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453A -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453A
KR20200060453A KR1020207011941A KR20207011941A KR20200060453A KR 20200060453 A KR20200060453 A KR 20200060453A KR 1020207011941 A KR1020207011941 A KR 1020207011941A KR 20207011941 A KR20207011941 A KR 20207011941A KR 20200060453 A KR20200060453 A KR 2020006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ntrol
monitoring
elevato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212B1 (ko
Inventor
유타카 마츠에다
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서버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서버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등을 실현 가능하게 구성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 참조)은, 정보 센터측과 엘리베이터측을 전화 회선 등에 의해서 통신 접속함으로써, 정보 센터측으로부터,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등을 실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정보 센터에는, 엘리베이터를 원격 감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감시 서버와, 엘리베이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측에 송신하는 제어 서버가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7-01393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16-19072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16-190720호 공보
상술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어느 엘리베이터와 정보 센터의 제어 서버가 전화 회선을 통해서 통신하고 있는 동안은, 그 전화 회선이 이미 사용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엘리베이터는 정보 센터의 감시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제어 서버와의 통신이 종료되어 단절될 때까지, 감시 서버와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덧붙여, 엘리베이터가 감시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그 이상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엘리베이터가 감시 서버에 송신해야 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감시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필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통신 접속처를 제어 서버에서 감시 서버로 전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회선을 통해서 통신하는 통신 장치와, 통신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통신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감시 서버와, 통신 장치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통신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제어 서버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서버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전환 판정을 행하고,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서버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감시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필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통신 접속처를 제어 서버에서 감시 서버로 전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통신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통신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을, 적합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빌딩(1)에 개별로 마련되는 엘리베이터(2)와, 원격으로 마련되어, 각 빌딩(1)의 엘리베이터(2)를 관리하는 정보 센터(3)와, 엘리베이터(2)와 정보 센터(3)의 사이를 통신 접속하는 감시 회선(4)을 구비한다. 덧붙여, 감시 회선(4)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화 회선, IP(Internet Protocol) 회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2)는 엘리베이터 장치(21)와, 제어 장치(22) 및 감시 장치(23)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을 구비한다.
제어 장치(22)에는, 엘리베이터 장치(2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는, 제어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장치(21)의 동작을 제어할 때 이용하는 데이터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 제어 파라미터 등이다.
제어 장치(22)는 설정되어 있는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21)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22)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동작, 엘리베이터의 탑승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의 동작 등을 엘리베이터의 동작으로서 제어한다.
감시 장치(23)는 제어 장치(2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감시 회선(4)을 통해서 정보 센터(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감시 장치(23)는 엘리베이터 장치(21)의 상태를 감시하고, 그 감시 결과인 감시 데이터를 감시 정보로서 정보 센터(3)에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또, 감시 장치(23)는 엘리베이터 장치(21)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이상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신호를 감시 정보로서 정보 센터(3)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23)는 정보 센터(3)로부터 후술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그 제어 정보를 제어 장치(22)에 송신한다. 또, 감시 장치(23)는 후술하는 통신 전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정보 센터(3)는 통신 장치(31)와, 감시 서버(32)와, 감시 서버(32)와 독립하여 마련되는 제어 서버(33)와, 조작 단말(34)을 구비한다.
통신 장치(31)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감시 회선(4)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의 감시 장치(23)와 통신한다. 또, 통신 장치(31)는 감시 서버(32)와 제어 서버(33)에서 공용되고 있다.
감시 서버(32)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으로서, 통신 장치(31)에 의해서 감시 장치(23)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감시 서버(32)는 통신 장치(31)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으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이하, 감시 통신과 칭함)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제어 서버(33)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으로서, 통신 장치(31)에 의해서 제어 정보를 감시 장치(23)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서버(33)는, 후술하는 조작 단말(34)로부터의 요구, 혹은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제어 정보를 통신 장치(31)에 의해서 감시 장치(23)에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제어 장치(22)의 제어에 관한 정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22)에 설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제어 장치(22)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구(舊) 제어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갱신용의 제어 데이터, 엘리베이터 장치(21)의 이상의 유무를 진단하는 진단 운전을 행하도록 제어 장치(22)에 지령하는 지령 신호 등이다.
이와 같이, 제어 서버(33)는 통신 장치(31)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이하, 제어 통신과 칭함)을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조작 단말(34)은 보수원 등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보수원 등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 정보를 감시 장치(23)에 송신하도록 제어 서버(33)에 요구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행해지는 통신 전환 처리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통신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덧붙여, 도 2의 순서도의 일련의 처리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구체적으로는, 감시 장치(23)가 제어 서버(33)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감시 장치(23)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특정 상황이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서버(32)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또, 이러한 특정 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알람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이 감시 서버(32)에 송신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을 들 수 있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2로 진행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감시 장치(23)는 제어 서버(33)와의 제어 통신으로부터, 감시 서버(32)와의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전환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 상술한 전환 판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환 판정의 제1 예로서는, 감시 통신의 내용마다 제어 통신에 대한 우선도를 미리 규정해 두고, 감시 통신의 내용에 따라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법을 들 수 있다.
즉, 감시 통신의 내용으로서는, 상술한 것처럼,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감시 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장치(21)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 송신되는 알람 신호를 들 수 있다. 감시 데이터 및 알람 신호에 대해서, 긴급도로서는, 감시 데이터 보다도 알람 신호의 쪽이 높다.
따라서, 감시 통신의 내용이 알람 신호의 송신인 경우에는, 제어 통신 보다도 우선도를 높게 하여,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감시 통신의 내용이 감시 데이터의 송신인 경우에는, 제어 통신 보다도 우선도를 낮게 하고,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환 판정의 제1 예에서는, 감시 통신의 내용에 따라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가 판정된다.
전환 판정의 제2 예로서는, 제어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필요 통신 시간을 추정하고, 추정한 필요 통신 시간에 따라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수법을 들 수 있다.
즉, 제어 통신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하면, 제어 통신이 중단되어 감시 통신이 개시되고, 감시 통신의 완료 후에, 제어 통신이 재개된다. 따라서, 필요 통신 시간이 짧을수록, 제어 통신이 완료된 후에, 감시 통신이 개시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추정한 필요 통신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추정한 필요 통신 시간이 미리 설정되는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전환 판정의 제2 예에서는, 스텝 S102의 처리 시점으로부터 제어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필요 통신 시간이 추정되고, 추정된 필요 통신 시간에 따라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가 판정된다.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가, 스텝 S102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103에 있어서, 감시 장치(23)는 제어 서버(33)와의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처리가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장치(23)와 제어 서버(33) 사이의 통신 접속이 감시 장치(23)측으로부터 단절되게 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감시 장치(23)는 감시 서버(32)에 접속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감시 서버(32)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이어서, 감시 장치(23)는 감시 서버(32)와의 감시 통신을 행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전환 판정을 행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은,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어 통신을 단절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은, 제어 통신의 단절 후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서버(32)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전환 판정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제어 서버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서버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덧붙여, 실시 형태 1에서는, 상술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의 구체예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측에 의해서, 전환 판정, 제어 통신의 단절 및 감시 통신의 확립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제어 서버와 통신하고 있는 엘리베이터가, 감시 서버와 통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필요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통신 접속처를 제어 서버에서 감시 서버로 전환할 수 있다. 또, 감시 통신에 있어서의 알람 신호의 송신의 우선도를 제어 통신 보다도 높게 해 두면,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 안에서의 갇힘 등의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그 이상을 신속하게 감시 서버에 통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앞의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 측에 의해서, 전환 판정, 제어 통신의 단절 및 감시 통신의 확립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는, 정보 센터(3) 측에 의해서 전환 판정 및 제어 통신의 단절이 행해짐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 측에 의해서 감시 통신의 확립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 1과 같은 점의 설명을 생략하고, 앞의 실시 형태 1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서 행해지는 일련의 통신 전환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덧붙여, 도 3의 순서도의 일련의 처리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구체적으로는, 감시 장치(23)가 제어 서버(33)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에 반복하여 실행된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제어 서버(33)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제어 서버(33)가 판정하는 수법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수법을 들 수 있다.
즉,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의 감시 장치(23)는 제어 통신을 행하는데 이용되고 있는 통신 회선과는 다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제어 서버(33)에 특정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서버(33)는 그 특정 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 특정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도 3의 설명으로 돌아가, 스텝 S201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02로 진행하고, 특정 상황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제어 서버(33)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제어 통신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서버(32)의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전환 판정을 행한다. 여기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제어 서버(33)가 판정하는 수법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상술한 특정 신호는, 특정 상황에 대응하는 감시 통신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서버(33)는 수신한 특정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 통신의 내용을 파악하여, 상술한 전환 판정의 제1 예와 같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 서버(33)는, 상술한 전환 판정의 제2 예와 같은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설명으로 돌아가, 스텝 S202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스텝 S203으로 진행하고,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제어 서버(33)는 감시 장치(23)와의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처리가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장치(23)와 제어 서버(33) 사이의 통신 접속이 제어 서버(33) 측으로부터 단절되게 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감시 장치(23)는 제어 서버(33) 측으로부터 제어 통신이 단절된 것에 따라서, 감시 서버(32)에 접속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감시 서버(32)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이어서, 감시 장치(23)는 감시 서버(32)와의 감시 통신을 행하고,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어 서버(33)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전환 판정을 행한다. 또, 제어 서버(33)는, 전환 판정에 있어서,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제어 서버(33)의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제어 통신을 단절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은 제어 서버(33) 측으로부터 제어 통신이 단절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서버(32)의 사이에서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어 서버는,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전환 판정을 행하고, 제어 통신에서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제어 통신을 단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제어 통신이 제어 서버측으로부터 단절되었을 경우, 감시 서버와 감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앞의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이 정보 센터(3)에 있어서, 통신 장치(31)가 감시 서버(32) 및 제어 서버(33)에 개별로 대응하여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및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덧붙여, 도 4에서는, 감시 서버(32) 및 제어 서버(33)에 개별로 대응하여 마련되는 통신 장치(31)를, 각각, 통신 장치(35) 및 통신 장치(36)로 표기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정보 센터(3)는 통신 장치(35) 및 감시 서버(32)를 가지는 센터측 감시 시스템(37)과, 통신 장치(36), 제어 서버(33) 및 조작 단말(34)을 가지는 센터측 제어 시스템(38)을 구비한다. 센터측 감시 시스템(37)과, 센터측 제어 시스템(38)은 독립하여 마련된다.
통신 장치(35)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감시 회선(4)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의 감시 장치(23)와 통신한다. 감시 서버(32)는 감시 장치(23)로부터 송신되는 감시 정보를 통신 장치(35)에 의해서 수신한다.
통신 장치(36)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감시 회선(4)을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의 감시 장치(23)와 통신한다. 제어 서버(33)는, 후술하는 조작 단말(34)로부터의 요구, 혹은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서, 제어 정보를 통신 장치(36)에 의해서 감시 장치(23)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정보 센터(3)에 있어서, 통신 장치(35) 및 통신 장치(36)가 감시 서버(32) 및 제어 서버(33)에 개별로 대응하여 마련된다.
즉, 센터측 감시 시스템(37)에서는, 통신 장치(35)는 감시 서버(32)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각 빌딩(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회선(4)을 통해서 통신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서버(32)는 대응하는 통신 장치(35)에 의해서 각 빌딩(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통신하게 된다.
센터측 제어 시스템(38)에서는, 통신 장치(36)는 제어 서버(33)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각 빌딩(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감시 회선(4)을 통해서 통신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서버(33)는 대응하는 통신 장치(36)에 의해서 각 빌딩(1)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과 통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의 구성에서는, 감시 서버(32)와 제어 서버(33)에서, 통신 장치가 공용되는 일 없이, 개별의 통신 장치가 사용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제어 서버(33)의 통신량이 변동하여 상정한 것보다도 증가했을 경우에도, 감시 서버(32)는 제어 서버(33)에 대응하여 마련된 통신 장치(36)와는 다른 통신 장치(35)에 의해서 감시 장치(23)와 통신할 수 있다. 그 결과, 감시 서버(32)와 엘리베이터(2) 측과의 사이의 통신 지연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감시 서버(32)와 제어 서버(33)에 개별로 대응하여 통신 장치(35)와 통신 장치(36)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정보 센터(3)로의 액세스가 집중됐을 경우에도, 통신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덧붙여,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는, 감시 서버(32)와, 감시 서버(32)와 독립하여 마련되는 제어 서버(33)의 양쪽이 정보 센터(3)에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어 서버(33)는 반드시 정보 센터(3)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정보 센터(3)와는 다른 지역의 시설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1: 빌딩 2: 엘리베이터
3: 정보 센터 4: 감시 회선
21: 엘리베이터 장치 22: 제어 장치
23: 감시 장치 24: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1: 통신 장치 32: 감시 서버
33: 제어 서버 34: 조작 단말
35: 통신 장치 36: 통신 장치
37: 센터측 감시 시스템 38: 센터측 제어 시스템

Claims (6)

  1.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감시 회선을 통해서 통신하는 통신 장치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감시 통신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감시 서버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 통신을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제어 서버
    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상기 제어 서버 사이에서 상기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상기 감시 서버 사이에서 상기 감시 통신이 행해질 필요가 있는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전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상기 제어 서버 사이에서 행해지고 있는 상기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상기 감시 서버 사이에서 상기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전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상기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제어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전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제어 통신을 단절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제어 통신이 단절되었을 경우, 상기 감시 통신이 행해지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판정에서는, 상기 감시 통신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가 판정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판정에서는, 상기 제어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필요 통신 시간이 추정되고, 추정된 상기 필요 통신 시간에 따라서, 상기 제어 통신에서 상기 감시 통신으로 전환할지 여부가 판정되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감시 서버 및 상기 제어 서버에 개별로 대응해서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0207011941A 2018-03-02 2018-03-02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317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8025 WO2019167256A1 (ja) 2018-03-02 2018-03-02 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453A true KR20200060453A (ko) 2020-05-29
KR102317212B1 KR102317212B1 (ko) 2021-10-26

Family

ID=6465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941A KR102317212B1 (ko) 2018-03-02 2018-03-02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37171B1 (ko)
KR (1) KR102317212B1 (ko)
CN (1) CN111601765B (ko)
WO (1) WO2019167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5231B (zh) * 2021-05-12 2022-09-09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的网络评估方法以及电梯的网络评估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823A (ja) * 1998-11-05 2000-05-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ビル遠隔管理装置
JP2001005668A (ja) * 1999-06-22 2001-01-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端末用プログラムの遠隔書替え方法
JP2002344645A (ja) * 2001-05-21 2002-11-2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情報監視装置
JP2016190720A (ja) 2015-03-31 2016-11-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6190728A (ja) 2015-03-31 2016-11-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ソフト更新システム
JP2017013936A (ja) 2015-06-30 2017-01-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2540B2 (ja) * 1990-07-10 1999-04-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H08259133A (ja) * 1995-03-28 1996-10-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通話装置
CN1911771B (zh) * 2005-08-10 2010-05-12 株式会社日立建筑系统 电梯保养检修系统
WO2007052346A1 (ja) * 2005-11-02 2007-05-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
JP2008230745A (ja) * 2007-03-19 2008-10-0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0228877A (ja) * 2009-03-27 2010-10-14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時監視システム
JP2013052975A (ja) * 2011-09-05 2013-03-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3136449A (ja) * 2011-12-28 2013-07-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非常通信方法
JP2016123027A (ja) *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JP6450265B2 (ja) * 2015-06-10 2019-01-0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運転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9195896B (zh) * 2016-05-24 2020-08-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预防维修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1823A (ja) * 1998-11-05 2000-05-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ビル遠隔管理装置
JP2001005668A (ja) * 1999-06-22 2001-01-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端末用プログラムの遠隔書替え方法
JP2002344645A (ja) * 2001-05-21 2002-11-2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遠隔情報監視装置
JP2016190720A (ja) 2015-03-31 2016-11-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6190728A (ja) 2015-03-31 2016-11-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ソフト更新システム
JP2017013936A (ja) 2015-06-30 2017-01-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遠隔監視装置及び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01765B (zh) 2021-12-03
KR102317212B1 (ko) 2021-10-26
JPWO2019167256A1 (ja) 2020-04-09
WO2019167256A1 (ja) 2019-09-06
CN111601765A (zh) 2020-08-28
JP6437171B1 (ja)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2994B (zh) 电梯系统
CN103596865A (zh) 管理电梯系统的远程控制
JP729498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2317212B1 (ko)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JP201619072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17195694A1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KR102317211B1 (ko)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시스템
CN108696645B (zh) 监视系统
CN111039115A (zh) 用于监控电梯通信模块故障的方法、系统以及电梯
CN110557331A (zh) 用户下线的控制方法、控制器、转发设备与用户接入系统
KR102343570B1 (ko) 무선 통신 장치
JP2012015629A (ja) 通信システムのアプリケーション監視方法
JP2010026947A (ja) 可動機械制御システム及び可動機械制御装置
JP200522565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08694677B (zh) 监视系统
JP6319520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信号送信方法
WO2019225626A1 (ja) 通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CN109789991B (zh) 电梯系统
KR100430891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제어 방법
CN111566037B (zh) 电梯装置及通信装置
KR20180082713A (ko) 엘리베이터의 정보수집 시스템 장치
JP3623460B2 (ja) コンパクト制御局間のイーサネットを利用したデータ伝送方法
CN116567561A (zh) 用于处理呼梯请求的分布式处理系统和方法
JPH0481912B2 (ko)
JP2005244596A (ja) ビル設備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