM2)의 제1 및 제2 층들(MG2, MS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액티브 패턴(AC),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막(111)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 산화물 반도체 등을 포함하는 막을 버퍼막(111)의 전면에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정질 실리콘막을 버퍼막(111)의 전면에 형성하고, 이를 결정화하여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액티브 패턴(AC)을 형성한다. 상기 액티브 패턴(AC)의 양 측부들에 불순물을 도핑하여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그들 사이에 채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AC)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절연막(113)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이트 절연막(113)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 제1 금속층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AC),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제1 층(MG1), 및 제2 얼라인 마크(AM2)의 제1 층(MG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530)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1 층간 절연막(116)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16)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16)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113)에 상기 반도체층(520)을 노출하는 복수의 콘택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콘택홀들은 각각 액티브 패턴(AC)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16)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2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소스 영역과 연결된 소스 전극(540), 상기 드레인 영역과 연결된 드레인 전극(550),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제2 층(MS1), 및 제2 얼라인 마크(AM2)의 제2 층(MS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SE, DE)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1 평탄화막(12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평탄화막(121)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화막(121)은 상기 표시 영역(D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평탄화막(121)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1 화소 전극(PE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과 상기 제1 평탄화막(121)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화소 정의막(122)을 형성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22)은 상기 표시 영역(D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22)은 예를 들면, 상기 화소 정의막(590)은 폴리이미드(polyimide)계 수지,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아크릴(acryl)계 수지,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수지, 실록산(siloxane)계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22)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화소 전극(PE1)의 일부 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 내의 상기 제1 화소 전극(PE1) 상에 발광층(EL)을 형성한다. 상기 발광층(EL)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EL)이 형성된 상기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2 화소 전극(PE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화소 전극(PE2)은 상기 표시 영역(DA)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봉지 부재(150)를 형성한다. 상기 봉지 부재(150)는 무기막 및 유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150)는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150)는 상기 주변 영역(PA) 및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봉지 부재(150)는 상기 주변 영역(PA) 및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봉지 부재(150)가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2 평탄화막(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평탄화막(160)은 상기 표시 영역(DA), 상기 주변 영역(PA) 및 상기 제2 영역(A2)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평탄화막(160)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3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제1 터치 전극(XE),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제3 층(MX1), 및 제2 얼라인 마크(AM2)의 제3 층(MX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 전극(XE)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2 층간 절연막(17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70)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제4 금속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4 금속층을 패터닝하여 제2 터치 전극(YE),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제4 층(MY1), 및 제2 얼라인 마크(AM2)의 제4 층(MY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 전극(YE)이 형성된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보호막(180)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막(180)은 상기 유색 플렉서블 기판(110)의 상기 표시 영역(DA), 상기 주변 영역(PA) 및 상기 제2 영역(A2)에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제조 공정에 의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이 완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은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 및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a - a'선을 따라 절단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b의 b - b'를 따라 절단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1000)는 플랙서블 표시 패널(100), 편광 부재(200), 회로 실장 필름(310), 연성 회로 기판(330), 윈도우 부재(400), 보호 필름(500) 및 금속 플레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표시 패널(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전 실시예에 따른 플랙서블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랙서블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A1)은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중앙 영역에 정의된 접는 영역(FA)을 포함하고, 상기 접는 영역(FA)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1 표시부(DP1)와 제2 표시부(DP2)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복수의 신호 라인들 및 복수의 화소들(P)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상기 표시 영역(DA)에 배열된 상기 복수의 신호 라인들에 제공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회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변 영역(PA)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은 모듈 조립 공정에서 필름 부재 등과 같은 다양한 결합 부재들과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간의 결합 얼라인 및 결합 정밀도 검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은 얼라인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주변 영역(PA)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주변 영역(PA) 중 일 측으로 연장되고 패드 영역(PAD)을 포함한다. 상기 패드 영역(PDA)은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역(A2)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PDA)에 정확하게 결합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사용되고, 또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기준 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A2)은 모듈 조립 공정 중 벤딩 공정에 의해 상기 제1 영역(A1)의 배면으로 벤딩된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벤딩 얼라인 및 벤딩 정밀도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얼라인을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A2) 내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상기 제2 영역(A2)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얼라인 마크들(AM1) 및 상기 복수의 제2 얼라인 마크들(AM2)은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 부재(2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발광하는 면으로 정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부재(200)는 점착 필름 부재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이 제1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2 영역(A2)에 형성된 복수의 패드들 상에 실장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330)과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330)은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의 제2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외부 그래픽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400)는 상기 편광 부재(200)가 배치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 부재(400)는 필름 재질이고, 점착 필름 부재를 통해 상기 편광 부재(200) 상에 부착될 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4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부(410)와 상기 광을 투과하는 투과 창(430)을 포함한다. 상기 차광부(4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주변 영역(PA)에 대응하고, 상기 투과 창(43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A)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 필름(50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정면에 반대되는 배면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500)은 쿠션 재질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500)은 점착 필름 부재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면에 배치된 상기 보호 필름(5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프레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는 점착 필름 부재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5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b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는 상기 보호 필름(500)에 부착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2 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2 영역(A2)이 벤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연결된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330)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도 6a의 II-II'을 따라 절단한 제1 조립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 조립 공정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얼라인 마크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얼라인 마크가 배치된 영역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830) 및 상기 조명(83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얼라인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립 공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제1 얼라인 마크(AM1)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 상에 상기 편광 부재(200)를 정렬하여 부착한다.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830)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을 투과한 상기 조명(830)의 광을 이용하여 제1 얼라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플렉서블 기판은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830)이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색 플라스틱층 내에 포함된 충전재에 의해 광이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810)에 입사되는 광이 감소하여 상기 얼라인 영상의 선명도가 저하될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의 선명도는 증가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조명(830)은 상기 카메라(810)와 같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서 반사된 광을 이용하여 제1 얼라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제1 얼라인 영상은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 카메라(810)에 표시된 상기 제1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인접한 상기 편광 부재(200)의 제1 기준점(RP1)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상기 편광 부재(200)를 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편광 부재(200)의 제1 기준점(RP1)은 상기 편광 부재(200)의 에지 영역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편광 부재(200)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면 상에 부착된 후,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 및 상기 연성 회로 필름(330)을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배치된 제2 얼라인 마크(AM2)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을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에 정렬하여 부착한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조명(830)의 위치에 따라서 투과 광 또는 반사 광을 이용하여 얼라인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투과 광 및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얼라인 영상 중 제2 얼라인 마크(AM2)는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조립자는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와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을 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이어, 조립자는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의 조립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를 이용하여 상기 회로 실장 필름(310) 상에 연성 회로 기판(330)을 정렬하여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도 6a의II-II'을 따라 절단한 제2 조립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조립 공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제1 얼라인 마크(AM1)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 부재(200) 상에 윈도우 부재(400)를 정렬하여 부착한다. 상기 편광 부재(200)와 상기 윈도우 부재(400) 사이에는 점착 필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10) 및 상기 조명(830)은 상기 윈도우 부재(400)의 차광부(410)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얼라인 마크(AM1)에서 반사된 반사 광을 이용하여 제2 얼라인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제2 얼라인 영상은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 카메라(810)에 표시된 상기 제2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인접한 상기 윈도우 부재(400)의 제2 기준점(RP2)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상기 윈도우 부재(400)를 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400)의 제2 기준점(RP2)은 상기 편광 부재(200)의 에지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a의II-II'을 따라 절단한 제3 조립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조립 공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제1 얼라인 마크(AM1)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500)을 정렬하여 부착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면과 상기 보호 필름(500) 사이에는 점착 필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10) 및 상기 조명(830)은 상기 윈도우 부재(400)의 차광부(410)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얼라인 마크(AM1)에서 반사된 반사 광을 이용하여 제3 얼라인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제2 얼라인 영상은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 카메라(810)에 표시된 상기 제3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AM1)와 인접한 상기 보호 필름(500)의 제3 기준점(RP3)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상기 보호 필름(500)을 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500)의 제3 기준점(RP3)은 상기 보호 필름(500)의 에지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도 6a의III-III'을 따라 절단한 제4 조립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조립 공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배치된 제2 얼라인 마크(AM2)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필름(500) 상에 금속 플레이트(600)를 정렬하여 부착한다. 상기 보호 필름(500)과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 사이에는 점착 필름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10) 및 상기 조명(830)은 상기 윈도우 부재(400)의 차광부(410)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얼라인 마크(AM2)에서 반사된 반사 광을 이용하여 제4 얼라인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가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A1), 즉, 상기 표시 영역(DA) 및 상기 주변 영역(PA)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제2 영역(A2)에 배치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를 이용하여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제4 얼라인 영상은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 카메라(810)에 표시된 상기 제4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와 인접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4 기준점(RP4)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에 대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를 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4 기준점(RP4)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에지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도 6b의 IV-IV'을 따라 절단한 제5 조립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5 조립 공정에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은 벤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는 상기 보호 필름(500)에 부착되는 제1 면과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2 면 상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2 영역(A2)이 벤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10) 및 상기 조명(830)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8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얼라인 마크(AM2)에서 반사된 반사 광을 이용하여 제5 얼라인 영상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가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반사 광에 의해 생성된 제5 얼라인 영상은 선명도가 증가될 수 있다.
조립자는 상기 카메라(810)에 표시된 상기 제5 얼라인 영상을 통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AM2)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벤딩 기준점(RP5)을 정렬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정 위치에서 벤딩할 수 있다. 상기 벤딩 기준점(RP)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600)의 제2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A2)을 정확한 위치에서 벤딩함으로써 상기 제2 영역(A2)에서 벤딩되는 팬아웃 라인들에 크랙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조립 공정들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복수의 금속층들로부터 제조된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 공정에서, 복수의 금속층들이 적층된 구조의 얼라인 마크에 의해 선명한 얼라인 마크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모듈 조립 공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 PDA, PMP,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PC, 서버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노트북, 디지털 TV, 셋-탑 박스, 음악 재생기, 휴대용 게임 콘솔, 네비게이션 시스템, 스마트 카드, 프린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상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 플렉서블 표시 패널 200 : 편광 부재
310 : 회로 실장 필름 330 : 연성 회로 필름
400 : 윈도우 부재 500 : 보호 필름
600 : 금속 플레이트 AM1, AM2 : 얼라인 마크
810 : 카메라 830 : 조명

Claims (20)

  1.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1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과 창 및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여 차광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 영역의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들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2 얼라인 마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패드들과 연결된 회로 실장 필름 및
    상기 회로 실장 필름과 연결된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금속 플레이트가 배치된 영역으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 필름, 상기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 상기 윈도우 부재 및 상기 보호 필름 각각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과 정렬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 영역은 중앙에 정의된 접힘 축을 따라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층, 제2 층, 제3 층 및 제4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전극은 제1 터치 전극 및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2 층은 상기 소스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1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들의 상기 제4 층은 상기 제2 터치 전극과 동일한 층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투명 플라스틱층, 유색 플라스틱층 및 제2 투명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유색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전극,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1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에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편광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 부재가 부착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1 면 상에 윈도우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2 면 상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모듈 조립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투과 광 또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편광 부재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보호 필름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배열된 복수의 신호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팬아웃 라인들과 연결된 복수의 패드들이 배열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적어도 2 이상의 금속층이 적층된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 상에 회로 실장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필름 상에 금속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투과 광 또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회로 실장 필름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는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금속 플레이트의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의 제2 영역을 상기 금속 플레이트 측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사 광으로 생성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얼라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와 벤딩 기준점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80149274A 2018-11-28 2018-11-28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62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274A KR102626885B1 (ko) 2018-11-28 2018-11-28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16/679,457 US11004912B2 (en) 2018-11-28 2019-11-11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lignment mar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201911175889.6A CN111244135A (zh) 2018-11-28 2019-11-26 具有对准标记的柔性显示设备及其组装方法
US17/314,387 US11711962B2 (en) 2018-11-28 2021-05-07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lignment mar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8/323,513 US20230301161A1 (en) 2018-11-28 2023-05-25 Flexi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lignment mar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0240006046A KR20240014084A (ko) 2018-11-28 2024-01-1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274A KR102626885B1 (ko) 2018-11-28 2018-11-28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046A Division KR20240014084A (ko) 2018-11-28 2024-01-1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217A true KR20200064217A (ko) 2020-06-08
KR102626885B1 KR102626885B1 (ko) 2024-01-19

Family

ID=70770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274A KR102626885B1 (ko) 2018-11-28 2018-11-28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240006046A KR20240014084A (ko) 2018-11-28 2024-01-1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6046A KR20240014084A (ko) 2018-11-28 2024-01-15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004912B2 (ko)
KR (2) KR102626885B1 (ko)
CN (1) CN1112441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249A (zh) * 2017-08-31 2019-03-0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9742050B (zh) * 2019-01-03 2022-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对位方法、设备
KR20210087602A (ko) * 2020-01-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정렬 검사 방법
KR20210120168A (ko) * 2020-03-25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 마스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56373A (ko) * 2020-06-17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N111694464B (zh) * 2020-06-19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522171B (zh) * 2020-07-02 2020-10-09 友达光电(昆山)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947994B (zh) * 2020-07-15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864418B2 (en) 2020-09-17 2024-01-0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13257121B (zh) * 2021-03-29 2023-04-07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和拼接显示装置
CN113437048B (zh) * 2021-06-28 2023-04-0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010076A (ko) * 2021-07-08 202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20230065438A (ko) * 2021-11-04 2023-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399950B (zh) * 2022-01-19 2023-1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组件及显示装置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667A (ja) * 2008-02-13 2009-08-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13392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182853A (ja) * 2012-03-05 2013-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薄膜素子用基板、薄膜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電子ペーパー
KR20140065284A (ko) * 2012-11-21 2014-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4713A (ko) * 2013-07-30 2015-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9048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104262A (ko) * 2014-03-04 2015-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136662A (ko) * 2014-05-27 2015-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62368A (ko) * 2014-11-25 2016-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3749A (ko) * 2015-01-29 2016-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54020B1 (ko) * 2015-11-12 2016-09-05 일신전자 주식회사 미세 정렬을 위한 다층 연성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180014385A (ko) * 2016-07-29 2018-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1483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80120311A (ko) * 2017-04-26 2018-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8991B2 (ja) * 2001-08-01 2012-07-04 株式会社共和 封緘用粘着テープまたはラベル
KR20070062079A (ko) 2005-12-12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 정렬 마크를 갖는 인쇄회로기판과 그 제조 방법
KR20070069462A (ko) 2005-12-28 2007-07-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얼라인 마크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
CN106105388B (zh) * 2014-03-06 2018-07-3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装置
KR20170113748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89214B1 (ko) * 2016-06-03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7015B1 (ko) * 2016-06-08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2667A (ja) * 2008-02-13 2009-08-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13392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182853A (ja) * 2012-03-05 2013-09-12 Dainippon Printing Co Ltd 薄膜素子用基板、薄膜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電子ペーパー
KR20140065284A (ko) * 2012-11-21 2014-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14713A (ko) * 2013-07-30 2015-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9048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50104262A (ko) * 2014-03-04 2015-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50136662A (ko) * 2014-05-27 2015-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62368A (ko) * 2014-11-25 2016-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93749A (ko) * 2015-01-29 2016-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654020B1 (ko) * 2015-11-12 2016-09-05 일신전자 주식회사 미세 정렬을 위한 다층 연성회로기판의 제조방법
KR20180014385A (ko) * 2016-07-29 2018-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61483A (ko) * 2016-11-28 2018-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80120311A (ko) * 2017-04-26 2018-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1161A1 (en) 2023-09-21
KR20240014084A (ko) 2024-01-31
US20210265433A1 (en) 2021-08-26
KR102626885B1 (ko) 2024-01-19
US11711962B2 (en) 2023-07-25
US20200168675A1 (en) 2020-05-28
CN111244135A (zh) 2020-06-05
US11004912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6885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617925B1 (ko) 표시 장치
KR101908501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7998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9047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ation film
KR101952132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58457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181762B2 (en) Display device
WO2021139626A1 (zh) 显示基板、拼接显示面板及显示装置
GB2571169A (en) Display apparatus
KR10199290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7591651B2 (en) Substrate with helically curved terminals superimposed and connected to identical terminals on a second substrate
US20190157231A1 (en) Drive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6210809A (ja) 配線基板および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93717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528831B2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57414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230345801A1 (en) Display device
KR10244836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76029A (ko) 표시 장치
KR20240070048A (ko) 발광 표시 장치
KR20240030615A (ko) 표시 장치
KR2022014259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18739A (ko) 표시 장치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7915703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