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003A -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 Google Patents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003A
KR20200059003A KR1020180143789A KR20180143789A KR20200059003A KR 20200059003 A KR20200059003 A KR 20200059003A KR 1020180143789 A KR1020180143789 A KR 1020180143789A KR 20180143789 A KR20180143789 A KR 20180143789A KR 20200059003 A KR20200059003 A KR 20200059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coating composition
curing agent
acrylate
recov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410B1 (ko
Inventor
박대진
이재민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4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410B1/ko
Priority to CN201980076199.7A priority patent/CN113056531B/zh
Priority to PCT/KR2019/015903 priority patent/WO2020106047A1/ko
Publication of KR2020005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08G18/6233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the monomers or polymers being esterified with carboxylic acids or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75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halogenated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79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halogenated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4Chemical modification with acids, their salt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및 지방족 비닐에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이 공중합된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SELF HEALING COATING COMPOSITION AND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영향에 따른 제품의 손상을 보호하고,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코팅층 또는 코팅 필름이 건물의 내외장재, 자동자의 내외장재, 또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 등 다양한 성형품의 표면에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제품 코팅 표면의 긁힘이나 외부 충격에 균열은 제품의 외관 특성, 주요 성능 및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제품 표면을 보호하여 장기적인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가복원성(SELF-HEALING)을 갖는 코팅 소재에 대한 연구 및 관심이 최근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이라 함은 코팅층에 외부의 물리적 힘이나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코팅층 상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이 생겼을 때, 이러한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자체적으로 서서히 치유되거나, 감소되는 특성을 지칭한다.
그런데, 이러한 자가복원성을 나타내는 기존의 코팅층의 경우, 경도, 내마모성 또는 도막 강도 등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충분치 못하게 되고, 내오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자동차용 외장재의 외관에 자가복원성을 나타내는 코팅층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코팅층의 기계적 물성이 높은 수준으로 요구되지만, 기존의 자가복원성을 갖는 코팅층은 이러한 높은 기계적 물성을 충족하지 못하고 내오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로 인해, 상기 기존의 코팅층에 강한 외부 자극이 가해질 경우, 코팅층 자체가 영구 손상되고 자가복원성 조차 잃게 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복원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복원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및 지방족 비닐에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이 공중합된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자가복원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따른 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따른 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구현 예에 따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및 비닐에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이 공중합된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영향에 따른 제품의 손상을 보호하고,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코팅층 또는 코팅 필름이 건물의 내외장재, 자동자의 내외장재, 또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 등 다양한 성형품의 표면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이와 같은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은 자가복원성 (self-healing)이 요구된다. 자가복원성이라 함은 코팅층에 외부의 물리적 힘이나 자극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코팅층 상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등 손상이 생겼을 때, 이러한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자체적으로 서서히 치유되거나, 감소되는 특성을 지칭한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자가복원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프로락톤이 개환 부가 중합되어 형성된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기에 (메타)아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 중합되어 제조된다.
상기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4의 히드록시알킬기를 포함한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프로락톤을 반응시키면, 카프로락톤이 개환 부가 중합되어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폴리올이 합성된다.
하기 반응식 1은, 일 예시로, 히드록시알킬아크릴레이트와 카프로락톤이 반응하여 형성된 폴리올로서,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얻어지는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반응식 1에서, k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카프로락톤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 구조는 촉매를 사용한 고리-열림(ring-opening) 반응에 의해 카프로락톤 모노머가 중합되어 형성되고, 저온에서도 충분히 중합 반응할 수 있고, 물 또는 불순물이 생성되지 않는바 높은 순도의 올리고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프로락톤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 구조는 디올과 디엑시드로부터 축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올보다 우수한 내가수분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카프로락톤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올 구조는 연질 세그먼트이다. 상기 폴리올 구조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바, 흔들리지 않는 균일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프로락톤으로 형성된 폴리올 구조를 포함하는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이를 포함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코팅층 전체에 걸쳐 보다 우수한 내오염성, 내화학성 및 내마모성과 함께 우수한 자가복원력을 균일하게 부여할 수 있다.
반응식 1에 의해 얻어진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 비닐기, 즉, 아크릴기 중의 비닐기가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와 중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포함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포함한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중 상기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에 의해 형성되는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블록은 경질 세그먼트 (hard segment)이다. 다만, 상기한 예시 중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가 공중합되면, 나머지의 다른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보다는 소폭으로 연질의 특성이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중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블록의 함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코팅층의 가교 밀도, 주쇄의 길이,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대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가 약 7:3 내지 약 3:7 로 그라프트 중합 반응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함량 범위로 공중합된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코팅층이 우수한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치핑성 (chipping resistance) 및 자가복원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은 자동차용 외장재에서 요구하는 바에 부합하기 때문에,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자동차 도장 보호 필름 (paint protection film) 또는 랩핑 필름의 코팅층 형성용으로 적합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반응식 1에서 얻어진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히드록시기와 상기 다른 비닐기 함유 모노머에 포함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포함된 히드록시기의 함량에 따라 경화 밀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코팅층의 탄성, 자가복원성, 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의 수산기 값이 약 90 mgKOH/g 내지 약 150 mgKOH/g , 구체적으로, 약 100 mgKOH/g 내지 약 150 mgKOH/g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수산기 값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코팅층은 우수한 자가복원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내오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는 약 -20℃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코팅층이 우수한 자가복원성 및 내오염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5,000g/mol 내지 약 25,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짐으로써, 상기 코팅층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우수한 자가복원성 및 내오염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는 지방족 비닐에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이 공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방족 비닐에테르의 지방족기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은, 예를 들어, 1 내지 4개의 불소가 치환된 플루오로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와 반응하여 형성되는 우레탄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좋으며 비닐기와 불소간의분자 결합에너지가 매우 높아 내후성이 우수하며 내산성이 좋아 옥외환경에서 뛰어난 물성을 가진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약 7 : 3 내지 약 9 : 1 일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함량비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및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로부터 제조된 코팅층이 우수한 내오염성, 내화학성, 내치핑성 (chipping resistance) 및 자가복원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은 자동차용 외장재에서 요구하는 바에 부합하기 때문에,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도장 보호 필름 (paint protection film) 또는 랩핑 필름의 코팅층 형성용으로 적합하다.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3종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경화제를 열경화제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계 트라이머형 3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고, 가장 연질 (soft)이다.
상기 제2 경화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계 단위를 포함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고, 경도가 높으면서, 겔 분율 (gel fraction)이 높다.
상기 제3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고, 경화도를 높이면서, 경도 수준은 3관능 HDI 수준을 유지해준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의 중량비가 약 10 내지 30 : 약 20 내지 50 : 약 30 내지 70 일 수 있다.
상기 혼합 경화제를 상기와 같이 배합하여, 경화 밀도를 조절하고, 경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여, 우수한 내오염 성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자가복원 성능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에 포함된 히드록시기 및 상기 혼합 경화제 중의 NCO 기의 당량비를 조절하여 경화 밀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코팅층의 탄성, 자가복원성, 신율, 경도 등의 물성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에 포함된 히드록시기 및 상기 혼합 경화제 중의 NCO 기의 당량비는 약 0.8:1 내지 약 1:1.3, 예를 들어, 약 1:1 내지 약 1:1.1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당량비가 되도록 조절하여,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로 형성되는 코팅층은 우수한 자가복원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내오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는 톨루엔, 크실렌, 코코졸, 사이클로헥사논,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부틸 셀로솔브,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코팅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기재층의 물질을 고려하여 상기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에 우수한 코팅성 및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부틸 셀로솔브를 용매로 포함하여, 기재층이 용매에 의해 팽윤(swelling)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재층에 우수한 코팅성 및 밀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 폴리염화비닐은 코팅층에 포함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등의 용매에 의해 팽윤되기 때문에 시트의 파단신율 및 경화도 등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가혹한 건조 조건을 통해 기재층이 팽윤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제품 외관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으며 열에 약한 기재의 경우 기재 물성이 저하되거나 변색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용매를 포함하여, 기재층에 특히,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기재층에 있어서, 현저히 향상된 파단신율과 우수한 외관 품질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재층에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직접 코팅하여 열경화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UV 안정제, 반응 지연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UV안정제를 더 포함하여 우수한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트리아진계 UV 안정제를 포함하여 오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UV를 우수한 효율로 흡수하여 코팅층에 우수한 내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반응 지연제를 포함하여 경화 반응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아세틸아세톤을 반응지연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따른 시트(100)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서, 상기 시트(100)는 기재층(10) 및 코팅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20)은 약 5㎛ 내지 약 4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8㎛ 내지 약 2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자가복원성 및 내오염성과 동시에 내치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의 함량을 약 30wt% 내지 약 70wt%로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이 동일할 때, 형성되는 코팅층의 두께가 두꺼우면 자가복원 성능은 올라가지만 내크랙성이 저하된다. 내크랙성은 시공성과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굴곡면을 시공하는 경우, 일정 수준 (약 2~30%) 정도로 늘림 시공을 하는데, 코팅층이 경질이거나 두꺼우면 굴곡 시공 후 일정 시간 이후, 그리고 일정 온도에서 코팅층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코팅층 두께와 경질도(hardness)를 조절해야 시공성 (크랙 방지), 내오염성 및 자가복원 성능 등의 물성을 최적화 할 수 있습니다.
즉, 코팅층이 연질이면, 자가복원성과 크랙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경질이면 내오염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물성들이 상보 관계이어서, 구현하는 경질의 정도를 적절히 맞출 필요가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전술한 코팅층의 두께 범위에서 이러한 측면에서 상보적 관계에 있는 시공성 (크랙 방지), 내오염성 및 자가복원 성능이 모두 우수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경질도를 구현할 수 있다.
기재층(10)은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재층은 산업에서 사용하는 기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은 보다 경제적인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상기 기재층에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우수한 자가복원성, 내오염성 및 내치핑성과 함께 현저히 향상된 파단신율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은 약 50 ㎛ 내지 약 3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트(100)는 ASTM D638-95의 조건에 따른 파단신율 약 8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범위의 신율을 가짐으로써, 늘림시공이 필요한 제품에 대해서 우수한 시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곡면 성형이 필요한 건물의 내외장재, 가구, 도어, 샤시등의 표면 보호층, 굴곡이 있는 자동차용 외장재, 예를 들어 자동차 튜닝필름 등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트(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시트(200)는 기재층(10) 및 기재층(10)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20)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10)의 또 다른 일면에 점착제(30) 및 이형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200)는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영향에 따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건물의 내외장재, 자동자의 내외장재, 또는 각종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에 이형지를 제거한 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준비한 뒤, 이를 기재층 상부에 도포하고, 열경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재층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으로 시트를 제조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폴리염화비닐의 취약한 내용제성 및 취약한 내열성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이 코팅 조성물을 기재층에 직접 코팅 및 경화하지 못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필름 상에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전사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폴리염화비닐 필름 상에 전사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사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별도로 요구하므로, 공정 효율을 저하시키고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에 대하여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유리전이온도는 약 -10℃ 내지 약 70℃이어서, 폴리염화비닐 기재층에 대하여도 직접 도포 및 열경화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경제적이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기재층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고형분을 약 20 중량% 내지 약 6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30 중량% 내지 약 5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이 우수한 코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기재층 상부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고형분의 함량 범위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그라비아 코팅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조건 및 방법에 따라 도포함으로써 적절한 두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그라비아 롤의 mesh size를 조절하여 코팅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열경화하여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한 후, 이를 직접 열경화하여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기 기재층 상부에 도포된 채로 열경화 가능하며, 상기 기재층이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기재층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코팅층을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의 상부에 도포된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상온에서도 상기 열경화제가 작용하여 경화 반응이 진행될 수 있고, 약 100℃ 내지 약 150℃서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이 상기 범위의 온도에서 열경화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모든 종류의 기재층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경화도를 갖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우수한 자가복원성, 파단신율, 내치핑성 및 내오염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시트는 자동차 외장재, 예를 들어, 자동차 도장 보호 필름 (paint protection film), 랩핑 필름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고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를 55:40 중량비로 공중합하여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별도로, 과불화올레핀으로서 플루오로에틸렌 및 에틸 비닐에테르를 20:60의 중량비로 공중합된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8:2 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으며, UV 안정제 (UV absorber), 아세틸아세톤 및 부틸셀로솔브 (butyl cellosolve)를 추가 혼합하였고, 혼합 경화제를 첨가하여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경화제는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제1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트라이머형 3관능 폴리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제2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였다. 제3 경화제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계 단위를 포함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상기 혼합 경화제는 제1 경화제 : 제2 경화제 : 제3 경화제 = 2:3: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에서 히드록시기 : 상기 혼합 경화제 중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 NCO 기의 당량비가 1 : 1.1 이 되는 비율로 상기 혼합 경화제를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은 40중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폴리염화비닐 기재층 위에 약 30㎛의 두께로 그라비아 코팅하여 도포한 후, 120℃ 오븐에서 5분 동안 열경화시켰다. 따라서, 폴리염화비닐 기재층 위에 약 7㎛ 내지 약 9㎛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7:3 의 중량비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을 폴리염화비닐 기재층 위에 30㎛의 두께로 그라비아 코팅하여 도포하여, 최종 폴리염화비닐 기재층 위에 약 15㎛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경화제 대신, 혼합 경화제 전체 함량으로 제1 경화제 만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혼합 경화제 대신, 혼합 경화제 전체 함량으로 제2 경화제 만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혼합 경화제 대신, 혼합 경화제 전체 함량으로 제3 경화제 만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아서, 상기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이 이를 포함하지 않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조하였다.
평가
실험예 1: 파단신율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에 관하여 KSM3507의 1호 금형으로 도그본 샘플을 채취하고, Zwick Roell社 Z 1000 model UTM 장비를 사용해서 ASTM D638-95에 따라, 300 mm/분, 표점간의 거리 40 mm의 조건으로 파단시 신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내오염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를 HCl 5wt%, 염기 NaOH 5wt%, 가솔린, 디젤 및 엔진오일에 각각 담근 후 24hr 후에 표준 규격 'DIN EN 12720: 1997-10, 1B 이상'에 의해, 상기 하드코팅층 표면의 내오염도를 측정하였고, 후술하는 평가 기준에 따라 등급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은 하기 1) 내지 6)에 의한다.
1) 5등급- 눈에 보이는 변화가 없음
2) 4등급: 광택이나 색상의 극소 변화 있음
3) 3등급: 하드코팅층의 변화 없이 광택이나 색상의 가벼운 변화 있음
4) 2등급: 하드코팅층의 변화 없이 광택이나 색상의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심한 변화 있음
5) 1등급: 하드코팅층이 손상되고, 광택이나 색상의 심한 변화 있음
6) 미평가: 하드코팅층이 벗겨지거나 파괴됨.
실험예 3: 자가복원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를 Wire brush 표면에 대고 3회 긁은 후에, 상기 시트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상온에서 상기 시트의 스크래치가 없어지면서 시트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타이머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코팅층 파단신율(%) 내오염성 자가복원성
(min)
HCl NaOH 에탄올 가솔린 디젤 엔진오일 Permanent Marker
실시예 1 95 5 5 5 5 5 5 5 10분
실시예 2 125 5 5 3 5 5 5 3 5분
실시예 3 110 5 5 5 5 5 5 5 10분
실시예 4 120 5 5 4 5 5 5 3 5분
실시예 5 80 5 5 4 5 5 5 5 1시간
실시예 6 60 5 5 5 5 5 5 5 24시간
비교예 1 130 5 5 3 4 5 5 2 3분
실험예 4: 크랙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를 4×20 cm 크기로 재단한 후, 페인트 도장 표면에 필름을 연신 전 길이 (20cm) 대비 10%, 20%, 30% 및 40%씩 늘려 시공한다. 시공 후 고온 오븐을 사용하여, 80℃, 90℃ 및 100℃ 에서 각 30분씩 방치 후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
O : 크랙 미발생 :
X : 크랙 발생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80℃ 90℃ 100℃
20% 30% 40% 20% 30% 40% 20% 30% 40%
실시예 1 O O X O O X O O X
실시예 2 O O O O O O O O X
실시예 3 O O O O O X O O X
실시예 4 O O O O O X O O X
실시예 5 O X X O X X O X X
실시예 6 X X X X X X X X X
비교예 1 O O O O O O O O X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200: 시트
10: 기재층
20: 코팅층
30: 점착제
40: 이형지

Claims (9)

  1.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및
    지방족 비닐에테르 및 적어도 하나의 불소 치환된 올레핀이 공중합된 불소 함유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프로락톤이 개환 부가 중합되어 형성된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아크릴기에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그라프트 중합된 공중합체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의 수산기 값이 90 mgKOH/g내지 150 mgKOH/g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프로락톤 변형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대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량비가 7:3 내지 3:7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폴리올 공중합체 대 상기 불소 함유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7 : 3 내지 9 : 1 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를 포함하는 혼합 경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트라이머형 3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2 경화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계 단위를 포함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고,
    상기 제3 경화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6관능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의 중량비가 10 내지 30 : 20 내지 50 : 30 내지 70 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8. 기재층;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는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시트.
KR1020180143789A 2018-11-20 2018-11-20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2418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89A KR102418410B1 (ko) 2018-11-20 2018-11-20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CN201980076199.7A CN113056531B (zh) 2018-11-20 2019-11-20 自修复性涂敷组合物及利用其的片
PCT/KR2019/015903 WO2020106047A1 (ko) 2018-11-20 2019-11-20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89A KR102418410B1 (ko) 2018-11-20 2018-11-20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003A true KR20200059003A (ko) 2020-05-28
KR102418410B1 KR102418410B1 (ko) 2022-07-07

Family

ID=7077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89A KR102418410B1 (ko) 2018-11-20 2018-11-20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18410B1 (ko)
CN (1) CN113056531B (ko)
WO (1) WO2020106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0111B (zh) * 2020-07-30 2021-07-27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梳型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12685B (zh) * 2021-01-25 2022-06-28 江南大学 一种具有自愈合功能的光固化防涂鸦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80193B (zh) * 2021-12-02 2022-10-18 广东邦固化学科技有限公司 一种光学级亲油型热修复树脂及其制备方法和自修复涂层
CN114196301A (zh) * 2021-12-28 2022-03-18 佩特化工(上海)有限公司 易清洁自修复车衣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涂布方法
CN115895482A (zh) * 2022-09-29 2023-04-04 南通纳科达聚氨酯科技有限公司 一种无涂层漆面保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274A (ko) * 1999-11-30 2001-10-27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저락톤변성 반응성 단량체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아크릴폴리올수지, 및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KR2011011948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하이솔리드 2액형 도료 조성물
JP2015199908A (ja) * 2014-03-31 2015-11-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系化合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
JP2017502096A (ja) * 2013-11-07 2017-01-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アジリジン化合物及び非フッ素化ポリマーを含むフルオロポリマーコーティン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0530A (en) * 1996-03-19 1998-07-14 Nippon Paint Co., Lt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N1105759C (zh) * 1996-11-22 2003-04-16 Sk化研株式会社 防污染涂料组合物
JP2005139343A (ja) * 2003-11-07 2005-06-02 Nippon Yushi Basf Coatings Kk 熱硬化性塗料組成物、塗装仕上げ方法及び塗装物品
JP2011207953A (ja) * 2010-03-29 2011-10-20 Nagase & Co Ltd 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
KR20150017859A (ko) * 2013-08-08 2015-02-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KR101483043B1 (ko) * 2014-02-06 2015-01-26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셀프힐링 코팅 안경렌즈 및 그 제조방법
WO2017073522A1 (ja) * 2015-10-27 2017-05-0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
CN108285698B (zh) * 2018-01-19 2020-04-28 苏州中世惠华合成材料有限公司 自修复性涂料组合物,自修复性涂层、含有该自修复性涂层的保护膜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274A (ko) * 1999-11-30 2001-10-27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저락톤변성 반응성 단량체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아크릴폴리올수지, 및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도료 조성물
KR20110119481A (ko) * 2010-04-27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하이솔리드 2액형 도료 조성물
JP2017502096A (ja) * 2013-11-07 2017-01-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アジリジン化合物及び非フッ素化ポリマーを含むフルオロポリマーコーティング
JP2015199908A (ja) * 2014-03-31 2015-11-12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系化合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コーティング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6047A1 (ko) 2020-05-28
KR102418410B1 (ko) 2022-07-07
CN113056531A (zh) 2021-06-29
CN113056531B (zh)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410B1 (ko) 자가복원성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1399726B1 (ko) 수지 적층체, 그 제조 방법, 및 수지 적층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사 필름
KR101587190B1 (ko) 플라스틱 필름
JP6264214B2 (ja) 熱転写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ハードコート体
KR100972473B1 (ko)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 및 자외선 흡수층을포함하는 라미네이트
CN109312038B (zh) 活化能射线固化性树脂组合物、树脂成型品以及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
KR100650152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EP2003173A1 (en) Photocurable coating material
JP2013173871A (ja) 組成物、帯電防止性コート剤及び帯電防止性積層体
KR102369667B1 (ko) 시트
CN107267079B (zh) 聚酯膜
KR101853888B1 (ko) 고신율/고경도 하드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KR101470467B1 (ko) 코팅 조성물
WO2017056141A1 (ja) 耐擦傷性と柔軟性を有する架橋塗膜、及び樹脂組成物
JP6119381B2 (ja) 熱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834114A (zh) 光学部件保护用涂布膜
KR101419054B1 (ko) 헤드램프 렌즈용 방담도료 조성물
KR101470468B1 (ko) 플라스틱 필름
JP2016033175A (ja) 耐擦傷性と柔軟性を有する架橋塗膜、及び樹脂組成物
KR101798745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8224534A (ja) 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
KR20230083114A (ko)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20160082478A (ko) 폴리이미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모듈
WO2019107988A1 (ko) 시트
KR20230083251A (ko)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