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286A -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 Google Patents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286A
KR20200052286A KR1020207006844A KR20207006844A KR20200052286A KR 20200052286 A KR20200052286 A KR 20200052286A KR 1020207006844 A KR1020207006844 A KR 1020207006844A KR 20207006844 A KR20207006844 A KR 20207006844A KR 20200052286 A KR20200052286 A KR 20200052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adhesive layer
circuit connection
component
structure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317B1 (ko
Inventor
유미코 오토
히로유키 이자와
스나오 구도우
도모키 모리지리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제1 접착제층(2)과, 해당 제1 접착제층(2) 상에 적층된 제2 접착제층(3)을 구비하고, 제1 접착제층(2)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제2 접착제층(3)은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과, 도전 입자(4)와,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Description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본 발명은,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로 접속을 행하기 위해 각종 접착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의 접속,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FPC)과 TCP의 접속, 또는 FPC와 프린트 배선판의 접속을 위한 접착 재료로서, 접착제 중에 도전 입자가 분산된 이방 도전성을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방 도전성을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이 사용되는 정밀 전자 기기의 분야에서는, 회로의 고밀도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전극 폭 및 전극 간격이 매우 좁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미소 전극 상에 효율적으로 도전 입자를 포착시켜, 높은 접속 신뢰성을 얻는 것이 반드시 용이하지는 않았다.
이에 비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도전 입자를 이방 도전성 접착 시트의 편측에 편재시켜, 도전 입자끼리를 이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05/5438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회로 접속 시에 도전 입자가 유동하기 때문에, 전극간에 도전 입자가 응집되어,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전 입자의 유동에 수반하는 도전 입자의 조밀의 분포는, 절연 특성의 저하뿐만 아니라, 접속 저항값의 변동을 발생시킬 우려도 있어, 여전히 개량의 여지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회로 접속 구조체의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해당 접착제 필름을 사용한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해당 접착제 필름을 구비하는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제1 접착제층과, 해당 제1 접착제층 상에 적층된 제2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제1 접착제층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제2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과, 도전 입자와,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이러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에 의하면, 회로 접속 구조체의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에 의하면, 고온 고습 환경 하(예를 들어 85℃, 85%RH)에 있어서도 낮은 접속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에 의하면,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접착제층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제1 접착제층 상에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접착제층을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구비하고, 준비 공정은,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1 접착제층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과, 도전 입자와,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상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회로 접속 구조체의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Figure pct00004
[식 (IV)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면 된다.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옥심에스테르 구조,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열경화성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도전 입자의 평균 입경의 0.2 내지 0.8배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제1 전극을 갖는 제1 회로 부재와, 제2 전극을 갖는 제2 회로 부재 사이에, 상술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개재시켜, 제1 회로 부재 및 제2 회로 부재를 열 압착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이 저감된 회로 접속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는, 상술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과, 해당 접착제 필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수용 부재는, 수용 부재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부를 갖고, 시인부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이 10% 이하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사용하는 환경은 클린 룸이라 불리는, 실내의 온도, 습도 및 클린도가 일정 레벨로 관리되고 있는 방이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이 생산 현장으로부터 출하될 때에는, 직접 외기에 노출되어, 티끌 및 습기에 의한 품질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곤포 주머니 등의 수용 부재에 수용한다. 통상, 이 수용 부재에는, 내부의 접착제 필름에 첩부된 제품명, 로트 넘버, 유효 기한 등의 각종 정보가 수용 부재 밖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시인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종래의 수용 부재에 수용하여 보관 또는 운반한 후에 사용하는 경우, 접착제 필름의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이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해 밝혀졌다. 이러한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들이 더욱 검토를 행한 결과, 제2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중합성 화합물로서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 접착제 필름의 보관 중 및 운반 중에 열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되고,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제1 접착제층 중에 잔류한 광중합 개시제 유래의 라디칼에 의해 열경화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이 진행되고 있다는 추정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행한 바, 상기 특정한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로 함으로써, 보관 시 또는 운반 시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접착제 필름의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에 의하면, 열경화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화합물로서 광경화성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착제 필름의 보관 시 또는 운반 시에 있어서의 해당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접착제 필름의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접속 구조체의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접착제 필름을 사용한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접착제 필름을 구비하는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 구조체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경우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개별로 기재한 상한값 및 하한값은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등의 다른 유사한 표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이하, 간단히 「접착제 필름(1)」이라고도 한다.)은, 제1 접착제층(2)과, 제1 접착제층(2) 상에 적층된 제2 접착제층(3)을 구비한다.
(제1 접착제층)
제1 접착제층(2)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광경화물)을 포함한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A) 중합성 화합물(이하, 「(A) 성분」이라고도 함), (B) 광중합 개시제(이하, 「(B) 성분」이라고도 한다.) 및 (C) 도전 입자(4)(이하, 「(C) 성분」이라고도 한다.)를 함유한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D) 열경화성 수지(이하, 「(D) 성분」이라고도 함) 및/또는 (E) 열중합 개시제(이하, 「(E) 성분」이라고도 한다.)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광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A) 성분을 중합시켜,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즉, 제1 접착제층(2)은 도전 입자(4)와, 광경화성 조성물의 도전 입자(4) 이외의 성분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접착제 성분(5)을 포함한다. 제1 접착제층(2)은 광경화성 조성물을 완전히 경화시킨 경화물이어도 되고, 광경화성 조성물을 부분적으로 경화시킨 경화물이어도 된다. 즉, 접착제 성분(5)은 미반응된 (A) 성분 및 (B) 성분(추가로 (D) 성분 및 (E)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A) 성분: 중합성 화합물]
(A) 성분은, 예를 들어 광(예를 들어 자외광)의 조사에 의해 광중합 개시제가 발생시킨 라디칼, 양이온 또는 음이온에 의해 중합하는 화합물이다. (A) 성분은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A)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A) 성분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중합성 기를 갖는다. 중합성 기는, 예를 들어 중합성 불포화 이중 결합(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기이다. 중합성 기는,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라디칼에 의해 반응하는 라디칼 중합성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A) 성분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기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기, 알릴기, 스티릴기, 알케닐기, 알케닐렌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이 갖는 중합성 기의 수는, 중합 후, 접속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요한 물성 및 가교 밀도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2 이상이어도 되고, 중합 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10 이하여도 된다. 중합 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것은, 광 조사 후에, 균일하여 안정된 막(제1 접착제층)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교 밀도와 경화 수축의 균형을 얻기 위해서, 중합성 기의 수가 상기 범위 내인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한 다음, 중합성 기의 수가 상기 범위 밖의 중합성 화합물을 추가로 사용해도 된다.
(A)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비닐에테르 화합물, 알릴 화합물, 스티렌 유도체,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나디이미드 유도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니트릴 고무, 부타디엔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카르복실화니트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변성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변성 3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카닐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1,3-디아크릴옥시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메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2-디(메트)아크릴로일옥시디에틸포스페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는, 1-메틸-2,4-비스말레이미드벤젠,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p-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m-톨루일렌비스말레이미드, N,N'-4,4-비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4,4-(3,3'-디메틸-비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4,4-(3,3'-디메틸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N,N'-4,4-(3,3'-디에틸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N,N'-4,4-디페닐메탄비스말레이미드, N,N'-4,4-디페닐프로판비스말레이미드, N,N'-4,4-디페닐에테르비스말레이미드, N,N'-3,3-디페닐술폰비스말레이미드,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3-s-부틸-4-8(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판, 1,1-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데칸, 4,4'-시클로헥실리덴-비스(1-(4말레이미드페녹시)-2-시클로헥실벤젠,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 화합물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알릴 화합물로서는, 1,3-디알릴프탈레이트, 1,2-디알릴프탈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은, 경화 반응 속도와 경화 후의 물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은, 접속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응집력과,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도를 양립시키고, 보다 우수한 접착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면 된다. 또한, (A) 성분은,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접속 저항을 보다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 등의 고Tg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면 된다.
(A) 성분은, 가교 밀도와 경화 수축의 균형을 잡고, 접속 저항을 보다 저감시키며,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아크릴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말단 또는 측쇄에 비닐기, 알릴기,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중합성 기를 도입한 화합물(예를 들어, 폴리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이면 된다. 이 경우, (A)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가교 밀도와 경화 수축의 밸런스가 우수한 관점에서, 3000 이상이어도 되고, 5000 이상이어도 되고, 1만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A)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100만 이하여도 되고, 50만 이하여도 되고, 25만 이하여도 된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실시예에 기재된 조건에 따라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로부터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A) 성분은,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무기물(금속 등)의 표면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전극끼리(예를 들어 회로 전극끼리)의 접착에 적합하다.
Figure pct00006
식 (1) 중,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상기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무수 인산과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디(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접속 저항을 저감시키고,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가교 밀도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중합 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90질량% 이하여도 되고, 80질량% 이하여도 되고, 70질량% 이하여도 된다.
[(B) 성분: 광중합 개시제]
(B) 성분은,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B) 성분은,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복수 갖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구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B)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B) 성분은, 150 내지 750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 바람직하게는 254 내지 405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nm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예를 들어 자외광)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광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광음이온 중합 개시제)이면 되고,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 및 저온 단시간에의 경화가 보다 용이해지는 관점에서,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는, 옥심에스테르 구조, 비스이미다졸 구조 또는 아크리딘 구조이면 된다. 즉, (B) 성분은, 상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옥심에스테르 구조, 비스이미다졸 구조 및 아크리딘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옥심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VI)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Figure pct00010
식 (VI) 중,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방향족계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옥심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1-페닐-1,2-부탄디온-2-(o-메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1,2-프로판디온-2-(o-메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1,2-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1,2-프로판디온-2-o-벤조일옥심, 1,3-디페닐프로판트리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3-에톡시프로판트리온-2-(o-벤조일)옥심,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 2-(o-벤조일옥심)], 에타논,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o-아세틸옥심) 등을 들 수 있다.
비스이미다졸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2-(o-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플루오로페닐)-4,5-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o-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p-메톡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4-디(p-메톡시페닐)-5-페닐이미다졸 이량체, 2-(2,4-디메톡시 페닐)-4,5-디페닐이미다졸 이량체 등의 2,4,5-트리아릴이미다졸 이량체를 들 수 있다.
아크리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9-페닐아크리딘, 1,7-비스(9,9'-아크리디닐)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는, 예를 들어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또는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이면 된다. 즉, (B) 성분은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B) 성분은,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의 적어도 한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1
식 (IV)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는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아미노벤조페논 구조 또는 N-페닐글리신 구조이면 된다. 즉, (B) 성분은,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아미노벤조페논 구조 및 N-페닐글리신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VII)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Figure pct00013
식 (VII) 중, R21, R22, R23 및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방향족계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유기기, 상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를 포함하는 관능기 또는 상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를 포함하는 관능기를 나타낸다. R22, R23 및 R24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를 포함하는 관능기 또는 상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를 포함하는 관능기이다.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N-페닐글리신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N-페닐글리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는,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이면 된다. 즉, (B) 성분은 상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VIII)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Figure pct00014
식 (VIII) 중, R31, R32 및 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카르보닐기 혹은 방향족계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유기기를 나타낸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은,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옥심에스테르 구조,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속경화성이 우수한 관점, 및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상이다. (B) 성분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질량% 이상, 1.5질량% 이상, 2질량% 이상 또는 2.5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저장 안정성이 향상되는 관점, 및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B) 성분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3.5질량% 이하, 3질량% 이하, 2.5질량% 이하, 2질량% 이하, 1.5질량% 이하, 1질량% 이하 또는 0.7질량% 이하여도 된다. 이들 관점에서, (B) 성분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질량%이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 내지 1질량%, 0.3 내지 0.7질량%, 1.5 내지 3.5질량% 또는 2 내지 3질량%여도 된다.
[(C) 성분: 도전 입자]
(C) 성분은, 도전성을 갖는 입자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Au, Ag, Ni, Cu, 땜납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 입자, 도전성 카본으로 구성된 도전성 카본 입자 등이어도 된다. (C) 성분은, 비도전성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폴리스티렌 등) 등을 포함하는 핵과, 상기 금속 또는 도전성 카본을 포함하고, 핵을 피복하는 피복층을 구비하는 피복 도전 입자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열용융성 금속으로 형성된 금속 입자,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핵과, 금속 또는 도전성 카본을 포함하고, 핵을 피복하는 피복층을 구비하는 피복 도전 입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가열 또는 가압에 의해 변형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극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 전극과 (C) 성분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전극간의 도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 성분은, 상기 금속 입자, 도전성 카본 입자, 또는 피복 도전 입자와, 수지 등의 절연 재료를 포함하고, 해당 입자의 표면을 피복하는 절연층을 구비하는 절연 피복 도전 입자여도 된다. (C) 성분이 절연 피복 도전 입자이면, (C) 성분의 함유량이 많은 경우에도, 입자의 표면이 수지로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C) 성분끼리의 접촉에 의한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인접하는 전극 회로간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C) 성분은, 상술한 각종 도전 입자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C) 성분의 최대 입경은, 전극의 최소 간격(인접하는 전극간의 최단 거리)보다도 작은 것이 필요하다. (C) 성분의 최대 입경은, 분산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1.0㎛ 이상이면 되고, 2.0㎛ 이상이면 되고, 2.5㎛ 이상이면 된다. (C) 성분의 최대 입경은, 분산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50㎛ 이하이면 되고, 30㎛ 이하이면 되고, 20㎛ 이하이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도전 입자 300개(pcs)에 대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한 관찰에 의해 입경의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가장 큰 값을 (C) 성분의 최대 입경으로 한다. 또한, (C) 성분이 돌기를 갖는 경우 등, (C) 성분이 구형이 아닌 경우, (C) 성분의 입경은, SEM의 화상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에 외접하는 원의 직경으로 한다.
(C) 성분의 평균 입경은, 분산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1.0㎛ 이상이면 되고, 2.0㎛ 이상이면 되고, 2.5㎛ 이상이면 된다. (C) 성분의 평균 입경은, 분산성 및 도전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50㎛ 이하이면 되고, 30㎛ 이하이면 되고, 20㎛ 이하이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도전 입자 300개(pcs)에 대하여,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한 관찰에 의해 입경의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입경의 평균값을 평균 입경으로 한다.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 (C) 성분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C) 성분의 입자 밀도는, 안정된 접속 저항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100pcs/mm2 이상이어도 되고, 1000pcs/mm2 이상이어도 되고, 2000pcs/mm2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C) 성분의 입자 밀도는, 인접하는 전극간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100000pcs/mm2 이하여도 되고, 50000pcs/mm2 이하여도 되고, 10000pcs/mm2 이하여도 된다.
(C) 성분의 함유량은, 도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 중의 전체 체적 기준으로, 0.1체적% 이상이어도 되고, 1체적% 이상이어도 되고, 5체적% 이상이어도 된다. (C) 성분의 함유량은, 단락을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 중의 전체 체적 기준으로, 50체적% 이하여도 되고, 30체적% 이하여도 되고, 20체적% 이하여도 된다. 또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한 (C)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범위와 동일해도 된다.
[(D) 성분: 열경화성 수지]
(D) 성분은,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이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열경화성 기를 갖는다. (D) 성분은, 예를 들어 열에 의해 경화제와 반응함으로써 가교하는 화합물이다. (D)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열경화성 기는,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예를 들어 에폭시기, 옥세탄기 등이면 된다.
(D)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비스페놀 A, F, AD 등의 반응 생성물인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페놀노볼락, 크레졸노볼락 등과의 반응 생성물인 에폭시 노볼락 수지, 나프탈렌환을 포함한 골격을 갖는 나프탈렌계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 글리시딜에테르 등의 1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각종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D) 성분의 함유량은, 제1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3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70질량% 이하여도 된다.
제1 접착제층이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제로서는, 열에 의해 양이온종을 발생하는 경화제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술포늄염, 요오도늄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50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E) 성분: 열중합 개시제]
(E) 성분은, 열에 의해 라디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열중합 개시제(열라디칼 중합 개시제, 열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열음이온 중합 개시제)이면 되고,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유리 라디칼을 발생한다. 즉,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외부로부터의 열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다.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유기 과산화물 및 아조 화합물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안정성, 반응성 및 상용성의 관점에서, 1분간 반감기 온도가 90 내지 175℃이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80 내지 1000인 유기 과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1분간 반감기 온도가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저장 안정성이 더욱 우수하고, 라디칼 중합성도 충분히 높고, 단시간에의 경화가 가능해진다.
(E)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쿠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1-시클로헥실-1-메틸에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t-부틸퍼옥시헥사히드로테레프탈레이트, t-아밀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3-히드록시-1,1-디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아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3-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디(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t-헥실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말레산,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레이트, 2,5-디메틸-2,5-디(3-메틸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2-에틸헥실모노카르보네이트,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 2,5-디메틸-2,5-디(벤조일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부틸퍼옥시트리메틸아디페이트, t-아밀퍼옥시노르말옥토에이트, t-아밀퍼옥시이소노나노에이트, t-아밀퍼옥시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1-아세톡시-1-페닐에탄),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E) 성분의 함유량은,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0.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E) 성분의 함유량은, 가용 시간의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20질량% 이하여도 되고, 10질량% 이하여도 되고, 5질량% 이하여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은 (E)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한 (E)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범위와 동일해도 된다.
[기타 성분]
광경화성 조성물은 (A) 성분, (B) 성분, (C) 성분, (D) 성분 및 (E) 성분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B) 성분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 열가소성 수지, 커플링제, 충전재 및 상술한 경화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제1 접착제층(2)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B) 성분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 α-히드록시알킬페논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 이외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B)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질량부 이상이면 되고, 1000질량부 이하이면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페녹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아크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제1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 조성물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제1 접착제층의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수산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경우, 제1 접착제층의 접착성이 향상되기 쉽다.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80질량% 이하여도 된다.
커플링제로서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머캅토기, 아미노기, 이미다졸기, 에폭시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 테트라알콕시실란 등의 실란 화합물, 테트라알콕시티타네이트 유도체, 폴리디알킬 티타네이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이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 이하여도 된다.
충전재로서는, 예를 들어 비도전성 필러(예를 들어, 비도전 입자)를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조성물이 충전재를 함유하는 경우, 접속 신뢰성의 향상을 더욱 기대할 수 있다. 충전재는 무기 필러 및 유기 필러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무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미립자, 알루미나 미립자, 실리카-알루미나 미립자, 티타니아 미립자, 지르코니아 미립자 등의 금속 산화물 미립자; 질화물 미립자 등의 무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유기 필러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미립자,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미립자, 아크릴-실리콘 미립자, 폴리아미드 미립자, 폴리이미드 미립자 등의 유기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는 균일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코어-셸형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충전재의 최대 직경은, 도전 입자(4)의 최소 입경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하여, 1체적% 이상이어도 되고, 30체적% 이하여도 된다.
광경화성 조성물은, 연화제, 촉진제, 열화 방지제, 착색제, 난연화제, 틱소트로픽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10질량%이면 된다. 이들 첨가제는 제1 접착제층(2)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은 미반응된 (A) 성분, (B) 성분 등의 광경화성 조성물 유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접착제 필름(1)을 종래의 수용 부재에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을 행한 경우, 제1 접착제층(2)에 미반응된 (B) 성분이 잔류함으로써, 보관 중 및 운반 중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3)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조성물의 일부가 경화되고, 접착제 필름(1)의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감소된다고 추정된다. 그 때문에, 제1 접착제층(2)이 (B)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후술하는 수용 부재에 접착제 필름(1)을 수용함으로써,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B) 성분의 함유량은,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일어나기 어렵고,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15질량% 이하여도 되고, 10질량% 이하여도 되고, 5질량% 이하여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을 있어서의 (B) 성분의 함유량은, 제1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은, 도전 입자(4)가 대향하는 전극간에서 포착되기 쉬우며, 접속 저항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도전 입자(4)의 평균 입경의 0.2배 이상이어도 되고, 0.3배 이상이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은, 열 압착 시에 도전 입자가 대향하는 전극간에서 끼워졌을 때, 보다 도전 입자가 찌부러지기 쉬우며, 접속 저항을 한층 저감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도전 입자(4)의 평균 입경의 0.8배 이하여도 되고, 0.7배 이하여도 된다. 이들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은, 도전 입자(4)의 평균 입경의 0.2 내지 0.8배여도 되고, 0.3 내지 0.7배여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과 도전 입자(4)의 평균 입경이 상기와 같은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2) 중의 도전 입자(4)의 일부가, 제1 접착제층(2)으로부터 제2 접착제층(3)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인접하는 도전 입자(4, 4)의 이격 부분에는, 제1 접착제층(2)과 제2 접착제층(3)의 경계 S가 위치하고 있다. 도전 입자(4)는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제2 접착제층(3)측과는 반대측의 면(2a)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고, 반대측의 면(2a)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은, 접착하는 회로 부재의 전극의 높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은, 예를 들어 0.5㎛ 이상이면 되고, 20㎛ 이하이면 된다. 또한, 도전 입자(4)의 일부가 제1 접착제층(2)의 표면으로부터 노출(예를 들어, 제2 접착제층(3)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제2 접착제층(3)측과는 반대측의 면(2a)으로부터, 인접하는 도전 입자(4, 4)의 이격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층(2)과 제2 접착제층(3)의 경계 S까지의 거리(도 1에 있어서 d1로 나타내는 거리)가 제1 접착제층(2)의 두께이며, 도전 입자(4)의 노출 부분은 제1 접착제층(2)의 두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전 입자(4)의 노출 부분의 길이는, 예를 들어 0.1㎛ 이상이면 되고, 20㎛ 이하이면 된다.
(제2 접착제층)
제2 접착제층(3)은, 예를 들어 (a) 중합성 화합물(이하, (a) 성분이라고도 함) 및 (b) 열중합 개시제(이하, (b) 성분이라고도 한다.)를 함유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제2 접착제층(3)을 구성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은, 회로 접속 시에 유동 가능한 열경화성 조성물이며, 예를 들어 미경화의 열경화성 조성물이다.
[(a) 성분: 중합성 화합물]
(a) 성분은,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열중합 개시제가 발생시킨 라디칼, 양이온 또는 음이온에 의해 중합하는 화합물이다. (a) 성분으로서는, (A) 성분으로서 예시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a) 성분은, 저온 단시간에의 접속이 용이해지고,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라디칼에 의해 반응하는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예 및 바람직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조합은, (A) 성분과 동일하다. (a) 성분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며, 또한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B) 성분이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경우, 접착제 필름을 후술하는 수용 부재에 수용함으로써, 접착제 필름의 보관 시 또는 운반 시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경향이 있다.
(a) 성분은 모노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a)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a) 성분은 (A) 성분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접속 저항을 저감시키고,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가교 밀도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30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a) 성분의 함유량은, 중합 시의 경화 수축을 억제할 수 있고, 양호한 신뢰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90질량% 이하여도 되고, 80질량% 이하여도 되고, 70질량% 이하여도 된다.
[(b) 성분: 열중합 개시제]
(b) 성분으로서는, (E) 성분과 동일한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b) 성분으로서, 1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b) 성분은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열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예는, (E) 성분과 동일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은,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가 더욱 향상되고, 접속 신뢰성이 보다 우수한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0.1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0.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1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b) 성분의 함유량은, 가용 시간의 관점에서,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30질량% 이하여도 되고, 20질량% 이하여도 되고, 10질량% 이하여도 된다.
[기타 성분]
열경화성 조성물은 (a) 성분 및 (b) 성분 이외의 기타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커플링제, 충전재, 연화제, 촉진제, 열화 방지제, 착색제, 난연화제, 틱소트로픽제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성분의 상세는, 제1 접착제층(2)에 있어서의 기타 성분의 상세와 동일하다.
열경화성 조성물은 (a) 성분 및 (b) 성분 대신에, 또는 (a) 성분 및 (b) 성분에 더하여, 상술한 (D) 성분과 동일한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열경화성 조성물은, 상술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a) 성분 및 (b) 성분 대신에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열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80질량% 이하여도 된다. (a) 성분 및 (b) 성분에 더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열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경화성 수지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80질량% 이하여도 된다. 경화제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경화제의 함유량으로서 기재한 범위와 동일해도 된다.
제2 접착제층(3)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4)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제2 접착제층의 전체 질량 기준으로, 1질량% 이하여도 되고, 0질량%여도 된다. 제2 접착제층(3)은 도전 입자(4)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접착제층(3)의 두께 d2는, 접착하는 회로 부재의 전극의 높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해도 된다. 제2 접착제층(3)의 두께 d2는, 전극간의 스페이스를 충분히 충전하여 전극을 밀봉할 수 있고, 보다 양호한 접속 신뢰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5㎛ 이상이면 되고, 200㎛ 이하이면 된다. 또한, 도전 입자(4)의 일부가 제1 접착제층(2)의 표면으로부터 노출(예를 들어, 제2 접착제층(3)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제2 접착제층(3)에 있어서의 제1 접착제층(2)측과는 반대측의 면(3a)으로부터, 인접하는 도전 입자(4, 4)의 이격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층(2)과 제2 접착제층(3)의 경계 S까지의 거리(도 1에 있어서 d2로 나타내는 거리)가 제2 접착제층(3)의 두께이다.
제2 접착제층(3)의 두께 d2에 대한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의 비(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제2 접착제층(3)의 두께 d2)는, 전극간의 스페이스를 충분히 충전하여 전극을 밀봉할 수 있고, 보다 양호한 신뢰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1 이상이어도 되고, 100 이하여도 된다.
접착제 필름(1)의 두께(접착제 필름(1)을 구성하는 모든 층의 두께의 합계. 도 1에 있어서는, 제1 접착제층(2)의 두께 d1 및 제2 접착제층(3)의 두께 d2의 합계.)는, 예를 들어 5㎛ 이상이면 되고, 200㎛ 이하이면 된다.
접착제 필름(1)에서는, 도전 입자(4)가 제1 접착제층(2) 중에 분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착제 필름(1)은 이방 도전성을 갖는 이방 도전성 접착제 필름이다. 접착제 필름(1)은, 제1 전극을 갖는 제1 회로 부재와, 제2 전극을 갖는 제2 회로 부재 사이에 개재시켜, 제1 회로 부재 및 상기 제2 회로 부재를 열 압착하여,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접착제 필름(1)에 의하면,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키고,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백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이 추정하고 있다. 먼저, 접착제 필름(1)에서는, 도전 입자(4)가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시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4)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극에서의 도전 입자(4)의 포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중합 개시제가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 중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수지의 반응성(예를 들어, 도전 입자 근방에 있어서의 수지의 반응성)이 변화되고, 수지의 가교 상태, 표면 상태 등이 변화됨으로써, 압착 시에 도전 입자 표면과 전극 표면의 접촉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지 않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효과가 얻어진다고 본 발명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의 2층으로 구성되는 것이면 되고,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 이외의 층(예를 들어 제3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3층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제3 접착제층은, 제1 접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에 대하여 상술한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층이면 되고, 제1 접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에 대하여 상술한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층이면 된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예를 들어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제2 접착제층의 반대측의 면 상에 제3 접착제층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즉,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예를 들어 제2 접착제층, 제1 접착제층 및 제3 접착제층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3 접착제층은, 예를 들어 제2 접착제층과 동일하게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이방 도전성을 갖는 이방 도전성 접착제 필름이지만,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은, 이방 도전성을 갖지 않은 도전성 접착제 필름이어도 된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접착제층(2)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제1 준비 공정)과, 제1 접착제층(2) 상에 상술한 제2 접착제층(3)을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구비한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의 제조 방법은, 제2 접착제층(3)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제2 준비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준비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기재 상에 제1 접착제층(2)을 형성하여 제1 접착제 필름을 얻음으로써, 제1 접착제층(2)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D) 성분 및 (E) 성분 등의 다른 성분을, 유기 용매 중에 첨가하고, 교반 혼합, 혼련 등에 의해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바니시 조성물을 조제한다. 그 후, 이형 처리를 실시한 기재 상에, 바니시 조성물을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애플리케이터, 콤마 코터, 다이 코터 등을 사용하여 도포한 후, 가열에 의해 유기 용매를 휘발시켜, 기재 상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기재 상에 제1 접착제층(2)을 형성한다(경화 공정). 이에 의해, 제1 접착제 필름이 얻어진다.
바니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각 성분을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톨루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니시 조성물의 조제 시의 교반 혼합 및 혼련은, 예를 들어 교반기, 분쇄기, 3축 롤, 볼 밀, 비즈 밀 또는 호모 디스퍼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기재로서는, 유기 용매를 휘발시킬 때의 가열 조건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합성 고무계, 액정 폴리머 등을 포함하는 기재(예를 들어 필름)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에 도포한 바니시 조성물로부터 유기 용매를 휘발시킬 때의 가열 조건은, 유기 용매가 충분히 휘발되는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조건은, 예를 들어 40℃ 이상 120℃ 이하에서 0.1분간 이상 10분간 이하여도 된다.
경화 공정에서의 광의 조사에는, 150 내지 750nm의 범위 내의 파장을 포함하는 조사광(예를 들어 자외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의 조사는, 예를 들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LED 광원 등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광의 조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파장 365nm의 광의 적산 광량으로, 0.01 내지 10J/cm2이면 된다.
제2 준비 공정에서는, (a) 성분 및 (b)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다른 성분을 사용하는 것 및 광 조사를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1 준비 공정과 동일하게, 기재 상에 제2 접착제층(3)을 형성하여 제2 접착제 필름을 얻음으로써, 제2 접착제층(3)을 준비한다.
적층 공정에서는, 제1 접착제 필름과, 제2 접착제 필름을 접합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2) 상에 제2 접착제층(3)을 적층해도 되고, 제1 접착제층(2) 상에 (a) 성분 및 (b)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다른 성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바니시 조성물을 도포하고, 유기 용매를 휘발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2) 상에 제2 접착제층(3)을 적층해도 된다.
제1 접착제 필름과, 제2 접착제 필름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열 프레스, 롤 라미네이트, 진공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라미네이트는, 예를 들어 0 내지 80℃의 온도 조건 하에서 행해도 된다.
<회로 접속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이하, 회로 접속 재료로서 상술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을 사용한 회로 접속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 구조체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접속 구조체(10)는, 제1 회로 기판(11) 및 제1 회로 기판(11)의 주면(11a)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을 갖는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기판(14) 및 제2 회로 기판(14)의 주면(14a) 상에 형성된 제2 전극(15)을 갖는 제2 회로 부재(16)와, 제1 회로 부재(13) 및 제2 회로 부재(16)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 접속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회로 부재(13) 및 제2 회로 부재(16)는 서로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제1 회로 부재(13) 및 제2 회로 부재(16)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프린트 배선판, 세라믹 배선판, 플렉시블 배선판, 반도체 실리콘 IC 칩 등이면 된다. 제1 회로 기판(11) 및 제2 회로 기판(14)은, 반도체, 유리, 세라믹 등의 무기물, 폴리이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유기물, 유리/에폭시 등의 복합물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은, 금, 은, 주석,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백금, 구리, 알루미늄, 몰리브덴, 티타늄, 인듐주석 산화물(ITO), 인듐아연 산화물(IZ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GZO)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은 회로 전극이면 되고, 범프 전극이어도 된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의 적어도 한쪽은 범프 전극이면 된다. 도 2에서는, 제2 전극(15)이 범프 전극이다.
회로 접속부(17)는 상술한 접착제 필름(1)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회로 접속부(17)는, 예를 들어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부재(16)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이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회로 부재(13)측에 위치하고, 상술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도전 입자(4) 이외의 (A) 성분, (B) 성분 등의 성분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제1 영역(18)과,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2 회로 부재(16)측에 위치하고, (a) 성분, (b) 성분 등을 함유하는 상술한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제2 영역(19)과, 적어도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 사이에 개재하여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 입자(4)를 갖는다. 회로 접속부는, 제1 영역(18) 및 제2 영역(19)과 같이 2개의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상술한 광경화성 조성물의 도전 입자(4) 이외의 성분의 경화물과 상술한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이 혼재한 경화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3은, 회로 접속 구조체(1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접속 구조체(10)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제1 전극(12)을 갖는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전극(15)을 갖는 제2 회로 부재(16) 사이에, 상술한 접착제 필름(1)을 개재시켜, 제1 회로 부재(13) 및 제2 회로 부재(16)를 열 압착하여,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제1 회로 기판(11) 및 제1 회로 기판(11)의 주면(11a)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을 구비하는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기판(14) 및 제2 회로 기판(14)의 주면(14a) 상에 형성된 제2 전극(15)을 구비하는 제2 회로 부재(16)를 준비한다.
이어서,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부재(16)를, 제1 전극(12)과 제2 전극(15)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부재(16) 사이에 접착제 필름(1)을 배치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2)측이 제1 회로 부재(13)의 실장면(11a)과 대향하도록 하여 접착제 필름(1)을 제1 회로 부재(13) 상에 라미네이트한다. 이어서, 제1 회로 기판(11) 상의 제1 전극(12)과, 제2 회로 기판(14) 상의 제2 전극(15)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착제 필름(1)이 라미네이트된 제1 회로 부재(13) 상에 제2 회로 부재(16)를 배치한다.
그리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로 부재(13), 접착제 필름(1) 및 제2 회로 부재(16)를 가열하면서,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부재(16)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회로 부재(13)와 제2 회로 부재(16)를 서로 열 압착한다. 이 때, 도 3의 (b)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착제층(3)은 유동 가능한 미경화의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전극(15, 15) 사이의 공극을 매립하도록 유동함과 함께, 상기 가열에 의해 경화한다. 이에 의해,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5)이 도전 입자(4)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제1 회로 부재(13) 및 제2 회로 부재(16)가 서로 접착되어, 도 2에 나타내는 회로 접속 구조체(10)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회로 접속 구조체(10)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접착제층(2)이 미리 경화된 층이기 때문에, 도전 입자(4)가 제1 접착제층(2) 중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1 접착제층(2)이 상기 열 압착 시에 거의 유동하지 않고, 도전 입자가 효율적으로 대향하는 전극간에서 포착되기 때문에, 대향하는 전극(12) 및 (15) 사이의 접속 저항이 저감된다. 그 때문에,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회로 접속 구조체가 얻어진다.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도 4는, 일 실시 형태의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20)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1)과, 해당 접착제 필름(1)이 감긴 릴(21)과, 접착제 필름(1) 및 릴(21)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22)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 필름(1)은 예를 들어 테이프상이다. 테이프상의 접착제 필름(1)은, 예를 들어 시트상의 원단을 용도에 따른 폭으로 장척으로 잘라냄으로써 제작된다. 접착제 필름(1)의 한쪽 면 상에는 기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로서는, 상술한 PET 필름 등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릴(21)은, 접착제 필름(1)이 감기는 권취 코어(23)를 갖는 제1 측판(24)과, 권취 코어(23)를 끼워 제1 측판(24)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측판(25)을 구비한다.
제1 측판(24)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원판이며, 제1 측판(24)의 중앙 부분에는, 단면 원형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측판(24)이 갖는 권취 코어(23)는, 접착제 필름(1)을 감는 부분이다. 권취 코어(2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접착제 필름(1)의 폭과 동일한 두께의 원환상을 이루고 있다. 권취 코어(23)는 제1 측판(24)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제1 측판(24)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릴(21)의 중앙부에는, 권취 장치 또는 조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부분인 축 구멍(2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축 구멍(26)에 권취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을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축을 구동한 경우에, 공회전하지 않고 릴(21)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 축 구멍(26)에는, 건조제가 수용된 건조제 수용 용기가 감입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측판(25)은 제1 측판(24)이 동일하게,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원판이며, 제2 측판(25)의 중앙 부분에는, 제1 측판(24)의 개구부와 동일한 직경의 단면 원형의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 부재(22)는 예를 들어 주머니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접착제 필름(1) 및 릴(21)을 수용하고 있다. 수용 부재(22)는, 수용 부재(22)의 내부에 접착제 필름(1) 및 릴(21)을 수용(삽입)하기 위한 삽입구(27)를 갖고 있다.
수용 부재(22)는, 수용 부재(22)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부(28)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수용 부재(22)는, 수용 부재(22)의 전체가 시인부(28)가 되게 구성되어 있다.
시인부(28)는 가시광에 대한 투과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시인부(28)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을 파장 450 내지 750nm의 범위에서 측정한 경우, 파장 450 내지 750nm 사이에, 광의 투과율의 평균값이 30% 이상으로 되는, 파장 폭이 50nm인 영역이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시인부(28)의 광의 투과율은, 시인부(28)를 소정의 크기로 잘라낸 시료를 제작하고, 시료의 광의 투과율을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로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용 부재(22)가 이러한 시인부(28)를 갖기 때문에, 수용 부재(22)의 내부, 예를 들어 릴(21)에 첩부된 제품명, 로트 넘버, 유효 기한 등의 각종 정보를 수용 부재(22)의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른 제품의 혼입을 방지할 것, 및 구분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시인부(28)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은 10% 이하이다. 시인부(28)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이 10% 이하이기 때문에, 수용 부재(22)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입사하는 광과, 제1 접착제층(2) 중에 잔류한 광중합 개시제에서 기인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착제 필름(1)의 접속 저항의 저감 효과를 유지할 수 있고, 접착제 필름(1)을 회로 부재끼리의 접속에 사용하였을 때,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부터의 활성종(예를 들어 라디칼)의 발생이 한층 억제되는 관점에서, 시인부(28)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시인부(28)에 있어서의, 상술한 광중합 개시제((B) 성분)로부터 라디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파장 영역에서의 광의 투과율의 최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구체적으로는, 시인부(28)에 있어서의 파장 254 내지 405nm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의 최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다.
시인부(28)(수용 부재(22))는 예를 들어 두께 10 내지 5000㎛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시트는, 시인부(28)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이 10% 이하가 되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는 1종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복수종이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당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시인부(28)는 광투과성이 상이한 복수의 층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시인부(28)를 구성하는 각 층은, 상술한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삽입구(27)는 수용 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시일기 등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밀폐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삽입구(27)를 폐쇄하기 전에 수용 부재(22) 내의 공기를 흡인 제거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한 초기의 단계로부터 수용 부재(22) 내의 습기가 적어지며, 또한 외부로부터의 공기의 진입을 방지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용 부재(22)의 내면과 릴(21)이 밀착됨으로써, 운반 시의 진동으로 수용 부재(22)의 내면과 릴(21)의 표면이 서로 스쳐서 이물이 발생하는 것, 및 릴(21)의 측판(24, 25)의 외측면에의 흠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부재는, 수용 부재의 전체가 시인부가 되게 구성되어 있었지만, 다른 일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부재는 수용 부재의 일부에 시인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용 부재는, 수용 부재의 측면의 대략 중앙에 직사각형상의 시인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수용 부재의 시인부 이외의 부분은, 예를 들어 자외광 및 가시광을 투과시키지 않도록 흑색을 나타내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부재의 형상은 주머니 형상이었지만, 수용 부재는, 예를 들어 상자 형상이어도 된다. 수용 부재에는, 개봉을 위한 절입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 시의 개봉 작업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의 합성>
교반기, 온도계, 염화칼슘 건조관을 갖는 환류 냉각관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폴리(1,6-헥산디올 카르보네이트)(상품명: 듀라놀 T5652, 아사히 가세이 케미컬즈 가부시키가이샤제, 수평균 분자량 1000) 2500질량부(2.50mol)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시그마 알드리치사제) 666질량부(3.00mol)를 3시간에 걸쳐 균일하게 적하하였다. 이어서, 반응 용기에 충분히 질소 가스를 도입한 후, 반응 용기 내를 70 내지 75℃로 가열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 용기에,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시그마 알드리치사제) 0.53질량부(4.3mmol)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시그마 알드리치사제) 5.53질량부(8.8mmol)를 첨가한 후,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시그마 알드리치사제) 238질량부(2.05mol)를 첨가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 70℃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이에 의해,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를 얻었다.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0이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하기 조건에 따라서,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로부터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조건)
장치: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GPC-8020
검출기: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 RI-8020
칼럼: 히따찌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Gelpack GLA160S+GLA150S
시료 농도: 120mg/3mL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
주입량: 60μL
압력: 2.94×106Pa(30kgf/cm2)
유량: 1.00mL/min
<도전 입자의 제작>
폴리스티렌 입자의 표면 상에, 층의 두께가 0.2㎛가 되도록 니켈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평균 입경 4㎛, 최대 입경 4.5㎛, 비중 2.5의 도전 입자를 얻었다.
<광경화성 조성물의 바니시(바니시 조성물)의 조제>
이하에 나타내는 성분을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량(질량부)으로 혼합하고, 광경화성 조성물 1 내지 18의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1에 기재된 도전 입자의 함유량(체적%) 및 충전재의 함유량(체적%)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한 함유량이다.
(중합성 화합물)
A1: 디시클로펜타디엔형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DCP-A, 도아 고세 가부시키가이샤제)
A2: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한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UA1)
A3: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상품명: 라이트에스테르 P-2M, 교에샤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광중합 개시제)
B1: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 2-(O-벤조일옥심)](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OXE01, BASF사제)
B2: 에타논, 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 1-(o-아세틸옥심)(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OXE02, BASF사제)
B3: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369, BASF사제)
B4: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907, BASF사제)
B5: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279, BASF사제)
B6: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84, BASF사제)
B7: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173, BASF사제)
B8: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2959, BASF사제)
B9: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상품명: Irgacure(등록 상표) 127, BASF사제)
(도전 입자)
C1: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한 도전 입자
(열가소성 수지)
F1: 비스페놀 A형 페녹시 수지(상품명: PKHC, 유니온 카바이드사제)
(커플링제)
G1: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상품명: KBM503,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충전재)
H1: 실리카 미립자(상품명: R104, 닛본 에어로질 가부시키가이샤제, 평균 입경(1차 입경): 12nm)
(용제)
I1: 메틸에틸케톤
Figure pct00015
<열경화성 조성물의 바니시(바니시 조성물)의 조제>
중합성 화합물 a1 내지 a3, 열가소성 수지f1, 커플링제 g1, 충전재 h1 및 용제 i1로서, 광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성 화합물 A1 내지 A3, 열가소성 수지 F1, 커플링제 G1, 충전재 H1 및 용제 I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이들 성분 및 이하에 나타내는 열중합 개시제를 표 2에 나타내는 배합량(질량부)으로 혼합하여, 열경화성 조성물 1의 바니시를 조제하였다. 또한, 표 2에 기재된 충전재의 함유량(체적%)은 열경화성 조성물의 전체 체적을 기준으로 한 함유량이다.
(열중합 개시제)
b1:: 벤조일퍼옥사이드(상품명: 나이퍼 BMT-K40, 니찌유 가부시끼가이샤제)
Figure pct00016
(실시예 1)
[제1 접착제 필름의 제작]
광경화성 조성물 1의 바니시를, 두께 50㎛의 PET 필름 상에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이어서, 70℃, 3분간의 열풍 건조를 행하여, PET 필름 상에 두께(건조 후의 두께)가 2㎛인 광경화성 조성물 1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광경화성 조성물 1을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이 3000mJ/cm2가 되게 광 조사를 행하고, 중합성 화합물을 중합시켰다. 이에 의해, 광경화성 조성물 1을 경화시켜,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PET 필름 상에 두께 2㎛의 제1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제1 접착제 필름을 얻었다. 이 때의 도전 입자 밀도는 약 7000pcs/mm2였다. 또한,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제 레이저 현미경 OLS4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2 접착제 필름의 제작]
열경화성 조성물 1의 바니시를, 두께 50㎛의 PET 필름 상에 도공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이어서, 70℃, 3분간의 열풍 건조를 행하여, PET 필름 상에 두께가 10㎛인 제2 접착제층(열경화성 조성물 1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PET 필름 상에 제2 접착제층을 구비하는 제2 접착제 필름을 얻었다.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작]
제1 접착제 필름과 제2 접착제 필름을, 기재인 PET 필름과 함께 40℃에서 가열하면서, 롤 라미네이터로 라미네이트하였다. 이에 의해, 제1 접착제층과 제2 접착제층이 적층된 2층 구성의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제작하였다.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작]
제작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통해, 피치 25㎛의 COF(FLEXSEED사제)와, 유리 기판 상에 비결정 산화인듐주석(ITO)을 포함하는 박막 전극(높이: 1200Å)을 구비하는, 박막 전극 구비 유리 기판(지오마테크사제)을 열 압착 장치(가열 방식: 콘스탄트히트형,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요 기카이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170℃, 6MPa로 4초간의 조건에서 가열 가압을 행하여 폭 1mm에 걸쳐 접속하고, 회로 접속 구조체(접속 구조체)를 제작하였다. 또한, 접속 시에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에 있어서의 제1 접착제층측의 면이 유리 기판과 대향하도록,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유리 기판 상에 배치하였다.
[회로 접속 구조체의 평가]
얻어진 회로 접속 구조체에 대하여, 접속 직후, 및 고온 고습 시험 후의 대향하는 전극간의 접속 저항값을 멀티미터로 측정하였다. 고온 고습 시험은, 회로 접속 구조체를 85℃, 85%RH의 항온 항습조에 200h 방치함으로써 행하였다. 접속 저항값은, 대향하는 전극간의 저항 16점의 평균값으로서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8)
광경화성 조성물로서, 광경화성 조성물 2 내지 1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회로 접속 구조체를 제작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회로 접속 구조체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 내지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식 (I), 식 (II) 또는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0에 있어서는, 비교예 1 내지 8과 비교하여, 접속 저항값을 저감시킬 수 있어,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1…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2…제1 접착제층, 3…제2 접착제층, 4…도전 입자, 10…회로 접속 구조체, 12…회로 전극(제1 전극), 13…제1 회로 부재, 15…범프 전극(제2 전극), 16…제2 회로 부재, 20…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22…수용 부재, 28…시인부.

Claims (14)

  1. 제1 접착제층과, 해당 제1 접착제층 상에 적층된 제2 접착제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은 광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과, 도전 입자와,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Figure pct00023

    [식 (IV)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옥심에스테르 구조,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도전 입자의 평균 입경의 0.2 내지 0.8배인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7. 제1 접착제층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제1 접착제층 상에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 접착제층을 적층하는 적층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준비 공정은, 광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에 대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상기 제1 접착제층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과, 도전 입자와, 하기 식 (I)로 나타내는 구조, 하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I)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하기 식 (IV)로 나타내는 구조 및 하기 식 (V)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Figure pct00028

    [식 (IV)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9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인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상기 식 (I) 내지 (III)으로 나타내는 구조로서, 옥심에스테르 구조, α-아미노알킬페논 구조 및 아실포스핀옥사이드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상기 도전 입자의 평균 입경의 0.2 내지 0.8배인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1 전극을 갖는 제1 회로 부재와, 제2 전극을 갖는 제2 회로 부재 사이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을 개재시켜, 상기 제1 회로 부재 및 상기 제2 회로 부재를 열 압착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과, 해당 접착제 필름을 수용하는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수용 부재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시인부를 갖고,
    상기 시인부에 있어서의 파장 365nm의 광의 투과율은 10% 이하인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KR1020207006844A 2017-09-11 2018-09-07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KR102631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3939 2017-09-11
JPJP-P-2017-173939 2017-09-11
PCT/JP2018/033262 WO2019050006A1 (ja) 2017-09-11 2018-09-07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286A true KR20200052286A (ko) 2020-05-14
KR102631317B1 KR102631317B1 (ko) 2024-02-01

Family

ID=6563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844A KR102631317B1 (ko) 2017-09-11 2018-09-07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WO2019050006A1 (ko)
KR (1) KR102631317B1 (ko)
CN (1) CN111052881B (ko)
TW (1) TW201920555A (ko)
WO (1) WO2019050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584A1 (ja) * 2019-03-13 2020-09-17 日立化成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JP6946395B2 (ja) * 2019-10-25 2021-10-06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接着剤、それを用いた接着構造体及び電子部品
WO2021251386A1 (ja) * 2020-06-11 2021-12-16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212519A (zh) * 2020-09-28 2022-04-01 日商昭和電工材料股份有限公司 電路連接用接著劑膜、含無機填料組成物、以及電路連接結構體及其製造方法
WO2022138747A1 (ja) * 2020-12-25 2022-06-30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074474A1 (ja) * 2021-10-29 2023-05-04 株式会社レゾナック 半導体用フィルム状接着剤、半導体用フィルム状接着剤の製造方法、接着剤テープ、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WO2023106410A1 (ja) * 2021-12-10 2023-06-15 株式会社レゾナック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388A1 (ja) 2003-12-04 2005-06-16 Asahi Kasei Emd Corporation 異方導電性接着シート及び接続構造体
KR20090092796A (ko) * 2007-07-03 2009-09-01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과 접합체
KR20140053298A (ko) * 2011-08-18 2014-05-0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재 릴, 블록킹 억제 방법, 접착재 릴의 교환 방법, 접착재 테이프의 조출 방법, 접착재 릴의 제조 방법, 릴 키트, 및 곤포체
KR20170069962A (ko) * 2014-10-16 2017-06-21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접속체의 제조 방법, 전자 부품의 접속 방법, 접속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0663C (zh) * 2001-06-25 2006-04-12 泰勒弗氏股份有限公司 具有增强粘度的各向异性导电粘合剂及使用它的粘接方法和集成电路封装件
KR20040052126A (ko) * 2002-12-13 2004-06-19 엘지전선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접착제, 이를 이용한 회로 접속 방법 및 회로접속 구조체
KR101115271B1 (ko) * 2006-04-27 2012-07-12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도전 입자 배치 시트 및 이방성 도전 필름
JP4623224B2 (ja) * 2008-06-26 2011-02-02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シート及び電子部品
WO2011083824A1 (ja) * 2010-01-08 2011-07-1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フィルム及び回路接続構造体
JP2012021140A (ja) * 2010-06-14 2012-02-02 Hitachi Chem Co Ltd 回路接続用接着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回路接続構造体及び回路部材の接続方法
KR101296486B1 (ko) * 2010-07-26 2013-08-13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접속 구조체,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접착제 조성물의 용도
JP2015003935A (ja) * 2011-10-20 2015-01-08 日立化成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並びに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579360B (zh) * 2011-12-16 2017-04-21 日立化成股份有限公司 接著劑組成物、膜狀接著劑、接著片、連接結構體及連接結構體的製造方法
JP2016033021A (ja) * 2014-07-31 2016-03-10 株式会社Adeka 紫外線遮光容器
JP6474620B2 (ja) * 2015-01-22 2019-02-2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388A1 (ja) 2003-12-04 2005-06-16 Asahi Kasei Emd Corporation 異方導電性接着シート及び接続構造体
KR20090092796A (ko) * 2007-07-03 2009-09-01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과 접합체
KR20140053298A (ko) * 2011-08-18 2014-05-0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재 릴, 블록킹 억제 방법, 접착재 릴의 교환 방법, 접착재 테이프의 조출 방법, 접착재 릴의 제조 방법, 릴 키트, 및 곤포체
KR20170069962A (ko) * 2014-10-16 2017-06-21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접속체의 제조 방법, 전자 부품의 접속 방법, 접속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006A1 (ja) 2019-03-14
KR102631317B1 (ko) 2024-02-01
JP2023075077A (ja) 2023-05-30
TW201920555A (zh) 2019-06-01
JPWO2019050006A1 (ja) 2020-08-20
CN111052881B (zh) 2024-02-13
CN111052881A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317B1 (ko)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WO2020184583A1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TW202039764A (zh) 電路連接用接著劑膜、電路連接結構體的製造方法以及接著劑膜收容組
KR102569980B1 (ko)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KR102533475B1 (ko) 회로 접속용 접착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회로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KR102603157B1 (ko) 접착제 필름 수용 세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22059647A1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7480772B2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JP7468507B2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接着剤フィルム収容セット
JP2023134038A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48791A (ja) 回路接続用接着剤フィルム、並びに、回路接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