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013A -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013A
KR20200062013A KR1020190072722A KR20190072722A KR20200062013A KR 20200062013 A KR20200062013 A KR 20200062013A KR 1020190072722 A KR1020190072722 A KR 1020190072722A KR 20190072722 A KR20190072722 A KR 20190072722A KR 20200062013 A KR20200062013 A KR 20200062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working fluid
spray gun
filling
mani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672B1 (ko
Inventor
토시히로 니시카와
히카루 코지마
Original Assignee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도료의 충전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한다.
스프레이 건을 지지하는 본체부(2)와 본체부에 장착된 작동용 매니폴드(3) 및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가지고, 작동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며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공급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와,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배출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와, 기단 측에 에어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가 연결되는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를 구비하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도료 용기가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구가 연결되는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PAINT FILLING UNIT AND PAINT FILLING DEVICE HAVING THE SAME}
[0001] 본 발명은 도료(塗料)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스프레이 건(spray gun)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 번잡한 작업을 불필요하게 함으로써, 도료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한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부터, 도장(塗裝) 장치에 있어서는, 피(被)도장물(이하 「작업물」(workpiece)이라고 한다.)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스프레이 건과, 이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도료 공급수단은 별개의 독립된 것으로 되어 있으며, 도료 호스를 통해, 도료 공급수단으로부터 스프레이 건으로 도료를 공급하면서, 이 공급된 도료를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작업물을 향해 분사한다.
[0003]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도료의 색을 교체할 때마다, 스프레이 건, 및 도료 호스를 세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롭고,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또, 도료의 색을 교체할 때마다 스프레이 건 및 도료 호스를 세정하는 경우에는, 잔여 도료를 밀어내어 폐기할 필요가 있어, 낭비가 심한 동시에 세정 용제도 많이 소비하여, 비용 증가로도 이어졌다. 또, 색 교체시에는 스프레이 건, 도료 호스 외에 펌프를 세정할 필요도 있는데, 특히 펌프로서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를 사용했을 때에는, 다이어프램 펌프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도료의 낭비가 커졌다.
[0004] 이 때문에, 본 출원인은 과거에 있어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료 공급수단으로서의 시린지(syringe)의 선단에 스프레이 건을 일체적으로 구비한 발명(이하 「시린지 건」(syringe gun)이라고 한다.)을 제안하였다.
[0005] 즉, 도 20이 상기 시린지 건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시린지 건(71)은, 선단부에 도료 토출구(吐出口)(72)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외주에 시일(seal) 부재로서의 O 링(82)이 둘레에 설치(周設)된 피스톤(74)이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장착된 시린지부(73)와, 이 시린지부(73)의 선단부에 시린지부(7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스프레이 건으로서의 헤드부(75)를 구비하고 있으며, 헤드부(75)는, 상기 도료 토출구(72)의 근방에 개구된 무화(霧化, atomization) 에어 공급로(76)와 패턴 에어 공급로(77)를 구비하고 있다.
[0006] 그리고, 이 시린지 건(71)으로 도장을 행하는 경우에는, 피스톤(74)에 피스톤 로드(78)를 연결하고, 피스톤 로드(78)에는 가동판(79)을 연결하며, 가동판(79)에 스크류 나사(80)를 나사식으로 결합시켜, 스크류 나사(80)를 모터(81)에 연결하고, 이 상태에 있어서, 모터(81)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동시에, 무화(霧化) 에어 공급로(76) 및 패턴 에어 공급로(77)에 에어를 공급한다.
[0007] 그렇게 하면, 가동판(79)이 스크류 나사(80)를 따라 전진하고, 피스톤 로드(78)를 통해 피스톤(74)이 전진하여, 시린지부(73) 내의 도료가 헤드부(75)에 토출되는 동시에, 이 토출된 도료가, 무화 에어 공급로(76)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무화되는 동시에, 패턴 에어 공급로(77)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임의의 패턴으로 성형되어, 작업물을 향해 분사된다.
[0008] 이와 같이, 위에서 기술한 시린지 건에서는,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린지부의 선단부에, 도료를 토출하기 위한 스프레이 건으로서의 헤드부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고, 도료의 색을 바꾸는 경우에는 시린지 건 전체를 교환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의 교환 시에 스프레이 건을 세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세정 시에 필요로 하는 시너(thinner) 등의 세정 용제도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0009] 그러나, 위에서 기술한 시린지 건에서는, 시린지 내에서 피스톤을 전진시켜 시린지 내의 도료를 헤드에 토출하고 있기 때문에, 도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의 주위에는 시일재로서 O링이 둘레에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피스톤이 이동할 때에 O링이 시린지 내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O링의 마모도 빨라져, 피스톤과 시린지 내벽 사이를 완전하게 시일하기가 어려웠다.
[0010] 또,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린지 건에서는, 피스톤 및 그것을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계로서, 가동판(79), 스크류 나사(80), 모터(81)를 필요로 하는데, 이들 가동판(79), 스크류 나사(80), 모터(81)는 구조적으로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시린지 건을 도장용 로봇의 아암(arm)에 부착할 때에는, 엔드 이펙터(end-effector)로서 경량화가 필요하게 된다.
[0011] 더욱이 또한, 피스톤 지름이 커지면, 시린지부(73) 내부를 피스톤(74)이 이동할 때의 마찰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구동계의 강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0012] 이러한 점에서, 종래부터, 도료가 충전된 도료 주머니(bag)를 용기에 수용하여 구성되며, 용기 내에 작동액을 공급하고, 이 작동액에 의해 도료 주머니에 압력을 가하며, 이에 따라 도료 주머니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측에 공급하는 도료 카트리지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 도료 카트리지를 이용함으로써, 도료 누출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0013] 또, 본 출원인은 과거에 있어서, 내부에 도료를 구비한 시린지부의 선단 측에, 스프레이 건으로서의 헤드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시린지부는 시린지 본체와 이 시린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도료용 파우치로 구성하며, 시린지 본체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용 파우치를 압박하고, 이에 따라 도료용 파우치 내의 도료를 시린지부로부터 헤드부로 공급하여, 헤드부의 도료 분사구로부터 토출하는 것으로 한 발명(이하 「파우치 건」(pouch gun)이라고 한다.)을 제안하였다.
[0014] 그리고, 이 파우치 건에 의하면, 시린지 내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전진 동작에 의해 시린지 내의 도료를 토출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시린지 내부를 완전히 시일할 수 있는 동시에, 피스톤 및 그것을 전진시키기 위한 구동계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경량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0015] 일본 특허 공보 제4398662호 일본 특허 공보 제615807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12857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31972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7-21452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6-34760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296750호
[0016] 그런데, 위에서 기술한 파우치 건에서는, 도료용 파우치 내의 도료를 다 사용한 후에는 도료용 파우치 내에 다시 새로운 도료를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방법으로서는, 시린지 본체 내에 작동액을 충전하고, 도료 탱크 내에 기단 측이 배치된 도료 공급 호스의 선단 측을 헤드부의 도료 분사구에 연결하며, 시린지 본체 내의 작동액을 시린지 본체 내부로부터 빼내어 감으로써 시린지 본체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하고, 이로써, 도료 탱크 내의 도료를, 헤드부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실행하였다.
[0017] 이 때문에, 위에서 기술한 파우치 건에서는, 도료를 충전할 때마다, 파우치 건에 작동액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용 호스나, 시린지 본체 내의 작동액을 시린지 본체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작동액 배출용 호스, 나아가, 도료 공급 호스와 연결하는 동시에, 충전이 완료된 후에는 연결의 해제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이 번잡해지는 문제점이 고려된다.
[0018] 따라서, 본 발명은,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 도료의 충전 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0019]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은,
도료 받이구(受入口)와 도료 받이구로부터 받아들인 도료를 작업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도료 분사구를 갖는 도료 공급로와, 진퇴 동작에 의해 도료 분사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니들(needle)과, 에어에 의해 니들을 진퇴시키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로와, 선단이 도료 분사구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서 개구되며, 도료 분사구의 주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도료 분사구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霧化, 안개화)하는 동시에 이 무화된 도료를 임의의 패턴으로 하여 선단 측에 분사하기 위한 분무용 에어 공급로를 구비한 스프레이 건 본체와,
도료 받이구에 통하는 도료 토출부를 갖는 매니폴드와, 매니폴드에 연결된 케이싱과, 케이싱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도료 토출부에 연결된 도료 토출구를 가지며, 내부에 도료가 충전되는 주머니 형상의 도료용 파우치를 구비하고, 매니폴드는, 작동액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액을 케이싱 내에 주입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구와, 케이싱 내에 주입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으로 되돌리기 위한 작동액 배출구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의 니들용 에어 공급로에 공급하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구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의 분무용 에어 공급로에 공급하기 위한 분무용 에어 공급구를 구비하며, 작동액 공급구를 통해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용 파우치를 압박하여, 도료용 파우치 내의 도료를 도료 토출부로부터 토출하여 도료 받이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갖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도료 파우치 내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 충전 유닛으로서,
스프레이 건을 지지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장착된 작동용 매니폴드와, 본체부에 장착된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가지며,
작동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작동액 공급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 조인트(joint)와,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작동액 배출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와,
기단 측에 에어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니들용 에어 공급구가 연결되는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를 구비하며,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도료 용기가 연결되고, 타단 측에 도료 분사구가 연결되는 도료 충전 조인트를 구비하며,
작동액 공급구에 작동액 공급 조인트를 연결하고, 작동액 배출구에 작동액 배출 조인트를 연결하며, 니들용 에어 공급구에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를 연결하고, 도료 분사구에 도료 충전 조인트를 연결하여,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 상태에서, 케이싱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 내부를 부압으로 하며, 이로써,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도료의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0020] 그리고, 이 도료 충전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도료 충전 유닛과, 본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도료 충전 유닛이 연결된 장소보다 상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료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0021]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에서는, 스프레이 건을 지지하는 본체부에, 작동용 매니폴드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공급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 조인트와,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배출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와, 기단 측에 에어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니들용 에어 공급구가 연결되는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도료 용기가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구가 연결되는 도료 충전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0022] 이 때문에, 파우치 건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도료 충전 유닛에 스프레이 건을 장착하기만 하면 되며, 도료를 충전할 때마다, 파우치 건에 작동액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용 호스나, 파우치 건에 공급한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작동액 배출용 호스나, 도료 공급 호스를 파우치 건에 연결하고, 충전 후에 연결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도료의 충전 작업이 용이하며, 도료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때,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에서는, 도료 충전 조인트를 스프레이 건에 연결할 때에, 도료 충전 조인트를 도료 분사구에 연결하는 것으로 하여, 스프레이 건의 선단의 캡을 벗겨내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도료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0023] 또,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도료 충전 유닛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의 상방에, 도료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 케이스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용기와 도료 충전 유닛을 도료 공급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도료를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도료를 스프레이 건에 충전할 수가 있다.
[0024] 그리고 이때,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도료 충전 유닛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도료 파우치 측을 하측으로 함으로써, 도료의 충전을 더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0025] 또,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용기 케이스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용기 케이스를 회동시킴으로써, 용기 케이스 내의 도료를 교반(攪拌)할 수 있어,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이 용기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0026] 나아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에서는, 스프레이 건을 장착한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있을 때에, 케이싱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충전하는 것과, 도료용 파우치 내에 도료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를 도료 용기 내에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반복함으로써,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의 침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0027] 도 1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동용 매니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동용 매니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스프레이 건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스프레이 건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스프레이 건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스프레이 건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스프레이 건과 도료 용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도료 용기를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건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케이싱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가 충전 대상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케이싱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종래의 시린지 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0028]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은,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 충전 유닛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이 도료의 충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스프레이 건은, 스프레이 건 본체와 이 스프레이 건 본체에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한 스프레이 건이다.
[0029] 그리고, 스프레이 건 본체는, 도료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도료를 받아들이는 도료 받이구(受入口)와, 도료 받이구로부터 받아들인 도료를 작업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도료 분사구(噴射口)를 구비한 도료 공급로를 가지고 있다.
[0030] 또, 스프레이 건 본체는, 진퇴 동작에 의해, 도료 분사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니들과, 에어에 의해 니들을 진퇴시키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로를 가지고 있다.
[0031] 나아가, 스프레이 건 본체는 분무 에어 공급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분무 에어 공급로는, 선단이 도료 분사구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서 개구되고, 도료 분사구의 주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도료 분사구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霧化, atomization)하는 동시에 이 무화된 도료를 임의의 패턴으로 하여 선단 측에 분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32] 한편, 도료 공급수단은, 매니폴드와, 이 매니폴드에 연결된 케이싱을 가지고 있으며, 매니폴드는, 스프레이 건 본체의 도료 받이구에 통하는 도료 토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싱 내에는, 도료용 파우치가 수용되어 있고, 이 도료용 파우치는, 매니폴드의 도료 토출부에 연결된 도료 토출구(吐出口)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도료가 충전되는 주머니 형상으로 되어 있다.
[0033] 나아가, 매니폴드는, 작동액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액을 케이싱 내에 주입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구(供給口)와, 케이싱 내에 주입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으로 되돌리기 위한 작동액 배출구(排出口)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니들용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의 니들용 에어 공급로에 공급하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구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의 분무 에어 공급로에 공급하기 위한 분무 에어 공급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작동액 공급구를 통해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용 파우치를 압박하여, 도료용 파우치 내의 도료를, 도료 토출부로부터 토출하고 도료 받이구를 통해 스프레이 건 본체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0034] 그리고,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은, 위에서 기술한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도료 파우치 내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 충전 유닛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은, 스프레이 건을 지지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장착된 작동용 매니폴드 및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가지고 있으며, 작동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타단 측에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공급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 조인트와,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타단 측에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배출구가 연결되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와, 기단 측에 에어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타단 측에 니들용 에어 공급구가 연결되는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0035] 또,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는, 기단 측에 도료 용기가 연결되고 타단 측에는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구가 연결되는 도료 충전 조인트를 구비하고 있다.
[0036] 그리고, 작동액 공급용 조인트를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공급구에 연결하고, 작동액 배출용 조인트를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배출구에 연결하며,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를 스프레이 건의 니들용 에어 공급구에 연결하고, 도료 충전 조인트를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구에 연결하며,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 상태에서, 케이싱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 내부를 부압으로 하고, 이로써,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도료의 충전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37] 여기서, 작동용 매니폴드를 본체부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하고, 본체부에 스프레이 건을 지지한 상태에서 작동용 매니폴드를 진퇴시킴으로써,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공급구와 작동액 공급 조인트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 스프레이 건의 작동액 배출구와 작동액 배출 조인트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 및 스프레이 건의 니들용 에어 공급구와 니들용 에어 조인트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면 되며, 이로써, 스프레이 건과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0038] 또,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본체부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하고, 본체부에 스프레이 건을 지지한 상태에서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진퇴시킴으로써, 스프레이 건의 도료 분사구와 도료 충전 조인트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를 가능하도록 하면 되며, 이것에 의해서도, 스프레이 건과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0039] 나아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는,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본체부에 장착하면 되며, 이로써, 색 교체 시에는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교환함에 따라, 세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0040] 한편, 이러한 도료 충전 유닛을 구비한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는, 본체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이 본체 프레임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도료 충전 유닛이 연결되어 있다. 또, 본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도료 충전 유닛이 연결된 장소보다 상방 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도료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 케이스가 연결되어 있다.
[0041] 여기서, 도료 충전 유닛을 회동하는 수단으로서는 로터리 에어 실린더(rotary air cylinder)를 이용하면 되며, 또, 용기 케이스를 회동하는 수단은, 방폭(防爆) 사양의 서보 모터를 사용하면 된다.
[실시예 1]
[0042]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좌측면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이다.
[0043] 그리고,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은 본체부를 가지고 있다. 즉, 도면에 있어서 부호 2가 본체부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측벽(201)과, 이 측벽의 하단(下端) 부분을 연결한 바닥부(202)를 가지고 있고, 한 쌍의 측벽(201)의 외측의 면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연결축(203)이, 측벽(201)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 즉 본체부(2)의 측부 방향을 향해 연결되어 있다. 또, 측벽(201)의 내측에는 각각, 스프레이 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204)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지지판(204)에는 각각, 대향하는 쪽을 향하여 걸림고정 돌기(205)가, 상하 방향을 향해 돌출설치(突設)되어 있다.
[0044] 다음으로, 도면에 있어서 부호 3은 작동용 매니폴드이다. 즉, 상기 본체부(2)에는 작동용 매니폴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작동용 매니폴드(3)는, 상기 지지판(204)의 각각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가동축(4)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축(4)은 지지판(204)에 대해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기단 측에는 가동판(5)이 연결되며, 이 가동판(5)은 에어 실린더(6)에 연결되고, 이로써, 에어 실린더(6)를 작동시킴에 따라, 작동용 매니폴드(3)를 전후 방향으로 진퇴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0045] 여기서, 도 3은 상기 작동용 매니폴드(3)를 이면(裏面)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고, 또한 도 4는 상기 작동용 매니폴드(3)를 좌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부호 301은 작동액 공급 조인트, 302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 및 303은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이다. 즉, 상기 작동용 매니폴드(3)는, 스프레이 건에 작동액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와, 스프레이 건에 공급한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를 가지고 있고, 추가로, 스프레이 건의 니들을 진퇴시키기 위한 니들용 에어를 공급하고 또한 공급한 에어를 빼내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를 가지고 있다.
[0046] 그리고,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는, 작동액 공급관(304)을 통해 작동액 공급수단에 연결되고,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는, 작동액 배출관(305)을 통해 작동액 공급수단에 연결되며, 나아가,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는, 니들용 에어 공급관(306)을 통해 에어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0047]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동액 공급관(304)이나 작동액 배출관(305)에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수단이나, 니들용 에어 공급관(306)에 연결되는 에어 공급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동액 공급수단은, 물 등의 작동액을 저장한 작동액 탱크와, 이 작동액 탱크 내의 작동액을 도료 충전 유닛 측에 공급하는 펌프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또, 에어 공급수단은 컴프레서(compressor) 등의 압축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급한 에어를 빼내는 수단을 가지고 있으면 되며, 나아가 이들 펌프, 컴프레서 등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0048] 그리고, 작동액 공급수단에 있어서의 펌프로서는, 시린지 펌프를 이용하면 되며, 이로써, 작동액을 스프레이 건에 정량(定量)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린지 펌프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컨대, 선단부가 상기 작동액 공급관(304)에 통하는 통 형상의 시린지와, 시린지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있어서의 시린지의 기단 측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 시린지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 상태에서 피스톤을 전진시킴으로써, 시린지 내의 작동액을, 작동용 매니폴드(3)의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에 공급하면 된다.
[0049] 또,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는, 작동액 배출관(305)을 통해 작동액 탱크에 연결하면 되며, 이로써,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액을 작동액 탱크에 되돌릴 수 있게 된다.
[0050] 다음으로, 도면에 있어서 부호 7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이다. 즉, 상기 본체부(2)에 있어서의 바닥부(202)의 하방에는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가 구비되어 있고, 이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는, 바닥부(202)의 하방에 장착된 에어 실린더(8)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8)의 작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51] 또한, 도면에 있어서 부호 701은,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주입하기 위한 도료 충전 조인트이고, 702는, 일단이 도료 용기에 연결된 도료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며, 도료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통해 도료 충전 조인트(701)에 공급하기 위한 도료 받이부이다.
[0052]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는, 본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색을 교체할 때에는,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를 교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으며, 세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색 교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0053] 여기서,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1)에 의해 도료가 충전되는 스프레이 건에 대해 설명하면,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건(1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프레이 건(1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11)은, 스프레이 건 본체와 이 스프레이 건 본체에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수단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4, 15에 있어서 부호 12가 스프레이 건 본체, 13이 도료 공급수단이며, 도료 공급수단(13)의 하부에 스프레이 건 본체(12)가 연결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 본체(12)와 도료 공급수단(13)은, 일체로 되어 있다.
[0054] 우선,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에 대해 설명하면, 도 17은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는, 도료 공급로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으로부터 공급된 도료를 받아들이며, 이 받아들인 도료를 분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55] 즉, 도면에 있어서 부호 14가 도료 공급로이고, 이 도료 공급로(14)는,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으로부터 공급된 도료를 받아들이는 도료 받이구(14a)와, 이 도료 받이구(14a)로부터 받아들인 도료를 작업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도료 분사구(14b)를 가지고 있으며, 도료 받이구(14a)는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측벽 측에서 개구로 되어 있고, 도료 분사구(14b)는,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선단면에서 개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 분사구(14b)는, 스프레이 건(11)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도료 충전 유닛(1)의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에 형성된 도료 충전 조인트(701)에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스프레이 건의 선단에는 캡이 장착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 캡을 벗겨내지 않고,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도료 분사구에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56] 다음으로, 도 17에 있어서 부호 15는, 상기 도료 분사구(14b)를 개폐하기 위한 니들이며, 이 니들(15)은,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즉 진퇴 가능하며, 전진함으로써 상기 도료 분사구(14b)를 폐쇄하고, 후퇴함으로써 상기 도료 분사구(14b)를 개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57] 여기서, 상기 니들을 진퇴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니들(15)은,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에 공급된 에어에 의해 진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로(14)는, 상기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후방 측으로 임의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에,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측벽 방향을 향해 진로를 바꾸어 뻗어나가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측벽에 있어서 도료 받이구(14a)가 개구되어 있다.
[0058] 한편, 상기 니들(15)은, 스프레이 건 본체(12) 내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단 측은 상기 도료 공급로(14) 내에 위치하며, 기단 측은, 스프레이 건 본체(12) 내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로(14) 내부로부터 벗어나 도료 공급로(14)로부터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는, 스프레이 건 본체(12) 내에 앞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피스톤(1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16)은, 스프링(17)에 의해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선단 방향으로 가세(付勢, bias)되며, 이로써 통상적으로는, 상기 니들(15)은, 피스톤(16)과 함께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고, 선단 부분으로 도료 분사구(14b)를 폐쇄하고 있다.
[0059] 다음으로,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내부에는, 피스톤(16)의 스프링 반대 측에 에어 챔버(chamber, 室)(18)가 형성되는 동시에, 기단 측이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측벽에서 개구로 되어 있고 선단 측이 상기 에어 챔버(18)에 연결된, 니들용 에어 공급로(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의 기단 측의 개구에는,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니들용의 에어 반송로(도시 생략)가 연결되며,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으로부터 에어가 공급됨에 따라, 니들용 에어 공급로(19)를 통해 상기 에어 챔버(18) 내에 에어가 공급되어, 피스톤(16)이 스프레이 건 본체(12) 내의 기단 측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니들(15)이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기단 측으로 이동하여, 니들(15)의 선단에 의한 도료 분사구(14b)의 폐쇄가 해제된다.
[0060]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니들용 에어 공급로(19)를 통해 에어 챔버(18)에 에어를 공급하거나, 혹은 공급하고 있는 에어를 빼냄으로써, 니들(15)을 가동하여 도료 분사구(14b)를 개폐할 수가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니들(15)을 가동할 필요는 없으며, 니들(15)을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료 분사구(14b)를 개폐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0061] 다음으로, 도면에 있어서 20 및 21은, 상기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하는 동시에 이 무화된 도료를 임의의 패턴으로 하여 선단 측에 분사하기 위한 분무용 에어 공급로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무용 에어 공급로는, 무화 에어 공급로(20)와 패턴 에어 공급로(21)로 구성되어 있다.
[0062] 우선, 무화 에어 공급로(20)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건 본체(12)에는,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하여 작업물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무화 에어 공급로(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무화 에어 공급로(20)는, 선단부가 상기 도료 분사구(14b)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서 개구로 되어 있으며, 기단 측은,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무화 에어 반송로(도시 생략)에 연통(連通)되고,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무화 에어 반송로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무화 에어 공급로(20)를 통해 도료 분사구(14b)의 주위에 무화 에어가 공급되어,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63] 다음으로, 패턴 에어 공급로(21)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 본체(12)에는, 무화 에어에 의해 무화된 도료의 분출 패턴을 임의의 패턴으로 변경하기 위한 패턴 에어 공급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패턴 에어 공급로(21)는, 선단부는, 상기 무화 에어 공급로(20)의 선단부 개구부보다 외측에서 개구(2101)로 되어 있고, 기단 측은, 상기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패턴 에어 반송로(도시 생략)에 연통되며,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패턴 에어 반송로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면, 패턴 에어 공급로(21)를 통해, 상기 무화 에어 공급로(20)의 선단부 개구부의 주위에 패턴 에어가 공급되어, 무화 에어에 의해 무화된 도료의 분출 패턴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64] 다음으로, 스프레이 건 본체(12)와 함께 스프레이 건(11)을 구성하는 도료 공급수단(13)에 대해 설명하면, 도 14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도료 공급수단(13)은, 매니폴드(23)와, 이 매니폴드(23)에 연결된 케이싱(2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싱(24)은, 내부가 밀폐 상태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도료용 파우치(25)가 수용되어 있다.
[0065] 여기서,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매니폴드(23)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매니폴드(23)는,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도료 토출부(26)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이 도료 토출부(26)는, 도시되지 않은 도료 반송로를 통해,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도료 받이구(14a)에 통해 있다.
[0066] 또, 매니폴드(23)는, 케이싱(24)의 내부에 작동액을 공급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부(27)와, 케이싱(24)의 내부에 공급된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작동액 배출부(28)(도 19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0067] 한편, 상기 도료용 파우치(25)는, 주머니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도료 토출부(26)에 연결된 도료 토출구(吐出口)(3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로써, 도료용 파우치(25) 내의 도료를, 도료 토출부(26) 및 도시되지 않은 도료 반송로, 그리고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도료 받이구(14a)를 통해, 스프레이 건 본체(12)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68] 여기서, 상기 도료용 파우치(25)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도료용 파우치(25)는,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충전된 도료를 토출함으로써 체적이 작아지며, 작아진 상태에서 내부에 도료를 충전함으로써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69] 또한, 여기서 도 18, 19는 상기 케이싱(24)을 제거한 상태의 스프레이 건(1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면에 있어서 29는, 케이싱(24) 내에 공급한 작동액을 케이싱(24)으로부터 배출하여 도료 충전 유닛(1) 측으로 되돌리기 위한 작동액 배출관이고, 이 작동액 배출관(29)은, 하단이 작동액 배출부(28)에 연결되고, 상단은 케이싱(24) 내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에서 개구되어 있다.
[0070] 또, 매니폴드(23)의 측면 측에는, 작동액 공급구(31), 작동액 배출구(32)가 형성되고, 작동액 공급구(31)는, 상기 작동액 공급부(27)에 통해 있으며, 작동액 배출구(32)는, 상기 작동액 배출부(28)에 통해 있다. 그리고,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작동액 공급구(31)는 도료 충전 유닛(1)에 있어서의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에 연결되고, 작동액 배출구(32)는, 도료 충전 유닛(1)에 있어서의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71]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료용 파우치(25)에 도료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액 배출부(28)로부터 작동액이 배출될 수 없도록 하고, 작동액 공급구(31)를 통해 작동액 공급부(27)로부터 케이싱(24) 내부로 작동액을 공급해 가면, 작동액에 의해 도료용 파우치(25)가 압박된다. 그렇게 되면, 도료용 파우치(25)는, 작동액에 의해 압박됨에 따라 작아지는 동시에, 이에 따라 도료용 파우치(25) 내의 도료는, 도료 토출구(30)로부터 도료 토출부(26)로 토출되며, 나아가, 매니폴드 내의 도료 반송로(도시 생략)를 통해,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도료 받이구(14a)로부터, 스프레이 건 본체(12)로 공급된다.
[0072] 한편, 작동액 배출부(28)로부터 작동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액 공급부(27)로부터 케이싱(24) 내부로 작동액을 공급해가면, 케이싱(24) 내부가 작동액으로 충전된 후에, 케이싱(24) 내에 공급되어 있는 작동액은, 케이싱(24) 내의 상단에 개구되어 있는 작동액 배출관(29), 작동액 배출부(28) 및 작동액 배출구(32)로부터 케이싱(24)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로써, 케이싱(24)을 통해, 작동액을 되돌릴 수 있는 동시에, 작동액 배출관의 상단이 케이싱(24) 내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에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액을 되돌리는 과정에서, 케이싱(24) 내의 에어를 빼내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0073] 또한, 매니폴드(23)의 측면에는, 무화 에어 공급구(33a), 패턴 에어 공급구(33b) 및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무화 에어 공급구(33a), 패턴 에어 공급구(33b) 및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는, 도료 공급수단(13)에 형성된 무화 에어 반송로, 패턴 에어 반송로, 니들 가동용의 에어 반송로(모두 도시 생략)에 통해 있는 동시에,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들 무화 에어 반송로, 패턴 에어 반송로, 니들 가동용의 에어 반송로는 각각, 스프레이 건 본체(12)에 형성된 무화 에어 공급로(20), 및 패턴 에어 공급로(21),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에 통해 있다.
[0074] 이 때문에, 무화 에어 공급구(33a), 패턴 에어 공급구(33b) 및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의 각각으로부터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스프레이 건 본체(12)에 형성된 무화 에어 공급로(20), 및 패턴 에어 공급로(21),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니들(15)을 가동하여 도료 분사구(14b)를 개방하는 동시에, 도료 공급로(14)에 공급된 도료를, 임의의 패턴으로 무화하여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분사할 수가 있다.
[0075] 또한, 도 15, 18 및 19에 있어서 34는, 스프레이 건(11)을 도료 충전 유닛에 연결할 때에 사용하는 걸림고정 홈부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 충전 유닛(1)의 지지판(204)에 형성된 걸림고정 돌기(205)가 삽입되는 걸림고정 홈부(34)가 매니폴드(23)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고정 홈부(34) 내에 걸림고정 돌기(205)를 삽입함으로써, 도료 충전 유닛(1)에 스프레이 건(11)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76] 또,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는, 스프레이 건(11)에 도료를 충전할 때에는, 도료 충전 유닛(1)의 작동용 매니폴드(3)에 형성된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에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0077]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레이 건(11)에 도료를 충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1)을 이용해 위에서 기술한 스프레이 건(11)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우선, 작동액 공급구(31)에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를 연결하고, 작동액 배출구(32)에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를 연결하며,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에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를 연결하고, 나아가, 도료 분사구(14b)에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연결하여, 스프레이 건(11)을 도료 충전 유닛(1)에 연결한다.
[0078]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레이 건(11)을 도료 충전 유닛(1)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우선, 도료 충전 유닛(1)의 지지판(204)에 형성된 걸림고정 돌기(205)가 스프레이 건(11)의 걸림고정 홈부(34)에 삽입되도록 하여, 도료 충전 유닛(1)에 스프레이 건(11)을 재치(載置)한다. 이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5 및 도 6이며, 도 5는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좌측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이 재치함으로써, 스프레이 건(11)이 도료 충전 유닛에 설치되게 된다.
[0079]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는, 스프레이 건(11)의 매니폴드(23)에 형성된 작동액 공급구(31)와 도료 충전 유닛(1)의 작동용 매니폴드(3)에 구비된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 스프레이 건(11)의 매니폴드(23)에 형성된 작동액 배출구(32)와 도료 충전 유닛(1)의 작동용 매니폴드(3)에 구비된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 및, 스프레이 건(11)의 매니폴드(23)에 형성된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와 도료 충전 유닛(1)의 작동용 매니폴드(3)에 구비된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는 각각,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으며, 나아가, 스프레이 건(11)의 도료 분사구(14b)와 도료 충전 유닛(1)의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에 구비된 도료 충전 조인트(701)도 또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0080] 다음으로, 작동용 매니폴드(3)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6)를 작동시켜 작동용 매니폴드(3)를 후퇴시키고, 나아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6)를 작동시켜 작동용 매니폴드(3)를 전진시킨다. 그렇게 하면,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가 작동액 공급구(31)와 연결되고,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가 작동액 배출구(32)와 연결되며,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가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와 연결되고, 나아가, 도료 충전 조인트(701)가 스프레이 건(11)의 도료 분사구(14b)와 연결되며, 이로써, 도료 충전 유닛(1)과 스프레이 건(11) 간의 연결이 완료되어, 스프레이 건(11)에 대한 도료의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7 및 도 8이며, 도 7은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좌측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0081]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이동시켜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스프레이 건(11)의 도료 분사구(14b)에 연결할 때는, 스프레이 건 선단의 캡을 벗기는 일 없이, 도료 분사구(14b)에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스프레이 건의 캡을 벗기지 않고 도료의 충전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이 달성된다.
[0082] 다음으로,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동액 배출부(28)로부터 작동액이 배출될 수 없도록 하고,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로부터 작동액 공급구(31)로 작동액을 공급하며, 이로써,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다. 그리고 이때, 케이싱(24) 내에 에어가 들어갔을 경우에는, 작동액 배출부(28)로부터 작동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액 공급부(27)로부터 케이싱(24) 내부로 작동액을 공급해 간다. 그렇게 하면, 케이싱(24) 내부가 작동액으로 충전된 후에, 케이싱(24) 내에 공급되어 있는 작동액은, 케이싱(24) 내의 상단에 개구되어 있는 작동액 배출관(29), 작동액 배출부(28) 및 작동액 배출구(32)로부터 케이싱(24)의 외부로 배출되어, 케이싱(24)을 통해, 작동액을 되돌릴 수 있는 동시에, 작동액 배출관의 상단이 케이싱(24) 내에 있어서의 상단 부분에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액을 되돌리는 과정에서, 케이싱(24) 내의 에어를 빼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0083] 다음으로,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 혹은, 상기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이 충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로부터 작동액 공급구(31)로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 후에는, 케이싱(24) 내의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24)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한다. 그렇게 하면, 도료 용기 내의 도료는, 케이싱(24) 내부가 부압이기 때문에, 일단이 도료 용기에 연결된 도료 호스를 통해, 도료 충전 조인트(701)로부터 스프레이 건(11)의 도료 분사구(14b) 측에 흡인된다. 그리고 이로써, 흡인된 도료는, 스프레이 건 본체의 도료 공급로(14), 매니폴드 내의 도료 반송로(도시 생략)를 역류하며, 도료 토출부(26)로부터 도료 토출구(30)로 유입되어, 도료용 파우치(25) 내에 충전되어 간다.
[0084] 또한, 케이싱(24) 내의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24) 내부를 부압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와 함께,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로부터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로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에 에어를 공급하며, 니들(15)을 후퇴시켜 도료 분사구(14b)를 개방해 둔다.
[0085] 또, 케이싱(24)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펌프 등을 이용하여, 작동액 배출관(305)을 통해 작동액을 작동액 탱크로 되돌리면 된다.
[0086]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에서는, 스프레이 건과 연결하는 것만으로, 스프레이 건의 도료용 파우치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도료를 충전할 때마다 작동액 공급용 호스, 작동액 배출용 호스, 니들용 에어 호스를 스프레이 건에 연결할 필요가 없어, 도료의 충전 작업이 용이하며, 도료 충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0087] 그리고 이때,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유닛에서는, 스프레이 건을 지지한 상태에서, 작동용 매니폴드(3)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진퇴시키는 것만으로, 스프레이 건의 연결 및 연결의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도료의 충전 작업이 더 용이하다.
[0088]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유닛(1)을 구비한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는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는, 2개의 도료 충전 유닛을 가지고 있고, 이로써, 2개의 스프레이 건에 동시에 도료를 충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89] 즉,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는, 부착 베이스(42) 상에 3개의 하측 프레임(43)이 구비되어 있고, 양단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43)의 후방 측의 상부에는 각각, 상측 프레임(4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로써 본체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측 프레임(43)은 각각, 한 쌍의 세로틀용 프레임재(43a)와 이 세로틀용 프레임재(43a)의 상단을 연결한 가로틀용 프레임재(43b)를 구비한 게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측 프레임(44)도 또한, 세로틀용 프레임재(44a)와 이 세로틀용 프레임재(44a)의 상단을 연결한 가로틀용 프레임재(44b)를 구비한 게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프레임(43) 사이에 도료 충전 유닛(1)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측 프레임(44) 사이에는 용기 케이스(45)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용기 케이스(45) 내에는 2개의 도료 용기(46)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90] 여기서, 상기 도료 충전 유닛(1)의 장착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단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43)에 유닛 유지부재(47)가 장착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43)에는 2개의 유닛용 모터(4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유지부재(47)에 연결축(203)의 일방(一方)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닛용 모터(48)에는, 연결축(203)의 타방(他方)이 연결되며, 이로써, 유닛용 모터(48)를 구동함으로써, 도료 충전 유닛(1)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시계 방향 혹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닛용 모터(48)는 로터리 에어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다.
[0091] 다음으로, 도면에 있어서 49는, 용기 케이스(45)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케이스 유지부재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양단에 위치하는 상측 프레임의 일방 측에는 케이스 유지부재(49)가 구비되어 있으며, 양단에 위치하는 상측 프레임의 타방 측에는 케이스용 모터(50)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용기 케이스(45)는, 도료 용기(46)가 수용되는 상자 형상의 케이스 본체(45a)와, 이 케이스 본체(45a)의 양측에 외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회동축(45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회동축(45b)의 일방은 케이스 유지부재(49)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동축(45b)의 타방은 케이스용 모터(5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써, 케이스용 모터(50)를 구동함에 따라, 용기 케이스(45)를, 상하 방향으로, 즉,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시계 방향 혹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92] 다음으로, 도 9에 있어서 52는 고정 핀이며, 이 고정 핀(52)은, 도시되지 않은 에어 실린더에 연결되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료 용기(46)를 용기 케이스(45) 내에 수용한 후에 용기 케이스(45) 측에 고정 핀(52)을 밀어 넣음으로써, 도료 용기(46)의 측벽에 형성된 핀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며, 이로써 도료 용기(46)를 용기 케이스(45) 내에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93]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용 모터(50)는 방폭(防爆) 사양의 서보 모터로 되어 있으며, 전후 방향으로 축이 향하는 것과 같은 배치로 되어 있는 동시에, 기어(51)를 통해 상기 회동축(45b)에 연결되며, 이로써, 회전 방향을 90도 변경함으로써, 회동축(45b)을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0094]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41)를 이용해 스프레이 건(11)에 도료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도료 충전 유닛(1)에 스프레이 건(11)을 연결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용기 케이스(45) 내에 도료 용기(46)를 수용한 후에 용기 케이스(45) 측에 고정 핀(52)을 밀어 넣음으로써 도료 용기(46)를 용기 케이스(45) 내에 유지하며, 나아가, 도료 용기(46)에 연결된 도료 토출부(53)와,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의 도료 받이부(702)를 도료 호스(54)로 연결한다. 이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 도 11이다.
[0095] 다음으로, 유닛용 모터(48)를 구동하여 도료 충전 유닛(1)을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동시켜 스프레이 건(11)을 상하 반전시킴으로써, 스프레이 건 본체(12)가 상방이 되고, 도료용 파우치(25)가 하방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4) 내의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24)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도료용 파우치(25) 내에 도료를 충전해 간다. 도료 충전 유닛(1)을 상하 반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 도 12이다.
[0096] 한편, 스프레이 건(11)에 대한 도료의 충전을 하지 않고 있을 때나, 스프레이 건(11)을 연결한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있을 때에는, 케이스용 모터(50)를 구동하여, 용기 케이스(45)의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을 계속 행함으로써,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이 도료 용기(46) 내의 바닥부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 도 13이다.
[0097] 또,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스프레이 건을 장착한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있을 때에는, 케이싱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충전하는 것과,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를 도료 용기 내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의 침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0098]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도료 충전 유닛의 상방에 용기 케이스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도료 용기와 도료 충전 유닛을 도료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도료를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도료를 스프레이 건에 충전할 수가 있다.
[0099] 또, 도료 충전 유닛이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도료 파우치 측을 하측으로 함으로써, 도료의 충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0100] 나아가, 용기 케이스가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 케이스를 회동시킴으로써,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교반할 수 있어,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이 용기의 바닥에 침전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0101] 더 나아가, 스프레이 건을 장착한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있을 때에, 케이싱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 내부를 부압으로 하여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를 통해 도료용 파우치 내에 유입시켜 충전하는 것과, 케이싱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를 도료 용기 내에 되돌리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도료 파우치 내의 도료에 포함되는 펄이나 메탈릭의 침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0102] 또한, 위에서 기술한 설명에서는, 3개의 하측 프레임(43)을 구비하고, 2개의 도료 충전 유닛(1)을 장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장착하는 도료 충전 유닛(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이어도 되고, 혹은 1개여도 된다. 또, 용기 케이스(45)는 도료 충전 유닛(1)의 개수에 대응시켜 2개의 도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2개의 도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는 없다.
[0103] 나아가, 위에서 기술한 설명에서는, 하측 프레임(43)과 상측 프레임으로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하측 프레임(43) 사이에 도료 충전 유닛(1)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하며, 상측 프레임(44) 사이에 용기 케이스(45)를 회동 가능하게 구비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하측 프레임(43)과 상측 프레임으로 본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하측 프레임(43) 사이에 도료 충전 유닛(1)을 구비하며, 상측 프레임(44) 사이에 용기 케이스(45)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의 도료 충전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 본체 프레임 사이에 도료 충전 유닛을 구비하는 동시에, 도료 충전 유닛이 연결된 장소보다 상방 측에 용기 케이스(45)가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0104] 본 발명의 도료 충전용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도료 충전 장치는, 도료 공급수단을 일체로 구비한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충전하는 유닛 및 장치의 전반(全般)에 적용 가능하다.
[0105] 1; 도료 충전 유닛
2; 본체부
201; 측벽
202; 바닥부
203; 연결축
204; 지지판
205; 걸림고정 돌기
3; 작동용 매니폴드
301; 작동액 공급 조인트
302; 작동액 배출 조인트
303;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
304; 작동액 공급관
305; 작동액 배출관
306; 니들용 에어 공급관
4; 가동축
5; 가동판
6; 에어 실린더
7;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
701; 도료 충전 조인트
702; 도료 받이부
8; 에어 실린더
11; 스프레이 건
12; 스프레이 건 본체
13; 도료 공급수단
14; 도료 공급로
14a; 도료 받이구
14b; 도료 분사구
15; 니들
16; 피스톤
17; 스프링
18; 에어 챔버
19; 니들용 에어 공급로
20; 무화(霧化) 에어 공급로
21; 패턴 에어 공급로
23; 매니폴드
24; 케이싱
25; 도료용 파우치
26; 도료 토출부
27; 작동액 공급부
28; 작동액 배출부
29; 작동액 배출관
30; 도료 토출구
31; 작동액 공급구
32; 작동액 배출구
33a; 무화 에어 공급구
33b; 패턴 에어 공급구
33c; 니들용 에어 공급구
34; 걸림고정 홈부
41; 도료 충전 장치
42; 부착 베이스
43; 하측 프레임
44; 상측 프레임
45; 용기 케이스
45a; 케이스 본체
45b; 회동축
46; 도료 용기
47; 유닛 유지부재
48; 유닛용 모터
49; 케이스 유지부재
50; 케이스용 모터
51; 기어
52; 고정 핀
53; 도료 토출부
54; 도료 호스

Claims (7)

  1. 도료 받이구(受入口)(14a)와 도료 받이구(14a)로부터 받아들인 도료를 작업물(workpiece)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도료 분사구(14b)를 갖는 도료 공급로(14)와, 진퇴 동작에 의해 상기 도료 분사구(14b)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니들(needle, 15)과, 에어에 의해 니들(15)을 진퇴시키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와, 선단이 상기 도료 분사구(14b) 주위의 임의의 장소에서 개구되며, 도료 분사구(14b)의 주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도료 분사구(14b)로부터 토출된 도료를 무화(霧化, 안개화)하는 동시에 이 무화된 도료를 임의의 패턴으로 하여 선단 측에 분사하기 위한 분무용 에어 공급로(20, 21)를 구비한 스프레이 건 본체(12)와,
    상기 도료 받이구(14a)에 통하는 도료 토출부(26)를 갖는 매니폴드(manifold, 23)와, 상기 매니폴드(23)에 연결된 케이싱(24)과, 상기 케이싱(24)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도료 토출부(26)에 연결된 도료 토출구(30)를 가지며, 내부에 도료가 충전되는 주머니 형상의 도료용 파우치(25)를 구비하고, 상기 매니폴드(23)는, 작동액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액을 케이싱(24) 내에 주입하기 위한 작동액 공급구(供給口)(31)와, 케이싱(24) 내에 주입된 작동액을 작동액 공급수단으로 되돌리기 위한 작동액 배출구(排出口)(32)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니들용 에어 공급로(19)에 공급하기 위한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와, 에어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스프레이 건 본체(12)의 분무용 에어 공급로(20, 21)에 공급하기 위한 분무용 에어 공급구(33a, 33b)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액 공급구(31)를 통해 상기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을 공급함으로써, 도료용 파우치(25)를 압박하여, 도료용 파우치(25) 내의 도료를 도료 토출부(26)로부터 토출하여 상기 도료 받이구(14a)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도료 공급수단(13)을 일체로 갖는 스프레이 건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파우치(25) 내에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 충전 유닛으로서,
    스프레이 건(11)을 지지하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에 장착된 작동용 매니폴드(3)와, 상기 본체부(2)에 장착된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가지며,
    상기 작동용 매니폴드(3)는,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작동액 공급구(31)가 연결되는 작동액 공급 조인트(joint)(301)와,
    기단 측에 작동액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작동액 배출구(32)가 연결되는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와,
    기단 측에 에어 공급수단이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가 연결되는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를 구비하며,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는,
    기단 측에 도료 용기가 연결되고, 타단 측에 상기 도료 분사구(14b)가 연결되는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액 공급구(31)에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액 배출구(32)에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를 연결하며,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에 상기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를 연결하고, 상기 도료 분사구(14b)에 도료 충전 조인트(701)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싱(24) 내에 작동액을 충전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24) 내에 공급된 작동액을 상기 작동액 공급수단 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케이싱(24)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하며, 이로써, 도료 용기 내의 도료를, 스프레이 건 본체(12)를 통해 상기 도료용 파우치(25) 내에 유입시켜 도료의 충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용 매니폴드(3)는, 본체부(2)에 진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본체부(2)에 스프레이 건(11)을 지지한 상태에서 작동용 매니폴드(3)를 진퇴시킴으로써, 작동액 공급 조인트(301)와 작동액 공급구(31)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 작동액 배출 조인트(302)와 작동액 배출구(32)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 및 니들용 에어 공급 조인트(303)와 니들용 에어 공급구(33c)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는, 본체부(2)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부(2)에 스프레이 건(11)을 지지한 상태에서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를 진퇴시킴으로써, 도료 충전 조인트(701)와 도료 분사구(14b)의 연결 또는 연결의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충전용 매니폴드(7)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부(2)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료 충전 유닛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로서,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도료 충전 유닛(1)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도료 충전 유닛(1)이 연결된 장소보다 상방 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도료 용기를 장착할 수 있는 용기 케이스(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충전 유닛(1)을 로터리 에어 실린더로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케이스(45)를 방폭(防爆) 사양의 서보 모터로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충전 장치.
KR1020190072722A 2018-11-26 2019-06-19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KR102533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0464 2018-11-26
JP2018220464A JP7150576B2 (ja) 2018-11-26 2018-11-26 塗料充填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塗料充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013A true KR20200062013A (ko) 2020-06-03
KR102533672B1 KR102533672B1 (ko) 2023-05-16

Family

ID=70828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22A KR102533672B1 (ko) 2018-11-26 2019-06-19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50576B2 (ko)
KR (1) KR102533672B1 (ko)
CN (1) CN111215263B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8073B2 (ko) 1982-05-25 198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KR100482609B1 (ko) * 2003-07-04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러 도포 시스템용 실러 건
JP2005296750A (ja) 2004-04-08 2005-10-27 Trinity Ind Corp 塗布機
JP2006347606A (ja) 2005-06-17 2006-12-28 Toyota Motor Corp 塗料タンク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7021452A (ja) 2005-07-21 2007-02-01 Ransburg Ind Kk 塗装機及びこれに組み込まれる塗料カートリッジ
JP2007319728A (ja) 2006-05-30 2007-12-13 Trinity Ind Corp 塗装システム
JP2008212857A (ja) 2007-03-06 2008-09-18 Trinity Ind Corp 塗装機
JP4398662B2 (ja) 2003-03-28 2010-01-13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
KR20100063741A (ko) * 2007-08-31 2010-06-1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충전 장치
KR20140056000A (ko) * 2012-10-31 2014-05-09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레이 건
JP2015123433A (ja) * 2013-12-27 2015-07-06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用シリンジガン及びそのシリンジガンを用いた塗装用シリンジガンシステム、塗装用シリンジガンへの塗料充填方法
KR20160140068A (ko) * 2015-05-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라이머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도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040B2 (ja) * 1996-02-29 2002-01-07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静電塗装機
JP4709585B2 (ja) * 2005-06-09 2011-06-22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布材充填方法及び装置
JP2006341199A (ja) * 2005-06-09 2006-12-21 Trinity Ind Corp 塗布機
JP4749141B2 (ja) * 2005-12-07 2011-08-17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システム
JP2008023456A (ja) * 2006-07-21 2008-02-07 Trinity Ind Corp 塗装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塗装用作動液
US8157190B2 (en) * 2007-02-08 2012-04-17 Abb K.K. Air atomizing type coating apparatus
JP2010022889A (ja) * 2008-07-15 2010-02-04 Ransburg Ind Kk ニードルが移動可能なスプレー装置
JP4812871B2 (ja) * 2009-10-21 2011-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塗料充填装置
JP6293626B2 (ja) * 2014-09-19 2018-03-14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JP6531939B2 (ja) * 2015-04-09 2019-06-1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自動スプレーガン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8073B2 (ko) 1982-05-25 198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JP4398662B2 (ja) 2003-03-28 2010-01-13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
KR100482609B1 (ko) * 2003-07-04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러 도포 시스템용 실러 건
JP2005296750A (ja) 2004-04-08 2005-10-27 Trinity Ind Corp 塗布機
JP2006347606A (ja) 2005-06-17 2006-12-28 Toyota Motor Corp 塗料タンク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07021452A (ja) 2005-07-21 2007-02-01 Ransburg Ind Kk 塗装機及びこれに組み込まれる塗料カートリッジ
JP2007319728A (ja) 2006-05-30 2007-12-13 Trinity Ind Corp 塗装システム
JP2008212857A (ja) 2007-03-06 2008-09-18 Trinity Ind Corp 塗装機
KR20100063741A (ko) * 2007-08-31 2010-06-1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충전 장치
KR20140056000A (ko) * 2012-10-31 2014-05-09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스프레이 건
JP2015123433A (ja) * 2013-12-27 2015-07-06 タクボ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塗装用シリンジガン及びそのシリンジガンを用いた塗装用シリンジガンシステム、塗装用シリンジガンへの塗料充填方法
KR20160140068A (ko) * 2015-05-29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라이머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15263B (zh) 2022-08-09
CN111215263A (zh) 2020-06-02
JP7150576B2 (ja) 2022-10-11
KR102533672B1 (ko) 2023-05-16
JP2020081971A (ja)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432B2 (en) Electrostatic atomizer and its cleaning method
US6742722B2 (en) Cartridge type coating system
EP0967016A1 (en) Rotary atomizing head type coating device
JP2001518010A (ja) 塗料を自動スプレイ塗布するための装置
JP4121804B2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JP6158073B2 (ja) 塗装用シリンジガン及びそのシリンジガンを用いた塗装用シリンジガンシステム、塗装用シリンジガンへの塗料充填方法
KR20200062013A (ko)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JP6794550B2 (ja) 塗装システム及び塗装方法
JP6293626B2 (ja) 塗装方法及び塗装装置
JP2013013866A (ja) 塗料供給システム及び塗料供給方法
CN111167637B (zh) 涂装用喷枪装置
JP4759320B2 (ja) 塗布機
JP4230811B2 (ja) 塗装に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塗料カートリッジの搬送方法
JP7109338B2 (ja) 塗装システム
WO2022220091A1 (ja) 塗装装置、カートリッジ、塗装ガン本体及び混合液の噴射方法
JP5467798B2 (ja) 塗料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洗浄方法
WO2014193053A1 (ko) 다용도 분사장치
JP4398662B2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CN216038621U (zh) 一种油漆灌装设备
US20240157380A1 (en) Coating device, cartridge, coating gun body, and method of ejecting mixture
JP2010274248A (ja) 塗装システム
JPH04200675A (ja) ロボツトを用いた塗装方法
JP2023034035A (ja) 塗装方法
JP2018047394A (ja) 塗装システム
KR20020070230A (ko) 멀티 코팅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