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257A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257A
KR20200060257A KR1020190143112A KR20190143112A KR20200060257A KR 20200060257 A KR20200060257 A KR 20200060257A KR 1020190143112 A KR1020190143112 A KR 1020190143112A KR 20190143112 A KR20190143112 A KR 20190143112A KR 20200060257 A KR20200060257 A KR 2020006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s
behavior
flexible medium
simulation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키코 코후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6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2Priority interrupt; Job recovery, e.g. after jamming or mal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20Controlling associated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modeling, simulation of the manufactur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40Machines for test or simul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20Calculating means; Controlling methods
    • B65H2557/24Calculating methods; Mathemat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24Sheet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30/23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using finite element methods [FEM] or finite difference methods [F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조건들하에서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반송 경로내의 부품은,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복수의 장소와 함께 표시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sheet)형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를 설계할 때, 실제로 물건을 만들기 전에 다양한 조건하에서 설계물의 기능을 검토한다. 이러한 검토는, 시작품의 제조나 시험에 필요한 공수(man-hour)를 삭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기간 및 비용을 감소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형의 유연 매체(예: 종이나 시트)의 거동을 계산기 시뮬레이션에 의해 해석하여, 그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반송 경로의 설계가 검토될 수 있다.
종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로서, 설계 지원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평11-195052호 공보). 그 설계 지원 시스템은, 유연 매체를 유한요소법에 의거한 유한요소로 표현하고, 반송 경로내의 가이드나 롤러와 상기 유연 매체간의 접촉을 판단하고, 운동 방정식을 수치적으로 푸는 것에 의해, 유연 매체와 가이드간의 반송 저항이나 접촉각을 평가한다.
유연 매체의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유한요소 혹은 질량-용수철계에서 이산적으로 표현된 유연 매체의 운동 방정식을 세우고, 해석 대상시간을 유한한 폭을 갖는 시간 단계(시간의 단계)들로 분할한다. 시간 0으로부터 단계마다 미지수의 가속도, 속도, 변위를 순차로 구하고, 이것들의 수치를 시간적분함으로써, 유연 매체의 거동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 방법으로서는, 뉴마크의 β법, 윌슨의 θ법, 오일러법, Kutta-merson법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뮬레이션 당 하나의 조건하에서 이상이 발생한 장소를 특정한다. 따라서, 복수의 조건하에서의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경우는, 시뮬레이션마다 유저는 조건을 설정하고, 시뮬레이션을 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더욱, 유저는, 한번에 시뮬레이션 일회의 결과만을 검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형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정보처리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하에서 상기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반송 경로내의 부품을,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일어난 복수의 장소와 함께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2는 정보처리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3은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4는 반송 경로를 설정할 때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5는 유연 매체를 설정할 때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6은 반송 조건을 설정할 때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7은 시뮬레이션 결과의 표시 화면이다.
도8은 시뮬레이션 결과의 표시 화면이다.
도9는 시뮬레이션 결과의 표시 화면이다.
도10은 시뮬레이션 결과의 표시 화면이다.
<하드웨어>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터로서 기능하는 정보처리장치(100)의 하드웨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처리장치(100)는, 예를 들면, 통신 기능을 갖는 퍼스널 컴퓨터(PC)등의 장치다. 정보처리장치(100)는, 중앙처리유닛(CPU)(101), 판독전용 메모리(ROM)(10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3), 통신 인터페이스(I/F)(104),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등의 기억부(105), 및 디스플레이(106)를 구비한다. 더욱, 정보처리장치(100)는, 키보드(107), 포인팅 디바이스(108) 및 시스템 버스(109)를 구비한다. CPU(101)는, RAM(103)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ROM(102)이나 기억부(105)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나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CPU(101)는, 시스템 버스(109)를 통해 각 부품을 제어한다.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처리는, ROM(102)이나 기억부(105)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프로그램 코드가 RAM(103)에 로딩되어,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입출력I/F(104)는, 무선/유선 모듈을 통하여, 외부장치와 접속된다. 디스플레이(106)는, 시뮬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각종 화면들을 표시한다. 키보드(107)와 포인팅 디바이스(108)의 각각은,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기능 블록도>
도2는, 정보처리장치(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정보처리장치(100)의 CPU(101)는 RAM(103)을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ROM(102)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도2에 나타낸 각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된 처리의 모두가 반드시 CPU(101)에 의해 실행될 필요는 없다. 처리의 일부 또는 모두에 대해서, CPU(101)이외의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되도록 정보처리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100)는, 입력부(201), 반송 경로 설정부(202), 유연 매체 모델 설정부(203), 반송조건 설정부(204), 거동계산부(205), 표시부(206), 및 출력부(207)등의 기능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입력부(201)는, 예를 들면, 키보드(107)나 포인팅 디바이스(108), 입출력I/F(104)등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부(206)는, 디스플레이(106)등에 의해 실현된다.
도3은 유연 매체의 거동의 시뮬레이션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 프로그램은, 설계 지원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기억장치(기억부105)에 격납되어 있고, CPU(101)에 의해 실행된다. 정보처리장치(100)의 상술한 부품들의 각각은, CPU(101)에 의해 기억부(105)에 격납된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제공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는, 도2에 나타낸 기능 블록도와 도3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S301에 있어서, CPU(101)는 처리를 시작한다.
단계S302에 있어서, 반송 경로 설정부(202)는, 반송 경로를 설정한다.
도4는, 반송 경로를 설정할 때의 표시부(206)에 표시된 표시 화면이다. 메인 영역(401)은, 반송 경로 설정등의 각종 설정과 시뮬레이션 결과의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메뉴 영역(402)은, 작업 변경과 파일 조작의 네비게이션을 행하기 위한 표시 영역이다. 슬라이드 바(403)는, 메인 영역(401)의 확장 수축율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메시지 영역(404)은, 각종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이다. 설정 영역(405)은, 속성정보가 설정되는 표시 영역이다. 부품선택 영역(406)은, 반송 경로의 설정에 있어서 각 부품(예: 롤러, 반송 경로, 및 마찰 계수μ)을 선택하는 표시 영역이다. 유저는, 입력부(201)를 조작하여 반송 경로를 설정한다.
단계S303에 있어서, 유연 매체 모델 설정부(203)는, 유연 매체 모델을 설정한다.
도5는, 유연 매체 모델을 설정할 때의 표시부(206)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 매체는, n분할된 질점-용수철계의 탄성체 모델로서 정의된다.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필요한 파라미터는, 유연 매체의 영률, 밀도, 두께, 크기, 컬(curl) 상태를 포함한다. 이 파라미터들은 유연 매체 종류(예: 종이 종류)에 대응할 수 있다. 유저는, 입력부(201)를 조작하여 환경이나 종이 사이즈, 매체, 컬 위치, 및 초기 위치 등의 조건을 도5에 나타낸 표시 화면을 통해 설정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A3" "A4세로" "B5가로"의 조건으로 시뮬레이션을 행할 경우, 유저는 각각의 항목의 체크박스에 체크 마크를 배치한다.
유저가 선택한 각 항목의 조건의 조합 모두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예를 들면, 환경에서 2종, 종이 사이즈에서 8종, 매체에서 30종, 컬 상태에서 3종의 조건이 선택된다면, 2×8×30×3=1440회의 시뮬레이션이 실행된다. 종래는, 유저가, 하나하나의 조건의 조합을 설정하고, 그 후에 조건의 조합 모두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따라서, 유저의 작업 부하는 매우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 조건들의 조합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작업 부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S304에 있어서, 반송 조건 설정부(204)는, 반송 조건을 설정한다.
도6은, 반송 조건을 설정할 때의 표시부(206)에 의해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다. 도6에는, 반송롤러의 구동제어의 입력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단계S305에서, 거동계산부(205)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하에서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한다. 시뮬레이션 시작후에, 거동계산부(205)는, 시간단위마다의 유연 매체의 상태(위치나 형상등)를 계산 함에 의해, 유연 매체의 거동을 산출한다. 여기서, 거동계산부(205)는, 유연 매체가 이상한 거동을 나타내는 것인지도 산출한다. 여기서 사용된 "이상한 거동"이란, 이하와 같은 상태를 포함한다.
· 유연 매체가 이상한 형상(예:종이 잼의 상태)이 되었을 경우
· 질점-용수철계에 상정을 초과하는 응력이 발생했을 경우
· 유연 매체가 상정되지 않고 있는 반송 경로에 침입해버렸을 경우
이상한 거동이 있는 경우는,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를 기억부(105)등의 메모리에 기억해두고 나서, 거동계산부(205)는 다음 조건하에서 시뮬레이션을 행한다.
단계S306에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표시한다.
도7은, 표시부(206)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표시할 때 제공되는 표시 화면이다. 크로스 마크는, 단계S302에서 설정된 반송 경로의 부품에 중첩해서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를 가리킨다. 도7에 나타낸 케이스는, 롤러 쌍(RP)1과 RP2의 사이에 1장소, RP2와 RP3의 사이에 3장소, RP4 근방의 1장소에서,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유저는, 이 표시된 영역을 확인함에 의해, 이상한 거동이 발생하기 쉬운 장소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8은, 표시부(206)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표시할 때 제공되는 표시 화면의 다른 예다. 도7에 나타낸 표시 화면과는 달리, 테이블 형식으로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가 표현된다. 여기서는,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에 관한 정보(예: RP1-RP2)와 관련지어 조건을 표시한다. 도7에 나타낸 표시 화면과 달리, 조건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8에 나타낸 표시 화면의 사용으로, 유저는 이상의 원인을 쉽게 특정할 수 있다.
도9는, 표시부(206)가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표시할 때 제공되는 표시 화면의 더욱 다른 예다. 도9에 나타낸 표시 화면은, 도7에 나타낸 반송 경로 위에 이상의 표시와 도8에 나타낸 이상의 테이블 표시와의 조합을 갖는다. 유저가 반송 경로상의 에러 위치를 마우스등을 사용하여서 특정하는 경우, 대응한 테이블에서의 이상을 나타내는 행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반송시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단계S307에 있어서, CPU(101)는, 유저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만족하는가를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한다. 유저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만족하는 경우(단계S307에서 YES)는, 단계S308에 진행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유저가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은 경우(단계S307에서 NO)는, 단계S302에 돌아가고, 반송 경로를 다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조건을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확인한 경우 사용되는 일람성을 높여서, 유저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 2차원(2D) 시뮬레이션에 근거한 처리의 일례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는, 3차원(3D) 시뮬레이션에 근거한 처리에 적용되어도 좋다. 도10은, 도7에 나타낸 예에 대응한 3D시뮬레이션의 일례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의 범위에서의 기능, 또는 본 실시예의 구성의 기능이 제공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기기나 1개의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특정 용도 지향 집적회로(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0)

  1.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형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명령을 격납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 및
    상기 격납된 명령을 실행할 때, 상기 장치를,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하에서 상기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하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반송 경로내의 부품을, 상기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복수의 장소와 함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에 관한 정보와 관련지어 상기 조건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건과,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상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조건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은, 적어도, 환경에 관한 조건, 매체의 종류에 관한 조건, 매체의 사이즈에 관한 조건, 매체의 초기 위치에 관한 조건, 및 매체의 초기 변형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부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한 거동은, 상기 유연 매체의 이상한 형상, 소정량을 초과하는 응력의 발생, 및 상정되지 않고 있는 반송 경로에의 상기 유연 매체의 침입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처리장치.
  8.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형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정보처리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하에서 상기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반송 경로내의 부품을, 상기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복수의 장소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건을,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에 관한 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정보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건과,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상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표시하는, 정보처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은, 적어도, 환경에 관한 조건, 매체의 종류에 관한 조건, 매체의 사이즈에 관한 조건, 매체의 초기 위치에 관한 조건, 및 매체의 초기 변형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 단계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는, 정보처리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한 거동은, 상기 유연 매체의 이상한 형상, 소정량을 초과하는 응력의 발생, 및 상정되지 않고 있는 반송 경로에의 상기 유연 매체의 침입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처리방법.
  15. 컴퓨터에 반송 경로내를 이동하는 시트형의 유연 매체의 거동을 시뮬레이션하는 정보처리방법을 실행시키기는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서로 다른 복수의 조건하에서 상기 유연 매체의 거동을 복수회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반송 경로내의 부품을, 상기 유연 매체의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복수의 장소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건을,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장소에 관한 정보와 관련지어 표시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조건과, 상기 이상한 거동이 있었던 상기 장소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표시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건은, 적어도, 환경에 관한 조건, 매체의 종류에 관한 조건, 매체의 사이즈에 관한 조건, 매체의 초기 위치에 관한 조건, 및 매체의 초기 변형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 단계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건을 설정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KR1020190143112A 2018-11-21 2019-11-11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20200060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18573A JP7289636B2 (ja) 2018-11-21 2018-11-21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8-218573 2018-1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257A true KR20200060257A (ko) 2020-05-29

Family

ID=7072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12A KR20200060257A (ko) 2018-11-21 2019-11-11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9654B2 (ko)
JP (1) JP7289636B2 (ko)
KR (1) KR20200060257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627B2 (ja) 1997-12-26 2007-02-28 株式会社リコー 設計支援装置
JP2005085003A (ja) * 2003-09-09 2005-03-31 Canon Inc 設計支援を行うため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その情報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054790B2 (ja) * 2004-10-13 2008-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設計支援方法
JP2006155566A (ja) * 2004-10-26 2006-06-15 Canon Inc 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設計支援方法
JP4989200B2 (ja) 2006-11-30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224227A (ja) * 2007-03-08 2008-09-25 Ricoh Co Ltd シート形状測定方法及び装置、並びに、シート形状異常診断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JP5753468B2 (ja) * 2011-09-27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検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検証方法
JP6238566B2 (ja) * 2013-05-1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設計支援プログラム、設計支援方法及び設計支援装置
JP6592267B2 (ja) * 2015-03-31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設計支援装置およ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89636B2 (ja) 2023-06-12
JP2020086789A (ja) 2020-06-04
US11669654B2 (en) 2023-06-06
US20200159877A1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96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ttice structure 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
JP2009289260A (ja) 非線形の構造的応答の数値シミュレーションにおける接触貫通を制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36609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090100328A1 (en) Method for obtaining accessibility information, computer program and accessibility information device
JP2010020763A (ja) 一連の序列的に関連している工学シミュレーションのそれぞれにおいて適切な数値精度を有するcae解析解法を選択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24158B2 (en)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of CAD data used for a structural analysis
JP2006350420A (ja) レイアウト検証用ルールファイルのテスト装置、テスト方法及びテストプログラム
JPH11116133A (ja) 設計支援装置
KR20200060257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N106457331B (zh) 采用多个因素的组合来执行和通知金属板仿真
US201803147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090004593A (ko) 설계 지원 방법 및 기록 매체
JP6285793B2 (ja) 深絞り加工シミュレーションの重力荷重段階にシートメタルブランクがガイドピンに接触する影響を含め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023986B2 (ja) 有限要素法解析における要素のグループ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624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0572781B2 (en)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1034505A (ja) 設計支援装置、及び、設計支援方法
JP5545133B2 (ja) 静的解析処理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09625B2 (ja) 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の表示/操作部設計方法
JP4440149B2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設計支援プログラム
CN105468805B (zh) 一种表征数字模拟结果的图形表示的方法
JP2005085003A (ja) 設計支援を行うため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その情報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0331037A (ja) 条件設定装置、条件設定方法及び条件設定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2456407B1 (ko) 애플리케이션 로딩 시간을 분석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378095B2 (ja) 3次元シート形状処理装置、3次元シート形状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