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000A - 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000A
KR20140056000A KR1020130126406A KR20130126406A KR20140056000A KR 20140056000 A KR20140056000 A KR 20140056000A KR 1020130126406 A KR1020130126406 A KR 1020130126406A KR 20130126406 A KR20130126406 A KR 20130126406A KR 20140056000 A KR20140056000 A KR 2014005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manifold
flow path
gun
gu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요시 모리타
아츠시 모로호시
Original Assignee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네스토 이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7/1209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means for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manual and interdepen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05B7/24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an atomising fluid as carrying fl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or pressure,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characterised by the container or its attachment means to the spray apparatu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과제)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 매니폴드 내에 도료를 순환시킨 상태로,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매니폴드(20)와, 매니폴드(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 본체(40)로 이루어지며, 매니폴드(20)에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를 구비하는 스프레이 건(10)으로서,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를 통과하여 스프레이 건(10) 내에 도료가 순환되는 제1 유로(29A)와, 제1 유로(29A)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 본체(40)로부터 도료류를 분사시키는 제2 유로(20B)로 이루어지는 도료 유로(29)와,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와 건 본체(4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건{SPRAY GUN}
본 발명은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니폴드와, 이 매니폴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gun) 본체를 구비하는 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장 로봇 등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자동 스프레이 건은, 매니폴드와, 이 매니폴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 본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건 본체는, 그 총신의 선단에 도료류(塗料流)를 분출하는 도료 노즐과, 이 도료 노즐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적어도, 그 내주면과 상기 선단부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류를 분사시키는 환상의 슬릿을 규정하는 공기 캡을 구비하고, 상기 도료류와 상기 공기류를 대기 중에서 혼합시켜 무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건 본체는, 도료 노즐로부터 분출시키는 도료류의 ON/OFF의 제어를 에어(작동 에어)의 공급에 의해 행할 수 있는 도료 밸브 개폐 기구를 내장시키고 있다.
매니폴드는, 도료 공급구, 공기 공급구를 구비하고, 이들 각 공급구에 각각 접속되는 매니폴드 내의 유로, 이들 유로에 연락되는 건 본체 내의 유로를 통과하여, 각각, 도료 노즐로의 도료 공급, 공기 캡으로의 공기 공급, 및 도료 밸브 개폐 기구로의 에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매니폴드는, 각각의 공급구에 호스가 부착된 상태로 도장 로봇 등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건 본체는, 매니폴드에 대해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매니폴드와 독립적으로 세정, 분해, 조립, 부품 교환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레이 건 내에 형성되는 도료 유로는, 도료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도료를 그 스프레이 건 내에 순환시켜 매니폴드에 형성한 도료 배출구로 되돌리는 제1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그 제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도료 노즐을 통과하여 도료류를 분사시키는 제2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와 같이 순환 경로가 되는 제1 유로를 형성한 것은, 도료로서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안료나 골재 등이 이용되는 경우, 그 안료나 골재 등이 침전되어 유로에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또 고의장성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 의장성 마무리의 불균일을 회피하기 위해, 제1 유로 내에 있어서 도료를 항상 순환시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3-340322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10-39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서술한 스프레이 건은, 건 본체를 매니폴드와 독립적으로 세정할 때에, 그 매니폴드로의 도료 공급을 정지시킨 상태로, 그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이탈시킬 필요가 생긴다. 도료 공급을 정지하지 않으면 건 본체가 매니폴드로부터 분출되는 도료에 의해 더럽혀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 경우, 도료 공급을 정지시킨 시간만큼, 안료나 골재가 유로 내에서 침전된다는 문제가 생기거나, 매니폴드로의 도료 공급을 정지시키는 펌프 등이 스프레이 건보다 멀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작업이 번잡해져 버린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하나의 펌프로 복수의 스프레이 건에 도료를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펌프의 정지를 행하는 경우에, 세정을 행할 예정이 없는 스프레이 건에까지 도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 매니폴드 내에 도료를 순환시킨 상태로,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니폴드와, 그 매니폴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 본체로 이루어지며, 그 스프레이 건 내에 도료를 순환시키는 도료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 그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와 그 건 본체측에 형성되며 상기 도료 유로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차단 기구로서는, 수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해도, 건 본체가 매니폴드로부터 이탈될 때에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는 경우, 차단 기구에 의해, 도료의 순환은 매니폴드 내에서만 행하게 할 수 있어, 그 도료가 매니폴드로부터 분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 매니폴드 내에 도료를 순환시킨 상태로,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파악된다.
(1)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니폴드에 도료 공급구와 도료 배출구를 구비하는 스프레이 건으로서, 상기 도료 공급구와 상기 도료 배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스프레이 건 내에 도료가 순환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 본체로부터 도료류를 분사시키는 제2 유로로 이루어지는 도료 유로와,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상기 도료 유로와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된 상기 도료 유로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매니폴드측으로부터 상기 건 본체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차단 기구는,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의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되는 도료 유로로의 연락구에 형성된 밸브 시트 및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한 개폐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와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5)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 나사식 결합되어 선단에 상기 밸브가 부착된 축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한 개폐는, 상기 축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4)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 대해 상기 건 본체가 이탈하고 있는 경우, 상기 밸브체는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도료 유로를 닫고, 상기 매니폴드에 대해 상기 건 본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건 본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탄성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밸브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료 유로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은,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건 본체에는, 상기 제2 유로의 상기 제1 유로의 근방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 공급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프레이 건에 의하면, 펌프 등을 정지시키지 않고 매니폴드 내에 도료를 순환시킨 상태로, 건 본체를 매니폴드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이며 매니폴드로부터 건 본체를 이탈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실시 형태 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실시 형태 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실시 형태 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실시 형태 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공기 밸브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설명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 형태 1)
도 1(a), (b)는,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외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a)는 그 스프레이 건(10)을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그 스프레이 건(10)을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우선,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레이 건(10)은, 매니폴드(20)와 그 매니폴드(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 본체(40)로 구성되어 있다. 매니폴드(20)는, 예를 들어 도장 로봇 등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
건 본체(4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총신의 선단에 도료류를 분출하는 도료 노즐(41)이 부착되고, 이 도료 노즐(41)의 선단부를 둘러싸도록 하여 공기 캡(42)이 구비되어 있다. 공기 캡(42)의 내주면과 도료 노즐(41)의 선단부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류(空氣流)를 분사시키는 환상 슬릿(42A)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료 노즐(41)로부터의 도료류는 그 환상 슬릿(42A)으로부터의 공기류에 의해 무화되게 되어 있다. 또, 공기 캡(42)의 전방면에는 도료 노즐(41)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의 각부(角部)(43)가 형성되고, 이들 각부(43)에는 공기 구멍(도시하지 않음:도 3(a)에서 부호 43'로 나타낸다)이 설치되며, 그 도료 노즐(41)로부터의 도료류에 교차하도록 하여 공기가 분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료 노즐(41)로부터의 도료류는 예를 들어 타원형의 스프레이 패턴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매니폴드(20)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를 구비하고, 그 도료 공급구(21)에 공급한 도료를 도료 노즐(41)로 유도함과 함께, 예를 들어 매니폴드(20) 내를 순환시킨 후에 도료 배출구(22)로 배출시키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료로서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안료나 골재 등이 이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매니폴드 내의 유로에 그 안료나 골재 등이 침전되어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매니폴드(20)에는, 도료 노즐(41)로부터의 도료의 분출을 ON/OFF시키는 작동 에어를 공급하는 작동 에어 공급구(23), 상기 환상 슬릿(42A)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무화 에어 공급구(24), 및 각부의 공기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패턴 에어 공급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 본체(40)의 후부에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44)가 부착되고, 이 노브(44)를 회동시킴으로써, 도료 노즐(41)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의 양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매니폴드(20)에 대한 건 본체(40)의 장착은 그 매니폴드(20)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건 본체(40)에 나사식 결합되는 예를 들어 볼트(27)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볼트(27)를 건 본체(40)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매니폴드(20)로부터 건 본체(40)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2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20)의 건 본체(40)와의 맞닿음면에는, 상기 볼트(27)의 삽입 구멍(28) 외에, 매니폴드(20)의 도료 공급구(21)로부터 공급된 도료가 건 본체(40)측으로 유도되는 도료 유로(29), 매니폴드(20)의 공기(에어)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공기(에어)가 건 본체(40)측으로 유도되는 에어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a), 도 2에는, 도 1(b)에 나타낸 도료 공급구(21), 도료 배출구(22), 작동 에어 공급구(23) 등에 호스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도 1(a)의 III(a)-III(a)선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3(b)는, 도 3(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a)에 나타내는 매니폴드(20)에 형성된 작동 에어 공급구(23), 무화 에어 공급구(24), 및 패턴 에어 공급구(25)는, 그 기능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b)에 나타낸 배치와는 다르게 하여 그리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건 본체(40)의 선단의 중심에 있어서 그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도료 노즐(41)이 있으며, 이 도료 노즐(41)의 후단은 건 본체(40) 내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에 접속되어 있다. 그 도료 유로(29)는 매니폴드(20) 내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에 연통되며, 그 도료 유로(29)는 매니폴드(20)의 도료 공급구(21)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료 공급구(21)로부터 공급된 도료는 매니폴드(20) 내의 도료 유로(29), 건 본체(40) 내의 도료 유로(29)를 통과하여 도료 노즐(41)에 도입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료 유로(29)는, 매니폴드(20) 내에 있어서,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를 연통시켜 도료를 순환시키는 경로가 되는 제1 유로(29A)와, 이 제1 유로(29A)로부터 분기시켜 매니폴드(20)측으로부터 건 본체(40)측에 이르고 도료 노즐(41)에 이르는 제2 유로(29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는, 매니폴드(20) 내에 있어서,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는 제1 유로(29A)를 통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료 유로(29)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유로(29A) 내에 도료를 항상 순환시킬 수 있어, 도료로서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안료나 골재 등이 이용되는 경우, 그 안료나 골재 등이 침전되어 유로에 막힘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고의장성 도료를 사용한 경우, 의장성 마무리의 불균일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료 노즐(41)은, 그 도료 노즐(41)과 동축에 니들 밸브(45)가 내장되고, 이 니들 밸브(45)의 후단은 도료 밸브 개폐 기구(47)에 연결되어 있다. 도료 밸브 개폐 기구(47)는, 작동 에어 공급구(23)로부터의 에어 공급에 의해,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도료 노즐(41)의 선단측에 탄성 가압되어 있던 니들 밸브(45)를 그 도료 밸브 개폐 기구(47)측으로 시프트시키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 니들 밸브(45)에 의해 막혀져 있던 도료 노즐(41)의 선단이 개구되어, 도료 노즐(41) 내의 도료가 도료 노즐(41)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료 노즐(41)로부터의 도료의 분출에 수반하여, 그 도료 노즐(41)과 공기 캡(42) 사이의 환상 슬릿(42A)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매니폴드(20)측의 무화 에어 공급구(24)에 연결되는 무화 에어 유로(24A), 이 무화 에어 유로(24A)에 연통되는 건 본체(40)측의 무화 에어 유로(24A')를 통하여 도입되게 되어 있다. 또, 공기 캡(42)의 각부(43)의 공기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에어는, 매니폴드(20)측의 패턴 에어 공급구(25)에 연결되는 패턴 에어 유로(25A), 이 패턴 에어 유로(25A)에 연통되는 건 본체(40)측의 패턴 에어 유로(25A')를 통하여 도입되게 되어 있다. 또, 도료 밸브 개폐 기구(47)에 공급되는 에어는, 매니폴드(20)측의 작동 에어 공급구(23)에 연결되는 작동 에어 유로(23A), 이 작동 에어 유로(23A)에 연통되는 건 본체(40)측의 작동 에어 유로(23A')를 통하여 도입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레이 건(10)에 있어서, 매니폴드(20) 내의 도료 유로(29)와 건 본체 내의 도료 유로(29)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5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차단 기구(50)는, 예를 들어 매니폴드(20)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매니폴드(20) 내에 형성되는 제1 유로(29A)로부터 분기되어, 건 본체(40)와 맞닿는 매니폴드(20)의 면에 개구되는 제2 유로(29B)(건 본체(40)측에 형성되는 도료 유로(29)로의 연락구)는, 그 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 시트)(29T)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매니폴드(20)의 저면측으로부터 그 매니폴드(20)에 나사식 결합되는 축체(51)가 있으며, 이 축체(51)의 선단부는,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체)(51T)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유로(29A)에 형성된 테이퍼면(29T)의 그 제1 유로(29A)의 축방향에 대한 각도는, 축체(51)에 형성된 테이퍼면 (51T)의 그 축체(51)의 축방향에 대한 각도와 거의 동등해져 있다. 또, 축체(51)는, 매니폴드(2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있어서 노브(51A)를 구비하고, 이 노브(51A)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축체(51)를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체(51)를 매니폴드(20)에 대해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니폴드(20) 내의 제2 유로(29B)는 축체(51)의 선단과의 사이에 도료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체(51)를 매니폴드(20)에 대해 조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매니폴드(20) 내의 제1 유로(29A)는 축체(51)의 선단에 의해 도료의 통로를 폐색하게 된다. 또한, 도 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체(51)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 복수(도면에서는 2개)의 O-링(52)이 구비되며, 이 O-링(52)에 의해, 축체(51)와 매니폴드(20)에 있어서의 그 축체(51)의 삽입 구멍의 측벽면 사이의 간극을 없애고, 이것에 의해, 도료가 삽입 구멍을 따라 새어 버리는 것을 회피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의 스프레이 건(10)에 의하면,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와 건 본체(4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50)를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건 본체(40)를 매니폴드(20)와 독립적으로 세정할 때는, 그 차단 기구(50)의 노브(51A)의 조작에 의해, 매니폴드(20)측의 도료 유로(29)로부터의 도료를 건 본체(40)측의 도료 유로(29)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건 본체(40)가 매니폴드(20)로부터 분출되는 도료에 의해 더럽혀지지 않고, 건 본체(40)를 매니폴드(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 본체(40)를 매니폴드(20)와 독립적으로 세정, 분해, 조립, 부품 교환할 때에 있어서, 그 펌프 등을 정지시키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하나의 펌프로 복수의 스프레이 건(10)에 도료를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펌프의 정지를 행하지 않고, 세정을 행할 예정이 없는 스프레이 건(10)에 도료를 계속 공급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도료를 순환시키는 제1 유로(29A)로 이루어지는 도료 유로(29)는, 매니폴드(20) 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제1 유로(29A)는, 매니폴드(20)측으로부터 건 본체(40)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여도 본원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대응지어 그린 단면도이며, 매니폴드(20)에 형성된 도료 공급구(21)(도시하지 않음)와 도료 배출구(22)(도시하지 않음) 사이에는, 매니폴드(20) 내에 있어서 도료 공급구(21)와 도료 배출구(22)를 서로 연통시키는 제1 유로(29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건 본체(40) 내에 있어서도, 매니폴드(20) 내의 제1 유로(29A)의 이격된 2개소의 부분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 유로(29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매니폴드(20)와 건 본체(40)의 상호의 경계면은 2개의 제1 유로(29A)가 관통되어 형성되게 된다. 또한, 건 본체(40)에 형성되는 제1 유로(29A)의 중도부에는 도료 노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제2 유로(29B)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매니폴드(20) 내의 도료 유로(제1 유로(29A))와 건 본체(40) 내의 도료 유로(제1 유로(29A))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50)가 구비되며, 이 경우, 그 차단 기구(50)는, 매니폴드(20)와 건 본체(40)의 상호의 경계면을 관통하는 제1 유로(29A)의 수에 따라 2개(부호 50A, 50B로 나타낸다)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의 경우, 차단 기구(50)는, 모두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차단 기구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 형태 3)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2에 나타낸 차단 기구(50)는, 모두,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의 건 본체(4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로의 연락구에 형성된 밸브체(51T)를 구비하는 축체(51)로 구성되며, 이 축체(51)를 수동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연락구의 밸브체(51T)에 의한 개폐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니폴드(20)에 대한 건 본체(40)의 이탈에 의해,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의 건 본체(40)측에 형성되는 도료 유로(29)로의 연락구가 자동적으로 폐색되고, 매니폴드(20)에 대한 건 본체(40)의 장착에 의해, 상기 연락구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매니폴드(20)에 대한 건 본체(40)의 착탈에 따라,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의 건 본체(4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로의 연락구 α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도료 유로(29)의 제1 유로(29A)가 매니폴드(20) 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따라서, 매니폴드(20)와 건 본체(40)의 상호의 경계면에는 1개의 제2 유로(29B)가 관통하게 되어 있다).
도 6(a)는, 매니폴드(20)에 대해 건 본체(4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있어서, 매니폴드(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유로(29A)로부터 분기되는 제2 유로(29B)는 거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 유로(29B)는, 제1 유로(29A)로부터의 분기부에 있어서, 건 본체(40)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 시트)(29T)이 형성되어 있다.
매니폴드(20)에는, 제1 유로(29A)의 그 매니폴드(20)의 저면측으로의 연장 상에 축체(51)가 내장되어 있다. 이 축체(51)는, 매니폴드(20)의 저면측에 배치된 스프링(53)에 탄성 가압되어 건 본체(40)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것을, 매니폴드(20)에 장착된 건 본체(40)에 부착된 돌기부(48)가, 그 축체(51)의 건 본체(40)측의 단면(선단면)을 가압함으로써 억제되어 있다. 또한, 그 돌기부(48)는 제2 유로(29B)와 거의 동축에 배치되며, 그 돌기부(48)의 직경은 제2 유로(29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축체(51)는, 그 중도부에 있어서, 건 본체(40)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체)(51T)이 형성되어 있다.
매니폴드(20)에 대해 건 본체(4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매니폴드(20)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 시트)(29T)과 축체(51)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체)(51T)은 이격된 상태에 있으며, 그 축체(51), 및 돌기부(48)의 주위에는 제2 유로(29B)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매니폴드(20)에 형성된 도료 공급구(21)로부터의 도료는, 제1 유로(29A)에서 순환되어 매니폴드(20)에 형성된 도료 배출구(22)로부터 배출됨과 함께, 제2 유로(29B)를 통과하여 도료 노즐(41)(도시하지 않음)로 도출되게 된다.
또한, 축체(51)는, 그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된 복수(도에서는 2개)의 O-링(52)이 구비되며, 이 O-링(52)에 의해, 축체(51)와 매니폴드(20)에 있어서의 그 축체(51)의 삽입 구멍의 측벽면 사이의 간극을 없애고, 이것에 의해, 도료가 삽입 구멍을 따라 새어 버리는 것을 회피하게 되어 있다.
또, 돌기부(48)의 주변에는 그 돌기부(48)를 둘러싸고 원통재(49)가 부착되고, 이 원통재(49)는, 매니폴드(20)에 대해 건 본체(4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매니폴드(20)에 형성된 오목부(30)에 끼워 넣어지게 되어 있다. 제2 유로(29B)는, 돌기부(48)와 원통재(49) 사이의 간극에 형성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20)에 대해 건 본체(40)를 이탈시키려고 하는 경우, 건 본체(40)의 상승에 수반하여, 매니폴드(20)에 내장되는 축체(51)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48)의 가압이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53)의 탄성 가압에 의해, 축체(51)는 도면 중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축체(51)의 테이퍼면(밸브체)(51T)과 제2 유로(29B)의 테이퍼면(밸브 시트)(29T)이 서로 맞닿아, 매니폴드(20)측의 제2 유로(29B)로부터 건 본체(40)측의 제2 유로(29B)로의 도료의 전달이 차단된다.
또한, 도 6(c)는, 건 본체(40)의 원통재(49)가 매니폴드(20)의 오목부(30)로부터 벗어나, 매니폴드(20)에 대한 건 본체(40)의 이탈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실시 형태 4)
도 7은, 본 발명의 스프레이 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예를 들어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스프레이 건(10)의 개량으로서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스프레이 건(10)의 경우와 비교해 다른 구성은, 건 본체(40)에 있어서, 그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가 대기와 연통할 수 있는 공기 밸브 수단(60)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밸브 수단(60)은, 건 본체(40)의 측면으로부터 나사식 결합되는 나사(61)를 가지며, 그 나사(61)의 선단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체)(61T)을 가지고 있다.
나사(61)의 건 본체(40)와의 나사식 결합부(62)로부터 선단에 이르는 주위에는 대기에 연통되는 공기 통로(63)가 형성되고, 이 공기 통로(63)는 건 본체(40)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통로(63)의 그 도료 유로(29)에 근접하는 부분에는, 그 도료 유로(29)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 시트)(63T)이 형성되어 있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 본체(40)에 대해 나사(61)를 조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나사(61)의 측면에 의해 공기 밸브 수단(60)에 형성된 구멍(65)이 막혀져 상기 공기 통로(63)의 대기와의 연통을 방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나사(61)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체)(61T)이 공기 통로(63)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 시트)(63T)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는 대기와 격리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 본체(40)에 대해 나사(61)를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나사(61)의 측면에 의해 상기 공기 통로(63)의 대기와의 연통이 상기 구멍(65)을 통과하여 해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나사(61)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체)(61T)이 공기 통로(63)에 형성된 테이퍼면(밸브 시트)(63T)으로부터 이격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는 대기에 연통되는 상태가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레이 건(1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건 본체(40)를 매니폴드(20)로부터 이탈시키려고 하는 경우, 우선, 차단 기구(50)의 조작에 의해, 매니폴드(2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의 건 본체(40)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29)로의 연락구를 밸브체(51T)에 의해 차단한다. 또한, 건 본체(40)가 매니폴드(2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공기 밸브 수단(60)은,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는 대기와 격리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다음에, 작동 에어 공급구(23)(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한 에어(작동 에어)의 공급에 의해 도료 밸브 개폐 기구를 ON시킨다. 이 경우, 매니폴드(20)의 도료 유로(29)로부터 건 본체(40)로의 도료의 전달은 차단 기구(50)의 조작에 의해 차단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 밸브 수단(60)을 조작시킴으로써,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를 대기에 연통된 상태로 한다. 이 때 스프레이 건(10)의 무화 에어 공급구(24)에는 가압 공기가 공급되고, 도료 노즐(41)의 선단은 무화 공기의 분출에 의해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 상태가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에 잔류되어 있는 도료를 음압에 의해 빼낼 수 있게 된다.
그 후, 무화 에어 공급구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건 본체(40)를 매니폴드(2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29)에는 도료가 잔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도료가 건 본체(40)로부터 흘러 버린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료 통로와 대기를 연통시키는 구조(공기 밸브 수단)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20)와 건 본체(40) 사이의 도료 통로를 차단시키는 차단 기구(50)의 내부에 설치해도 된다.
즉, 도 8에 있어서, 차단 기구(50)의 축체(51)의 중심을 따라 나사(61)가 배치되어 있다. 나사(61)는, 축체(51)의 머리부(51A)에 나사식 결합되어 있음과 함께, 축체(51)의 중심축 둘레에 형성된 공기 통로(63) 내에 관통되어 있다. 축체(51)의 측면에는 구멍(65)이 형성되고, 나사(61)를 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 구멍(65)은 나사(61)의 측면에 의해 바깥 공기와 공기 통로(63)의 연통이 차단되고(도면 중 동그라미 내의 확대도 참조), 나사(61)를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는, 바깥 공기가 상기 구멍(65)을 통과하여 공기 통로(63)에 침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그 나사(61)의 선단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체)(61T)이 형성되고, 축체(51)에 형성된 공기 통로(63)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밸브 시트)(63T)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61)를 조이고 있는 경우에는, 공기 통로(63)의 테이퍼면(밸브 시트)(63T)과 나사(61)의 선단부의 테이퍼면(밸브체)(61T)이 면접촉되어, 공기 통로(63)로부터의 공기가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에 공급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61)를 느슨하게 한 경우에는, 공기 통로(63)의 테이퍼면(밸브 시트)(63T)과 나사(61)의 선단부의 테이퍼면(밸브체)(61T)이 이격되어, 공기 통로(63)로부터의 공기가 건 본체(40)의 도료 유로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차단 기구(50)의 내부에 설치한 공기 밸브 수단도, 도 7에 나타낸 공기 밸브 수단과 동일한 동작을 하여, 도 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 실시 형태를 이용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또,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특허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분명하다.
10 스프레이 건 20 매니폴드
21 도료 공급구 22 도료 배출구
23 작동 에어 공급구 24 무화 에어 공급구
24A, 24A' 무화 에어 유로 25 패턴 에어 공급구
25A, 25A' 패턴 에어 유로 27 볼트
28 볼트의 삽입 구멍 29 도료 유로
29A 제1 유로 29B 제2 유로
29T 테이퍼면(밸브 시트) 30 오목부
40 건 본체 41 도료 노즐
42 공기 캡 42A 환상 슬릿
43 각부 44 노브
45 니들 밸브 47 도료 밸브 개폐 기구
48 돌기부 49 원통재
50 차단 기구 51 축체
51T 테이퍼면(밸브체) 51A 머리부
52 O-링 53 스프링
60 공기 밸브 수단 61 나사
61T 테이퍼면(밸브체) 62 나사식 결합부
63 공기 통로 63T 테이퍼면(밸브 시트)
65 구멍

Claims (8)

  1.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건(gun)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니폴드에 도료 공급구와 도료 배출구를 구비하는 스프레이 건으로서,
    상기 도료 공급구와 상기 도료 배출구를 통과하여 상기 스프레이 건 내에 도료가 순환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건 본체로부터 도료류(塗料流)를 분사시키는 제2 유로로 이루어지는 도료 유로와,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상기 도료 유로와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된 상기 도료 유로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매니폴드 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매니폴드측으로부터 상기 건 본체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기구는,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의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되는 도료 유로로의 연락구에 형성된 밸브 시트 및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한 개폐에 의해, 상기 매니폴드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와 상기 건 본체측에 형성된 도료 유로 사이의 도료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 나사식 결합되어 선단에 상기 밸브체가 부착된 축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의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한 개폐는, 상기 축체의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에 대해 상기 건 본체가 이탈하고 있는 경우, 상기 밸브체는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도료 유로를 닫고,
    상기 매니폴드에 대해 상기 건 본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건 본체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기 탄성 가압 수단에 저항하여 상기 밸브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료 유로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7. 청구항 1에 있어서,
    도료 유로에 대기와 연통할 수 있는 공기 밸브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 수단이 상기 차단 기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스프레이 건.
KR1020130126406A 2012-10-31 2013-10-23 스프레이 건 KR201400560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0117A JP5995317B2 (ja) 2012-10-31 2012-10-31 スプレーガン
JPJP-P-2012-240117 2012-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000A true KR20140056000A (ko) 2014-05-09

Family

ID=5066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406A KR20140056000A (ko) 2012-10-31 2013-10-23 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95317B2 (ko)
KR (1) KR20140056000A (ko)
CN (1) CN10378556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641A (ko) * 2018-11-13 2020-05-21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장용 스프레이 건 장치
KR20200062013A (ko) * 2018-11-26 2020-06-03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1731B (zh) * 2020-08-18 2021-07-06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喷涂机构及具有其的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197A (ja) * 1993-10-13 1995-04-25 Honda Motor Co Ltd 塗料循環型塗装装置
JP2599940Y2 (ja) * 1993-10-28 1999-09-27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塗装用スプレーガンの吐出量調整装置
JP3148621B2 (ja) * 1996-01-31 2001-03-19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形自動ガンのパターン調節機構
JP3749764B2 (ja) * 1996-06-14 2006-03-01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形自動ガンの塗料循環流路閉鎖構造
JP2000334343A (ja) * 1999-06-02 2000-12-05 Tokyo Dies:Kk スプレーガン用接続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05899B2 (ja) * 2002-05-29 2008-06-25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自動スプレーガン
CN101537399B (zh) * 2002-10-22 2012-07-18 格雷索明尼苏达有限公司 用于快速凝固材料的多组分喷枪
TWI546125B (zh) * 2008-05-15 2016-08-21 格雷克明尼蘇達股份有限公司 快接式流體頭部
JP2010125399A (ja) * 2008-11-28 2010-06-10 Norihiko Hirano 噴霧システム
JP5529896B2 (ja) * 2009-01-26 2014-06-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液体スプレーガン、スプレーガン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スプレーヘッドアセンブ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641A (ko) * 2018-11-13 2020-05-21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장용 스프레이 건 장치
KR20200062013A (ko) * 2018-11-26 2020-06-03 타쿠보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료 충전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도료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5563A (zh) 2014-05-14
JP5995317B2 (ja) 2016-09-21
JP2014087760A (ja) 2014-05-15
CN103785563B (zh)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2684C (en) Spray gun with paint cartridge
EP2492018B1 (en) Spray gun
CA2826913C (en) Nozzle tips and spray head assemblies for liquid spray guns
US4537357A (en) Spray guns
US11097294B2 (en) Device for rotating a fluid inside a spray nozzle, assembly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coating device
JP2014521500A (ja) 液体スプレーガン用の一体型エアキャップ/ノズルを有するスプレーヘッドアセンブリ
WO2010008009A1 (ja) ニードルが移動可能なスプレー装置
US5727735A (en) Rotary atomizer for a coating arrangement
KR20140056000A (ko) 스프레이 건
US4650119A (en) Air spray gun
JP5654834B2 (ja) スプレーガン、塗装システム
US20220379325A1 (en) Spray applicator with a stationary mix chamber
US20180141063A1 (en) Cosmetic air brush
US3327949A (en) Spray gun
KR102194054B1 (ko) 다용도 액체 분사기
EP2822696B1 (en) Multi-component container for spray gun
US20240091797A1 (en) Stationary mix chamber
JP3148622B2 (ja) マニホールド形自動ガンの流路切換機構
JP3398035B2 (ja) ニードルレス二液同心ノズルスプレーガン
JP3749764B2 (ja) マニホールド形自動ガンの塗料循環流路閉鎖構造
GB2119288A (en) Air spray gun
JP2018069238A (ja) 空気噴霧器組立体、そのような組立体のための絞り機、及びそのような組立体又はそのような絞り機を含むコーティング用製品を噴射するための設備
EP3508278B1 (en) Cosmetic air brush
JP6225320B2 (ja) ミストシャワーヘッド
CN117123399B (zh) 一种铸造卷筒喷漆装置及喷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