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515B1 - 압연 동박 - Google Patents

압연 동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515B1
KR101632515B1 KR1020147004385A KR20147004385A KR101632515B1 KR 101632515 B1 KR101632515 B1 KR 101632515B1 KR 1020147004385 A KR1020147004385 A KR 1020147004385A KR 20147004385 A KR20147004385 A KR 20147004385A KR 101632515 B1 KR101632515 B1 KR 10163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l rolling
copper foil
less
ray diffraction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962A (ko
Inventor
가이치로 나카무로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3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foils which present special problems, e.g. because of thin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2003/005Copper or its allo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인, 굴곡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압연 동박이다.

Description

압연 동박{ROLLED COPPER FOIL}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플렉시블 배선판 (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에 사용되며, 구리 피복 적층판에 적합한 압연 동박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배선판 (FPC) 은, 수지층과 동박을 적층하여 이루어지고, 반복 굴곡부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FPC 에 사용되는 동박으로는, 굴곡성이 우수한 압연 동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압연 동박의 굴곡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재결정 어닐링 후의 정육면체 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또, 재결정 어닐링 후의 정육면체 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방법으로서, 최종 압연 가공도나 압연 조건을 규정하는 것이나 (특허문헌 2), 압연 후에 정육면체 방위를 남기는 것 (특허문헌 3) 이 예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0093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853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50597호
그러나, 종래의 정육면체 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방법은, 최종 압연 가공도를 조정하기 위해, 정육면체 집합 조직이 성장하는 최종 압연 전 어닐링시의 동박 소재의 두께를 최종 제품의 두께에 따라 변경하거나, 특수한 조건에서 압연을 실시하거나 할 필요가 있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정육면체 집합 조직의 발달도 (동박 표면의 (200) 방위의 X 선 회절 강도) 가 동일한 정도라 하더라도 굴곡성이 상이한 경우가 있어, (200) 방위의 제어만으로는 굴곡성이 우수한 압연 동박을 안정적으로 얻기 어렵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굴곡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압연 동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동박의 (200) 방위뿐만 아니라,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굴곡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아냈다.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은, 굴곡시에 응력 인가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이 가깝기 때문에 슬라이딩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고, 그 때문에 굴곡성을 저하시키기 쉽다.
즉, 본 발명의 압연 동박은,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압연 동박은,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420) 의 비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이다.
또, 본 발명의 압연 동박은,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이고, 또한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420) 의 비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이다.
청구항 1 또는 3 에 기재된 압연 동박은,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311)b 의 비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 또는 5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I(311)b/I(200)b/η 가 0.1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 또는 3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420)b 의 비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7 또는 8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I(420)b/I(200)b/η 가 0.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압연 동박은,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311)b 의 비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이고, 또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420)b 의 비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0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0 또는 11 에 기재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I(311)b/I(200)b/η 가 0.1 이상 0.7 이하이고, 또한 I(420)b/I(200)b/η 가 0.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굴곡성이 우수한 압연 동박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 은 굴곡 시험 장치에 의해 굴곡 피로 수명의 측정을 실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분 조성>
동박의 성분 조성으로는,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또는 JIS-H 3100 (C1020) 무산소 동 (OFC) 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첨가 원소로서 Sn 을 1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및/또는 Ag 를 1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잔부를 터프 피치 동 또는 무산소 동으로 해도 된다.
또, 첨가 원소로서 Ag, Sn, In, Ti, Zn, Zr, Fe, P, Ni, Si, Te, Cr, Nb, V 로 이루어지는 원소의 1 종 이상을 합계로 2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잔부를 터프 피치 동 또는 무산소 동으로 해도 된다.
또한, FPC 에 사용되는 압연 동박은 굴곡성이 요구되는 점에서, 압연 동박의 두께는 2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은,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에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이다. 압연 동박에 200 ℃ 에서 0.5 시간의 어닐링을 실시하면 재결정 조직이 생기고, 정육면체 집합 조직이 발달하여 압연 동박의 굴곡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재결정 후에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은, 굴곡시에 응력 인가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이 가깝기 위해 슬라이딩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고, 그 때문에 굴곡성을 저하시키기 쉽다.
이와 같은 점에서, (200) 방위에 비해 (311) 방위의 비율이 적으면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비 I(311)/I(200) 을 0.01 이하로 한다. 비 I(311)/I(200) 이 0.01 을 초과하면, (311) 방위의 비율이 많아져 굴곡성을 저하시킨다. 비 I(311)/I(200) 은 낮을수록 굴곡성이 높아 바람직하지만, 실용상은 0.001 이상의 값이 된다.
또, 제 1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은,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비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인 동박 소재를, η = 2.3 이상의 가공도로 최종 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의 (420) 방위 및 (311) 방위는, 재결정 어닐링 전의 압연 조직 중에 존재하는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가진 결정립을 기점으로 하여 발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압연 조직 중의 (420) 방위 및 (311) 방위는, 압연 전의 조직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요컨대,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에 있어서, (420) 방위 및 (311) 방위의 발달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최종 압연 후의 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의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비 I(311)b/I(200)b 가 0.02 를 초과하면, 최종 압연 후에도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많이 잔류하여,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비 I(311)b/I(200)b 가 0.01 미만인 경우, 어닐링에 의해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최종 압연으로 충분한 변형을 가할 수 없어, 최종 압연 후의 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최종 압연 가공도가 η = 2.3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압연으로 충분한 변형을 가할 수 없어, 최종 압연 후의 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에 충분한 굴곡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I(311)b/I(200)b/η 가 0.0021 이상 0.00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동박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최종 압연 가공의 가공도가 높기 때문에, 최종 압연 전의 조직을 제어해도, 그 영향이 압연 후까지 충분히 남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그래서, 최종 압연 전의 조직과 최종 압연의 가공도를 함께 관리함으로써 더욱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진다.
I(311)b/I(200)b/η 가 0.0065 를 초과하면, 최종 압연 후에도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많이 잔류하여,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비 I(311)b/I(200)b/η 는 낮을수록 굴곡성이 높아 바람직하지만, 실용상은 0.0021 이상의 값이 된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은,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에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420) 의 비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재결정 후에 (420) 방위 및 (311) 방위를 갖는 결정립은, 굴곡시에 응력 인가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이 가깝기 때문에 슬라이딩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고, 그 때문에 굴곡성을 저하시키기 쉽다. 요컨대, (200) 방위에 비해 (420) 방위의 비율이 적으면 굴곡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비 I(420)/I(200) 을 0.02 이하로 한다. 비 I(420)/I(200) 이 0.02 를 초과하면, (420) 방위의 비율이 많아져 굴곡성을 저하시킨다. 단, 비 I(420)/I(200) 이 0.005 미만이면, (200) 방위의 비율이 지나치게 많아져 충분한 굴곡성은 얻어지지만, 동박이 지나치게 유연하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저하된다.
또, 제 2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은,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비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인 동박 소재를, 바람직하게는η = 2.3 이상의 가공도로 최종 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비 I(420)b/I(200)b 가 0.04 를 초과하면, 최종 압연 후에도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많이 잔류하여,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비 I(420)b/I(200)b 가 0.02 미만인 경우, 어닐링에 의해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최종 압연으로 충분한 변형을 가할 수 없어, 최종 압연 후의 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에 있어서, I(420)b/I(200)b/η 가 0.0054 이상 0.01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재결정 조직인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은 압연 가공에 의해 회전하여, 다른 방위를 가진 결정립이 된다. 그 때문에, 압연 가공도가 높은 경우에는, (420) 면의 비율은 감소하여, I(420) 은 저하된다. 한편, 가공도가 낮은 경우에는,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잔존하기 쉬워, I(420) 은 높아지기 쉽다.
이와 같은 점에서, I(420)b/I(200)b/η 가 0.0119 를 초과하면, 최종 압연 후에도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이 많이 잔류하여, (420) 방위를 갖는 결정립의 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I(420)b/I(200)b/η 가 0.0054 미만이면, 충분한 굴곡성은 얻어지지만, 동박이 지나치게 유연하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압연 동박의 제조>
제 1 및 제 2 양태에 관련된 압연 동박은 모두 잉곳을 열간 압연 후, 어닐링 전 압연, 재결정 어닐링 및 최종 압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재결정 방위의 안정도는 (200) > (311) > (420) 의 순이고, 재결정 어닐링시의 승온 속도가 높을수록 불안정한 (420) 방위 및 (311) 방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재결정 어닐링시의 승온 속도를 5 ∼ 50 ℃/s 로 하여 종래보다 속도를 느리게 하면 바람직하다.
또, 어닐링 전 압연의 η = 1.6 이상의 가공도로 하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이고 최종 압연 전의 결정 입경을 10 ㎛ 이상 30 ㎛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다. 최종 압연 전의 결정 입경이 10 ㎛ 이하가 되는 어닐링 조건의 경우, 미재결정 조직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최종 압연 전의 결정 입경이 3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종 압연으로 충분한 변형을 가할 수 없어, 최종 압연 후의 박을 재결정 어닐링한 후에 충분한 굴곡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η = 2.3 이상의 가공도로 최종 압연하면 된다.
또한, 결정 입경은, JIS H 0501 의 절단법에 의해 측정한다.
실시예
먼저, 표 1 에 기재된 조성의 구리 잉곳을 제조하고, 두께 10 ㎜ 까지 열간 압연을 실시하였다. 그 후, 어닐링과 압연을 반복하여, 소정 두께까지 압연한 후에 750 ℃ 의 연속 어닐링로에 통판 (通版) 하여 재결정 어닐링하였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가공도로 최종 냉간 압연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두께의 동박을 얻었다. 또한, 재결정 어닐링시의 승온 속도를 표 1 에 나타낸다.
<배향도>
최종 압연하여 얻어진 동박을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하여 재결정시킨 후, 압연면의 X 선 회절로 구한 (200) 면, (311) 면, (420) 면의 강도의 적분값 (I) 를 각각 구하였다.
또,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200) 면, (311) 면,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를 각각 구하였다. 이 값에 대해서는, I(200)b 와 같이 첨자「b」로 나타냈다.
<굴곡성>
최종 압연하여 얻어진 동박 시료를 200 ℃ 에서 30 분간 가열하여 재결정시킨 후, 도 1 에 나타내는 굴곡 시험 장치에 의해, 굴곡 피로 수명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장치는 발진 구동체 (4) 에 진동 전달 부재 (3) 를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피시험 동박 (1) 은, 화살표로 나타낸 나사 (2) 부분과 진동 전달 부재 (3) 의 선단부의 합계 4 점에서 장치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 부재 (3) 가 상하로 구동되면, 동박 (1) 의 중간부는, 소정의 곡률 반경 (r) 으로 헤어핀상으로 굴곡된다. 본 시험에서는, 이하의 조건 하에서 굴곡을 반복했을 때의 파단까지의 횟수를 구하였다.
또한,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시험편 폭 : 12.7 ㎜, 시험편 길이 : 200 ㎜, 시험편 채취 방향 : 시험편의 길이 방향이 압연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채취, 곡률 반경 (r) : 1.5 ㎜, 진동 스트로크 : 20 ㎜, 진동 속도 : 1000 회/분.
또, 이하의 기준으로 굴곡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가 ◎, ○ 또는 △ 이면 굴곡성이 양호하다.
◎ : 굴곡 횟수가 20 만회 이상, 굴곡성이 가장 양호하다.
○ : 굴곡 횟수가 10 만회 이상 20 만회 미만, 굴곡성이 양호하다.
△ : 굴곡 횟수가 5 만회 이상 10 만회 미만, 굴곡성이 우수하다.
× : 굴곡 횟수가 5 만회 미만, 굴곡성이 떨어진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표 2 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표 1 중의 조성란의「TPC」는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을 나타내고, 「OFC」는 JIS-H 3100 (C1020) 으로 규격하는 무산소 동 (OFC) 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 1 중의 조성란의「190 ppm Ag-TPC」는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에 190 질량ppm 의 Ag 를 첨가한 조성인 것을 의미한다. 또, 표 1 중의 조성란의 「100 ppm Sn-OFC」는 JIS-H 3100 (C1020) 으로 규격하는 무산소 동 (OFC) 에 100 질량ppm 의 Sn 을 첨가한 조성인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16677624-pct00001
Figure 112015105358743-pct00004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 또는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인 각 실시예의 경우, 굴곡성이 우수한 것이 되었다. 특히,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이고, 또한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인 실시예 1 ∼ 12, 15 ∼ 21 의 경우, 실시예 13, 14 에 비해 굴곡성이 더욱 우수한 것이 되었다.
한편, I(311)/I(200) 이 0.01 을 초과하고, 또한 I(420)/I(200) 이 0.02 를 초과한 비교예 1 ∼ 3 의 경우, 굴곡성이 떨어졌다.
또한,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경우,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 또는 I(311)b/I(200)b/η 가 0.0021 이상 0.0065 이하가 되었다. 또, 각 실시예의 경우,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 또는 I(420)b/I(200)b/η 가 0.006 이상 0.0119 이하가 되었다. 특히, 실시예 1 ∼ 12, 15 ∼ 21 의 경우,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 또한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로, 특히 굴곡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비교예 1 ∼ 3 의 경우, I(311)b/I(200)b 가 0.02 를 초과하고, 또한 I(311)b/I(200)b/η 가 0.0065 를 초과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1 ∼ 3 의 경우, I(420)b/I(200)b 가 0.04 를 초과하고, 또한 I(420)b/I(200)b/η 가 0.0119 를 초과하였다.

Claims (12)

  1. (1)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 (2) JIS-H 3100 (C1020) 으로 규격하는 무산소 동 (OFC) ; (3) 10 ∼ 500 질량ppm 의 Sn 또는 10 ∼ 500 질량ppm 의 Ag 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또는 (4) Ag, Sn, In, Ti, Zn, Zr, Fe, P, Ni, Si, Te, Cr, Nb, V 로 이루어지는 원소의 1 종 이상을 합계로 2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 중 어느 조성이고,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08 이하인 압연 동박.
  2. (1)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 (2) JIS-H 3100 (C1020) 으로 규격하는 무산소 동 (OFC) ; (3) 10 ∼ 500 질량ppm 의 Sn 또는 10 ∼ 500 질량ppm 의 Ag 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또는 (4) Ag, Sn, In, Ti, Zn, Zr, Fe, P, Ni, Si, Te, Cr, Nb, V 로 이루어지는 원소의 1 종 이상을 합계로 2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 중 어느 조성이고,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420) 의 비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인 압연 동박.
  3. (1) JIS-H 3100 (C1100) 으로 규격하는 터프 피치 동 (TPC) ; (2) JIS-H 3100 (C1020) 으로 규격하는 무산소 동 (OFC) ; (3) 10 ∼ 500 질량ppm 의 Sn 또는 10 ∼ 500 질량ppm 의 Ag 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또는 (4) Ag, Sn, In, Ti, Zn, Zr, Fe, P, Ni, Si, Te, Cr, Nb, V 로 이루어지는 원소의 1 종 이상을 합계로 20 ∼ 500 질량ppm 함유하고, 잔부를 상기 터프 피치 동 또는 상기 무산소 동 ; 중 어느 조성이고,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311)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311) 의 비 I(311)/I(200) 이 0.001 이상 0.01 이하이고, 또한 200 ℃ 에서 0.5 시간 어닐링 후의 (20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200) 과, (420) 면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 I(420) 의 비 I(420)/I(200) 이 0.005 이상 0.02 이하인 압연 동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311)b 의 비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압연 동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압연 동박.
  6. 제 4 항에 있어서,
    I(311)b/I(200)b/η 가 0.0021 이상 0.0065 이하인 압연 동박.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420)b 의 비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압연 동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압연 동박.
  9. 제 7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I(420)b/I(200)b/η 가 0.0054 이상 0.0119 이하인 압연 동박.
  10. 제 3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311)b 의 비 I(311)b/I(200)b 가 0.01 이상 0.02 이하이고, 또한, 최종 압연 전이고, 또한 재결정 어닐링 후의 X 선 회절 피크의 적분 강도인 I(200)b 와 I(420)b 의 비 I(420)b/I(200)b 가 0.02 이상 0.04 이하인 동박 소재를 최종 압연하여 이루어지는 압연 동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η ≥ 2.3 인 압연 동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최종 압연 가공도를 η 로 하고, η = Ln {(최종 압연 전의 두께)/(최종 압연 후의 두께)} 로 나타냈을 때,
    I(311)b/I(200)b/η 가 0.0021 이상 0.0065 이하이고, 또한 I(420)b/I(200)b/η 가 0.0054 이상 0.0119 이하인 압연 동박.
KR1020147004385A 2011-08-23 2012-04-02 압연 동박 KR101632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1228 2011-08-23
JPJP-P-2011-181228 2011-08-23
JP2011201838A JP5752536B2 (ja) 2011-08-23 2011-09-15 圧延銅箔
JPJP-P-2011-201838 2011-09-15
PCT/JP2012/058848 WO2013027437A1 (ja) 2011-08-23 2012-04-02 圧延銅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962A KR20140037962A (ko) 2014-03-27
KR101632515B1 true KR101632515B1 (ko) 2016-06-21

Family

ID=4774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385A KR101632515B1 (ko) 2011-08-23 2012-04-02 압연 동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52536B2 (ko)
KR (1) KR101632515B1 (ko)
CN (1) CN103748251B (ko)
TW (1) TWI453290B (ko)
WO (1) WO2013027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8704A (ja) * 2012-09-14 2014-04-03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圧延銅箔
JP2014058705A (ja) * 2012-09-14 2014-04-03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圧延銅箔及び銅張積層板
JP6104200B2 (ja) * 2014-03-13 2017-03-29 Jx金属株式会社 圧延銅箔、銅張積層板、並びに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KR101721314B1 (ko) * 2015-05-21 2017-03-29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압연 동박, 구리 피복 적층판, 그리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전자 기기
CN111526674A (zh) * 2015-06-05 2020-08-11 Jx日矿日石金属株式会社 压延铜箔、覆铜层叠板、以及柔性印刷基板和电子设备
JP6294376B2 (ja) * 2016-02-05 2018-03-14 Jx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銅箔、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体、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CN107046768B (zh) * 2016-02-05 2019-12-31 Jx金属株式会社 柔性印刷基板用铜箔、使用它的覆铜层叠体、柔性印刷基板和电子器件
JP6781562B2 (ja) * 2016-03-28 2020-11-04 Jx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銅箔、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体、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JP2019194360A (ja) * 2019-06-26 2019-11-07 Jx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銅箔、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体、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機器
JP7186141B2 (ja) * 2019-07-10 2022-12-08 Jx金属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銅箔
KR20220068985A (ko) * 2019-09-27 2022-05-26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순동판
US20230114969A1 (en) * 2020-03-06 2023-04-13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Pure copper plate, copper/ceramic bonded body, and insulated circuit bo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431A (ja) 2004-08-30 2006-03-09 Dowa Mining Co Ltd 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9185376A (ja) * 2008-01-08 2009-08-20 Hitachi Cable Ltd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6357A (ja) * 2009-12-28 2011-07-1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0748A (ja) * 1987-12-08 1989-06-13 Rinnai Corp 暖房装置などの余熱放逐機構
JP2782790B2 (ja) 1989-06-07 1998-08-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3009383B2 (ja) * 1998-03-31 2000-02-14 日鉱金属株式会社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66688B2 (ja) * 2007-07-11 2010-05-26 日立電線株式会社 圧延銅箔
JP5261122B2 (ja) * 2008-10-03 2013-08-14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銅合金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90852B2 (ja) * 2008-12-24 2014-01-15 株式会社Shカッパープロダクツ 圧延銅箔
JP2010150597A (ja) 2008-12-25 2010-07-08 Hitachi Cable Ltd 圧延銅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3431A (ja) 2004-08-30 2006-03-09 Dowa Mining Co Ltd 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9185376A (ja) * 2008-01-08 2009-08-20 Hitachi Cable Ltd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36357A (ja) * 2009-12-28 2011-07-1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銅張積層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2536B2 (ja) 2015-07-22
WO2013027437A1 (ja) 2013-02-28
JP2013060651A (ja) 2013-04-04
CN103748251A (zh) 2014-04-23
TW201309818A (zh) 2013-03-01
TWI453290B (zh) 2014-09-21
CN103748251B (zh) 2016-02-10
KR20140037962A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515B1 (ko) 압연 동박
KR100333567B1 (ko)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기판용 압연동박 및 그 제조방법
JP3009383B2 (ja)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7932B2 (ja) 圧延銅箔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US7563408B2 (en) Copper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320638B2 (ja)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12660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0508B1 (ko) 압연 구리박
CN103361509A (zh) 轧制铜箔、覆铜层叠板、柔性印刷布线板及其制造方法
JP5245813B2 (ja) 圧延銅箔
JP3859384B2 (ja) 屈曲性に優れる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6594B1 (ko) 압연 동박
JP2008127605A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銅合金板
JP2009097075A (ja) 銅合金箔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4162087B2 (ja) 高屈曲性圧延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62296A (ja) 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20834A (ko) 압연 동박
KR101577921B1 (ko) 압연 동박
US20090173414A1 (en) Rolled Copper Foi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olled Copper Foil
JP5126435B1 (ja) 圧延銅箔
JP5126434B1 (ja) 圧延銅箔
JP5631847B2 (ja) 圧延銅箔
JP383068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8670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基板用圧延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058705A (ja) 圧延銅箔及び銅張積層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