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61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615A
KR20240030615A KR1020220109898A KR20220109898A KR20240030615A KR 20240030615 A KR20240030615 A KR 20240030615A KR 1020220109898 A KR1020220109898 A KR 1020220109898A KR 20220109898 A KR20220109898 A KR 20220109898A KR 20240030615 A KR20240030615 A KR 2024003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device
lens
ligh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만
최윤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0615A/ko
Priority to US18/453,915 priority patent/US20240069682A1/en
Priority to DE102023122373.9A priority patent/DE102023122373A1/de
Priority to JP2023139516A priority patent/JP2024035182A/ja
Priority to CN202311104753.2A priority patent/CN117641972A/zh
Priority to GB2313139.4A priority patent/GB2623421A/en
Publication of KR2024003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H01L33/46Reflective coating, e.g. dielectric Bragg 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4Tou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배리어 층 및 복수의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영상을 표시하는 것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고, 터치 센싱층이 내재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에도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시 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앞 유리에 표시 장치의 영상이 반사되어 주행 중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시야각을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할 수 있는 별도의 광 제어 필름(light control film)이 표시 장치의 패널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휘도가 저하되고 터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패널의 표면에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시야각을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시야각이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될 수 있고, 집광 효율의 향상을 통해서 정면 휘도가 향상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목적은 터치 감도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시야각이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배리어 층 및 복수의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광 제어층을 유기 발광소자들을 덮는 봉지층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상하 시야각 및/또는 좌우 시야각이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될 수 있고 집광 효율의 향상을 통해서 정면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정면 휘도 향상을 통해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예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층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7, 도 11 및 도 14는 도 4의 선 I-I'및 II-II'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7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도 11, 도 14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의 시야각에 따른 광의 정규화된 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1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의 시야각에 따른 광의 정규화된 강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14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의 시야각에 따른 광의 정규화된 강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가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내에 서술된 각 구성의 면적, 길이, 또는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내부의 예이다.
표시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 보드(dash board)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의 대시 보드는 차량의 앞좌석(예: 운전석, 조수석)의 전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대시 보드는 차량 내부의 다양한 기능(예: 에어컨, 오디오 시스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배치되어 차량의 상기 다양한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조작하는 입력부로서의 동작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 정보(예: 차량의 현재 속도, 잔여 연료량, 주행 거리), 차량의 부품에 대한 정보(예: 차량 타이어의 손상도)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는 차량의 앞좌석에 배치된 운전석과 조수석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는 차량의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와 동승자는 모두 표시 장치(100)를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는 일부만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는 표시 장치(100)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 중 표시 패널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부분 이외의 구성은 차량의 내부(또는 적어도 일부)에 실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110), 스캔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타이밍 콘트롤러(160), 호스트 시스템(170), 터치 구동부(180) 및 터치 좌표 산출부(19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로 구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을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제2 기판(112), 제1 및 제2 기판들(111, 112) 사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봉지층 및 터치 센싱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기판(112)은 플라스틱 필름, 유리 기판, 또는 봉지 필름일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복수의 화소(P)들이 구비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10)에는 데이터 라인들(D1~Dm, m은 2 이상의 양의 정수)과 스캔 라인들(S1~Sn, 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들(D1~Dm)은 스캔 라인들(S1~Sn)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캔 라인은 게이트 라인일 수 있다. 화소(P)들은 스캔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화소(P)들 각각은 데이터 라인들(D1~Dm) 중 어느 하나와 스캔 라인들(S1~Sn)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의 화소(P)들 각각은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드레인-소스간 전류를 조정하는 구동 트랜지스터, 스캔 라인의 스캔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데이터 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하는 스캔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소(P)들 각각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60)로부터 스캔 제어신호(GCS)를 입력받는다. 스캔 구동부(120)는 스캔 제어신호(GCS)에 따라 스캔 신호들을 스캔 라인들(S1~Sn)에 공급한다.
스캔 구동부(120)는 표시 패널(110)의 표시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영역에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부(120)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연성필름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 바깥쪽의 비표시영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콘트롤러(16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입력받는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스캔 구동부(120)의 스캔 신호들에 의해 데이터 전압들이 공급될 화소들이 선택되며, 선택된 화소들에 데이터 전압들이 공급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도 2과 같이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13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131)들 각각은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연성필름(140)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10)의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복수의 소스 드라이브 IC(131)들은 패드들에 연결될 수 있다.
회로보드(150)는 연성필름(140)들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보드(150)는 구동 칩들로 구현된 다수의 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보드(150)에는 타이밍 제어부(160)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보드(150)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60)는 호스트 시스템(170)으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타이밍 신호들은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도트 클럭(dot c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동기신호는 1 프레임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수평동기신호는 표시 패널(DIS)의 1 수평 라인의 화소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1 수평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는 유효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기간을 정의하는 신호이다. 도트 클럭은 소정의 짧은 주기로 반복되는 신호이다.
타이밍 콘트롤러(160)는 스캔 구동부(120)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와 스캔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제어신호(GCS)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60)는 스캔 구동부(120)에 스캔 제어신호(GCS)를 출력하고, 데이터 구동부(130)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출력한다.
호스트 시스템(170)은 네비게이션 시스템,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방송 수신기, 폰 시스템(Phone syste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70)은 스케일러(scaler)를 내장한 SoC(System on chip)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표시 패널(11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170)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콘트롤러(160)로 전송한다.
표시 패널(110)에는 데이터 라인들(D1~Dm)과 스캔 라인들(S1~Sn) 이외에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은 제2 터치 전극들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은 제1 터치 라인들(T1~Tj, j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을 통해 제1 터치 구동부(1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터치 전극들은 제2 터치 라인들(R1~Ri, i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을 통해 제2 터치 구동부(18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과 제2 터치 전극들의 교차부들 각각에는 터치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가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으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구동부(180)는 제1 터치 라인들(T1~Tj)을 통해 제1 터치 전극들에 구동펄스를 공급하고 제2 터치 라인들(R1~Ri)을 통해 터치 센서들 각각의 전하 변화량을 센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터치 라인들(T1~Tj)은 구동 펄스를 공급하는 Tx 라인들이고, 제2 터치 라인들(R1~Ri)은 터치 센서들 각각의 전하 변화량을 센싱하는 Rx 라인들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터치 구동부(180)는 제1 터치 구동부(181), 제2 터치 구동부(182) 및 터치 콘트롤러(183)를 포함한다. 제1 터치 구동부(181), 제2 터치 구동부(182) 및 터치 콘트롤러(183)는 하나의 ROIC(Read-out IC) 내에 집적될 수 있다.
제1 터치 구동부(181)는 터치 콘트롤러(183)의 제어 하에 구동펄스를 출력할 제1 터치 라인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1 터치 라인에 구동펄스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구동부(181)는 제1 터치 라인들(T1~Tj)에 순차적으로 구동펄스들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터치 구동부(182)는 터치 콘트롤러(183)의 제어 하에 터치 센서들의 전하 변화량들을 수신할 제2 터치 라인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2 터치 라인들을 통해 터치 센서들의 전하 변화량들을 수신한다. 제2 터치 구동부(182)는 제2 터치 라인들(R1~Ri)을 통해 수신된 터치 센서들의 전하 변화량들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터치 로우 데이터(touch raw data, TRD)로 변환한다.
터치 콘트롤러(183)는 제1 터치 구동부(181)에서 구동펄스가 출력될 제1 터치 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Tx 셋업 신호와, 제2 터치 구동부(182)에서 터치 센서 전압을 수신할 제2 터치 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Rx 셋업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콘트롤러(183)는 제1 터치 구동부(181)와 제2 터치 구동부(18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터치 좌표 산출부(190)는 터치 구동부(180)로부터 터치 로우 데이터(TRD)를 입력받는다. 터치 좌표 산출부(190)는 터치 좌표 산출방법에 따라 터치 좌표(들)를 산출하고, 터치 좌표(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호스트 시스템(170)으로 출력한다.
터치 좌표 산출부(19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170)은 터치 좌표 산출부(19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좌표 데이터(HIDxy)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발생한 좌표와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실행한다. 호스트 시스템(170)은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콘트롤러(160)로 전송한다.
터치 구동부(180)는 소스 드라이브 IC(131)들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회로보드(15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좌표 산출부(190)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회로보드(15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층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선 I-I'및 II-II'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7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제1 기판(11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1)은 유리 재질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을 갖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과 같은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표시 영역(NDA)은 패드(PAD)들이 형성되는 패드 영역(PA) 및 댐(D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댐(DAM)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층에 각각 별도의 댐(DAM)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판(110)의 표시 영역(DA)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박막 트랜지스터(210)들, 게이트 절연층(220), 층간 절연층(230), 보호층(240) 및 제1 평탄화층(25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1)의 상에는 버퍼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3)은 투습에 취약한 제1 기판(111)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210)들과 발광 소자(260)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1 기판(111)의 상에 형성된다. 제1 기판(111)의 일면은 제2 기판(112)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버퍼층(113)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113)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층(113)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0)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10)는 액티브층(211), 게이트 전극(212),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10)가 게이트 전극(212)이 액티브층(2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top gate)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게이트(bottom gate) 방식 또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퍼층(113) 상에는 액티브층(211)이 형성된다. 액티브층(211)은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와 같은 산화물(Oxide) 반도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LTPS)이나 비정질 실리콘(a-Si)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퍼층(113)과 액티브층(211) 사이에는 액티브층(211)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211) 상에는 액티브층(211)과 게이트 전극(212)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는 게이트 절연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기판(111)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이트 절연층(220)은 게이트 전극(212) 아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220)은 무기물층,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절연층(220) 상에는 게이트 전극(212)과 게이트 라인(도면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12)과 게이트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전극(212)과 게이트 라인 상에는 층간 절연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23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층간 절연층(230) 상에는 소스 전극(213), 드레인 전극(214) 및 데이터 라인(도면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4) 각각은 게이트절연층(220)과 층간 절연층(23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액티브층(211)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전극(213), 드레인 전극(214) 및 데이터 라인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스 전극(213), 드레인 전극(214) 및 데이터 라인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0)를 절연하기 위한 보호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240)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층(24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210)로 인한 단차를 평탄하게 해줄 수 있는 제1 평탄화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25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층은 발광 소자(260)들과 뱅크층(27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260)와 뱅크층(270)은 제1 평탄화층(250) 상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260)는 제1 전극(261), 유기 발광층(262) 및 제2 전극(263)을 포함한다. 제1 전극(261)은 애노드 전극이고, 제2 전극(263)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61)은 제1 평탄화층(2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61)은 보호층(240)과 제1 평탄화층(250)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10)의 소스 전극(213)에 접속된다. 제1 전극(261)은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과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PC 합금은 은(Ag), 팔라듐(Pd), 및 구리(Cu)의 합금이다.
뱅크층(270)은 화소들(P)을 구획하기 위해 제1 평탄화층(250) 상에서 제1 전극(26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뱅크층(270)은 화소들(P)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뱅크층(270)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발광 소자(260)들의 발광 영역(EA)에 대응될 수 있다.
뱅크층(270)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전극(261)과 뱅크층(270) 상에는 유기 발광층(262)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262)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전극(261)과 제2 전극(263)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유기 발광층(262)은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백색 발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261)과 뱅크층(270)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63)은 유기 발광층(262) 상에 형성된다. 표시 장치(100)가 상부 발광(top emission)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제2 전극(263)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TCO,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또는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발광 소자(260)는 제1 전극(261), 유기 발광층(262) 및 제2 전극(26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260)를 덮도록 봉지층(280)이 제1 기판(111)의 표시 영역(DA)은 물론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봉지층(280)은 유기 발광층(262)과 제2 전극(263)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봉지층(28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280)은 제1 무기 봉지막(281), 유기 봉지막(282) 및 제2 무기 봉지막(2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263) 상에는 제1 무기 봉지막(28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막(281)은 제2 전극(263)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막(281) 상에는 유기 봉지막(282)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봉지막(282)은 이물들(particles)이 제1 무기 봉지막(281)을 뚫고 유기 발광층(262)과 제2 전극(263)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봉지막(282) 상에는 제2 무기 봉지막(28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기 봉지막(283)은 유기 봉지막(282)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무기 봉지막들(281, 283) 각각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봉지막(282)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또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유기 봉지막(282)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된 폐곡선 형태의 댐(DAM)을 포함할 수 있다. 댐(DAM)은 표시 영역(DA)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봉지층(280)을 구성하는 유기 봉지막(282)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댐(DAM)은 유기 봉지막(282)이 표시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패드 영역(PA)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댐(DAM)은 하나의 댐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댐(DAM)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봉지막(282)의 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댐(DAM)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댐(DAM)은 화소(P)의 제1 평탄화층(250) 또는 뱅크층(27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평탄화층(250) 또는 뱅크층(270)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무기 봉지막(283)은 댐(DAM)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봉지층(280) 상에는 터치 센싱층이 형성된다. 터치 센싱층은 제1 터치 전극(TE)들과 제2 터치 전극(RE)들을 포함하는 터치 전극(320)들, 브릿지 전극(BE)들, 터치 버퍼층(311) 및 절연층(313)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봉지층(280) 상에는 터치 버퍼층(311)이 형성되며,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서 패드(PAD)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버퍼층(311)은 댐(DAM)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 버퍼층(311)은 터치 버퍼층(311) 상에 형성되는 터치 전극들의 제조 공정시 사용되는 현상액이나 식각액과 같은 약액 또는 외부의 수분 등과 같이 이물이 유기물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260)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터치 버퍼층(311) 상에는 브릿지 전극(BE)들이 형성된다. 브릿지 전극(BE)들은 표시 영역(DA)에 형성되며, 절연층(313) 상에 형성되는 제1 터치 전극(TE)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 터치 전극(TE)들과 제2 터치 전극(RE)들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서 서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TE)들은 브릿지 전극(BE)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 전극(BE)은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E, RE)과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컨택홀(CH)들을 통해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TE)들에 접속될 수 있다. 브릿지 전극(BE)은 제2 터치 전극(RE)과 교차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택홀(CH)들은 절연층(31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전극(BE)은 절연층(313) 하부에 배치되어 2개의 컨택홀에 의하여 노출된다. 이에 따라 브릿지 전극(BE)은 인접한 2개의 제1 터치 전극(TE)들과 접속된다.
절연층(313)은 브리지 전극(BE)들을 덮도록 터치 버퍼층(311) 상에 형성되어 브리지 전극(BE)들과 제2 터치 전극(RE)들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층(313)은 브리지 전극(BE)들 사이에 배치되어 브리지 전극(BE)들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절연층(313)은 표시 영역(DA)뿐만 아니라 비표시 영역(NDA)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절연층(313)은 댐(DAM)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댐(DAM)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절연층(313) 상에는 메쉬 형태의 복수의 터치 전극(320)들이 형성된다. 터치 전극(320)은 제1 터치 전극(TE)들 및 제2 터치 전극(RE)들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TE)들 및 제2 터치 전극(RE)들은 표시 영역(DA)에 형성된다. 제1 터치 전극(TE)들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며, 제2 터치 전극(RE)들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제1 방향(y축 방향)은 스캔 라인들(S1~Sn)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x축 방향)은 데이터 라인들(D1~Dm)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방향(y축 방향)은 데이터 라인들(D1~Dm)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x축 방향)은 스캔 라인들(S1~Sn)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된 제1 터치 전극(TE)들 각각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TE)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결된 제2 터치 전극(RE)들 각각은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RE)들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로 인해, 제1 터치 전극(TE)과 제2 터치 전극(RE)의 교차 영역에는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전극(320)들은 개구부들을 갖도록 메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전극(320)이 메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발광 소자(260)들이 터치 전극(320)의 개구부들에 대응될 수 있어 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 전극(320)은 뱅크층(27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뱅크층(2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개구부들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들은 발광 소자(260)들의 발광 영역(EA)들에 대응되는 바, 터치 전극(320)의 개구부들도 뱅크층(270)의 개구부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전극(320)은 뱅크층(270)에 대응되도록 뱅크층(27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전극(320)이 뱅크층(270)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터치 전극(320)의 개구부들도 발광 영역(EA)들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어, 터치 전극(320)의 개구부들이 발광 영역(EA)들과 중첩되어 발광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비표시 영역(NDA)에는 패드(PAD)가 있고, 절연층(313) 상에는 패드(PAD)와 터치 전극(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 터치 라우팅 배선(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PAD)는 게이트 전극(212)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 라우팅 배선(330)은 터치 전극(320)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는 도 4의 선 I-I'및 II-II'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7의 7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절연층(313) 상에는 제1 제1 배리어 층(312)이 비 발광 영역(NE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은 시야각 방향의 광을 차단하고, 정면 방향의 빛을 집광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배리어 층은 금속 물질이나 빛을 흡수하는 물질일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은 터치 전극(320)과 동일 물질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전극을 활용함으로써, 추가 공정 없이 기존 공정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은 정면이 아닌 시야각 방향의 빛(8f, 8g)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의 표면에 별도의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상하 시야각을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 상에는 터치 전극(320) 및 터치 라우팅 배선(330)을 덮는 보호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350) 상에 복수의 발광 영역(EA)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333) 상에는 패시베이션층(36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350) 및 패시베이션층(360)은 비표시 영역(NDA)의 패드(PAD)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33)들은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의 크기보다 같거나 더 길게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 방향)은 예를 들어, 16:9 비율의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 단축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도 7의 7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된 단면도이다.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화소(P1, P2, P3)들 각각의 발광 영역(EA)에 형성되어, 광을 굴절시킨다.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들은 서브 화소(P1, P2, P3)패턴 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P1)의 발광 영역(EA)에 하나의 렌즈(333a)가 형성되고, 제2 서브 화소(P2)의 발광 영역(EA)에 다른 하나의 렌즈(333b)가 형성되고, 제3 서브 화소(P3)의 발광 영역(EA)에 또 다른 하나의 렌즈(333c)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들은 제3 방향(z방향), 예를 들면, 편광판(500) 방향 상부로 향하여 반원 볼록한 형상을 가진 볼록 렌즈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들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층(241, 242, 243)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광을 입사각(θ1) 보다 굴절각(θ2)이 크게 굴절시킬 수 있다(θ1<θ2).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 )들을 통과한 광은 제2 기판(112)에 대한 입사각이 작아지므로, 제2 기판(112)에 전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우수한 광 추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렌즈(333a, 333b, 333c)들은 발광 소자(260)로부터 방출된 광을 표시 장치의 정면 방향으로 집광(8a, 8b)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렌즈(333)의 굴절률은 패시베이션층(360)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렌즈(333)의 굴절률보다 렌즈(333)를 덮는 패시베이션층(360)의 굴절률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굴절률 차이에 의한 정면 집광 효율 및 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렌즈(333)의 굴절률이 패시베이션층(360)의 굴절률보다 크기 때문에, 빛이 렌즈(333)를 통과하면 렌즈(333)의 두꺼운 쪽으로 빛의 진행방향이 꺾이는 집광 효과가 있고, 이를 이용하여 정면 휘도를 향상할 수 있다. 왜냐하면 광 경로는 고굴절에서 저굴절 매질로 빛이 이동하기 때문에 빛이 옆으로 새지 않아 정면 휘도가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33)는 1.5 ~ 1.8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패시베이션층(360)은 1.3 ~ 1.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며, 가능한 굴절률 차이가 크도록 설정하는 것이 정면 집광 효율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렌즈(333)는 발광 소자(260)의 발광 영역(EA)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렌즈(333)의 크기가 발광 영역(EA)보다 작은 경우 렌즈(333)을 통과하는 광이 감소하게 되어 렌즈(333)의 집광 효율과 출광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렌즈(333)의 크기를 발광 영역(EA) 대비 매우 크게 형성하는 경우, 렌즈(333)의 곡률 반경이 커지게 됨에 따라 렌즈의 파워가 감소하게 되어 집광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333)는 곡률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파워를 증가시키되, 발광 영역(EA)으로부터 출광되는 광들이 렌즈(333)을 통과하여 집광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렌즈(333)는 100도 이하에서의 저온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저온 포토 아크릴(PAC) 물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333)는 폴리트리아진(Polytriazine) 또는 폴리트리아진(Polytriazine)에 TiO2, ZrO2 및 나노 필러(Nano filler)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렌즈(333)는 볼록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노광(Exposure)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렌즈(333)의 하부에는 발광 소자(260)가 있는데, 렌즈(333)을 형성하는 공정이 고온으로 진행이 되는 경우 하부의 발광 소자(260)가 고온에 의해서 손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렌즈(333)는 100도 이하에서의 저온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여 저온 공정에서 형성함으로써 렌즈(333)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발광 소자(26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렌즈(333)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보호층(350) 상에 렌즈막을 코팅한다. 보호층(350) 포토 아크릴(Photo Acryl)일 수 있다. 렌즈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공정이 가능하도록 폴리트리아진(Polytriazine) 또는 폴리트리아진(Polytriazine)에 TiO2, ZrO2 및 나노 필러(Nano filler)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막을 코팅한 후에 가장자리부를 제거하는 EBR(Edge Bead Removal) 공정을 진행한다. 그 후 렌즈막에 있는 용제(solvent)를 제거하는 프리 베이크(pre-bake) 공정을 진행한다. 그 후 마스크의 패턴을 렌즈막에 노광시켜서 광을 받은 렌즈막이 광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노광(Exposure) 공정을 진행한다.
그리고 현상(Develop) 공정, 린스(Rinse) 공정을 거쳐 후 노광과 경화(Cure) 공정 등을 진행하여 렌즈(333)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333) 상에는 렌즈(333)을 덮도록 패시베이션층(360)이 배치된다. 이 경우 렌즈 패시베이션층(360)의 굴절율은 렌즈(333)의 굴절율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렌즈(333)의 계면에서 굴절률 차이에 의한 광의 집광 효율과 출광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시베이션층(360) 상에 배치된 편광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500)으로 인해 외광 반사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비교예(10a) 및 실시예(10b)에 있어서 상하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예(10a)는 본 명세서에 따른 렌즈(333)와 제1 배리어층(312)을 포함하지 않은 패널의 표면에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한 표시 장치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10a)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10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0a)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약 ±35도 이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10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20도 정도로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의 선 I-I'및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1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다른 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들은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의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봉지층(280) 상 또는 터치 버퍼층(311)상에는 제2 배리어 층(31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은 시야각 방향의 광을 차단하고, 정면 방향의 빛을 집광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배리어 층은 금속 물질이나 빛을 흡수하는 물질일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315) 상에는 절연층(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313) 상에는 제1 제1 배리어 층(312)과 렌즈(3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은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343), 예를 들면,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는 발광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과 제2 배리어 층(315)은 비 발광 영역(NE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과 제2 배리어 층(315)은 금속 물질일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은 터치 전극(320)과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배리어 층(315)은 브릿지 전극(BE)과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배리어 층(315)상에는 절연층(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313) 상에는 제1 제1 배리어 층(312)이 비 발광 영역(NEA)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공정 없이 기존 공정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2 배리어 층(315)은 시야각 방향의 빛(8f, 8g)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과 제2 배리어 층(315)이 모두 존재할 경우, 제2 배리어 층(315)이 없을 경우 발생하던 도 8의 렌즈 간 누설광(8c)이 도 12와 같이 차단(12c)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패널의 표면에 별도의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상하 시야각을 제어 또는 컷오프(cut-off)할 수 있다.
제1 제1 배리어 층(312), 렌즈(343), 터치 전극(320) 및 터치 라우팅 배선(330) 상에는 보호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313)상에 복수의 발광 영역(EA)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343) 상에는 보호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350)은 비표시 영역(NDA)의 패드(PAD)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343)는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의 크기보다 같거나 더 길게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 방향)은 예를 들어, 16:9 비율의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 단축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렌즈(343) 관련 집광 원리는 도 9와 관련된 설명하였기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호층(350) 상에 배치된 편광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500)으로 인해 외광 반사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1 및 도 12의 시야각에 따른 광의 정규화된 강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교예(13a) 및 실시예(13b)에 있어서 상하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예(10a)는 본 명세서에 따른 렌즈(343), 제1 제1 배리어 층(312), 제2 배리어 층(315)을 포함하지 않은 패널의 표면에 별도의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한 표시 장치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비교예(13a)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13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3a)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약 ±35도 이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13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30도 정도로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의 선 I-I'및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4A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도 7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를 기준으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며, 다른 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생략된 내용들은 도 7 내지 도 8 및 도 11 내지 도 12를 기준으로 설명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의 내용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봉지층(280) 상 또는 터치 버퍼층(311)상에는 광 흡수 패턴(317)이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패턴(317)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BM), 예를 들어, 블랙 수지(Black resin)나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광 흡수 패턴(317) 상에는 절연층(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313) 상에는 제1 배리어 층(312)과 렌즈(3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312)은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343), 예를 들면,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는 발광 영역(E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312)과 광 흡수 패턴(317)은 비 발광 영역(NEA)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리어 층(312)은 터치 전극(320)과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광 흡수 패턴(317)이 존재할 경우, 광 흡수 패턴(317)이 없을 경우 발생하던 도 8의 렌즈 간 누설광(8c)이 도 15와 같이, 렌즈 간 누설광 차단(12c)될 수 있다. 또한 광 흡수 패턴(317)이 없을 경우, 도 12와 같이 발광 영역(EA)에서 제1 제1 배리어 층(312)에 반사되는 1차 반사광(12d)과 발광 영역(EA)의 빛이 비 발광 영역(NEA)의 소스 전극(213) 및 드레인 전극(214)과 같은 금속에 반사되었다가, 렌즈(343)에 반사되는 다중 반사광(12e)이 발생할 수 있다. 블랙 수지와 같은 광 흡수 패턴(317)이 존재할 경우, 도 15와 같이 1차 반사광 개선(15e) 및 다중 반사광 개선(15d)될 수 있다.
따라서 블랙 물질의 광 흡수 패턴(317)이 비 발광 영역(EA)에 배치될 경우, 내부 메탈(metal)에 의한 반사 및 렌즈(343)에 의한 추가 누설 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터치 버퍼층(311)상에는 광 흡수 패턴(317)만이 배치되고 제1 배리어 층(312)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도 제1 제1 배리어 층(312), 렌즈(343), 터치 전극(320) 및 터치 라우팅 배선(330) 상에는 보호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313) 상에 복수의 발광 영역(EA)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렌즈(343a, 343b, 343c)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343) 상에는 보호층(3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350)은 비표시 영역(NDA)의 패드(PAD)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343)는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260)들의 크기보다 더 길게 제1 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x 방향)은 예를 들어, 16:9 비율의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 장치에서 단축 방향 또는 세로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렌즈 관련 집광 원리는 도 9와 관련된 설명하였기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보호층(350) 상에 배치된 편광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500)으로 인해 외광 반사를 감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 및 도 15의 시야각에 따른 광의 정규화된 강도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비교예(13a) 및 실시예(13b)에 있어서 상하 시야각에 따른 휘도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예(10a)는 본 명세서에 따른 렌즈(343), 광 흡수 패턴(317), 제1 제1 배리어 층(312)을 포함하지 않은 패널의 표면에 별도의 광 제어 필름을 부착한 표시 장치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비교예(13a)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16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이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13a)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약 ±35도 이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16b)에 따른 표시 장치의 상하 시야각은 ±30도 미만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렌즈(343)에 의한 추가 누설 광, 예를 들면, 다중 반사광(8e)에 의해 불필요한 시야각 휘도 반전 (8p)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도 16에서는 블랙 수지와 같은 광 흡수 패턴(317)에 의해 불필요한 시야각 휘도 반전 (8p) 없이 해당 시야각 영역에서 완만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비 발광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층, 비 발광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배리어 층 및 제1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제1 터치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2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제2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제2 배리어 층은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반원 볼록 렌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유기발광소자를 봉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과 상기 제1 배리어 층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영역, 비 발광 영역, 및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표시 영역에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상의 상기 비 발광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렌즈 상에 있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에서부터 비 표시 영역까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배리어 층은, 렌즈와 동일 층에 배치된 제1 배리어 층 및 렌즈의 하부 층에 배치된 제2 배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전극을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배리어 층 및 복수의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덮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은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명세서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 패널
111: 제1기판 112: 제2기판
120: 스캔구동부 130: 데이터 구동부
131: 소스 드라이브 IC 140: 연성필름
150: 회로보드 160: 타이밍 콘트롤러
170: 호스트 시스템 180: 터치 구동부
181: 제1 터치 구동부 182: 제2 터치 구동부
183: 터치 콘트롤러 190: 터치 좌표 산출부
210: 박막 트랜지스터 211: 액티브층
212: 게이트 전극 213: 소스 전극
214: 드레인 전극 220: 게이트 절연층
230: 층간 절연층 240: 보호층
250: 제1 평탄화층 260: 발광 소자
261: 제1 전극 262: 유기 발광층
263: 제2 전극 270: 뱅크층
280: 봉지층 281: 제1 무기 봉지막
282: 유기 봉지막 283: 제2 무기 봉지막
311: 터치 버퍼층 313: 절연층
320: 터치 전극 330: 터치 라우팅 배선
350: 보호층 360: 패시베이션층
333, 343, 353 : 렌즈
312 : 제1 배리어 층 315 : 제2 배리어 층
317 : 광 흡수 패턴
500: 편광판

Claims (26)

  1.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
    상기 비 발광 영역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리어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제1 터치 전극인,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제2 터치 전극인,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보호층의 굴절률보다 큰,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리어 층은 교대로 반복되어 배치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반원 볼록 렌즈인,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발광소자;
    상기 복수의 유기발광소자를 봉지하는 봉지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리어 층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표시 영역, 비 발광 영역, 및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상기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상의 상기 비 발광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와 중첩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인,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상에 있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큰, 표시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부터 비 표시 영역까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층은,
    상기 렌즈와 동일 층에 배치된 제1 배리어 층; 및
    상기 렌즈의 하부 층에 배치된 제2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을 연결하는 브릿지 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리어 층은 브릿지 전극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발광 영역 및 비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비 발광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배리어 층; 및
    상기 복수의 배리어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영역과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리어 층은 메쉬 형태의 터치 전극인, 표시 장치.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리어 층은 광을 흡수하는 블랙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덮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커버층의 굴절률보다 큰, 표시 장치.
  2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반원 형상의 볼록 렌즈인, 표시 장치.
  26.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에 배치된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109898A 2022-08-31 2022-08-31 표시 장치 KR20240030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98A KR20240030615A (ko) 2022-08-31 2022-08-31 표시 장치
US18/453,915 US20240069682A1 (en) 2022-08-31 2023-08-22 Display device
DE102023122373.9A DE102023122373A1 (de) 2022-08-31 2023-08-22 Anzeigevorrichtung
JP2023139516A JP2024035182A (ja) 2022-08-31 2023-08-30 表示装置
CN202311104753.2A CN117641972A (zh) 2022-08-31 2023-08-30 显示装置
GB2313139.4A GB2623421A (en) 2022-08-31 2023-08-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98A KR20240030615A (ko) 2022-08-31 2022-08-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615A true KR20240030615A (ko) 2024-03-07

Family

ID=8823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898A KR20240030615A (ko) 2022-08-31 2022-08-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69682A1 (ko)
JP (1) JP2024035182A (ko)
KR (1) KR20240030615A (ko)
CN (1) CN117641972A (ko)
DE (1) DE102023122373A1 (ko)
GB (1) GB2623421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597A (ko) * 2018-12-18 2020-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445161B (zh) * 2018-12-27 2021-07-09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752802B (zh) * 2020-08-17 2022-01-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指紋感測模組及指紋辨識裝置
KR20220109898A (ko) 2021-01-29 2022-08-05 주식회사 베이비로하 반려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313139D0 (en) 2023-10-11
JP2024035182A (ja) 2024-03-13
DE102023122373A1 (de) 2024-02-29
GB2623421A (en) 2024-04-17
CN117641972A (zh) 2024-03-01
US20240069682A1 (en)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936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172019A1 (en)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arcing between boundary surface of mask for covering pad area and pad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496204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irror func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20231091A1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GB256903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20845A (ko) 표시 장치
US2016013214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JP2022186804A (ja) ディスプレー装置
CN112447815A (zh) 显示设备
JP7111793B2 (ja) 画素アレイ基板およびこ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11409400B2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10005680A1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KR20240030615A (ko) 표시 장치
CN114649374A (zh) 显示装置
CN113363293A (zh) 显示装置和电子设备
KR102262677B1 (ko) 표시 장치 및 터치 표시 장치
US12010868B2 (en) Display device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2670355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20230232653A1 (en) Display panel
US20230320178A1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display panel
KR20240054475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20220087008A (ko) 표시 장치
CN114512514A (zh) 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KR20220090955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20089019A (ko) 터치 표시 패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