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826B1 -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 Google Patents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826B1
KR102466826B1 KR1020207000693A KR20207000693A KR102466826B1 KR 102466826 B1 KR102466826 B1 KR 102466826B1 KR 1020207000693 A KR1020207000693 A KR 1020207000693A KR 20207000693 A KR20207000693 A KR 20207000693A KR 102466826 B1 KR102466826 B1 KR 10246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storage container
container
gusset
ba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595A (ko
Inventor
도모에 아베
모모코 다카가키
료스케 고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 내에 있어서, 절첩된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면에 맞춰서 부풀린다. 액체 수납 용기(1)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를 갖는 주머니 본체(3)와, 주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에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중심으로 하는 직사각 형상 저면(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에, 상부 에지 접합부(10a)를 중심으로 하는 직사각 형상 상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30) 및 상면(35)은, 제1 고정 테이프(31), 제3 고정 테이프(32), 제2 고정 테이프(36) 및 제4 고정 테이프(37)에 의해 고정되어 그 형상이 유지된다.

Description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액체 수납 용기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유동성 내용물의 보관이나 수송에 제공되는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업 약품 분야,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 분야 등에서, 보관이나 수송에 알루미늄, 플라스틱, 스틸, 스테인리스, 섬유 보드 등으로 만들어진 외장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동성 내용물을 수용하는 액체 수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사용을 마친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로부터 취출하고, 새로운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세트하는 것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액체 수납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곧 플라스틱이나 스틸 등의 외장 용기에 유동성 내용물을 충전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정하는 수고 등을 덜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고, 공업 약품, 의약품이나 화장품 원료의 용기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액체 수납 용기로서, 주머니 본체와, 주머니 본체에 설치된 주출구를 갖는 편평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체 수납 용기는, 먼저 콤팩트하게 절첩되어 외장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다. 그 후 액체 수납 용기는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려져, 외장 용기 내에 액체 수납 용기의 외형이 외장 용기의 내면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액체 수납 용기를 배치하는 외장 용기로서 대용량의 것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용량으로서 1000l 정도의 크기의 외장 용기가 사용되고, 외장 용기는 컨테이너와 같은 상자형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콤팩트하게 절첩되어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 편평상의 액체 수납 용기는, 상자형의 외장 용기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게 된다. 그러나, 상자형 형상을 갖는 외장 용기 내에서 편평상의 액체 수납 용기를 상자형의 외장 용기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확실하게 부풀리는 것은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715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464,232호 공보 미국 특허 제5,102,010호 공보
본 개시의 실시 형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를 용이하고 또한 간단하게 외장 용기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릴 수 있는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 내에, 이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거싯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마련된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는, 저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에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는, 상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에는, 제1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면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는 액체 수납 용기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저면과 상기 저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가 제3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가 제4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와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접음선으로 하여 둘로 접힘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절첩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는, 절첩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보형부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은, 상기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외장 용기 내로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은,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리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은,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려진 액체 수납 용기 내에, 상기 주출구로부터 내용액을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은,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로 내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리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내용액을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관한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는,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거싯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마련된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는, 저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에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는, 상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에는, 제1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면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는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는,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내용액이 충전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거싯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마련된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는, 저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에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는, 상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저면에는, 제1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면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는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이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외장 용기 내에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를 용이하고 또한 간단하게 외장 용기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릴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한 액체 수납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액체 수납 용기를 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액체 수납 용기의 접음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주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주출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a는, 유지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b는, 유지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유지구 내에 주출구를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액체 수납 용기를 외장 용기 내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액체 수납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를 준비하고, 이 중, 먼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중첩한다. 다음으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양측으로부터, 둘로 접힘된 절입부(2C1)를 갖는 한 쌍의 거싯부(2C)를 삽입하고, 접합하여 접합부(10)를 형성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를 얻는다. 그리고 액체 수납 용기(1)는 이 주머니 본체(3)와, 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배치되어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열 융착된 주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는, 각각 별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합체시켜 주머니 본체(3)를 제작해도 되고, 1매의 필름을 접음으로써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주머니 본체를 제작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상부」 「상부 에지」 「저부」 「저부 에지」란, 주출구(40)를 상방을 향하여 액체 수납 용기(1)를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부」 「상부 에지」 「저부」 「저부 에지」를 말한다. 또한 「양측」이란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저부를 연결하는 주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폭 방향 양측을 말한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는 상부 에지(3a)와, 저부 에지(3b)와, 측부 에지(3c)를 갖고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도 1 참조).
또한, 접합부(10)는 주머니 본체(3)가 개구된 상부(3A)를 접합하여 형성된 상부 에지 접합부(10a)와, 주머니 본체(3)가 개구된 저부(3B)를 접합하여 형성된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갖는다. 또한 제1 기재부(2A)와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는 접합되어서, 측연부 접합부(10C)가 형성되고, 제2 기재부(2B)와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도 접합되어서 측연부 접합부(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가 각각 별개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양태로서 설명하기 위해서,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가 개구되어 있지만, 1매의 필름을 접음으로써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갖는 주머니 본체(3)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가 개구되지 않고 접은 개소를 접합하여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형성해도 된다.
이 중 상부 에지 접합부(10a)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10a1)와, 제1 기재부(2A)와 거싯부(2C) 및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a2)를 갖는다.
또한 저부 에지 접합부(10b)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10b1)와, 제1 기재부(2A)와 거싯부(2C) 및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b2)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와,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설치된 주출구(40)에 의해 거싯상으로 구성된 액체 수납 용기(1)가 구성된다. 또한, 주출구(40)는 반드시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제1 기재부(2A)의 표면 또는 제2 기재부(2B)의 표면에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거싯상의 액체 수납 용기(1)는, 이하와 같이 콤팩트하게 절첩되어, 후술하는 대형의 상자형 형상을 갖는 외장 용기(5) 내에 개구부(5a)로부터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12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의 접음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싯상의 액체 수납 용기(1)가 준비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에 직사각 형상 저면(30)이 형성된다.
이 경우, 먼저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를 들어 올려,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 중 제1 기재부(2A)측을 절곡선(2A1)을 통해 내측으로 절곡하고, 마찬가지로 제2 기재부(2B)측을 절곡선(2B1)을 내측으로 절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의 저부(3B)에 직사각 형상의 저면(30)이 형성되고, 이 저면(30)은 상술한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포함한다.
이어서, 직사각 형상 저면(30) 이측에 있어서, 거싯부(2C)가 삼각 형상으로 접어 넣어져,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된다.
도 4에 있어서, 저면(30)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포함하고, 제1 기재부(2A)는 직사각 형상 저면(30) 중, 저부 에지 접합부(10b)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고, 제2 기재부(2B)는 직사각 형상 저면(30) 중 저부 에지 접합부(10b)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의 저면(30)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측에,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접어 넣어진 거싯부(2C)의 에지(2C2)가 나타나 있다(도 4 참조).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30)에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따라, 적어도 저부 에지 접합부(10b) 중, 제1 기재부(2A)와 거싯부(2C) 사이 및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 사이의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b2)끼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고정 테이프(31)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 제1 고정 테이프(31)는 저면(30) 중 저부 에지 접합부(10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b2)를 제1 고정 테이프(31)로 고정함으로써, 직사각 형상 저면(30)의 직사각형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를 제3 고정 테이프(제3 고정 수단)(32)에 의해 고정하고,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30)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면에, 거싯부(2C)가 접어 넣어져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되지만, 제3 고정 테이프(32)에 의해 저면(30)과 이 저면(3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를 고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를 부풀린 후에 주머니 본체(3)의 내부에 액체를 충전할 때에 거싯부(2C)가 접어 넣어져 형성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 내에 액체가 진입하지 않게 되고 있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를 뒤집어, 저면(30)을 하방으로 가져 온다(도 6 참조).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에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이 형성된다.
이 경우, 먼저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를 들어 올려서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 중 제1 기재부(2A)측을 절곡선(2A2)을 통해 내측으로 절곡하고, 마찬가지로 제2 기재부(2B)측을 절곡선(2B2)을 내측으로 절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주머니 본체(3)의 상부(3A)에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이 형성되고, 이 상면(35)은 상술한 상부 에지 접합부(10b)를 포함한다.
이어서, 직사각 형상 상면(35) 이측에 있어서, 거싯부(2C)가 삼각 형상으로 접어 넣어져,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된다.
도 7에 있어서, 상면(35)은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를 포함하고, 제1 기재부(2A)는 직사각 형상 상면(35) 중 상부 에지 접합부(10a)의 지면 상측에 위치하고, 제2 기재부(2B)는 직사각 형상 상면(35) 중 상부 에지 접합부(10a)의 지면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의 상면(35)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 및 제2 기재부(2B)의 이측에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접어 넣어진 거싯부(2C)의 에지(2C2)가 나타나 있다(도 7 참조).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35)에 상부 에지 접합부(10a)를 따라, 적어도 상부 에지 접합부(10a) 중, 제1 기재부(2A)와 거싯부(2C) 사이 및 제2 기재부(2B)와 거싯부(2C) 사이의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a2)끼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 고정 테이프(36)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2 고정 테이프(36)는 상면(35) 중 상부 에지 접합부(10b)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상부 에지 접합부(10a)를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10a2)를 제2 고정 테이프(36)로 고정함으로써, 직사각 형상 상면(35)의 직사각형 형상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를 제4 고정 테이프(제4 고정 수단)(37)에 의해 고정하고,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35)을 구성하는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거싯부(2C)가 접어 넣어져 삼각 형상부(2C3)가 형성되지만, 제4 고정 테이프(37)에 의해 상면(35)과 이 상면(3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2C) 사이를 고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를 부풀린 후에 주머니 본체(3)의 내부에 액체를 충전할 때에 거싯부(2C)가 접어 넣어져 형성된 삼각 형상의 삼각 형상부(2C3) 내에 액체가 진입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렇게 주머니 본체(3)의 직사각 형상 저면(30)을 제1 고정 테이프(31) 및 제3 고정 테이프(32)로 고정함으로써, 저면(30)은 그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 형상 상면(35)을 제2 고정 테이프(36) 및 제4 고정 테이프(37)로 고정함으로써, 상면(35)은 그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테이프(31), 제2 고정 테이프(36), 제3 고정 테이프(32) 및 제4 고정 테이프(37)는, 각각 제1 고정 수단, 제2 고정 수단, 제3 고정 수단 및 제4 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고정 수단, 제2 고정 수단, 제3 고정 수단 및 제4 고정 수단으로서,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를 콤팩트하게 절첩하고, 개구부(5a)로부터 직육면체상의 상자형의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하여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린 때, 이 액체 수납 용기(1)의 외형을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5)의 내면을 따라 이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풀릴 수 있다. 또한, 외장 용기(5)로서는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에 한하지 않고, 입방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를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상부 에지 접합부(10a)와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중첩시키고, 이들 상부 에지 접합부(10a)와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접음선으로 하여 둘로 접힘된다.
그 후, 둘로 접힘된 액체 수납 용기(1)는 복수의 세로 방향 절곡선(15)을 따라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액체 수납 용기(1)는 반드시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할 필요는 없지만, 액체 수납 용기(1)를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때, 이 외장 용기(5) 내에서 용이하게 넓어질 수 있다. 이때, 액체 수납 용기(1)를 그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주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선으로 절첩한 경우, 좌우 양측에 각각 세로 방향 절곡선(15)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는 좌우 대칭의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주출구(40)를 통과하는 직선에 직교하는 폭 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 절곡선(15)의 산접기와 골접기의 접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대칭으로 되도록 절첩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때, 이 외장 용기(5) 내에서 보다 한층 용이하게 넓어질 수 있다.
세로 방향의 절첩은 중심선으로 절첩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로 삽입할 수 있는 형상이면, 주름 상자상의 절첩이 아니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 절곡선(15)을 따라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된 액체 수납 용기(1)는, 이 절첩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에 마련된 복수, 예를 들어 2개의 보형부(17, 18)에 의해 고정되어 그 형상이 유지된다.
보형부(17, 18)는 어느 것이나 모두 액체 수납 용기(1)가 절첩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주출구(40)로부터 기체가 공급되어 액체 수납 용기(1)가 부풀 때, 보형부(17, 18)가 파단하여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벗어난다. 이 경우, 주출구(40)로부터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기체를 공급하면, 액체 수납 용기(1)의 상방 부분이 먼저 부풀어서 상방의 보형부(17)가 파단하여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벗어나고, 다음으로 기체가 액체 수납 용기(1)의 하방 부분으로 보내져서 이 하방 부분이 부풀고, 하방의 보형부(18)가 파단하여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벗어난다. 이러한 보형부(17, 18)로서는, 테이프상의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고무상의 띠상 테이프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점착제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테이프는 떼어내기 가능한 것, 파단 가능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보형부(17, 18)의 수는 1개여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출구(4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머니 본체(3)의 상부 에지(3a)에 열 융착된 주출구 설치부(50)와, 해당 주출구 설치부(50)에 연접되어 주머니 본체(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주출구 본체(41)를 갖고, 주출구 본체(41)의 상단에는 주출구 플랜지(4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출구(40)는 주출구 설치부(50)으로 제1 기재부(2A)와 제2 기재부(2B) 사이에 열 융착되어 있다.
또한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는,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의 통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주연에 주출구 플랜지(42)가 마련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41)의 저부(43)에는, 개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와, 후술하는 외장 용기(5) 사이에 통기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 시에 내용액을 퍼낼 때에는, 이 개구(44)를 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와 외장 용기(5) 사이에 기체를 봉입하여, 액체 수납 용기(1)의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부의 내용액의 퍼내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에 형성된 개구부(5a)에 후술하는 유지구(80)를 통해 장착되고, 액체 수납 용기(1)가 외장 용기(5) 내에서 지지된다. 또한, 주출구(40)를 개구부(5a)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면, 유지구(80)는 반드시 마련하지는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각 구성 부재의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출구(40)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이것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머니 본체(3)의 제1 기재부(2A), 제2 기재부(2B)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와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기 때문에, 제1 기재부(2A), 제2 기재부(2B)의 내면을 구성하는 수지에 의해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통상은 고온 시라도 강성이 있고, 저온 시에 있어서 취화되기 어려운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다.
주머니 본체(3)의 재료로서는 미연신 나일론(두께 20㎛)(20a)/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40㎛)(20b)의 적층체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두께 70㎛)을 또한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머니 본체(3)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주머니 본체(3)의 재료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유지구(80)를 통해 장착된다. 이 유지구(80)는, 개구부(5a)와 주출구(40) 사이에 개재되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의 형상이 주출구 플랜지(42)의 외형보다 다소 커져도 개구부(5a)에 주출구(40)를 확실하게 장착하도록 기능한다.
이 유지구(80)에 대해서, 도 15a 내지 도 18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지구(80)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하는 외측 플랜지(81)와, 이 외측 플랜지(81)에 연결 단차부(83)를 통해 연결되어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에 걸림 결합하는 내측 플랜지(82)를 갖고, 전체로서 개구(80a)를 갖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는 대략 링 형상을 이루는 개구(80a)를 갖는다. 또한 내측 플랜지(82)에는 그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대향하는 한 쌍의 노치(85, 85)가 마련되어 있다(도 15a 및 도 15b 참조).
이렇게 구성된 유지구(80)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가 한 쌍의 노치(85) 사이를 통과시켜서 장착되지만(도 16 참조), 이 경우,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는 링 형상(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유지구(80)의 한 쌍의 노치(85) 사이를 통과한 주출구 플랜지(42)는, 유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걸림 고정한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또한, 유지구(80)로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분할선을 통해 2개 깨짐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된 액체 수납 용기(1), 즉 직사각 형상의 저면(30)과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을 갖고, 상부 에지 접합부(10a) 및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중첩하여, 이들 상부 에지 접합부(10a)와 저부 에지 접합부(10b)를 접음선으로 하여 둘로 접힘되어, 세로 방향 절곡선(15)을 따라 절첩되어 보형부(17, 18)에 의해 고정된 액체 수납 용기(1)가 준비된다(도 12 참조).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는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외장 용기(5)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외장 용기(5)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의 대형 용기로 이루어지고,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형상을 가지고, 내용량은, 예를 들어 1000l 정도의 대용량을 가진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가 개구부(5a) 외측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주출구(40)에 유지구(80)가 장착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기울인다. 도 16에 있어서, 유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는 90° 기울여서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가 유지구(80)의 한 쌍의 노치(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통과한다.
이 경우, 한 쌍의 노치(85) 사이의 길이는, 링 형상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한 쌍의 노치(85) 사이를 연장하는 공간 내를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주출구(40)도 전체로서 유지구(80)의 개구(80a) 내를 통과한다.
주출구(40)가 전체로서 유지구(80)의 개구(80a)를 통과한 후, 유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회동시켜, 유지구(80)에 대하여 주출구(40)를 평행하게 가져 온다.
이 경우, 내측 플랜지(82)의 링 형상의 내경에 대응하는 최소 내경(a1)은, 링 형상의 외경에 대응하는 주출구 플랜지(42)의 최대 외경(b1)보다 작아지고 있기 때문에, 주출구 플랜지(42)를 유지구(80)의 내측 플랜지(82)에 확실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주출구(40)와 유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80A)를 얻을 수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한 후, 주출구(40)에 유지구(80)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출구(40)에 유지구(80)를 설치한 후,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 삽입해도 된다. 또한, 유지구(80)는, 반드시 사용하지는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주출구(40)와 유지구(80)를 갖는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80A)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다. 이 경우, 유지구(80)의 외측 플랜지(81)가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걸림 결합한다(도 20 및 도 21 참조).
그런데 도 19에 도시하는 외장 용기(5)로서는, 직육면체상의 대형 합성 수지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지만, 외장 용기(5)로서, 금속제 캐니스터캔, 합성 수지 드럼캔, 금속제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입방체상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출구(40)에 팽창 지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고, 이 팽창 지그를 사용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에어가 공급되어서,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다음으로 외장 용기(5) 내에서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리는 작용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팽창 지그를 사용하여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주머니 본체(3)가 부푼다. 이 경우, 먼저 주출구(40)로부터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에어 등의 기체가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공급된다. 이때, 기체에 의해, 처음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상방 부분이 부풀어, 상방의 보형부(17)가 파단되어서 액체 수납 용기(1)로부터 벗어난다. 다음으로 기체는 액체 수납 용기(1)의 상방 부분으로부터 하방 부분으로 보내져, 하방의 보형부(18)가 파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절첩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가 서서히 부푼다.
다음으로 주머니 본체(3)의 저면(30)이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유지한 채 낙하하여 외장 용기(5)의 저부에 맞닿는다. 그 후 주머니 본체(3)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30)과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면(35)과 저면(30) 사이에서 부풀어 간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35)과 직사각 형상의 저면(30) 사이에서, 주머니 본체(3) 자체가,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의 내면을 따라 직육면체상으로 팽창하고,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외형이 상자형 외장 용기(5)의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간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수납 용기(1)는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되어 상방 및 하방에 마련된 한 쌍의 보형부(17, 18)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만, 이 보형부(17, 18)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공급된 기체가 즉시 하방 부분으로 보내져서, 상방 부분이 부풀기 어려워짐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가 불균일하게 부푸는 것도 생각된다. 액체 수납 용기(1)가 불균일하게 부풀면 주머니 본체(3) 내에 원하는 양의 액체를 충전할 수 없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체 수납 용기(1)를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한 후, 그 상방 및 하방을 한 쌍의 보형부(17, 18)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공급된 기체를 상방 부분으로부터 하방 부분으로 순차 보냄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순서대로 서서히 또한 전체로서 균일하게 부풀릴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주머니 본체(3) 내에 원하는 양의 액체를 충전할 수 있다.
단, 이 한 쌍의 보형부(17, 18)는 반드시 마련하지는 않아도 된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에 개구부(5a)로부터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부풀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외장 용기(5)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푼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액체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외장 용기(5)와 액체 수납 용기(1)의 조합체가 얻어진다. 그 후, 팽창 지그가 주출구(40)로부터 떼어내어져, 내용액 충전기(도시하지 않음)가 주출구(40)에 장착되어서, 이 내용액 충전기로부터 내용액이 액체 수납 용기(1)로 충전된다.
액체 수납 용기(1) 내로 내용액이 충전된 후, 주출구(40)에 주출구 캡이 장착된다.
이어서, 주출구(40)로부터 유지구(80)가 떼어내어진다. 이 경우, 유지구(80)는 주출구(40)에 장착되는 상술한 수순과 역의 수순에 의해, 주출구(40)로부터 떼어내어진다.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의 내경은, 주출구(40)의 주출구 플랜지(42)의 외경보다 커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구(80)가 주출구(40)로부터 분리되면, 주출구(40)는 개구부(5a)를 거쳐서 외장 용기(5) 내로 낙하한다.
이어서,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개구부 캡(5A)을 장착하고, 외장 용기(5)를 완전히 밀폐한다.
다음으로 개구부(5a)에 개구부 캡(5A)이 장착된 외장 용기(5)는, 반송처까지 반송된다.
다음으로 반송처까지 외장 용기(5)가 반송되면,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로부터 개구부 캡(5A)이 떼어내어진다.
그 후,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 주출구(40)로부터 주출구 캡이 떼어내어진다.
이어서, 외장 용기(5)의 개구부(5a)에 장착된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미리 액체 분배 노즐(60)을 나사 고정 보유 지지한 주출구 상부 부재(70)가 장착된다(도 20 및 도 21 참조).
주출구 상부 부재(70) 내에 삽입된 액체 분배 노즐(60)은 주출구(40)의 관통 구멍(45)을 관통하여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내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액체 수납 용기(1) 내의 내용액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 경우, 액체 분배 노즐(60)이 접속 파이프(63)를 통해 디스펜서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가압 가스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질소 가스가 주출구(40)의 주출구 본체(41) 내에 공급되고, 그 후 질소 가스는, 개구(44)로부터, 외장 용기(5)와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다. 다음으로 주머니 본체(3)가 외측으로부터 질소 가스에 의해 가압되어, 주머니 본체(3) 내의 내용액이 액체 분배 노즐(60) 내에 들어가고, 액체 분배 노즐(60) 내의 내용액은 그 후, 접속 파이프(63)로부터 디스펜서측으로 배출된다. 또는, 주출구(40)에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고, 이 흡인 펌프에 의한 배출을 행해도 된다. 이때, 주머니 본체(3)는 배출과 함께 오므라들어 가지만, 주머니 본체(3)의 외측은 대기압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내압 용기가 아니어도 외장 용기(5)는 변형 등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장 용기(5) 내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삽입한 후,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질소 가스 또는 클린 드라이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 내에서 부풀리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장 용기(5) 내에 액체 수납 용기(1)를 삽입한 후,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즉시 내용액을 내용액 충전기로부터 충전함으로써, 액체 수납 용기(1)를 부풀리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내용액을 충전해도 된다.
이 경우, 외장 용기(5) 내의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내용액을 충전하면, 처음에 내용액은 그 자중에 의해 액체 수납 용기(1)의 하방으로 보내져, 주머니 본체(3)의 직사각 형상 저면(30)을 형성함과 함께 하방 부분으로부터 부풀어 간다. 하방 부분의 팽창에 맞추어, 하방의 보형부(18)가 마련되어 있다고 파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절첩된 액체 수납 용기(1)의 주머니 본체(3)가 하방 부분으로부터 상방 부분으로 서서히 부풂으로써, 주머니 본체(3)의 직사각 형상의 상면(35)도 형성된다.
주머니 본체(3) 내에 소정량의 내용액이 충전된 시점에서, 주머니 본체(3)의 저면(30)이 직사각 형상의 형태를 유지한 채 낙하하여 외장 용기(5)의 저부에 맞닿는다. 그 후 주머니 본체(3)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30)과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면(35)과 저면(30) 사이에서 부풀어 간다.
이 경우, 주머니 본체(3)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35)과 직사각 형상의 저면(30) 사이에서, 주머니 본체(3) 자체가,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의 내면을 따라 직육면체상으로 팽창하고,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에 액체 수납 용기(1)의 외형이 상자형 외장 용기(5)의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간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직육면체상의 상자형 외장 용기(5) 내에 개구부(5a)로부터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1)를 외장 용기(5)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부풀릴 수 있고, 또한 외장 용기(1)의 내면 형상에 맞춰서 부푼 액체 수납 용기(1) 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내용액을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내용액이 주머니 본체(3)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30)과 직사각 형상의 상면(35)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여, 액체 수납 용기(1)를 확실하게 부풀리면서, 액체 수납 용기(1) 내에 내용액을 충전할 수 있다.
1: 액체 수납 용기
2A: 제1 기재부
2B: 제2 기재부
2C: 거싯부
2C1: 절입부
2C2: 에지
2C3: 삼각 형상부
3: 주머니 본체
3A: 상부
3B: 저부
3a: 상부 에지
3b: 저부 에지
3c: 측부 에지
5: 외장 용기
5a: 개구부
10: 접합부
10a: 상부 에지 접합부
10a1: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
10a2: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
10b: 저부 에지 접합부
10b1: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
10b2: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
17: 보형부
18: 보형부
30: 저면
31: 제1 고정 테이프
32: 제3 고정 테이프
35: 상면
36: 제2 고정 테이프
37: 제4 고정 테이프
40: 주출구
41: 주출구 본체
42: 주출구 플랜지
50: 주출구 설치부
60: 액체 분배 노즐
70: 주출구 상부 부재
80: 유지구
80a: 개구
80A: 주출구와 유지구의 조합체
81: 외측 플랜지
82: 내측 플랜지

Claims (12)

  1.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 내에, 이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액체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거싯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마련된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는, 저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에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는, 상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 및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가 접근하여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이 중첩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주머니 본체 중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절첩되고,
    상기 저면에는, 제1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면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는, 액체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과 상기 저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가 제3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싯부가 제4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액체 수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와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접음선으로 하여 둘로 접힘되는, 액체 수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절첩되는, 액체 수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상기 세로 방향 절곡선을 따라서 주름 상자상으로 절첩되는, 액체 수납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절첩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마련된 보형부를 갖는, 액체 수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수납 용기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외장 용기 내에 삽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로 기체를 공급하여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리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려진 액체 수납 용기 내에, 상기 주출구로부터 내용액을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의 상기 주출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내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를 상기 외장 용기 내에서 부풀리면서, 상기 액체 수납 용기 내에 내용액을 충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11. 개구부를 갖는 외장 용기와,
    이 개구부로부터 삽입된 액체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납 용기는, 제1 기재부와, 제2 기재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거싯부를 갖는 주머니 본체와,
    상기 주머니 본체에 마련된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는, 저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저부에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저면이 형성되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는, 상부 에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주머니 본체의 상부에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를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의 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 및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가 접근하여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이 중첩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접히고, 상기 주머니 본체 중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절첩되고,
    상기 저면에는, 제1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상면에는, 제2 고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저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저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저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고,
    상기 상부 에지 접합부는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제2 기재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본체 접합부와, 상기 제1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 및 상기 제2 기재부와 상기 거싯부를 접합하는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를 갖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에지 거싯부 접합부끼리를 고정하는,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12. 삭제
KR1020207000693A 2017-06-14 2018-06-13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KR102466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7032 2017-06-14
JPJP-P-2017-117032 2017-06-14
PCT/JP2018/022555 WO2018230598A1 (ja) 2017-06-14 2018-06-13 液体収納容器、液体収納容器の使用方法および液体収納容器と外装容器の組合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95A KR20200018595A (ko) 2020-02-19
KR102466826B1 true KR102466826B1 (ko) 2022-11-14

Family

ID=6465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693A KR102466826B1 (ko) 2017-06-14 2018-06-13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595128B2 (ko)
KR (1) KR102466826B1 (ko)
CN (1) CN110997518B (ko)
TW (1) TWI770195B (ko)
WO (1) WO2018230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7158B2 (en) * 2019-08-16 2023-09-26 Lincoln Global, Inc. Bulk flux bag hybrid liner ba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911B1 (ko) * 1994-11-18 2003-03-28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JP2003182746A (ja) 2001-12-14 2003-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セット袋
JP2010501418A (ja) * 2006-06-28 2010-01-21 ユーロケフ ビー.ブイ. 流体用の容器、挿入物、及び容器に充填する方法
JP2013060220A (ja) * 2011-09-14 2013-04-04 Tokyo Ohka Kogyo Co Ltd 液体容器への液体充填方法
US20150104120A1 (en) 2011-12-16 2015-04-16 Bischof + Klein Gmbh & Co. Kg Side-gusseted bag made of film
JP2017043403A (ja) 2015-08-28 2017-03-02 凸版印刷株式会社 手掛け付きガゼット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974Y1 (ko) * 1970-08-22 1975-08-26
US5102010A (en) 1988-02-16 1992-04-07 Now Technologies, Inc.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for liquid chemicals
US5335821A (en) 1992-09-11 1994-08-09 Now Technologies, Inc. Liquid chemical container and dispensing system
JP3018674U (ja) * 1995-05-26 1995-11-28 株式会社プラコー 減容容器
GB9524766D0 (en) * 1995-12-04 1996-02-07 Stone Michael G A container
JPH1017021A (ja) * 1996-06-26 1998-01-20 The Box:Kk 組立気密容器の注出口装置
JP2001163343A (ja) * 1999-12-08 2001-06-19 Nippon Matai Co Ltd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1967A (ja) * 2001-12-27 2003-07-09 Fujimori Kogyo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
JP4220996B2 (ja) 2003-06-13 2009-02-04 明英 森 伸縮容器
JP5008908B2 (ja) 2006-06-28 2012-08-2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注出口付き包装袋
KR20120102407A (ko) * 2011-03-08 2012-09-18 이현수 사각 바닥구조의 포장상자 수납형 비닐봉지
KR101903258B1 (ko) * 2013-08-20 2018-10-01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납 용기 및 그 절첩 방법
WO2015068819A1 (ja) * 2013-11-11 2015-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充填バッグ、そのバッグを収容した容器及びそのバッグ形成用多重フィルム
JP2016052904A (ja) * 2014-09-03 2016-04-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EP3323748B1 (en) 2015-07-13 2020-05-06 Toppan Printing Co., Ltd. Packaging container
CN106628606B (zh) * 2017-01-13 2019-03-01 尤赛飞 一种酒桶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911B1 (ko) * 1994-11-18 2003-03-28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JP2003182746A (ja) 2001-12-14 2003-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セット袋
JP2010501418A (ja) * 2006-06-28 2010-01-21 ユーロケフ ビー.ブイ. 流体用の容器、挿入物、及び容器に充填する方法
JP2013060220A (ja) * 2011-09-14 2013-04-04 Tokyo Ohka Kogyo Co Ltd 液体容器への液体充填方法
US20150104120A1 (en) 2011-12-16 2015-04-16 Bischof + Klein Gmbh & Co. Kg Side-gusseted bag made of film
JP2017043403A (ja) 2015-08-28 2017-03-02 凸版印刷株式会社 手掛け付きガゼット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42591A (ja) 2019-08-29
JP6595128B2 (ja) 2019-10-23
TWI770195B (zh) 2022-07-11
TW201919960A (zh) 2019-06-01
CN110997518B (zh) 2022-01-28
CN110997518A (zh) 2020-04-10
WO2018230598A1 (ja) 2018-12-20
JPWO2018230598A1 (ja) 2019-06-27
KR20200018595A (ko) 2020-02-19
JP7192641B2 (ja)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0702B1 (en) Ink bag for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and package suitable for packing such ink bag
KR101571575B1 (ko) 오버팩 용기용 블로우 성형 라이너 및 그의 제조 방법
TWI605982B (zh)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CN103998347A (zh) 与外包装一起使用的折叠内衬及制造该内衬的方法
KR102466826B1 (ko)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CN107000919B (zh) 外装容器与液体收纳容器的组合体、其制作方法和液体收纳容器
JP6414733B2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その内容液充填方法、内容液排出方法
JP6361954B2 (ja)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収納方法
KR102075392B1 (ko) 약액 수납 용기
JP6583720B2 (ja) 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注出口と保持具の組合体およびその組立方法および保持具
JP2016052904A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CN111344232B (zh) 液体收纳容器
KR20180013902A (ko) 외장 용기와 액체 수납 용기의 조합체 및 그의 사용 방법, 주출구와 보유 지지구의 조합체 및 보유 지지구
KR20140013647A (ko) 유체 내포장 용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