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649A -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649A
KR20200053649A KR1020207013267A KR20207013267A KR20200053649A KR 20200053649 A KR20200053649 A KR 20200053649A KR 1020207013267 A KR1020207013267 A KR 1020207013267A KR 20207013267 A KR20207013267 A KR 20207013267A KR 20200053649 A KR20200053649 A KR 20200053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flat
rolled copper
mass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463B1 (ko
Inventor
료스케 마츠오
켄고 미토세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3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foils which present special problems, e.g. because of thin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10Alloys based on copper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2003/005Copper or it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10T428/12438Compo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etal Rolling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작은 굴곡 반경에서, 우수한 내굴곡성을 실현할 수 있는 평각 압연 동박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평각 압연 동박(1)은, 0.2% 내력이 250MPa 이상인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각 압연 동박이며,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RD면(3))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이 8% 이상이다.

Description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RECTANGUALR ROLLED COPPER FOIL, FLEXIBLE FLAT CABLE, ROTATIN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TANGULAR ROLLED COPPER FOIL}
본 발명은,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특히 자동차용 부품 등에 있어서 반복하여 굴곡 운동을 하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에 이용되는 평각 압연 동박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은, 두께가 얇고 가요성이 우수한 특장으로부터, 전자기기 등에의 실장 형태에 있어서의 자유도가 높아,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있어서의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부품이며, 스티어링·롤·커넥터(SRC)로도 칭해지는 회전 커넥터나, 접이식 휴대 전화의 구부림부,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헤드 등의 가동부, HDD(Hard Disk Drive)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ray(등록상표) Disc, CD(Compact Disc) 등, 디스크 관련 기기의 가동부의 배선 등에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도체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압연 동박이 이용된다.
압연 동박(rolled copper foil)이란, 압연에 의해 제조된 동박이다. 압연 동박에는, 환선(丸線)을 압연하여 얻는 것(본 명세서에서는 환선 압연 동박이라고 한다)과, 주괴(ingot)를 환선으로 하지 않고 롤 압연하여 박재(箔材)로 하고, 필요에 따라 소정 폭에 슬릿 가공한 것(본 명세서에서는 평각 압연 동박(rectangular rolled copper foil)이라고 칭한다)이 있다.
예를 들면, SRC에 있어서는, 공간 절약화나 코스트 다운의 관점에서, 소형화, 박육화의 요구가 있으며, 앞으로 그 경향은 점점 강해져 갈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에 따라, FFC의 굴곡 벤딩 반경은 종래보다 더욱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종래의 압연 동박으로는,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간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인장 강도(TS)를 350MPa~400MPa로 제어하고, 85℃ 이상의 환경하에서 고굴곡성을 갖는 도체가 개시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FPC 용도이지만, 일정 조건의 열처리에서 재결정처리를 했을 때, 그 굴곡 특성을 크게 개선하는 것이 가능한 도체가 개시된다.
특허문헌 1: 특개 2009-048819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제3009383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온도에 대한 내구성의 언급이 있지만, 벤딩 특성에 대해서는, 실시예에서 굴곡 반경 7.5㎜에 있어서의 시험 내구성을 개시하는데 그치며, 7.5㎜보다 작은 굴곡 반경에서의 벤딩 특성은 언급되지 않고, 불분명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매우 작은 굴곡 반경에서의 내구 시험이 실시되지만, 그 시험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는 10만회 이하이므로, SRC에 요구되는 벤딩 특성에는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인용문헌의 제법으로 제조된 도체에서는, SRC에 요구되는 작은 굴곡 반경에서의 요구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굴곡 반경(예를 들면 6㎜ 이하)에서, 우수한 내굴곡성을 실현할 수 있는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다음의 지견을 얻었다. 우선 종래부터, 굴곡 수명 회수의 관점에서는, 연동(0.2% 내력이 250MPa 미만의 동 또는 동합금)이, 경동(0.2% 내력이 250MPa 이상의 동 또는 동합금)보다 특성이 좋아진다고 판단되어, 공업적으로도 연동이 사용되어 왔지만, 요구 특성에 있어서의 굴곡 반경의 소경화에 따라, 경동의 내굴곡성이, 연동보다 좋아지는 현상을 확인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굴곡 반경이 6㎜ 정도로 매우 작은 경우에는, 오히려 경동이 연동보다 특성이 좋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연동을 대신해 경동을 사용하는 것 만으로는, 회전 커넥터(예를 들면 SRC)에서 요구되는 예를 들면 굴곡 반경 6㎜ 이하에서 50만회 이상으로 한 굴곡 수명 회수로 양호한 내굴곡 특성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고, 더욱 연구가 필요한 것이 판명되었다.
거기서 더욱 열심히 검토한 결과, 경동(0.2% 내력이 250MPa 이상)인 것을 전제로 하여, 제품인 동박의 금속 조직에 있어서,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001}<100>의 결정립이 면적율로 8% 이상 집적하는 경우에는, 굴곡 반경이 매우 작은 경우여도, 양호한 내굴곡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압연 동박에 결정 방위 제어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환선 압연 동박보다, 평각 압연 동박이 제조 안정성의 면에서 유리한 것도 알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각 압연 동박이란, 주괴를 롤 압연하여 박재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박재를 더욱 슬릿하는 제조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동박이다.
이상의 지견으로부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하대로이다.
(1) 0.2% 내력이 250MPa 이상인 동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각 압연 동박이며,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deviation angle)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area ratio of crystal grain)이 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압연 동박.
(2) 0.01~0.2질량%Mg, 0.01~0.5질량%Zn, 0.01~1.5질량%Sn, 0.01~0.1질량%Ag, 0.001~0.05질량%P, 0.1~0.5질량%Cr, 0.01~0.1질량%Si, 0.01~0.2질량%Zr, 0.01~0.2질량%Ti 및 0.01~0.2질량%F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에서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동(銅)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동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에 있어서, 라손·밀러·파라미터(Larson-Miller Parameter) P는, P=T(C+logtr)로 정의되며, T가 절대온도(K), tr이 파단 시간(rupture time)(h), C가 재료 정수(material constant)일 때, C=20이고 또한 P=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조건으로 열처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0.2% 내력이 250MPa 이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압연 동박.
(4) 상기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5) 상기 (4)에 기재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가지며, 굴곡 반경 6㎜ 이하의 굴곡 부위에 적용되는 회전 커넥터.
(6) 상기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조, 열간 압연, 제1 냉간 압연, 및 재결정에 따른 제1 열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한 후, 감면율 75% 이상에서 냉간 압연하여 박재를 형성하는 제2 냉간 압연 공정과, 상기 박재에 200~600℃, 1초~2시간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제2 열처리 공정과, 상기 제2 열처리 공정 후의 박재를 감면율 5% 이상으로 냉간 압연하여 박재를 형성하는 제3 냉간 압연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7) 상기 제3 냉간 압연 공정 후에, 상기 박재를 압연 방향에 따라 절단하는 슬릿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8) 상기 제3 냉간 압연 공정 후이며, 상기 슬릿 공정 전에, 상기 박재에 변형보정(straightening) 소둔을 실시하는 제3 열처리 공정을 더욱 갖는, 상기 (7)에 기재된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FFC 도체가 작은 굴곡 반경에서 반복해서 굴곡하는 경우여도 내굴곡성이 우수한 평각 압연 동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각 압연 동박은, FFC가 탑재된 SRC는 물론, 휴대 전화의 구부림부,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헤드 등의 가동부, HDD, DVD, Blu-ray(등록상표) Disc, CD 등 디스크 관련 기기의 가동부의 배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평각 압연 동박을 도시한 사시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굴곡성 시험에서 사용되는 굴곡 시험기에 평각 압연 동박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되는 4개의 평각 압연 동박을 이용하여 제작한 FFC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FFC를,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부품인 회전 커넥터(SRC)에 적용했을 때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본 실시형태의 일례가 되는 평각 압연 동박(1)을 도시한다.
(평각 압연 동박)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각 압연 동박(1)은, 압연면(2)과, 거기에 인접하는 측면(4)을 가진다.
또한 도 1에서, X-Y-Z축은 직교 좌표계이며, X축인 RD는 압연 방향이며, 또한 동박의 긴 방향을 나타내며, Z축인 ND는, 압연면에 수직인 압연 법선 방향이며, 또한 동박의 판 두께 방향을 나타내며, Y축인 TD는, RD와 ND의 양쪽 모두에 수직인 방향이며, 또한 동박의 폭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부호(3)로 나타낸 것은, 압연 방향 RD에 수직인 단면이며, RD면이라고도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1)은, 결정 방위 제어를 실시한 것이다.
여기서 압연 동박에는, 환선 압연 동박과 평각 압연 동박으로 대별되지만, 평각 압연 동박(1)은, 후술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결정 방위 제어를 실시할 때, 결정립을 Cube 방위로 안정적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압연 중에 Cube 방위가 소량이나마 배향하는 것과, 압연으로 얻은 조직이 Cube 방위에의 결정립 성장일 때, 우선적으로 침식되는 측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이유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환선 압연 동박에서는, 제조 과정에서 결정립이 다른 결정 방위로 우선적으로 배향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안정적으로 Cube 방위로 배향시키는 것의 기술적 난이도가 높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각 압연 동박(1)을 이용한다.
평각 압연 동박(1)은, 그 폭 및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폭 0.300~2.000㎜, 두께 0.010~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동 또는 동합금은, 예를 들면 터프 피치 동(TPC: Tough Pitch Copper), 무산소 동(OFC: Oxygen-Free Copper) 혹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 원소를 함유하며, 잔부가 동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동합금인 동합금이다. 해당 동합금은, 0.01~0.2질량%Mg, 0.01~0.5질량%Zn, 0.01~1.5질량%Sn, 0.01~0.1질량%Ag, 0.001~0.05질량%P, 0.1~0.5질량%Cr, 0.01~0.1질량%Si, 0.01~0.2질량%Zr, 0.01~0.2질량%Ti 및 0.01~0.2질량%F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 원소를 합계에서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첨가 원소의 한정 이유를 기재한다.
<첨가 원소>
(0.01~0.2질량%Mg)
Mg은, Cu에 첨가함으로써 고용되어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Mg 함유량을 0.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g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지만, 도전성이 떨어져 희망한 저항을 충족시키기 못할 우려가 있거나, 주조 및 열간 압연 시의 균열 등 제조성에 영향이 염려된다는 점에서, Mg 함유량의 상한치는 0.2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5질량%Zn)
Zn은, Cu에 첨가함으로써 고용되어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Zn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n을 0.5질량%보다 많이 함유시켜도, 상기 작용이 더욱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는 점에서, Zn 함유량의 상한은 0.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1.5질량%Sn)
Sn은, Cu에 첨가함으로써 고용되어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Sn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n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지만, 도전성이 떨어져 희망한 저항을 충족시키기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Sn 함유량의 상한치는 1.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1질량%Ag)
Ag은, Cu에 첨가함으로써 고용되어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Ag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g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으며, 도전성의 저하도 작지만, 비용면과의 타협 등을 고려하여, 상한치를 0.1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0.05질량%P)
P은, 주조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P 함유량을 0.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도전성이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한치를 0.0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5질량%Cr)
Cr은, Cu에 첨가하여 적절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미세 석출하여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Cr 함유량을 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r은, 0.5질량%를 초과하여 함유시켜도, 굴곡 특성의 개선 효과가 현저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Cr 함유량의 상한치는 0.5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1질량%Si)
Si는, Cu에 첨가하여 적절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미세 석출하여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Si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i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지만, 도전성이 떨어져 희망한 저항을 충족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상한치를 0.1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2질량%Zr)
Zr은, Cu에 첨가하여 적절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미세 석출하여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Zr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Zr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지만, 주조 및 열간 압연 시의 균열 등 제조성에 영향이 염려된다는 점에서, 상한치를 0.2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2질량%Ti)
Ti은, Cu에 첨가함으로써 고용되어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Ti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i 함유량은, 많아질수록 굴곡 특성은 더욱 개선될 가망성이 있지만, 도전성이 떨어져 희망한 저항을 충족시키지 않게 되거나, 주조 및 열간 압연 시의 균열 등 제조성에 영향이 염려된다는 점에서, 상한치를 0.2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2질량%Fe)
Fe은, Cu에 첨가하여 적절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미세 석출하여 굴곡 특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갖는 원소이다. 해당 작용을 발휘하려면, Fe 함유량을 0.01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e은, 0.2질량%를 넘어 함유시켜도, 굴곡 특성의 개선 효과가 현저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Fe 함유량의 상한치는 0.2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g, Zn, Sn, Ag, P, Cr, Si, Zr, Ti 및 F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 원소를 합계에서 1.0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
상기 첨가 원소의 첨가는, 강도나 내열성, 제조성을 올리면서도 도전성을 지나치게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목적이며, 그 합계 첨가량은 1.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합금의 도전율은, 표준 연동의 도전율을 100%로 했을 때에,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에의 원소의 첨가는 SFE(stacking fault energy)를 변화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원소 첨가에 의해 결정 방위의 집적에 변화가 일어난다. 원소를 지나치게 첨가하면, 희망한 집합 조직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그 관점에서도 상기 미량 첨가 원소의 첨가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첨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면, 첨가 원소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RD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이 8% 이상인 것)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1)은,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001}<100>로부터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이 8% 이상이다. Cube 방위는 재료에서(평각 압연 동박에서의)의 동 또는 동합금 모상(母相)의 결정 방위 중 하나이다. 이 방위는, 동 또는 동합금 모상의 결정(면심 입방 격자)의 {001}면이 압연면에 대해 평행이며, 또한 <100>방향이 압연 방향 RD와 평행인 결정 방위이다.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에는, 이 결정 방위를 갖는 결정이, RD면(3)에 있어서 측정했을 때, 8% 이상의 면적율로 존재한다. 다만, 이상적인 결정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0° 이상 12.5° 이내)이면 그 이상 방위와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으므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에 대해서도 Cube 방위와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은, 엄밀하게 Cube 방위로 배향하는 결정립 뿐만 아니라, Cube 방위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12.5° 이내에서 3차원적으로 회전한 방위로 배향하는 결정립을 포함하여, RD면(3)에 있어서 면적율 8% 이상으로 존재한다. 이하, Cube 방위 혹은 Cube 방위에서 플러스 마이너스 12.5° 이내에서 3차원적으로 회전한 방위의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라고 칭한다.
압연 처리를 실시하면, 압연재에 있어서의,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의 결정립이 감소하고, 내굴곡성이 약간 저하하는 한편, 가공 경화에 의해 내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재결정화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의 결정립이 발달되고, 내굴곡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각 압연 동박에 있어서의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의 결정립의, RD면(3)에 있어서의 면적율에 주목하여, 그 면적율의 관점에서, 소정 조건으로 압연 처리 및 재결정화 처리를 실시하고, 0.2% 내력을 250MPa 이상으로 하고, 게다가 상기 면적율의 수치 범위를 8% 이상으로 함으로써,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의 결정립이 집적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파괴의 기점이 되는 미끄러짐에 의한 요철 형상의 발생 타이밍이 지연되며, 또한, 영률(Young's modulus)의 저하에 의해 균열의 전반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1)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특성뿐만 아니라 내굴곡 특성도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RD면(3)에 있어서의,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은 8%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상기 면적율의 수치 범위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은 경동인 것에 비추어, 슬릿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슬릿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90% 정도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 방위에 대해, 더욱 설명한다. 금속재료는 통상 다결정체이지만, 평각 압연 동박은 수 차례의 압연을 반복하여 제조됨으로써, 박(foil)에서의 결정이 특정 방위로 집적한다. 이러한 일정한 방위로 집적한 금속 조직 상태를 집합 조직이라고 부른다. 이 집합 조직의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결정 방향을 정의하기 위한 좌표계가 필요하다. 그래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집합 조직의 표기 방법에 따라, 평각 압연 동박이 압연되어 나아가는 압연 방향(RD)을 X축, 평각 압연 동박의 폭방향(TD)을 Y축, 평각 압연 동박의 압연면에 수직인 압연면 법선 방향(ND)을 Z축인 직각 좌표계를 취한다. 평각 압연 동박 중에 존재하는 어느 1개의 결정립의 방위는, Z축에 수직인(압연면에 평행한) 결정면의 밀러 지수(hkl)와, X축에 평행한 결정 방향의 지수[uvw]를 이용하여, (hkl)[uvw]의 형태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132)[6-43]이나 (231)[3-46] 등과 같이 나타내며, (132)[6-43]은, 그 결정립을 구성하는 결정의 (132)면이 ND에 수직이며, 그 결정립을 구성하는 결정의 [6-43]방향이 RD와 평행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132)[6-43]와 (231)[3-46]은 면심 입방 격자의 대칭성에서 등가이다. 이러한 등가인 배향을 갖는 방위군은, 그 패밀리를 나타내기 위해서 괄호 기호({}나 <>)를 사용하고, {132}<643>으로 나타낸다.
또한, 결정 방위(hkl)[uvw] 자체는, 결정 방향을 고유하게 정하는 것이므로, 관찰 방향에 의하지 않는다. 즉, 압연 방향(RD), 압연면 법선 방향(ND) 및 동박의 폭방향(TD) 중 어느 방향에서 측정해도, 결정 방위는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Cube 방위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존재량을 면적율로 규정하는 것이므로, 일정한 관찰면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RD면(3)에서 결정립을 관찰하고, 이 관찰면에 있어서의 면적율을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D면(3) 전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를 측정하고, 그 면적을 화상 해석에 따라 산출하고, 그 면적율은, 해당 방위를 갖는 면적을, RD면(3)의 전면적으로 나눔으로써 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 방위의 화상 해석은 EBSD법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BSD란,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전자 후방 산란 회절)의 약자로,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내에서 시료에 전자선을 조사했을 때 생기는 반사 전자 키쿠치선(kikuchi line)회절(키쿠치 패턴)을 이용한 결정 방위 해석 기술이다. 또한, 키쿠치 패턴이란, 결정에 부딪친 전자선이 산란하여 회절됐을 때, 흑백 한 쌍의 평행선이나 띠 형상 혹은 어레이 형상으로 전자선 회절상의 배후에 나타나는 패턴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결정립을 200개 이상 포함하는, 500㎛ 사방의 시료 면적에 대해, 0.5㎛의 스텝으로 스캔하고, 해석용 소프트웨어(EDAX TSL사제, 상품명 「Orientation Imaging Microscopy v5」)를 이용하여, 결정 방위를 해석한다. 해석할 때, 왜곡이나 노이즈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대상에 대해 IQ(이미지 퀄리티)≥900, CI(신뢰성 지수)≥0.1의 제한을 마련했다. 또한, EBSD로 측정할 때에 선명한 키쿠치선 회절상을 얻기 위해, 기계 연마 후에, 측정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없앰과 동시에, 경면 마무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P(크로스섹션 폴리셔(cross section polisher)) 가공, 혹은 전해 연마에서 측정면에 연마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평각 압연 동박(1)의 압연 방향은, 제품 상태에 있어서도, 압연면(2)의 표면을 관찰하면, 압연에 의한 롤러 마크(roller mark) 상태로부터, 특정 가능하다.
(0.2% 내력이 250MPa 이상인 것)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각 압연 동박은, 이른바 경동이며, 0.2% 내력이 250MPa 이상이다.
(라손·밀러·파라미터 P가 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조건에서 열처리 한 후, 0.2% 내력이 250MPa 이상을 유지하는 것)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에서는, 크리프 파단의 가속 시험으로서 주지의 라손·밀러·파라미터법에 따른 라손·밀러·파라미터 P가 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조건에서 열처리 한 후에서도, 0.2% 내력이 250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손·밀러·파라미터는, 하기 식(1)에서 정의된 것이며, 온도와 시간의 값을 변화시켰을 때 재료가 받는 열에너지를 등가로서 평가함으로써, 재료의 수명을 추측하는 것이다.
P=T (C+logtr) ···· (1)
(단, T는 절대온도(K), tr은 파단 시간(h), C는 재료 정수(=20))
라손·밀러·파라미터 P가 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조건에서 열처리 한 후에서도 0.2% 내력이 250MPa 이상을 유지하는 것은, 평각 압연 동박(1)의 모상 조직에 격자 결함(lattice defect)을 도입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각 압연 동박의 평균 결정립 직경은 예를 들면 1㎛~10㎛이다. 어느 정도, 결정립 직경이 균일한 경우, 내력은, 격자 결함의 양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각 압연 동박(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압연량을 제어함으로써, 그 때에 모상 조직에 도입되는 격자 결함의 양을 제어하고, 격자 결함을 다수 도입함으로써, 상기 희망한 내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의 평각 압연 동박(1)은, 예를 들면, 주조 공정, 열간 압연 공정, 제1 냉간 압연 공정, 및 재결정을 수반하는 제1 열처리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한 후, [1] 제2 냉간 압연 공정, [2] 제2 열처리 공정(제1 소둔 처리 공정), [3] 제3 냉간 압연 공정 및 [4] 제3 열처리 공정(제2 소둔 처리 공정)의 각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 제3 냉간 압연 공정 종료 후에 본 발명의 특성을 만족하면, [4] 제3 열처리 공정은 실시하지 않아도 괜찮다.
이하, [1]~[4]의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1]~[4]의 공정을 실시하기에 앞서, 예를 들면 150㎜ 전후의 두께인 케이크 형상 동괴로 주조하고(주조 공정), 15㎜ 전후의 두께가 될 때까지 열간 압연하고(열간 압연 공정), 다시 제1 냉간 압연 공정으로 0.08~3.5㎜의 두께가 될 때까지 냉간 압연을 하고(제1 냉간 압연 공정), 그 후, 재결정 및 석출에 따른 열처리를 실시하고(제1 열처리 공정), 박재를 형성한다. 발명에 상당하는 범위의 제1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 조건은, 200~600℃, 1초~2시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제2 냉간 압연 공정
제1 열처리 공정에서 박재를 재결정 후, 감면율 45~98%로 0.036~0.7㎜의 두께가 될 때까지 2번째 냉간 압연을 실시한다(제2 냉간 압연 공정). 본 압연 공정에서는, 발명에 상당하는 범위의 압연율은 나중에 열처리에서 희망한 조직을 발현시키기 위해, 감면율은 7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연에 의해 박재의 금속 조직에 격자 결함을 도입함으로써, 강도(예를 들면 0.2% 내력)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제2 열처리 공정(제1 소둔 처리 공정)
제2 열처리 공정은, 제2 냉간 압연 공정으로 0.036~0.7㎜까지 냉간 압연된 박재에, 최종 재결정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이다. 본 공정의 발명에 상당하는 범위의 열처리 조건은, 200~600℃, 1초~2시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3 냉간 압연 공정
최종 형상으로 하기 위해, 0.05㎜ 두께의 박재(箔材)(판상선박재)에 0.035㎜ 두께까지 압연을 실시하여 박재를 형성한다. 최종 두께로 할 때까지의 감면율(압하율)은 5% 이상이다. 감면율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평각 압연 동박을 다른 판재에 라미네이트 할 때의 가열에 의해, 0.2% 내력이 250MPa 미만으로 연화하는 것이 상정되는 순동계 동박(도체)에 대해서는,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제3 열처리 공정(제2 소둔 처리 공정)
본 공정은, 박재에 변형보정 소둔을 실시하는 것이며, 실시할지는 임의이지만, 이 소둔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강도의 저하를 수반하므로, 0.2% 내력을 250MPa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공정의 열처리 조건은, 150~300℃, 1초~2시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스펙에 여유가 있어, 상기 [3]의 제3 냉간 압연 공정, 즉 마무리 압연 종료 후에 제품 성능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본 공정은 생략해도 괜찮다.
[5] 슬릿 공정
상기 [3] 및 [4] 공정 후에, 박재를 압연 방향에 따라 절단하는 슬릿 가공을 다시 실시하면, 1매의 박재로부터 임의의 폭인 복수의 평각 압연 동박(1)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평각 압연 동박(1)의 폭이 0.300~2.000㎜으로 가지런히 잘라진다. 본 슬릿 공정은 임의이며, 최종 제품의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실시된다.
본 공정을 거친 평각 압연 동박(1)의 측면(4)은, 전단 가공면이 되지만, 본 공정를 거치지 않고 제품화된 경우, 측면(4)은 전단 가공면은 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제조 과정은, 발명 범위를 만족시키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각 압연 동박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용 도체의 구성)
상기 제조 방법에 따라 제작된 평각 압연 동박(1)은, TPC, OFC, 혹은 그들에 미량 원소를 첨가한 동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압연 공정 및 열처리(재결정처리) 공정을 각각 1회 또는 여러 차례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판 형상 혹은 박 형상 FFC용 도체이다. 이 평각 압연 동박에서는, 0.2% 내력이 250MPa 이상이며, 또한, 해당 평각 압연 동박의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이 8% 이상이다. 이에 따라, 굴곡 반경이 6㎜ 이하인 굴곡 운동이 반복되는 경우여도, 굴곡 수명 회수를 50만회 이상으로 할 수 있어서, 우수한 내굴곡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를 라미네이트하여 얻을 수 있는 FFC 혹은 SRC를 제조함으로써, FFC 내 혹은 SRC 내에 형성된 도체의 수명이 향상된다.
FFC용 도체의 폭은, 통상 0.8㎜~2㎜이지만, 본 발명의 평각 압연 동박에 의해 내굴곡성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FFC용 도체 폭을 0.3㎜~1.1㎜ 정도로 협폭화하는 것도 가능하고, FFC 자체의 협폭화에 의한 SRC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SRC 전체의 폭을 종래와 같은 값으로 하는 경우, 동일 폭의 FFC용 도체를 복수조, 폭 방향으로 늘어놓아 종래보다 채널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SRC의 소형화를 실현함으로써, 한층 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평각 압연 동박을 이용한 FFC의 구성)
상기 평각 압연 동박(1)의 양면에 라미네이트 수지를 배치하고, 열을 가하고, 이른바 라미네이트 가공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평각 도체의 외주를 수지로 피복하여 이루어진 FFC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라미네이트 처리 시, 라손·밀러·파라미터 P가 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열처리 조건으로 함으로써, FFC 내부의 평각 압연 도체가,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4개의 평각 압연 동박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양면을 수지로 라미네이트 피복하여 얻은 FFC 단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FFC를 이용한 회전 커넥터(SRC)의 구성)
본 실시형태로서는 주지의 SRC(예를 들면, 특허 제565402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의 구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FFC를 적용한 경우, SRC의 소형화나 SRC 내부에 있어서의 FFC의 U턴 등에 의해 FFC의 적용 부위에 굴곡 반경 6㎜ 이하의 굴곡 부위가 있는 경우에서도, FFC의 파손이 방지되며, SRC로서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FFC를,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의 회전 커넥터(SRC)에 적용했을 때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평각 압연 동박(1) 및 그 제조 방법,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및 회전 커넥터(rotating connector)(SRC)에 대해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라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4)
우선, 150㎜ 두께로 주조한 TPC 주괴를, 열간 압연에서 15㎜로 하고, 그 후, 냉간 압연을 실시하여 1㎜로 하고, 다시 재결정을 수반하는 연화 열처리를 실시했다. 이어서, 제2 냉간 압연 공정에서, 표 1에 나타낸 감면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제2 열처리 공정에서, 표 1에 나타낸 가열 온도 및 유지 시간 열처리를 실시했다. 이어서, 제3 냉간 압연 공정에서, 표 1에 나타낸 감면율로 냉간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실시예 2 및 4~20에 대해서는, 다시 제3 열처리 공정에서, 표 1에 나타낸 라손·밀러·파라미터 P의 조건으로 조질 열처리를 실시하고, 동박재를 얻었다. 이 동박재는, FFC 도체로서 사용이 기대되는 주된 폭 0.5㎜, 0.8㎜, 1.1m, 1.4㎜를 갖는 도체(동박)로 하기 위해, 다시 슬릿 공정을 실시하고, 압연 방향에 따라 절단하여, 소정 폭의 평각 압연 동박을 제조했다.
(비교예 1~7)
상기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대해, 공정순서 혹은 그 처리 조건을, 표 1에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하여 동박을 제조했다.
이어서, 상기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로 시작한 샘플에 대해서, 하기의 시험·평가를 실시했다.
(내굴곡성 시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 굴곡 시험기(우에시마제작소사제, 장치명 「FT-2130」)를 이용하여, 시료 고정판(11) 및 가동판(12)에 평각 압연 동박(1)을 고정하고, 모터부(13)에 의해 가동판(12)을 이동시켜, 굴곡 시험을 실시했다.
본 내굴곡 시험은 평각 압연 동박 단체(單體)에서 실시했다. 시험 조건은, 굴곡 반경 R이 5.5㎜와 7.5㎜의 다른 조건으로 각각 실시(도면에서 「R」), 스트로크 S: ±13㎜(도면에서 「S」), 환경 온도: 85℃, 회전 속도: 180rpm, 동박 수명의 임계값을, 초기 저항치에서 3Ω 상승했을 때의 수치(초기 저항치+3Ω)로 하고, 저항치가 상기 임계값에 이르기까지 굴곡 시험을 반복하여, 그 때의 굴곡 회수를 측정했다. 또한, 굴곡 회수는, 상기 가동판의 스트로크 S의 왕복을 1회로 카운트했다. 평가 기준은, FFC 도체 수명이 제품 사양으로서 충분하다라고 판단되는 50만회 이상을 합격으로 하고, 표 1에서는 「○」로서 나타내고, FFC 도체 수명이 제품 사양을 만족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50만회 미만을 불합격으로 하고, 표 1에서는 「×」로서 나타냈다.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 면적율의 측정)
결정 방위(Cube 방위)의 면적율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기재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해석을 실시했다.
(0.2% 내력의 측정)
0.2% 내력을 측정할 때, 가열 조건은, 접착제 부착 수지를 라미네이트하는 경우의 처리 조건을, 라손·밀러·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저온측에 환산한 105℃, 48h로 했다. 각 실시예, 비교예에 있어서의 동박의 0.2% 내력은, 샘플 3개의 측정을 실시하여, 그 평균치를 나타냈다. 이 0.2% 내력은, SRC에 편입될 때 도체가 가진 것이며, 상정되는 열에너지를 고려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강도 시험 조건에 대해서는, JIS Z 2241:2011에 준거하여, 긴 방향에서 인장 시험을 실시하지만, 형상에 관해서는 JIS에는 따르지 않고, 각 도체를 표점 거리 100㎜가 충분히 잡히는 길이 160㎜로 하고, 폭 방향에 관해서는 원래의 형상 그대로 시험을 실시했다. 0.2% 내력이 250MPa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를 합격으로 하고, 0.2% 내력이 250MPa 미만을 불합격으로 했다.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는 실시예로서 폭 0.5㎜인 동박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 폭 0.8㎜, 1.1m, 또는 1.4㎜를 갖는 동박의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폭 0.5㎜의 동박의 결과와 같은 경향이라는 점에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Figure pa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24의 모두, 0.2% 내력이 250MPa 이상이며,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로 배향하는 특정 결정립의 면적율이 8% 이상이며, 굴곡 반경 5.5㎜ 및 7.5㎜의 어느 것이라도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이상이며 내굴곡성이 양호하다고 하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1은, 제2 냉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감면율이 낮고, 상기 특정 결정립의 면적율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또한, 비교예 2는, 제2 열처리 공정, 제3 냉간 압연 공정 및 제3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며, 상기 특정 결정립의 면적율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비교예 3은, 제2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가 낮고, 0.2% 내력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비교예 4는, TPC와는 다른 재료(OFC)를 이용한 것이지만, 제2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가 높으며, 0.2% 내력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비교예 5는, 제3 냉간 압연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이지만, 0.2% 내력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비교예 6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이며, 제2 냉간 압연 공정에 있어서의 감면율이 낮고, 상기 특정 결정립의 면적율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비교예 7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이며, 제2 열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가 높으며, 0.2% 내력이 본 발명의 범위 바깥쪽이 되고, 굴곡 반경 5.5㎜에서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미만이 되어, 내굴곡성이 부족했다.
따라서, 동괴를 압연하여 폭 0.5㎜~1.4㎜의 협폭 동박을 제작할 때, 평각 압연 동박의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인 방위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을 8% 이상으로 함으로써, 저항치가 3Ω 상승할 때까지의 굴곡 수명 회수가 50만회 이상이 되고, 내굴곡성이 뛰어나 고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것은, 터프 피치 동(TPC)에 한정하지 않고, 무산소 동(OFC)이나, Mg, Zn, Sn, Ag, P, Cr, Si, Zr, Ti, F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에서 1.3질량% 이하 함유하는 동합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평각 압연 동박은, 내굴곡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특히, 자동차에 있어서의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부품인 회전 커넥터(SRC)나, 루프 하니스, 도어 하니스, 플로어 하니스 등의 자동차용 부품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1 평각 압연 동박
2 압연면
3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 또는 RD면
4 측면
10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11 시료 고정판
12 가동판
13 모터부
40 회전 커넥터(SRC)

Claims (3)

  1. 0.2%내력이 250MPa 이상인 동(銅) 또는 동합금으로 이루어진 평각 압연 동박이며,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deviation angle)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area ratio of crystal grain)이 8%이상이고,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은 모상(母相) 조직에 격자 결함(lattice defect)이 도입되고,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의 평균 결정립 직경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압연 동박을 이용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가지며, 굴곡 반경 6㎜ 이하의 굴곡 부위에 적용되되,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은 경동이고,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의 폭은 0.300~2.000㎜,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의 두께는 0.010~0.200㎜인,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은 압연 방향에 따라 절단하는 슬릿 공정이 시행되고,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은 감면율 75% 이상에서 압연 공정이 시행되고, 금속 조직에 격자 결함이 도입되고, 상기 평각 압연 동박은 압연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Cube 방위에서의 편향 각도가 12.5° 이내로 배향하는 결정립의 면적율은 8%이상 90%이하인, 회전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0.01~0.2질량%Mg, 0.01~0.5질량%Zn, 0.01~1.5질량%Sn, 0.01~0.1질량%Ag, 0.001~0.05질량%P, 0.1~0.5질량%Cr, 0.01~0.1질량%Si, 0.01~0.2질량%Zr, 0.01~0.2질량%Ti 및 0.01~0.2질량%Fe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를 합계에서 1.0질량% 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동(銅)과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진 동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평각 압연 동박에 있어서,
    라손·밀러·파라미터 P는, P=T(C+logtr)로 정의되며, T가 절대온도(K), tr이 파단 시간(h), C가 재료 정수일 때, C=20이고 또한 P=7000~9000의 범위 내가 되는 조건에서 열처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0.2% 내력이 250MPa 이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커넥터.
KR1020207013267A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KR10227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5366 2015-04-01
JPJP-P-2015-075366 2015-04-01
KR1020177024479A KR20170132146A (ko)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PCT/JP2016/059075 WO2016158589A1 (ja) 2015-04-01 2016-03-23 平角圧延銅箔、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回転コネクタおよび平角圧延銅箔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79A Division KR20170132146A (ko)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649A true KR20200053649A (ko) 2020-05-18
KR102270463B1 KR102270463B1 (ko) 2021-06-29

Family

ID=570057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3267A KR102270463B1 (ko)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KR1020177024479A KR20170132146A (ko)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479A KR20170132146A (ko) 2015-04-01 2016-03-23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39347B2 (ko)
EP (1) EP3279346B1 (ko)
JP (1) JP6851963B2 (ko)
KR (2) KR102270463B1 (ko)
CN (1) CN107429324B (ko)
WO (1) WO2016158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80B1 (ko) * 2014-03-31 2018-08-29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연 구리박, 압연 구리박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방법
JP6809957B2 (ja) * 2017-03-29 2021-01-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該フラットケーブルを備える回転コネクタ装置、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08225860B (zh) * 2018-01-12 2020-10-09 中色奥博特铜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软态压延铜箔延伸率检测的制样方法
CN108246804B (zh) * 2018-01-12 2019-11-05 中色奥博特铜铝业有限公司 一种高弯折性能压延铜箔的制备方法
US10985130B2 (en) * 2018-09-21 2021-04-20 Nippon Steel Chemical & Material Co., Ltd. Cu alloy bonding wire for semiconductor device
CN110252972B (zh) * 2019-07-06 2021-11-30 湖北精益高精铜板带有限公司 高强高导微合金铜箔及其加工方法
WO2021060023A1 (ja) * 2019-09-27 2021-04-0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純銅板
CN113369301A (zh) * 2021-04-30 2021-09-10 重庆材料研究院有限公司 用于铜网制作的压延铜箔及其制备方法
WO2024014169A1 (ja) * 2022-07-14 2024-01-18 Jx金属株式会社 銅箔並びに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383A (en) 1957-04-30 1961-11-21 Warren A Block Hollow rivet for easily deformable structures
JP2009048819A (ja) 2007-08-16 2009-03-05 Hitachi Cable Ltd 平角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30099033A (ko) * 2010-08-27 2013-09-0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리합금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3675A (ko) * 2011-11-11 2014-07-28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연 동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383B2 (ja) 1998-03-31 2000-02-14 日鉱金属株式会社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225098B1 (en) * 2001-01-18 2003-10-22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CA2497819A1 (en) * 2002-09-13 2004-03-25 Ronald N. Caron Age-hardening copper-base alloy and processing
JP2011017072A (ja) * 2009-07-10 2011-01-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銅合金材料
KR101419145B1 (ko) * 2009-12-02 2014-07-11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리합금 판재, 이를 이용한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구리합금 판재의 제조방법
KR101223697B1 (ko) * 2010-03-17 2013-01-2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금속 테이프 재료 및 태양전지 집전용 인터커넥터
JP5682278B2 (ja) * 2010-12-13 2015-03-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
EP2685571B1 (en) 2011-03-09 2017-05-03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table connector device
CN103703154B (zh) * 2011-08-04 2015-11-25 株式会社神户制钢所 铜合金
JP5117604B1 (ja) * 2011-08-29 2013-01-1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Cu−Ni−Si系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JP5916418B2 (ja) * 2012-02-13 2016-05-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383A (en) 1957-04-30 1961-11-21 Warren A Block Hollow rivet for easily deformable structures
JP2009048819A (ja) 2007-08-16 2009-03-05 Hitachi Cable Ltd 平角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30099033A (ko) * 2010-08-27 2013-09-0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구리합금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93675A (ko) * 2011-11-11 2014-07-28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연 동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146A (ko) 2017-12-01
CN107429324B (zh) 2019-12-17
EP3279346B1 (en) 2021-11-10
US20180019559A1 (en) 2018-01-18
EP3279346A4 (en) 2019-01-16
EP3279346A1 (en) 2018-02-07
JPWO2016158589A1 (ja) 2018-02-01
CN107429324A (zh) 2017-12-01
WO2016158589A1 (ja) 2016-10-06
US10439347B2 (en) 2019-10-08
KR102270463B1 (ko) 2021-06-29
JP6851963B2 (ja)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463B1 (ko) 평각 압연 동박,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회전 커넥터 및 평각 압연 동박의 제조 방법
JP5170916B2 (ja) 銅合金板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696895B2 (ja) 圧延銅箔、圧延銅箔の製造方法、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260992B2 (ja)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6688B2 (ja) 圧延銅箔
KR101935987B1 (ko) 구리합금 판재, 구리합금 판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및 구리합금 판재의 제조방법
WO2011068135A1 (ja)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692880B1 (en) Aluminum alloy conductor
EP2298945A1 (en) Copper alloy sheet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32515B1 (ko) 압연 동박
KR20120104532A (ko) 구리합금 판재, 이를 이용한 커넥터, 및 이를 제조하는 구리합금 판재의 제조방법
JP5245813B2 (ja) 圧延銅箔
KR101603393B1 (ko) 구리합금 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9507252A (ja) 自動車及び電機電子部品用銅合金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8958B1 (ko) 압연 동박
US20090173414A1 (en) Rolled Copper Foi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olled Copper Foil
JP2012214894A (ja) 銅箔、銅張積層板、可撓性回路基板、及び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JP714568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839950B2 (ja) 圧延銅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