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996A - 액체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996A
KR20200050996A KR1020207009492A KR20207009492A KR20200050996A KR 20200050996 A KR20200050996 A KR 20200050996A KR 1020207009492 A KR1020207009492 A KR 1020207009492A KR 20207009492 A KR20207009492 A KR 20207009492A KR 20200050996 A KR20200050996 A KR 2020005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outlet
substrate portion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ba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322B1 (ko
Inventor
가츠유키 모타이
히로요시 나카지마
히로히사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3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522A/ko
Publication of KR2020005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32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B65D77/36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disposed beneath a wrapper, label, or other element of sheet material securing a lid, cover, or container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액체 수납 용기(1)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주머니 본체(3)와, 주머니 본체(3)의 테두리(3a)에 설치된 주 출구(40)를 구비한다.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접합부를 덮는 보호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액체 수납 용기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액체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유동성 내용물의 보관이나 수송에 제공되는 액체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보관이나 수송에 알루미늄, 플라스틱, 스틸, 스테인리스, 파이버 보드 등으로 만들어진 외장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동성 내용물을 수용하는 액체 수납 용기(예를 들어, JP2013-144561A)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사용을 마친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로부터 취출하고, 새로운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세팅하는 것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액체 수납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플라스틱이나 스틸 등의 외장 용기에 유동성 내용물을 충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정하는 수고 등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고, 공업 약품,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의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액체 수납 용기로서, 주머니 본체와, 주머니 본체에 설치된 주 출구를 갖는 편평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먼저 콤팩트하게 접어져 외장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액체 수납 용기는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려져서, 외장 용기 내에 액체 수납 용기의 외형이 외장 용기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액체 수납 용기를 배치하는 외장 용기로서 대용량의 것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용량으로서 1000l 정도의 크기의 외장 용기가 사용되고, 외장 용기는 컨테이너와 같은 육면체의 상자형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자형의 외장 용기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어 오르는 것이 가능한 육면체의 상자형의 액체 수납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주머니 본체는 서로 접합된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고, 주 출구는 주머니 본체의 일단 테두리에 접합된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대용량의 내용물을 충전한 경우, 주 출구 근방의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의 접합부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져서, 주머니 본체가 이 부분으로부터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했을 때, 주 출구 근방의 제1 기재와 제2 기재의 접합부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져도, 이 접합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액체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한 제1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적어도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는 보호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제2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 보호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제3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를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4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5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와,
상기 주머니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를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가 들어가는 수납 홈을 포함하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서로 연결 가능한 한 쌍의 보호구를 갖고,
각 보호구는, 모두,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가 들어가는 수납 홈을 포함하는 보호구 본체를 갖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각 보호구는,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는 보호구 본체와, 상기 보호구 본체로부터 2개로 분기하는 두 갈래부를 갖고,
한쪽의 보호구의 두 갈래부의 선단부와 다른 쪽의 보호구의 두 갈래부의 선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보호구는 상기 주 출구 설치부를 둘러싸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각 보호구는, 상기 보호구 본체 및 상기 두 갈래부의 적어도 어느 것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주 출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 출구에 대하여 당해 보호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갖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주 출구에 면 접촉하는 주면과, 상기 주 출구에 접촉하고 상기 주면에 대하여 비평행한 단부면을, 갖는 판상부를 포함하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에 접속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구는, 동일한 구성을 갖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에 연결되게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덮는 영역이 상기 주머니 본체의 테두리 양단부까지 이르지 않도록 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는,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와,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주 출구가 장착되는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머니 본체 내에, 내용액이 수납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와 유지구의 조합체는,
본 개시에 의한 어느 액체 수납 용기와,
상기 주 출구 본체에 장착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장치가 상기 유지구에 연결되어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제1 보호 장치는,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어느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적어도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2 보호 장치는,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어느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3 보호 장치는,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어느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를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4 보호 장치는,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어느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다.
본 개시에 의한 제5 보호 장치는,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어느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내용물을 충전했을 때, 주 출구의 양단부 근방의 제1 기재와 제2 기재의 접합부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져도, 이 접합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액체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액체 수납 용기가 장착된 보호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액체 수납 용기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보호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액체 수납 용기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보호 장치의 표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b는, 보호 장치의 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c는, 보호 장치의 다른 예의 표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d는, 보호 장치의 다른 예의 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a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b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c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d는, 도 6c에 도시하는 보호 장치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b는, 본 실시 형태의 날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액체 수납 용기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주 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주 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주 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파단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적어도 서로 접합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육면체의 상자형 주머니 본체(3)와, 주머니 본체(3)에 설치된 주 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는, 주머니 본체를 부풀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주머니 본체(3)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상부 테두리(3a) 및 저부 테두리(3b)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주 출구(4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주 출구(40)는 주 출구 플랜지(42)를 갖는 주 출구 본체(41)와, 주 출구 본체(41)의 하방에 연결되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접합된 주 출구 설치부(50)를 갖는다(도 4 참조). 단,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주머니 본체(3)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4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 이외의 테두리에 설치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상자형의 주머니 본체(3)의 구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상부」 「상부 테두리」 「저부」 「저부 테두리」란, 주 출구(40)를 상방을 향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부」 「상부 테두리」 「저부」 「저부 테두리」를 말한다. 또한 「양측」이란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저부를 연결하는 주 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폭 방향 양측을 말한다.
그리고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있어서,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에 접합되어 있고, 또한 상부 테두리(3a) 중 주 출구 설치부(50)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직접 접합되어 있다. 이렇게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접합함으로써, 후술하는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가 형성된다.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있어서, 주 출구 설치부(50)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직접 접합되는 부분은, 주머니 본체(3)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었을 때, 하중 부하가 가해지는 부분이다. 특히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도 4 참조)에는, 보다 큰 하중 부하가 가해진다.
보다 엄밀하게는, 주머니 본체(3)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주머니 본체(3)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었을 때에 큰 하중 부가가 더하여진다. 즉,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도 4 참조)에 대면하는 부분에, 주머니 본체(3)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었을 때의 큰 하중 부가가 더하여진다. 마찬가지로,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도 3 참조)에 대면하는 부분에, 주머니 본체(3) 내에 내용물이 충전되었을 때의 큰 하중 부가가 더하여진다.
여기서,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이란, 상부 테두리(3a)를 따르는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이란, 도 3 및 도 4의 지면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으로 되는 액체 수납 용기(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을 말한다.
또한 주 출구 설치부(50)에 있어서는, 주 출구 설치부(50)와,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 사이에서 주 출구 설치부(50)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해서 접합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가열에 의해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일부 액상화하고, 주머니 본체(3)의 내부측으로 이행해서 합성 수지의 돌기(92)를 형성한다.
그리고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지고, 이 돌기(92)를 기점으로 하여, 제1 기재부(2A) 혹은 제2 기재부(2B)가 파손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를 덮도록 해서 보호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주머니 본체(3)의 보호 장치(20)에 의해 덮인 영역은, 보호 장치(20)에 의해 강성이 부여되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주머니 본체(3)가 변형되는 것에 기인하여, 특히 주머니 본체(3)가 일정한 위치에 있어서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반복하여 상대 동작하는 것에 기인하여, 주머니 본체(3)가 파단되어 버리는 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호 장치(20)는, 적어도 주머니 본체(3) 중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을 덮는다. 바꾸어 말하면, 보호 장치(20)는,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에 대면하는 부분과,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다. 도시된 보호 장치(20)는, 또한,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게 되어 있다.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나아가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3)는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상대 동작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주머니 본체(3)는,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이 이루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주머니 본체(3)의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한 움직임에 의해, 주머니 본체(3)는, 이 부분에 있어서 파단하기 쉬워진다. 특히, 주머니 본체(3)가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반복 동작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가 당해 위치 또는 그 근방에서 현저하게 손상되기 쉬워진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 나아가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이, 보호 장치(20)에 의해 덮인다. 보호 장치(20)가 주머니 본체(3)를 덮음으로써, 주머니 본체(3)의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움직이기 쉬운 부분이,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호 장치(20)에 의하면, 주머니 본체(3)의 파단 등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보호 장치(20)에 의해, 상술한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 나아가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으로 되는 부분(90)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주머니 본체(3)의 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주머니 본체(3)가 이 부분(90)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즉, 보호 장치(20)는,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에 대면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 장치(20)는,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보호 장치(20)가 덮는 영역은,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에 대면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호 장치(20)가 덮는 영역은,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기재부(2A, 2B) 중의 경계선(91A, 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이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길이를 갖는 영역이며,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단부 이외로 되는 내부에 경계선(91A) 또는 경계선(91B)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리키고 있다. 즉, 보호 장치(20)는, 기재부(2A, 2B) 중의 경계선(91A, 91B)에 대면하는 부분만을 덮는 것은 아니고,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라 이 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도 덮는다.
이러한 보호 장치(20)에 의하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을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여기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이란, 액체 수납 용기(1)를 그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주 출구(40)를 통하는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된다. 즉, 보호 장치(20)는,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 장치(20)는,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덮고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보호 장치(20)가 덮는 영역은,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하 방향에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보호 장치(20)가 덮는 영역은,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하 방향에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기재부(2A, 2B) 중의 경계선(91A, 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하 방향에 내포하는 영역이란, 상하 방향에 길이를 갖는 영역이며, 상하 방향에 있어서 단부 이외로 되는 내부에 경계선(91A) 또는 경계선(91B)을 포함하는 영역을 가리키고 있다. 즉, 보호 장치(20)는, 기재부(2A, 2B) 중의 경계선(91A, 91B)에 대면하는 부분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덮고, 또한, 이 부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장치(20)에 의하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접합부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덮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 장치(20)는,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고 있다. 이 보호 장치(20)가,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을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호 장치(20)는,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의 상하 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 부분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장치(20)에 의하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에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가장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위치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접합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테두리, 및 제1 기재부(2A) 또는 제2 기재부(2B)와 주 출구 설치부(50)의 접합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테두리로 된다. 이 하부 테두리를 축선으로 하여, 주머니 본체(3)가 주 출구 설치부(50)에 대하여 상대 요동하기 쉬워지게 되고, 이 하부 테두리를 따라 파단 등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점에서, 보호 장치(20)는, 제1 기재부(2A)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2 기재부(2B)의 경계선(91A)과 대면하는 부분의,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주 출구 본체(41)로부터 이격하는 측(주머니 본체(3)의 내부측, 주머니 본체(3)의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측)으로 되는, 단부(91Ae)를 적어도 덮고 있는 것이 유효하다. 마찬가지로, 보호 장치(20)는, 제2 기재부(2B)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과 제1 기재부(2A)의 경계선(91B)과 대면하는 부분의,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주 출구 본체(41)로부터 이격하는 측(주머니 본체(3)의 내부측, 주머니 본체(3)의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측)으로 되는, 단부(91Be)를 적어도 덮고 있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접합부의,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주 출구 본체(41)로부터 이격하는 측(주머니 본체(3)의 내부측, 주머니 본체(3)의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90e)를 적어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기재부(2A, 2B)와 주 출구 설치부(50)의 접합부의,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주 출구 본체(41)로부터 이격하는 측(주머니 본체(3)의 내부측, 주머니 본체(3)의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93)를 적어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 장치(20)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에틸렌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보호 장치(20)의 일례를 참조하여, 보호 장치(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보호 장치(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한 쌍의 보호구(21A, 21B)를 갖고, 이들 한 쌍의 보호구(21A, 21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각 보호구(21A, 21B)는 모두 상술한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을 덮는 보호구 본체(22)와, 이 보호구 본체(22)로부터 2개로 분기하는 두 갈래부(23)를 갖는다. 두 갈래부(23)는, 보호구 본체(22)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한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는, 보호구 본체(2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한다.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는, 보호구 본체(22)로부터 이격함에 따라서 서로로부터 이격해 간다.
그리고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와,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와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에 의해 주 출구 설치부(50)를 외측으로부터 덮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와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에 의해, 주 출구 설치부(50)가 둘러싸여 있다.
또한 한쪽의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에는,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서 걸림 결합 돌기(23a)와 걸림 결합 홈(2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에도, 각각 상하 방향을 따라서 걸림 결합 돌기(23a)와 걸림 결합 홈(2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보호구(21A, 21B)의 보호구 본체(22)는, 모두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가 들어가는 수납 홈(25)을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는 육면체의 상자형 형상을 갖고,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는, 주머니 본체(3)의 상면(35)의 중앙부를 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보호 장치(20)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하는 경우, 각각의 보호구(21A, 21B)를 주머니 본체(3)의 상방으로부터 상부 테두리(3a)를 향해서 장착한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각 보호구(21A, 21B)의 수납 홈(25)에 삽입하고, 다음에 각 보호구(21A, 21B)의 두 갈래부(23)를 서로 접근시켜, 한쪽의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에 마련된 걸림 결합 돌기(23a)를 다른 쪽의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에 마련된 걸림 결합 홈(23b)에 걸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한쪽의 보호구(21A)와 다른 쪽의 보호구(21B)를 연결시켜서, 보호 장치(20)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호구(21A, 21B)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보호 장치(20)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함으로써, 특히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져도, 이 부분(90)을 보호 장치(20)에 의해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에 삽입하기 위해서(도 23 참조), 보호 장치(20)가 상부 테두리(3a)의 양단부(3e)까지 이르고 있으면 외장 용기(5)에 삽입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보호 장치(20)는 상부 테두리(3a)의 양단부(3e)까지 이르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형태에 의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보호 장치(20)를 장착한 후에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가 들어가는 수납 홈(25)을 갖는 보호 장치(20)에 의해, 각각의 보호구(21A, 21B)를 주머니 본체(3)의 상방으로부터 상부 테두리(3a)를 향해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5)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삽입한 후에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를 통해 보호 장치(20)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구(21A, 21B)는, 보호구 본체(22) 및 두 갈래부(23)의 적어도 어느 것에 접속한 위치 결정부(24)를, 더 갖고 있다. 위치 결정부(24)는, 주 출구(40)에 접촉함으로써 주 출구(40)에 대하여 당해 보호구(21A, 21B)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24)는, 보호구 본체(22)로부터 연장 돌출한 판상부(24a)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출구(40)의 주 출구 본체(41)의 하단부, 바꾸어 말하면, 주 출구 본체(41)의 주 출구 설치부(50)로의 접속부는, 직경 감소된 잘록부(41a)를 형성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부(24a)가 주 출구(40)의 잘록부(41a)에 삽입됨으로써, 한쪽의 보호구(21A)가 주 출구(4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판상부(24a)가 주 출구(40)의 잘록부(41a)에 삽입됨으로써, 다른 쪽의 보호구(21B)가 주 출구(4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한 쌍의 보호구(21A, 21B)가 주 출구(4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됨으로써, 한 쌍의 보호구(21A, 21B)가 서로에 대하여도 위치 결정되게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판상부(24a)는, 주 출구(40)에 면 접촉하는 주면(24b)과, 주 출구(40)에 접촉하는 단부면(24c)을 포함하고 있다. 단부면(24c)은, 주면(24b)에 대하여 비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단부면(24c)은, 주면(24b)에 대하여 수직인 면으로 되어 있다. 주면(24b)은, 판상부(24a)의 상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주면(24b)은, 주 출구 본체(41)의 후술하는 저부(43)의 하면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으로부터 면 접촉한다. 단부면(24c)은, 잘록부(41a)에 가로 방향으로부터 접촉한다. 단부면(24c)이 주 출구 본체(41)에 접촉함으로써, 주 출구(40)에 대한 보호구(21A, 21B)의 폭 방향(상부 테두리(3a)를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주면(24b)이 주 출구 본체(41)에 접촉함으로써, 주 출구(40)에 대한 보호구(21A, 21B)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주머니 본체(3)의 내부가 부풀어 오르는 등 하여 한 쌍의 기재부(2A, 2B)가 서로로부터 이격할 때,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기재부(2A, 2B)의 접속부의 하부 테두리를 수납 홈(25)에 수납한 보호구(21A, 21B)에는, 주머니 본체(3)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주면(24b)이 주 출구 본체(41)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보호구(21A, 21B)의 주머니 본체(3)에 대한 상방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호 장치(20)의 주머니 본체(3)에 대한 상대 위치가 유지되어, 보호 장치(20)에 의해 주머니 본체(3)를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24)의 판상부(24a)는, 두 갈래부(23)의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즉,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는, 판상부(24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늘고 긴 형상으로 변형되기 쉬운 두 갈래부(23)의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가, 판상부(24a)에 의해 보강되어, 변형이 억제된다. 두 갈래부(23)의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보호구(21A, 21B)가 주머니 본체(3)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에 의해, 보호 장치(20)에 의해 주머니 본체(3)를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위치 결정부(24)의 판상부(24a)는, 보호구(21A, 21B)의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보호구(21A, 21B)의 보강부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24)의 판상부(24a)는, 두 갈래부(23)의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뿐만 아니라, 보호구 본체(22)에도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부(24)는, 두 갈래부(23)의 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보호구(21A, 21B)는, 도 5a 및 도 5b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구 본체(22) 및 두 갈래부(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테두리로 되는 부분에, 상하 방향에 비평행한 방향, 전형적으로는 상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3e)를 갖고 있다. 주머니 본체(3)의 내부가 부풀어 오른 경우, 한 쌍의 기재부(2A, 2B)는, 서로로부터 이격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기재부(2A, 2B)는, 보호구 본체(22) 및 두 갈래부(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테두리에 접촉하고, 이 하부 테두리에 힘을 작용시킨다. 플랜지부(23e)는, 기재부(2A, 2B)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는 경향이 있는 보호구 본체(22) 및 두 갈래부(23)의 하부 테두리를 보강한다. 이 플랜지부(23e)에 의해, 보호구(21A, 21B)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보호구(21A, 21B)를 주머니 본체(3)에 안정되게 고정하여, 보호구(21A, 21B)에 의해 주머니 본체(3)를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보호구(21A, 21B)는, 도 5a 및 도 5b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호구 본체(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폭 방향에 비평행한 방향, 전형적으로는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23f)를 갖고 있다. 주머니 본체(3)의 내부가 부풀어 오른 경우, 기재부(2A, 2B)는, 보호구 본체(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접촉하고, 이 단부에 힘을 작용시킨다. 플랜지부(23f)는, 기재부(2A, 2B)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는 경향이 있는 보호구 본체(22)의 단부를 보강한다. 이 플랜지부(23f)에 의해, 보호구(21A, 21B)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보호구(21A, 21B)를 주머니 본체(3)에 안정되게 고정하여, 보호구(21A, 21B)에 의해 주머니 본체(3)를 안정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상으로 설명한 보호구(21A, 21B)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등이 가능하다. 변형의 일례로서, 도 5c 및 도 5d에는 보호 장치(2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c 및 도 5d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보호구 본체(22) 및 두 갈래부(23)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부 테두리로 되는 부분에 모따기부(23g)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호구 본체(22)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모따기부(23h)가 형성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내부가 부풀어 오르는 등에 기인하여 기재부(2A, 2B)가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기재부(2A, 2B)는, 이들 모따기부(23g) 및 모따기부(23h)가 마련된 위치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이들 모따기부(23g) 및 모따기부(23h)를 마련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c 및 도 5d에 나타난 예에 있어서, 보호 장치(20)는, 한쪽의 보호구(21A) 및 다른 쪽의 보호구(21B)를 갖고 있다. 각 보호구(21A, 21B)는, 보호구 본체(22)와, 보호구 본체(22)로부터 연장 돌출한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를 포함하는 두 갈래부(23)를 갖고 있다. 제1 암부(23A)는, 그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걸림 결합 홈(23b), 걸림 결합 돌기(23a) 및 규제 오목부(규제 절결부)(23d)를 갖고 있다. 제2 암부(23B)는, 그 선단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규제 돌기(23c), 걸림 결합 홈(23b) 및 걸림 결합 돌기(23a)를 갖고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보호구(21A, 21B)와 달리,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보호구(21A, 21B)의 두 갈래부(23)는, 규제 돌기(23c) 및 규제 오목부(23d)를 더 갖고 있다.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보호 장치(20)에서는, 한쪽의 보호구(21A)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와 다른 쪽의 보호구(21B)의 두 갈래부(23)의 선단부를 연결했을 때에, 걸림 결합 돌기(23a)와 걸림 결합 홈(23b)이 맞물림과 함께, 제2 암부(23B)의 규제 돌기(23c)가 제1 암부(23A)의 규제 오목부(23d)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규제 오목부(23d) 내에 위치한 제2 암부(23B)의 규제 돌기(23c)는, 제1 암부(23A)와 상하 방향으로 겹침으로써, 당해 규제 돌기(23c)를 넘어가는 제1 암부(23A)의 제2 암부(23B)에 대한 상하 방향 일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보호구(21A, 21B)가, 각각, 제1 암부(23A) 및 제2 암부(23B)를 갖고 있는 점에서,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상하 방향 양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보호 장치(20)에서는, 걸림 결합 돌기(23a) 및 걸림 결합 홈(23b)에 의해 한 쌍의 보호구(21A, 21B)를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보호 장치(20)에서는, 또한 규제 돌기(23c) 및 규제 오목부(23d)를 사용함으로써,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보호 장치(20)에 의하면, 주머니 본체(3)에 대한 보호 장치(20)의 상대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보호 장치(20)를 사용해서 보다 안정되게 주머니 본체(3)를 보호할 수 있다.
<주머니 본체(3)의 구조>
다음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의 구조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9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와, 가젯부(2C)를 준비하고, 이 중, 먼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중첩한다. 다음으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양측으로부터, 2단 절첩된 절입부(2C1)를 갖는 한 쌍의 가젯부(2C)를 삽입하고, 접합해서 접합부(10)를 형성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를 얻는다. 그리고 액체 수납 용기(1)는 이 주머니 본체(3)와, 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배치되어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열 융착된 주 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는, 각각 별개의 필름으로 하여, 서로 중첩해서 주머니 본체(3)를 제작해도 되고, 1매의 필름을 접음으로써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주머니 본체를 제작해도 된다.
또한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는, 모두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이 순으로 배치된 외층/중간층/내층의 3층 구조를 가진다. 이 중, 외층은 연신 나일론(두께 15㎛)/폴리에틸렌(두께 25㎛)/폴리에틸렌(두께 70㎛)의 층 구성을 가진다.
또한 중간층은 폴리에틸렌(두께 60㎛)으로 이루어지고, 내층은 폴리에틸렌(두께 60㎛)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주머니 본체(3)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배치되고,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열 융착된 주 출구(4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경우, 먼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중첩되고, 주 출구(40)의 설치 영역을 제외하는 상부 테두리(3a)를 포함하는 주연이 예를 들어 175℃ 정도의 가열 온도에서 접합된다.
다음으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 중 주 출구(40)의 설치 영역 내에 주 출구(40)가 배치되고,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와,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150℃ 정도의 가열 온도에서 접착된다(제1 단 접착). 이 제1 단 접착에 있어서, 주 출구 설치부(50)와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 사이가 접착됨과 함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에 있어서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접착된다.
다음으로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와,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160℃ 정도의 가열 온도에서 접착된다(제2 단 접착).
이와 같이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와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를, 저온 접착(150° C 정도로 가열)과 고온 접착(160° C 정도로 가열)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의 접착 공정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이 과도하게 가열되어서 연화되거나, 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는 상부 테두리(3a)와, 저부 테두리(3b)와, 측부 테두리(3c)를 갖고, 제1 기재부(2A)의 측방으로부터 보아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도 8 참조).
또한, 접합부(10)는 주머니 본체(3)의 개구된 상부(3A)를 접합해서 형성된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와, 주머니 본체(3)의 개구된 저부(3B)를 접합해서 형성된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갖는다. 또한 제1 기재부(2A)와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는 접합되어, 측부 테두리 접합부(10C)가 형성되고, 제2 기재부(2B)와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도 접합되어서 측부 테두리 접합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각각 별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양태로서 설명하기 위해서,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가 개구되어 있지만, 1매의 필름을 접음으로써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주머니 본체(3)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가 개구하지 않고 접음 개소를 접합해서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형성해도 된다.
이 중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테두리 본체 접합부(10a1)와, 제1 기재부(2A)와 가젯부(2C) 및 제2 기재부(2B)와 가젯부(2C)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a2)를 갖는다.
또한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테두리 본체 접합부(10b1)와, 제1 기재부(2A)와 가젯부(2C) 및 제2 기재부(2B)와 가젯부(2C)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b2)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설치된 주 출구(40)에 의해 가젯상으로 구성된 액체 수납 용기(1)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가젯상의 액체 수납 용기(1)는, 이하와 같이 콤팩트하게 접어져서, 후술하는 대형의 육면체의 상자형 형상을 갖는 외장 용기(5) 내에 개구부(5a)로부터 삽입된다(도 23 참조).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9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의 접힌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젯상의 액체 수납 용기(1)가 준비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에 직사각 형상 저면(30)이 형성된다.
이 경우, 먼저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를 들어 올려,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 중 제1 기재부(2A)측을 절곡선(2A1)을 통해 내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마찬가지로 제2 기재부(2B)측을 절곡선(2B1)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에 직사각 형상 저면(30)이 형성되고, 이 저면(30)은 상술한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포함한다.
이어서, 직사각 형상 저면(30) 이측에 있어서, 가젯부(2C)가 삼각 형상으로 접어 넣어져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된다.
도 11에 있어서, 저면(30)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포함하고, 제1 기재부(2A)는 직사각 형상 저면(30) 중,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고, 제2 기재부(2B)는 직사각 형상 저면(30) 중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의 저면(30)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측에,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접어 넣어진 가젯부(2C)의 테두리(2C2)이 나타나 있다(도 11 참조).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면(30)에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따라, 적어도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 중, 제1 기재부(2A)와 가젯부(2C) 사이 및 제2 기재부(2B)와 가젯부(2C) 사이의 저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b2)끼리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고정 테이프(31)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 제1 고정 테이프(31)는 저면(30) 중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따라 연장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저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b2)를 제1 고정 테이프(31)로 고정함으로써, 직사각 형상 저면(30)의 직사각형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를 제3 고정 테이프(32)에 의해 고정하고,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30)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면에, 가젯부(2C)가 접어 넣어져서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되지만, 제3 고정 테이프(32)에 의해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를 고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을 부풀린 후에 주머니 본체(3)의 내부에 액체를 충전할 때에 가젯부(2C)가 접어 넣어져서 형성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 내에 액체가 진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를 뒤집어서, 저면(30)을 이측으로 가지고 온다(도 13 참조).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에 직사각 형상 상면(35)이 형성된다.
이 경우, 먼저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를 들어 올려서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 중 제1 기재부(2A)측을 절곡선(2A2)을 통해 내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마찬가지로 제2 기재부(2B)측을 절곡선(2B2)을 내측으로 접어 구부린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에 직사각 형상 상면(35)이 형성되고, 이 상면(35)은 상술한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를 포함한다.
이어서, 직사각 형상 상면(35) 이측에 있어서, 가젯부(2C)가 삼각 형상으로 접어 넣어져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된다.
도 14에 있어서, 상면(35)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포함하고, 제1 기재부(2A)는 직사각 형상 상면(35) 중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고, 제2 기재부(2B)는 직사각 형상 상면(35) 중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의 상면(35)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측에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접어 넣어진 가젯부(2C)의 테두리(2C2)가 나타나 있다(도 14 참조).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35)에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를 따라, 적어도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 중, 제1 기재부(2A)와 가젯부(2C) 사이 및 제2 기재부(2B)와 가젯부(2C) 사이의 상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a2)끼리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2 고정 테이프(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2 고정 테이프(36)는 상면(35) 중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를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테두리 가젯부 접합부(10a2)를 제2 고정 테이프(36)로 고정함으로써, 직사각 형상 상면(35)의 직사각형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를 제4 고정 테이프(37)에 의해 고정하고,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35)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가젯부(2C)가 접어 넣어져서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되지만, 제4 고정 테이프(37)에 의해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가젯부(2C) 사이를 고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를 부풀린 후에 주머니 본체(3)의 내부에 액체를 충전할 때에, 가젯부(2C)가 접어 넣어져서 형성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 내에 액체가 진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직사각 형상 저면(30)을 제1 고정 테이프(31) 및 제3 고정 테이프(32)로 고정함으로써, 저면(30)은 그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 형상 상면(35)을 제2 고정 테이프(36) 및 제4 고정 테이프(37)로 고정함으로써, 상면(35)은 그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테이프(31), 제2 고정 테이프(36), 제3 고정 테이프(32) 및 제4 고정 테이프(37)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대신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를 콤팩트하게 접어, 육면체의 상자형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렸을 때, 이 액체 수납 용기(1)의 외형을 육면체의 상자형 외장 용기(5)의 내면을 따라 이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릴 수 있다. 또한, 외장 용기(5)로서는 육면체의 상자형 외장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이나 육면체 이외의 다면체의 상자형 외장 용기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와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중첩시켜, 이들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와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를 접는선으로 하여 2단 절첩한다.
그 후, 2단 절첩된 액체 수납 용기(1)는 복수의 세로 방향 절곡선(15)을 따라 주름 상자상으로 접어진다(도 17 및 도 18 참조). 액체 수납 용기(1)는 반드시 주름 상자상으로 접을 필요는 없지만, 액체 수납 용기(1)를 주름 상자상으로 접음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했을 때, 이 외장 용기(5) 내에서 용이하게 펴질 수 있다. 이때, 액체 수납 용기(1)를 그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주 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선으로 접었을 경우, 좌우 양측에 각각 세로 방향 절곡선(15)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는 좌우 대칭의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되는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즉,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주 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 절곡선(15)의 산 접기와 골 접기의 접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에 대칭으로 되도록 접음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했을 때, 이 외장 용기(5) 내에서 보다 한층 용이하게 펴질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절첩은 중심선에서 접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름 상자상의 접음이 아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절곡선(15)을 따라 주름 상자상으로 접어진 액체 수납 용기(1)는, 이 접어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하에 마련된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보형부(17, 18)에 의해 고정되어서 그 형상이 유지된다.
보형부(17, 18)는 모두 액체 수납 용기(1)가 접어진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주 출구(40)로부터 기체가 공급되어서 액체 수납 용기(1)가 부풀 때, 보형부(17, 18)가 파단되어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이탈된다. 이 경우, 주 출구(40)로부터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기체를 공급하면, 액체 수납 용기(1)의 상방 부분이 먼저 부풀어 올라서 상방의 보형부(17)가 파단되어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이탈되고, 다음으로 기체가 액체 수납 용기(1)의 하방 부분으로 보내져서 이 하방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하방의 보형부(18)가 파단되어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이탈된다. 이러한 보형부(17, 18)로서는, 테이프상의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고무상의 띠형 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테이프는 분리 가능한 것, 파단 가능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보형부(17, 18)의 수는 1개여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에 있어서, 상자형의 주머니 본체(3)를 얻을 수 있다.
<주 출구의 구조>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 출구(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 출구(40)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열 융착된 주 출구 설치부(50)와, 해당 주 출구 설치부(50)에 연접되어 주머니 본체(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주 출구 본체(41)를 갖고, 주 출구 본체(41)의 상단에는 주 출구 플랜지(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 출구(40)는 주 출구 설치부(50)에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열 융착되어 있다.
주 출구(40)의 주 출구 설치부(50)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관통 구멍(45)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출구 설치부(50)는, 마름모형의 둔각을 모따기해서 이루어지는 외형상을 갖은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주머니 본체(3)의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양쪽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주 출구 설치부(50)의 치수는, 주머니 본체(3)의 폭 방향을 따라, 주 출구(4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해서 양단에 접근함에 따라서 점차 작아져 간다. 바꾸어 말하면, 주 출구 설치부(50)는, 원기둥상의 외형상을 갖는 중앙부(51)와, 주머니 본체(3)의 폭 방향을 따라서 중앙부(51)의 양측에 위치하는 박육부(52)를 갖고 있다. 이러한 외형상을 갖는 50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두 갈래부(23)에 의해, 근소한 빈틈을 남기고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단순한 원통상에 형성된 주 출구 설치부(50)를 기재부(2A, 2B) 사이에 열 융착하는 경우, 기재부(2A, 2B)와 주 출구 설치부(50)의 단부로 둘러싸인 2개의 영역에 간극이 생겨서 밀봉 불량으로 되기 쉽다. 박육부(52)를 마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여, 기재부(2A, 2B)와 주 출구 설치부(50)의 단부로 둘러싸인 2개의 영역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 출구(40)의 주 출구 본체(41)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의 통형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주연에 주 출구 플랜지(42)가 마련되어 있다. 주 출구 본체(41)의 저부(43)에는, 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와, 후술하는 외장 용기(5) 사이에 통기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시에 내용액을 퍼낼 때에는, 이 개구(44)를 통해서 액체 수납 용기(1)와 외장 용기(5) 사이에 기체를 봉입하여, 액체 수납 용기(1)의 외부에서 압력을 가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내용액의 퍼내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잘록부(41a)는, 저부(43)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 장치(20)의 위치 결정부(24)의 주면(24b)은, 저부(43)의 이면에 맞닿게 된다.
주 출구(40)의 주 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에 형성된 개구부(5a)에 후술하는 유지구(80)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액체 수납 용기(1)가 외장 용기(5) 내에서 지지된다. 또한, 주 출구(40)를 개구부(5a)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유지구(80)는 반드시 마련하지는 않아도 된다.
주 출구(40)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이것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머니 본체(3)의 제1 기재부(2A), 제2 기재부(2B)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제1 기재부(2A), 제2 기재부(2B)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통상은 고온 시에도 강성이 있고, 저온 시에 있어서 취화하기 어려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다.
<유지구의 구조>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주 출구(40)의 주 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유지구(80)를 개재하여 장착된다. 이 유지구(80)는, 개구부(5a)와 주 출구(40) 사이에 개재되어서,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의 형상이 주 출구 플랜지(42)의 외형보다 다소 커져도 개구부(5a)에 주 출구(40)를 확실하게 장착하도록 기능한다.
이 유지구(80)에 대해서, 도 21 및 도 22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지구(80)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81)와, 이 외측 플랜지(81)에 연결 단차부(8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주 출구(40)의 주 출구 플랜지(42)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82)를 갖고, 전체로서 개구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지구(80)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 출구(40)가 장착된다.
<액체 수납 용기의 장착 방법>
액체 수납 용기(1)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외장 용기(5)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대형 용기로 이루어지고, 육면체의 상자형 형상을 가지고, 내용량은, 예를 들어 1000l 정도의 대용량을 가진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 출구(40)가 개구부(5a)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보호 장치(2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보호 장치의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보호구 본체(22)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부 테두리(3a)를 향해서 접근하고, 보호구 본체(22)의 수납 홈(25)에 상부 테두리(3a)가 들어간다. 다음으로 한 쌍의 보호구(21A, 21B)의 두 갈래부(23, 23)가 서로 연결되어, 이 두 갈래부(23, 23)에 의해 주 출구 설치부(50)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보호구(21A, 21B)로 이루어지는 보호 장치(20)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에 삽입하기 전에,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보호 장치(20)를 장착하고, 장착 후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에 삽입해도 된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 출구(40)가 개구부(5a)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주 출구(40)에 유지구(8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후, 주 출구(40)에 유지구(8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 출구(40)에 유지구(80)를 설치한 후,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해도 된다. 또한, 유지구(80)는, 반드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주 출구(40)와 유지구(80)를 갖는 주 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이 경우, 유지구(80)의 외측 플랜지(81)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한다.
<보호 장치(20)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6a에 의해 보호 장치(20)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호 장치(20)는 서로 연결 가능한 한 쌍의 보호구(21A, 21B)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보호 장치(20, 20)를 마련해도 된다.
각 보호 장치(20, 2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가 들어가는 수납 홈(25)을 포함하고, 각 보호 장치(20, 20)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각 보호 장치(20, 20)는 각각 연결구(25A)를 개재하여 주 출구(4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보호 장치(20, 20)는,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각 보호 장치(20, 20)는,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은, 내용물의 충전 시에 큰 하중 부하가 가해지는 부분이지만, 이 부분(90)을 각 보호 장치(20, 20)에 의해 덮음으로써, 이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각 보호 장치(20, 20)는, 연결구(25A)를 개재하여 주 출구(4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에 삽입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액체를 충전한 상태에서 수송에 제공할 때에 있어서도, 수송 시의 진동에 대하여 각 보호 장치(20, 20)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억제되고,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보호 장치(20, 20)는 각각 연결구(25A)를 개재하여 주 출구(40)에 연결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보호 장치(20, 20)는 각각 연결구(25A)를 개재하지 않고 주 출구(40)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주 출구(40)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a에 있어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된 각 보호 장치(20, 20)는 상부 테두리(3a)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부 테두리(3a)의 양단부(3e)까지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보호 장치(20, 20)를 마련해도 된다. 각 보호 장치(20, 20)는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가 들어가는 수납 홈(25)을 포함하고, 각 보호 장치(20, 20)는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 또한 각 보호 장치(20, 20)는, 주 출구(40)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각 보호 장치(20, 20)를 용이하게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할 수 있고, 이 보호 장치(20, 20)에 의해, 주머니 본체(3) 중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 의하면, 각각의 보호 장치(20, 20)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상부 테두리(3a)를 향해서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용기(5)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삽입 후에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를 개재하여 각 보호 장치(20, 20)를 장착하는 것이 간이하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양태의 다른 형태로서, 도 6c 및 도 6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한 쌍의 보호 장치(20, 20)를 점착제 혹은 접착제(95)를 도포한 셀로판이나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성이 있는 수지나 고무 등을 사용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어도 된다. 각 보호 장치(20, 20)는, 점착제 혹은 접착제(95)를 도포한 면을 액체 수납 용기(1)측을 향하여,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를 끼워 넣으면서 제1 기재부(2A)로부터 제2 기재부(2B)로 건너지름으로써,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고 있다. 이 보호 장치(20, 20)에 의해,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형 형상의 외장 용기(5)에 있어서 유지구(80)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지구(80)에 서로 분리되는 2개의 보호 장치(20, 20)를 설치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각 보호 장치(20, 20)는, 연결구(85)를 개재하여, 유지구(80)에 연결되어 있고, 유지구(80)를 주 출구(40)에 장착할 때에, 각 보호 장치(20, 20)를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장착할 수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양태에 의하면, 보호 장치(20, 20)에 의해,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에 삽입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액체를 충전한 상태에서 수송에 제공할 때에 있어서도, 수송 시의 진동에 대하여 각 보호 장치(20, 20)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억제되고,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의 부분(9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보호 장치(20, 20)는 연결구(85)를 개재하여 유지구(80)에 연결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보호 장치(20, 20)는 연결구(85)를 개재하지 않고 유지구(80)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유지구(80)에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가 가젯상의 주머니 본체(3)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가젯부(2C)를 구비하는 일없이,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중첩하여, 상부 테두리(3a), 저부 테두리(3b), 측부 테두리(3c)를 접합한 주머니 본체(3)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상부 테두리(3a)는 접합되어서 상부 테두리 접합부(10a)가 형성되고,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저부 테두리(3b)가 접합되어서 저부 테두리 접합부(10b)가 형성되고,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의 측부 테두리(3c)가 접합되어서 측부 테두리 접합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주 출구(40)가 설치되고, 보호 장치(20)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설치되어 있다. 보호 장치(20)는, 주머니 본체(3) 중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에 인접하는 부분이나 주 출구 설치부(50)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가 접합되는 부분(90)을 덮고 있다.
<보호 장치(20)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실시예>
다음으로 보호 장치(20)의 작용 효과를, 구체적 실시예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로 폭 400mm×높이 200mm×세로 폭 300mm의 주머니 본체(3)와 주 출구(40)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1)를 준비하였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보호 장치(20)도 장착한 2개의 액체 수납 용기(1)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주머니 본체(3) 내에 주 출구(40)로부터 물을 충전하고, 주 출구(40)를 덮개(도시하지 않음)로 밀봉하였다.
그 후, 주머니 본체(3)에 대하여 주 출구(40)를 우측 방향 및 좌측 방향으로 순차 회전시켜, 주머니 본체(3)가 파단하는 곳에서 회전을 정지하는 파단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 내에 모두 17L씩의 물을 충전하였다.
파단 시험의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장치(20)를 장착한 2개의 액체 수납 용기(1)에서는, 500회, 주 출구(40)를 회전시킬 때까지, 주머니 본체(3)는 파단되지 않았다(OK).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어느 액체 수납 용기(1)에도, 주머니 본체(3)에 파단의 기점으로 되는 합성 수지제의 돌기(92)가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주머니 본체(3)의 상부 테두리(3a)에 보호 장치(20)를 장착하지 않은 비교예로서의 3개의 액체 수납 용기(1)를 준비함과 함께, 각 액체 수납 용기(1)에 대하여 파단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 내에, 모두 17L씩의 물을 충전하였다.
파단 시험의 결과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돌기(92)를 가지지 않는 주머니 본체(3)에서는 200회, 주 출구(40)를 회전시킬 때까지 주머니 본체(3)는 파단되지 않았다(OK). 그러나 합성 수지제의 돌기(92)를 갖는 주머니 본체(3)에서는, 100회, 혹은 150회, 주 출구(40)를 회전시킴으로써 주머니 본체(3)가 파단되어 버렸다(NG).

Claims (22)

  1.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어느 테두리에 설치된 주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 출구는,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접합되는 주 출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주 출구 설치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되고,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 중 상기 주 출구 설치부 이외의 영역에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고,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 보호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액체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라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와,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과 대면하는 부분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단부를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는, 액체 수납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과,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를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내포하는 영역을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따른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 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와 주 출구 설치부의 접합부의,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주 출구 본체로부터 이격하는 측으로 되는, 테두리부를 적어도 덮는, 액체 수납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가 들어가는 수납 홈을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서로 연결 가능한 한 쌍의 보호구를 갖고,
    각 보호구는, 모두,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가 들어가는 수납 홈을 포함하는 보호구 본체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보호구는,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의 접합부를 덮는 보호구 본체와, 상기 보호구 본체로부터 2개로 분기하는 두 갈래부를 갖고,
    한쪽의 보호구의 두 갈래부의 선단부와 다른 쪽의 보호구의 두 갈래부의 선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보호구는 상기 주 출구 설치부를 둘러싸는, 액체 수납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각 보호구는, 상기 보호구 본체 및 상기 두 갈래부의 적어도 어느 것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주 출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주 출구에 대하여 당해 보호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갖는, 액체 수납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주 출구에 면 접촉하는 주면과, 상기 주 출구에 접촉하고 상기 주면에 대하여 비평행한 단부면을 갖는 판상부를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1 암부 및 제2 암부에 접속하고 있는, 액체 수납 용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호구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액체 수납 용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에 연결되는, 액체 수납 용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장치는, 상기 주 출구가 설치된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를 덮는 영역이 상기 주머니 본체의 테두리 양단부까지 이르지 않는, 액체 수납 용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와,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주 출구가 장착되는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를 구비한,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머니 본체 내에, 내용액이 수납된,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2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와,
    상기 주 출구 본체에 장착되는 유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장치가 상기 유지구에 연결되어 있는, 액체 수납 용기와 유지구의 조합체.
  22. 제1 기재부 및 제2 기재부를 갖고, 테두리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된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기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주 출구 본체와,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가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기재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에 접합한 주 출구 설치부를 갖는 주 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설치되는 보호 장치이며,
    상기 제1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2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과, 상기 제2 기재부 중의 상기 주 출구 설치부의 양단과 상기 제1 기재부의 경계선에 대면하는 부분을 적어도 덮는, 보호 장치.
KR1020207009492A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KR10264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36916A KR20230153522A (ko)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0480 2017-09-05
JPJP-P-2017-170480 2017-09-05
PCT/JP2018/032932 WO2019049904A1 (ja) 2017-09-05 2018-09-05 液体収納容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916A Division KR20230153522A (ko)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996A true KR20200050996A (ko) 2020-05-12
KR102643322B1 KR102643322B1 (ko) 2024-03-07

Family

ID=656341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492A KR102643322B1 (ko)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KR1020237036916A KR20230153522A (ko)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916A KR20230153522A (ko) 2017-09-05 2018-09-05 액체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6607479B2 (ko)
KR (2) KR102643322B1 (ko)
CN (1) CN111344232B (ko)
WO (1) WO201904990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850U (ja) * 1983-11-10 1985-06-06 日本キム株式会社 収納容器
JP2000043901A (ja) * 1998-07-30 2000-02-15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栓付き詰替え袋の収納ケース
WO2008029745A2 (fr) * 2006-09-04 2008-03-13 Toyo Seikan Kaisha, Ltd. Sachet à bec verseur
JP2014234160A (ja) * 2013-05-30 2014-12-15 クリタック株式会社 クリップ
JP2016068959A (ja) * 2014-09-26 2016-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2017145024A (ja) * 2016-02-16 2017-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流体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9886B (zh) * 2006-06-28 2012-02-29 欧洲凯格公司 用于流体的容器、插入物以及填充容器的方法
JP5008908B2 (ja) * 2006-06-28 2012-08-2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注出口付き包装袋
US8863967B2 (en) * 2009-01-06 2014-10-21 Fujimori Kogyo Co., Ltd. Pouring por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ntainer for liquid provided with the pouring port
JP5433278B2 (ja) * 2009-03-31 2014-03-05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へのレジスト液充填方法
TWI529102B (zh) * 2010-12-27 2016-04-11 Kao Corp Packaging body
CN105283388B (zh) * 2013-08-20 2017-06-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收纳容器及其折叠方法
CN107000919B (zh) * 2014-11-26 2020-06-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外装容器与液体收纳容器的组合体、其制作方法和液体收纳容器
JP2017124848A (ja) * 2016-01-13 2017-07-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液体を充填する方法及び液体を排出させる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1850U (ja) * 1983-11-10 1985-06-06 日本キム株式会社 収納容器
JP2000043901A (ja) * 1998-07-30 2000-02-15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栓付き詰替え袋の収納ケース
WO2008029745A2 (fr) * 2006-09-04 2008-03-13 Toyo Seikan Kaisha, Ltd. Sachet à bec verseur
KR20090047522A (ko) * 2006-09-04 2009-05-12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스파우트가 부착된 파우치
JP2014234160A (ja) * 2013-05-30 2014-12-15 クリタック株式会社 クリップ
JP2016068959A (ja) * 2014-09-26 2016-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2017145024A (ja) * 2016-02-16 2017-08-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流体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4232B (zh) 2022-06-07
JP2023089142A (ja) 2023-06-27
WO2019049904A1 (ja) 2019-03-14
KR20230153522A (ko) 2023-11-06
KR102643322B1 (ko) 2024-03-07
JP2020023367A (ja) 2020-02-13
CN111344232A (zh) 2020-06-26
JP6607479B2 (ja) 2019-11-20
JPWO2019049904A1 (ja)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0246B2 (ja) 製品を包装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34465B1 (ko) 자립포대와 그 제조방법
CN100357163C (zh) 包装容器
EP3153427B1 (en) Packaging bag
US20060278554A1 (en) Multi-purpose air-packing method and system
CN101687585A (zh) 具有薄膜内容器的纸盒包装、用于生产纸盒包装的预制纸盒单元以及生产该种纸盒包装的方法
US8960437B2 (en) Gas storing packing material and packing method
KR20170089852A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그 제작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
KR20200050996A (ko) 액체 수납 용기
CN108367518A (zh) 用于运送眼科镜片包装的包装壳体的方法和系统
ES2218715T3 (es) Pieza de caja desarmada para formar una caja de plastico apilable y procedimiento de formacion de la misma.
ES243901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ción para embalar al menos un artículo en un receptáculo, y pluralidad de tipos de receptáculo para expedir artículos
JP6414733B2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その内容液充填方法、内容液排出方法
KR102466826B1 (ko)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JP2017036067A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保持具
JP6536930B2 (ja) 注射剤収納用容器、注射剤入り容器、注射剤入り容器の使用方法、および、注射剤収納用容器に注射剤を収納する方法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JP2006111310A (ja) 注出口付パウチ容器
US20230084738A1 (en) Temperature-protective package with shape-conforming phase change material (pcm)
KR20180013902A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JP2006143226A (ja) シュリンク包装用容器
KR19980066939A (ko) 캐리어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칩 패키지 포장용 캐리어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