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911B1 -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 Google Patents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911B1
KR100366911B1 KR1019950041842A KR19950041842A KR100366911B1 KR 100366911 B1 KR100366911 B1 KR 100366911B1 KR 1019950041842 A KR1019950041842 A KR 1019950041842A KR 19950041842 A KR19950041842 A KR 19950041842A KR 100366911 B1 KR100366911 B1 KR 100366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hite box
box
seal portion
out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458A (ko
Inventor
사사키히토시
오바미쓰루
구게라이조
니와스스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68426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69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Publication of KR96001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rigid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충격성, 내용물의 사용성 및 내용물의 충전시나 외상자로부터의 취출 후에 있어서의 자립성이 우수한 백인박스용의 내지대, 및 팔렛의 국제규격에 맞춘 백인박스용의 내지대를 제공한다. 또,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잔액량이 적은 백인박스를 제공한다. 평면부 및 주름형의 측면부로 형성되는 지대체의 각 코너부에 코너부를 마치 경사로 절취하도록 형성된 폐쇄시일부와, 이 폐쇄시일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3각형상의 핀(fin)부를 가지고, 상기 평면부 및 측면부는 수매 중첩된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와 측면부의 치수를 팔렛의 국제규격에 맞추어 소정 범위내로 한다. 백인박스의 외상자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주출구를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와 함께 충분히 인출하여 퍼넬형으로 할 수 있는 지름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백인박스용 지대체 및 백인박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식품산업, 차(車)산업, 토일레트리(toiletry)산업 등의 각종분야에 있어서 액체제품 (음료, 카오일, 세제 등)을 저장,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백인박스(bag-in-box)용 지대체 및 백인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백인박스용의 내지대로서 내충격성, 내용물의 사용성 및 내용물의 충전시나 외상자로부터의 취출 후에 있어서의 자립성이 우수한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관한 것인 동시에,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도록 빈틈없이 배열할 수 있고, 2단 이상으로 쌓아올려도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가지고, 또한 콤팩트하고 취급이 용이한 백인박스에 사용되는 내지대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내용물을 꺼낼 때의 편리성과 사용성의 개선을 도모한 백인박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근년, 미네랄워터 등의 음료나 공업용 약품 등의 각종의 액체의 수송 ·보관에는 한번 쓰고 버리는 타입의 이른바 원웨이용기인 백인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백인박스는 내장(內裝)으로서 플라스틱필름을 시일가공하여 얻은 평지대나 용융 플라스틱을 블로성형하여 얻은 일체성형품과 같은 플라스틱제의 절첩가능한 지대 또는 용기를 사용하고, 이 내장에 골판지상자 등의 외상자를 외장(外裝)한것이고, 내용액체에 대한 내수성(耐水性), 내약품성, 가스배리어성 등을 내장된 플라스틱제 지대체 또는 용기가 맡게 하는 한편, 수송 ·보관상 필요한 강성(剛性)은 외장이 맡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백인박스는 종래의 유리병이나 양철캔 등에 비하여 회수가 불필요하므로 성력화(省力化) ·경비절감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절첩가능하므로 빈 용기의 수송 ·보관이 용이하고 유통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백인박스용의 내지대로서는,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대본체(1)의 상부에 주출구(12)를 가지는 합성수지제의 평지대(501)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평지대(501)는 내용물인 액체가 충전된 후, 외상자(41)내에 수납되어 봉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지대형의 내지대는 외상자의 내부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나쁘므로, 외상자내에 수납한 경우에 외상자와 내지대의 사이에 쓸데없는 공간(42)이 생기기 쉽고, 내지대의 코너부(4)는 외상자의 내부형상에 추종하므로 절곡되어 버리고, 또 코너부 이외의 부분에도 접힌 곳이나 주름이 생기기 쉽다.
그리고, 외상자와 내지대의 사이에 쓸데없는 공간(42)이 생기면, 내지대는 외상자 내부에서 움직이기 쉬우므로, 백인박스에 낙하 등의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내지대가 파열되기 쉽고, 진동 등의 작은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내지대가 마찰하여 손상되어 파손되기 쉽다.
또, 내지대의 일부, 특히 코너부(4)가 절곡되면, 그 절곡된 부분에 잔액(殘液)이 고이므로 (이른바 "주수(宙水)"), 내용물을 최후까지 모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백인박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내용량이 크므로, 상기 절곡된 부분에 고이는 잔액의 양도 많고, 잔액의 배출성을 어떻게 향상시키는가가 중요하다.
또한, 평지대형의 내지대는 자립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백인박스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이 내지대에 액체를 충전하고, 그 후 외상자내에 수납할 때에, 내지대의 취급이 불편하다.
또, 내지대에 자립성이 없으면, 예를 들면 물기가 많은 젖은 장소에서 골판지상자가 외장된 백인박스를 사용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환경에 따라서 외상자를 분리하여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취급이 불편하다.
한편, 백인박스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좋게 하는 동시에, 보관 ·운반시 등에 큼팩트하게 쌓아올리기 위하여, 백인박스는 입방체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비교적 수요가 많은 20리터 전후의 내용량을 가지는 백인박스는 한 변이 약 300mm의 입방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근년 운반이나 보관을 위하여 각종의 물품을 싣는 팔렛의 치수에 대하여, 국제규격이 1100mm×1100mm (세로×가로)로 정해지고, 앞으로 이 국제규격품이 팔렛의 주류로 되는 동시에, 팔렛을 취급하는 유통부문 등의 각 시설에서도 이 국제규격품에 맞춘 규격이나 사양을 채용하여 갈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한 변이 300mm 전후의 입방체형상을 가지는 백인박스를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배열하는 경우에는, 1단에 대하여 세로 3열×가로 3열의 합계 9개밖에 쌓을 수 없어서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많이 남아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입방체의 백인박스에서는 팔렛상에 위로 쌓아올리게 되므로, 적재시나 운반시의 안정성이 결여된다.
그런데, 백인박스의 배액성(排液性)이나 사용성에 대한 외상자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백인박스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때에는, 예를 들떤 외상자를 양손으로 잡고, 그 저부의 에지를 대(臺)의 위에 받치고, 외상자로부터 돌출한 주출구(스파우트)로부터 유출되는 내용물을 적당한 용기에 옮기는 등의 조작을 행하고 있다.
여기서, 백인박스의 내지대가 평지대의 경우에는, 그 주출구(스파우트)는 통상 외상자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에 접힌 곳이나 주름이 다수 형성되고, 또한 그들이 겹쳐 있다. 주출구 주변의 이 접힌 곳이나 주름은 배액을 곤란하게 하는 원인으로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배액의 맥동을 야기하여, 액체가 넘치는 원인으로 된다. 또, 외상자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하는 주출구는 외상자에 고정되어 있는데다가, 짧고, 호스형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주출구를 손으로 잡고 내용물의 유출방향으로 제어할 수 없어서, 역시 액체가 넘쳐서 주위를 더럽히는 원인으로 된다.
한편, 백인박스의 내지대가 일체성형품의 경우에는, 내지대가 외상자의 내부형상에 가까운 형을 취하고 있으며, 그 주출구는 외상자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는 퍼넬(funnel)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모두 사용했을 때에 있어서 잔액이 주출구에 모이기 쉽다,
또, 주출구가 외상자의 개구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의 자유도가 있어서,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제어하는 것도 조금은 가능하다. 그러나, 일체성형품의 내지대는 투명성이 나쁘므로 모두 사용했을 때의 잔액량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 두껍고 견고하고, 또한 주출구의 길이도 짧으므로, 주출구에 약간의 자유도는 있지만, 평지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출구를 손으로 잡고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1의 목적은 내충격성, 내용물의 사용성 및 내용물의 충전시나 외상자로부터의 취출 후에 있어서의 자립성이 우수한 백인박스용의 내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2의 목적은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생기지 않도록 빈틈없이 배열할 수 있고, 또한 입방체의 백인박스에 비해도 쌓아올릴 때의 안정성이나 강도, 또는 파지나 휴대의 용이성의 점에서 손색이 없는 백인박스에 사용되는 내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제3의 목적은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고, 잔액량의 시인성(視認性)이 양호하고 잔액량이 매우 적은 백인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상자와 이 외상자내에 수용된 내지대를 가지는 백인박스용 내지대로서 사용되는 지대체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을 구성하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 및 전측과 후측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름형으로 안쪽으로 접힌 절곡선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2개의 측면부를 가지는 4방시일의 지대본체와,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에 배설된 경사시일부와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에 형성된 3각형상의 핀(fin)부를 가지고,
상기 지대본체를 구성하는 평면부 및 측면부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된 최소한 2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시일부는 지대본체를 1쌍의 평면부가 중첩되고 또한 중첩된 평면부의 사이에 상기 절곡선을 구비한 2개의 측면부가 개재하토록 접힌 상태하에서 대향하는 지대본체의 내면끼리를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중 어느 하나의 시일부의 임의 위치로부터 측면시일부의 임의 위치까지에 걸쳐서 상부시일부 또는 저부시일부를 경사로 연결하도록 직선 밴드형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각형상의 핀부는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중 어느 하나의 시일부, 측면시일부 및 경사시일부에 에워싸임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로 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발명에는 몇개의 적합한 양태가 있다.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지대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평면부 및 측면부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 또는 입방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상기 경사시일부의 기점으로 될 상부시일부상 및 저부시일부상의 임의 위치는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와 측면부의 절곡선과의 교점으로부터 1cm 이내의 위치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코너부의 대향하는 정점끼리가 접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1쌍의 평면부 및 2개의 측면부의 각각에 최소한 하나씩,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필름편이 접착되어 있거나 또는 밴드형의 기체충전층이 배설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상부측 또는 저부측중 최소한 한쪽에 좌우 1쌍의 수하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하부는 서로 대향하는 전측과 후측의 3각형상의 핀부끼리를 코너부의 정점의 위치에서 접착하는 동시에, 상부시일부상 또는 저부시일부상의 최소한 1개소의 위치에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3각형상의 핀부에 펀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최소한 1층이 금속박(金屬箔)의 층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상부시일부와 경사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5∼55° 로 하고, 저부시일부와 경사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0∼50° 로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260∼34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80∼26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490∼660mm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190∼27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40∼22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330∼600mm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상자와,
외상자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지대로서 수납되는 상기 백인박스용 지대체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대체와,
지대체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상자에 돌출된 주출구와,
외상자의 한면에는, 내지대의 주출구를 개구부를 통하여 외상자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이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mm 이상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로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는 적합하게는 외상자에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150mm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는 적합하게는 상기 개봉보조수단은 개봉할 때 외상자의 한면을 상기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찢어서 개구부와 부채꼴의 단편(斷片)을 형성하고, 개봉 후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부채꼴의 단편이남는 개봉 보조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인박스는 적합하게는 내지대의 용량이 5∼25리터이고, 외상자가 입방체 또는 직방체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는다.
첫째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전후의 평면부와 거셋을 가지는 측면부에 에워싸이고 또한 이 평면부와 이 측면부의 측에지부끼리가 시일된 주(柱)구조를 취하고, 또한 상부측 및 저부측의 각 코너부에, 마치 코너부를 경사로 절취한 듯한 직선 밴드형의 경사시일부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인 액체를 충전하면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입방체 또는 직방체의 형상을 가지는 외상자의 내부형상에 대하여 추종성이 우수하고, 외상자내에 꽉 맞게 들어가고, 외상자와 내지대의 사이의 쓸데없는 공간이 매우 적으므로, 내지대가 외상자내에서 움직이기 어렵고, 충격에 의한 파열이나 마찰에 의한 파손이 일어나기 어렵다.
둘째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에는, 각 코너부에 지대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폐쇄되어 내용물이 들어갈 수 없는 3각형상의 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코너부에 잔액이 고이지 않고, 백인박스의 잔액배출성이 향상된다. 또한, 3각형상의 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의 폐쇄시일부는 충격에 대하여 응력분산의 효과가 있으므로, 지대체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셋째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내용물인 액체를 충전하면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을 취하므로, 자립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백인박스의제조과정(예를 들면 내지대에 액체를 충전하는 공정이나 외상자내에 내지대를 수납하는 공정등)이나 백인박스의 외상자를 분리하여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다.
넷째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의 평면부 및 측면부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된 최소한 2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측의 합성수지제 필름만이 외상자와의 마찰로 마모하고, 내측의 합성수지제 필름은 외측의 합성수지제 필름에 대한 슬립에 의하여 잘 마모되지 않는다. 따라서, 1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형성된 동일 두께의 평면부 및 측면부와 비하여 파손되기 어렵다. 또, 내지대의 평면부 및 측면부가 상기와 같이 수매 중첩된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1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동일 두께의 평면부 및 측면부를 형성한 경우와 비하여 내지대의 유연성이 풍부하므로, 이 내지대를 외상자내에 수납할 때의 취급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백인박스용 지대체를 각 평면부 및 측면부가 정방형이나 장방형으로 되도록 한 경우에는, 지대체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 지대체가 입방체 또는 직방체로 된다. 따라서,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빈틈없이 다수 쌓아올릴 수 있고, 또한 콤팩트하고 강도나 안정성이 우수한 백인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팔렛상에 백인박스를 다수 쌓아올려도, 쌓아올린 산전체로서의 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경사시일부의 기점으로 될 상부시일부상 및 저부시일부상의 임의 위치가 측면부와 상부시일부 또는 하부시일부의 교점으로부터상부시일부 또는 하부시일부상의 위치까지에 이르는 범위에 교점으로부터 1cm이내의 위치에 설정되도록, 백인박스용 지대체를 구성한 경우에는, 지대체(101)가 내용물의 충전 후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코너부의 대향하는 정점끼리를 접착한 경우에는, 상기 3각형상의 핀부가 찌부러지거나 불특정의 방향으로 무질서하게 절곡되거나 하지 않으므로, 백인박스의 제조과정 (예를 들면 내지대에 액체를 충전하는 공정이나 외상자내에 내지대를 수납하는 공정 등)이나 백인박스의 외상자를 분리하여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3각형상의 핀부가 방해로 되지 않는다.
또, 3각형상의 핀부의 개재에 의하여, 외상자의 상면이나 하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부분의 지대벽이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진동 등에 의한 지대의 마모, 파열, 또는 핀홀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각 평면부 및 각 측면부의 각각에 최소한 하나씩,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필름편을 접착하거나 또는 밴드형의 기체충전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내지대의 자립성이 더욱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자립성을 가지고 있으나, 비교적 용량이 크므로 액체충전의 전후를 통하여 지대본체의 몸통부가 느슨해지기 쉬워서, 자립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밴드형의 필름편이 접착되어 있거나 또는 밴드형의 기체충전층이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대본체의 몸통부가 보강되므로 (강성 또는 휨 저항성이 향상되므로), 몸통부의 느슨함이 저감되고, 내지대의 자립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전측과 후측의 3각형상의 핀부끼리를 코너부의 정점의 위치에서 접착하는 동시에, 상부시일부상 또는 저부시일부상의 최소한 1개소의 위치에서 접착함으로써, 지대의 상부측 또는 저부측중의 한쪽 또는 양쪽에 좌우 1쌍의 수하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핀부와 몸통부의 사이의 공간에 손이나 기계핸드를 집어넣어서 지대체를 매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에 있는 3각형상의 핀부의 최소한 하나에 펀치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펀치구멍에 훅 등을 걸음으로써 지대의 자립을 보조하거나, 지대를 매달거나 할 수 있으므로, 백인박스의 제조과정이나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할 때의 취급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필름의 최소한 1층을 금속박의 층으로 한 경우에는, 지대체의 차광성이 매우 높아지고, 또 금속박층의 형상유지작용에 의하여 지대의 자립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5∼55° 로 하고,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에 사이의 협각을 40∼50° 로 한 경우에는, 외상자의 내부형상에 대한 내지대의 추종성과 잔액의 저감효과가 특히 우수하다.
즉,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에 사이의 협각을 40∼50° 로 함으로써, 충전시에 있어서의 지대체의 저부를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매우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바로 코너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따라서 폐쇄시일부를 배설할 수 있으므로, 충전공간을 최대한으로 취하면서 코너부의 잔액저류를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에 대한 응력분산의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다.
한편, 지대체의 상부는 내용물의 자중(自重)으로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주출구가 구비되고, 또 개봉시에 내용물이 넘쳐나오지 않도록 약간의 미충전공간이 남아 있다. 그러므로, 당해 지대체의 상부는 저부정도로는 상면이 평탄화하지 않고 약간 돌출한 형상을 취하고, 상부의 코너부는 저부의 코너부와 비하여 보다 깊은 위치에서 절곡되기 쉽다. 그래서, 상부에 있어서는,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5∼55° 로 하여 폐쇄시일부의 위치를 약간 깊게 함으로써, 상부에 있어서도 코너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따라서 폐쇄시일부를 배설한다. 그 결과, 지대의 상부에 있어서, 충전공간을 최대한으로 취하면서 코너부의 잔액저장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260∼34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80∼26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490∼660mm로 하고, 내용물의 충전시에 직방체로 되도록 한 경우에는, 국제규격의 팔렛과의 상응성이 매우 좋은 20리터 전후의 용량의 백인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치수의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지대체는 20리터 전후의 용량을 가지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평면부의 가로치수 260∼34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80∼260mm, 높이 230∼480mm의 대략 직방체로 된다. 따라서, 이 지대체를 내지대로서 사용하면, 내용량이 20리터 전후로, 실질적으로 상기 치수와 동일치수를 가지는 직방체의 백인박스가 얻어진다. 그리고, 충전시의 지대의 높이의 쪽이 충전 전의 평면부 및 측면부의 세로치수와 비하여 측면부의 가로치수분만큼 짧게 되는 것은, 평면부와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이 지대체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돌아들어감으로써, 충전시 형상의 상면과 저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량 20리터로 직방체형상의 백인박스는 1100mm×1100mm (세로×가로)의 팔렛상에, 1단당 세로 4열×가로 3열의 합계 12개를 꽉 차게 쌓을 수 있다. 또, 백인박스가 상기 치수의 범위내이면, 개개의 백인박스는 폭이 너무 얇아지거나 너무 세장(細長)하게 되지 않으므로,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성이 좋고,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백인박스가 직방체이면, 백인박스를 배열하는 방향을 각 단마다 바꾸어 #자형으로 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쌓아올린 산전체로서도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8의 적합한 양태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190∼27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40∼22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330∼600mm로 하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로 되도록 한 경우에는, 국제규걱의 팔렛과의 상응성이 매우 좋은 10리터 전후의 용량의 백인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치수의 지대체는 10리터 전후의 용량을 가지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평면부의 가로치수 190∼27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40∼220mm, 높이 110∼460mm의 대략 직방체로 된다. 따라서, 이 지대체를 내지대로서 사용하면, 내용량이 10리터 전후로, 실질적으로 상기 치수와 동일 치수를 가지는 직방체의 백인박스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량 10리터이고 직방체형상의 백인박스는 1100mm×1100mm (세로×가로)의 팔렛상에 1단당 세로 5열×가로 4열의 합계 20개를 꽉 차게 쌓을 수 있다. 또, 상기한 양태와 마찬가지로, 개개의 백인박스는 폭이 너무 얇아지거나 너무 세장하게 되지 않으므로,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성이 좋고,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백인박스를 배열하는 방향을 각 단마다 바꾸어 #자형으로 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쌓아올린 산전체로서도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백인박스에 있어서는, 사용시에 개봉보조수단을 사용하여 외상자에 열린 개구부로부터, 주출구와 함께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mm 이상 인출할 수 있으므로, 주출구의 주위가 퍼넬형으로 된다. 그러므로, 주출구에 내용물이 모이기 쉽고, 배액도 원활하다. 따라서, 잔액이 남기 어렵고, 맥동도 적다.
또, 주출구가 외상자로부터 충분히 인출되어 있으므로, 주출구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제어하기 쉽다. 또한, 내지대는 일체성형품은 아니고, 얇은 합성수지제 필름의 시일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며 투명성이 높으므로, 잔액의 시인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백인박스에 배설되는 개봉보조수단은 개구부를 열 때에, 외상자의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외상자를 찢을 수 있고, 또한 부채꼴의 찢어진 단편을 개구부의 주위에 남기는 것이 가능한 개봉보조수단으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부로부터 인출된 주출구 및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가 개구부의 주위에 남은 부채꼴의 파열 단편에 의하여 눌리거나, 또는 지지되므로, 주출구의 위치가 안정된다.
특히,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는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의 길이를 50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mm로 하고, 그리고, 개구부의 지름을 50∼150mm로 설정한 경우에는, 지대본체를 적절한 길이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외상자의 벽면이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찢을 수 있도록 개봉보조수단을 구성한 경우에는, 개봉 후에 부채꼴의 파열 단편이 개구부의 주위에 남는다. 이 경우, 개구부로부터 인출된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가 개구부의 주위에 남은 부채꼴의 파열 단편에 의하여 눌리거나, 또는 지지되므로, 주출구의 위치가 안정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의 일예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 제2도는 제1도의 지대체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101)는 물이나 기름의 수송 ·보관에 사용되는 용량 20리터의 지대체이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용물의 종류 및 용량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내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음료수, 커피, 스프, 와인, 술, 우유, 우유음료 등의 음료, 간장, 소스 등의 조미료, 카오일, 세제, 공업용 약품 등의 화학제품 등이 널리 해당한다. 내용물은 고형물이 들어 있는 액체라도 되고, 분체(粉體) 등의 액체 이외의 유동체라도 된다. 또, 용량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5리터 정도의 가정용에서 20리터 정도의 업무용에까지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의 본 발명의 지대체는 3각형상의 핀(fin)부(11)가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면, 대략 입방체 또는 직방체이다. 그리고, 지대체(101)의 경우에는, 대략 직방체이다.
지대체(101)는 지대의 전측과 후측을 구성하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2),(3) 및 주름형으로 안쪽으로 접히는 절곡선(6)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2개의 측면부(5)를 가지고, 지대본체의 주위에지에 상부시일부(7), 저부시일부(8) 및 측면시일부(9)가 존재하는 4방시일의 지대체이고, 또한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4)에 경사시일부(10)와 3각형상의 핀부(11)를 가지고 있다.
각 평면부 및 각 측면부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이고, 지대체(101)의 경우, 평면부(2),(3) 및 측면부(5)는 모두 장방형이다. 상부시일부(7), 저부시일부(8), 측면시일부(9) 및 폐쇄시일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은 통상 히트시일법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지대본체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을 절곡성형함으로써, 상부시일부(7), 저부시일부(8) 및 측면시일부(9)기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지대체(101)에는, 적절히 종래의 백인박스용 내지대와 같은 주출구(12)를 설치해도 된다.
제3도는 충전된 상태의 본 발명의 지대체(101)의 수평방향절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2),(3) 및 측면부(5)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중첩된 최소한 2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고, 완충격형(緩衝擊型)의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중첩된 최소한 2매의 합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된다"라는 것은 복수의 합성수지필름이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가능한 상태로 중첩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그와 같은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중첩된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지대의 사용개시후에 박리될 정도의 접착강도로 의상(疑似)접착된 적층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의사접착된 필름은 지대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그 취급이 용이 하다.
제3도에 있어서 전측의 평면부(2)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평면부(2)는 외측필름(2-a)과 내측필름(2-b)으로 형성되고, 측면시일부(9) 등의 각 시일부에 있어서 상기 필름(2-a)과 (2-b)이 접착되고, 그 이외의 미접착부분에서는 양 필름의 사이에 공간(16)이 존재한다. 단, 양필름은 측면시일부(9) 등의 각 시일부 이외의 부분(17)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각 필름은, (2-b)와 같이 단층필름이라도 되고, (2 - a)와 같이 복합필름이라도 된다.
각 합성수지제 필름 또는 필름중의 각 층의 재료수지나 두께 등은 내용물의 성질이나 지대에 요구되는 강도 등의 제조건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되는 것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외측필름(2-a) 또는 외측필름의 외측층(2-a1)에 관하여는, 외부환경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강도나 내마모성 등의 성능을 중시하여 결정된다.
한편, 내측필름(2-b) 또는 내측필름의 내측층((2-b)중에는 존재하지 않음)에관하여는, 내부환경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내수성(耐水性), 내약품성, 가스배리어성 또는 시일성 등의 성능을 중시하여 결정된다. 제3도에 나타낸 지대체의 경우, 내측필름(2-b)에는 전술한 내측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 외측필름(2-a)과 내측필름(2-b)과의 사이 또는 외측필름의 내측층(2-a3)과 내측필름의 외측층((2-b)중에는 존재하지 않음)과의 사이의 관계에서는, 되도록 양자간의 슬립이 좋아지는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에 나타낸 지대체의 경우, 내측필름(2-b)에는 전술한 외측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지대체(101)의 평면부(2),(3) 및 측면부(5)에 있어서는 외측필름(2-a)은 복합필름이고, 그 층구성 [외측층(2-a1)/중간층(2-a2)/내측층(2-a3)]은 l5㎛의 연신(延伸) 나일론(ON)/20㎛의 폴리에틸렌(PE)/60㎛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다. 한편, 내측필름(2-b)은 단층필름이고, 60㎛의 LLDPE필름이다.
기타의 구체예로서는,
(1) 외측필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15㎛의 폴리염화비닐리덴코트 ON층(K코트 ON)/20㎛의 PE/60㎛의 LLDPE]과 내측필름 [60㎛의 LLDPE],
(2) 외측필름 [12㎛의 금속층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VMPET)/15㎛의 ON/20㎛의 PE/60㎛의 LLDPE]과 내측필름 [60㎛의 LLDPE],
(3) 외측필름 [15㎛의 ON/20㎛의 PE/60㎛의 LLDPE · ON · LLDPE 공압출필름]과 내측필름 [60㎛의 LLDPE · ON · LLDPE 공압출필름], 또는
(4) 외측필름 [15㎛의 ON/20㎛의 PE/60㎛의 LLDPE · 에틸렌 비닐알콜 공중합체(EVOH) · LLDPE 공압출필름]과 내측필름 [60㎛의 LLDPE · EVAL · LLDPE 공압출필름],
(5) 외측필름 [12㎛의 실리카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15㎛의 ON/20㎛의 PE/60㎛의 LLDPE]과 내측필름 [60㎛의 LLDPE],
(6) 외측필름 [12㎛의 알루미나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15㎛의 ON/20㎛의 PE/60㎛의 LLDFE]과 내측필름 [60㎛의 LLDPE]
등의 조합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 ON은 강도향상에 유효하고, K코트 ON, VMPET, EVOH는 배리어성 향상에 유효하다. 또, (3)은, 특히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경우에 적합하다.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최소한 1층은 알루미늄박과 같은 금속박(金屬箔)의 층이라도 된다. 금속박층은 지대체의 차광성을 매우 높은 것으로 하고, 또 지대체의 형상유지성을 높여서 자립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따라서, 외상자의 차광성이 그다지 좋지 않을 경우나 내지대를 외상자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경우 등에 효과적이다.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4)에는, 충전시의 지대체(101)가 되도록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동시에, 각 코너부(4)에 3각형상의 핀부(11)를 형성하기 위하여 폐쇄시일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폐쇄시일부(10)는 지대본체를 1쌍의 평면부(2),(3)가 겹치고 또한 겹쳐진 양 평면부의 사이에 절곡선(6)을 구비한 2개의 측면부(5)가 개재하도록 접은 상태하에, 즉 제1도에 나타낸 상태하에, 대향하는 지대본체의 내면끼리를 상부시일부및 저부시일부 중의 어느 하나의 시일부의 임의 위치 P로부터 측면시일부의 임의 위치 Q까지에 걸쳐서 직선 밴드형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시의 지대체(101)가 되도록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관점으로부터, 임의 위치 P는 되도록 상부시일부(7) 및 저부시일부(8)와 절곡선(6)과의 교점에 가까운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임의 위치 P는 통상 상부시일부(7) 및 저부시일부(8)와 절곡선(6)과의 교점으로부터 ±1cm의 범위내, 적합하게는 이 교점상에 설정된다.
또한, 역시 상기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각 코너부(4)에 존재하는 각 폐쇄시일부(10)는 지대본체의 우측과 좌측, 전측과 후측 및 상부측과 저부측의 각각의 위치관계에 있는 폐쇄시일부끼리가 되도록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시의 지대체(101)가 되도록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관점으로부터, 폐쇄시일부(10)는 3각형상의 핀부(11)가 되도록 직각 2등변삼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중의 어느 하나의 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m (m1, m2) 및 측면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n (n1, n2)은 통상 30∼60° , 적합하게는 40∼50° , 특히 적합하게는 m = n= 45° 로 한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지대체(101)의 저부측에 있어서는, m2 = n2 = 45° 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대의 상부측의 폐쇄시일부는 저부측의 폐쇄시일부보다 약간 깊은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m1의 하한치를 45° 이상, 바람직하게는 4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이상으로 하고, 상한치를 55° 이하, 바람직하게는 5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2° 이하로 한다.
지대의 상부측은 내용물의 자중(自重)으로 아래쪽으로 인장되어, 주출구가 구비되고, 또 개봉시에 내용물이 넘쳐나오지 않도록 약간의 미충전공간이 남아 있으므로, 저부정도로는 상면이 평탄화하지 않고 약간 돌출한 형상을 취하고, 그 결과 정상부의 코너부는 저부의 코너부와 비하여 보다 깊은 위치에서 절곡되기 쉽다.
그래서, 상부측의 폐쇄시일부의 각도를 상기와 같이 조정하고, 상부측에 있어서도 코너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따라서 폐쇄시일부를 형성함으로써, 충전공간을 최대한으로 취하면서 코너부의 잔액저류를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지대체(101)의 상부측에 있어서는, m1=50° , n1=40° 를 채용하고 있다.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4)에는, 상부시일부(7) 및 저부시일부(8)중의 어느 하나의 시일부, 측면시일부(9) 및 폐쇄시일부(10)에 에워싸임으로써, 폐쇄시일부(10)와 일체적으로 3각형상의 핀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3각형상의 핀부(11)의 내부공간은 폐쇄시일부(10)에 의하여 지대본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폐쇄되어 있으므로, 지대내에 충전된 내용물은 그 속에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지대체(101)를 외상자내에 수납할 때에, 3각형상의 핀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각 코너부(4)가 절곡되어도, 코너부에 잔액은 고이지 않고, 백인박스의 잔액(殘液)배출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3각형상의 핀부(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의 폐쇄시일부(20)는 충격에 대하여 응력분산의 효과가 있으므로, 지대체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3각형상의 핀부(11)에 있어서 대향하는 지대본체의 내면끼리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폐쇄시일부(10)의 접착부분과 연속적으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핀부(11)의 내부공간이 없는 상태로 된다. 또, 핀부(11)의 내면끼리는 전면적으로는 아니고 부분적 내지 단속적(斷續的)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3각형상의 핀부(11)는 본래적으로는 본 발명의 지대체의 불요부분이고, 이 부분이 찌부러지거나 불특정의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하여, 이 지대체의 취급을 번잡하게 한다. 예를 들면 백인박스의 제조과정 (예를 들면 내지대에 액체를 충전하는 공정이나 외상자내에 내지대를 수납하는 공정 등)이나 백인박스의 외상자를 분리하여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3각형상의 핀부(11)는 방해로 된다.
이와 같은 취급상의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합하게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코너부의 대향하는 정점 R끼리를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3각형상의 핀부(11)가 방해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고, 3각형상의 핀부(11)의 개재에 의하여 외상자의 상면이나 하면에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부분의 지대벽이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진동 등에 의한 지대의 마모, 파열, 또는 핀홀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정점 R끼리를 접착할 때에 있어서는, 정점 R 부근을 또한 접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대향하는 상부시일부(7)끼리 또는저부시일부(8)끼리를 정점 R의 접착부분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접착해도 된다. 그리고, 코너부의 정점끼리를 접착할 경우에는 지대본체의 각 시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대향하는 상부시일부(7)끼리 또는 저부시일부(8)끼리를 정점 R의 접착부분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접착함으로써, 지대체의 상부측 또는 저부측으로 좌우 1쌍의 수하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수하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핀부와 몸통부의 사이의 공간에 손이나 기계핸드를 집어넣어서 지대체를 매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지대체의 이동이나 내용물의 배출에 있어서 편리하다. 특히, 지대체의 제조과정에 있어서는, 기계핸드에 의하여 충전후의 무거운 지대체를 들어올리고, 그것을 외상자에 넣을 수 있으므로, 인원의 삭감에 의한 성력화(省力化)나, 무균충전시스템의 도입에 의한 환경위생의 향상에 유리하게 된다.
상기 수하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정점 R의 위치의 접착부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접착부는 밴드형의 시일부라도 되고, 원형, 타원형, 4각형 등의 포인트시일부(스폿시일부)라도 된다.
핀부(11)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펀치구멍(14)을 뚫어도 된다. 이 펀치구멍(14)에 훅을 걸음으로써, 백인박스용 지대체의 자립을 보조하거나, 매달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시에 있어서 충전이나 외상자에의 수납 등의 각종 작업을 할 경우나, 사용시에 있어서 외상자로부터 내지대를 꺼내어 내지대만의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 편리하다. 통상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대체의 상부측에 전후 2매의 핀부를 관통하는 좌우 1쌍의 펀치구멍(14)을 형성한다. 단,펀치구멍(14)의 수와 위치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지대체의 저부측에 좌우 1쌍의 펀치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에 있어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평면부(2),(3) 및 2개의 측면부(5)의 각각에 최소한 하나씩,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필름편(31)을 접착하거나 (제5도), 또는 밴드형의 기체충전층(32)을 배설(제6도)함으로써, 거셋지대의 몸통부를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거셋지대의 몸통부가 느슨해지지 않게 되고, 지대의 자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밴드형의 기체충전층(32)을 배설할 경우에는, 내지대의 보온성, 단열성 및 쿠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밴드형의 필름편(31)으로서는, 통상 폭 5cm 정도의 보강부가 있는 합성수지제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을 히트시일 등의 임의의 접착방법으로 지대본체의 몸통부에 접착한다. 보강부가 있는 합성수지제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두께 60㎛ 이상, 적합하게는 60∼100㎛의 폴리에틸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점착성을 가지는 종이라벨이나 플라스틱라벨 등을 부착해도 된다.
밴드형의 필름편(31)은 수매 중첩된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외측필름(2-a)상에 접착해도 되고, 내측필름(2-b)상에 접착해도 된다. 또, 수매 중첩된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1매에 필름편(31)의 역할을 겸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평면부(2),(3) 및 측면부(5)에 있어서 중첩되는 외측필름(2-a)과 내측필름(2-b)을 국부적으로 또한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밴드형으로 접착하면 필름편(31)을 별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기체충전층(32)부가의 평면부(2)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제7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밴드형의 기체충전층(32)은 평면부(2)의 외측표면에, 기체충전층(32)의 내면으로 될 미접착부분(33)을 남기도록, 기체불투과성 필름(34)을 접착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수매 겹쳐서 평면부(2)를 형성하는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1매가 복합필름일 경우에는, 이 복합필름중의 1층이 기체불투과성 필름(34)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외측필름의 외측층(2-a1)은 기체불투과성 필름(34)을 겸할 수 있다. 기체불투과성 필름(34)의 접착방법으로서는, 히트시일 등의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체충전층 1개분씩으로 분할된 기체불투과성 필름(34)을 수열 배열하여 접착해도 된다.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밴드형의 기체충전층(32)은 통상 폭 5cm 정도이고, 기체를 충전하기 쉽도록 기체송입구(35)가 배설되어 있다. 또, 기체송입구(35)를 모든 기체충전층(32)에 각각 배설하는 대신에, 기체송입구(35)를 가진 기체충전층과 갖지 않은 기체충전층을 기체송입로(36)로 연락하면 편리하다.
기체충전층(32)의 내부에 충전되는 기체로서는, 되도록 반응성이 낮은 것이 적합하고, 예를 들면 공기, 불활성가스, N2가스, CO2가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또, 기체의 충전용량은 무충전시의 거셋지대와 비하여 몸통부를 보강할 양이면 되지만, 충분히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최대충전용량의 5v/v% 이상, 적합하게는 7v/v%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대체의 치수는, 팔렛의 국제규격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지대체의 용량을 20리터전후 (대체로 15∼25리터)로 할 경우에는,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260∼34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80∼26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490∼66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280∼32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200∼24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490∼660mm로 한다.
상기 치수를 가지는 지대체는 팽창하면 평면부와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이 지대체의 상면측과 하면측으로 돌아들어가므로, 충전시의 지대의 높이의 쪽이 충전 전의 평면부 및 측면부의 세로치수와 비하여 측면부의 가로치수분만큼 짧아진다. 그러므로, 상기 치수를 가지는 지대체는 충전시에는 평면부의 가로치수 260∼34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80∼260mm, 높이 230∼480mm의 대략 직방체로 된다. 따라서, 이 지대체를 내지대로서 사용하면, 상기의 팽창시치수보다 약간 큰 외치수를 가지는 직방체의 백인박스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특정 범위내의 치수를 가지는 20리터 전후의 백인박스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00mm×1100mm(세로×가로)의 팔렛(61)상에, 1단당 세로 4열×가로 3열의 합계 12개를 꽉 차게 쌓을 수 있다. 또, 백인박스가 상기 치수의 범위내이면, 개개의 백인박스는 폭이 너무 얇아지거나 너무 세장(細長)하게 되거나 하지 않고 콤팩트하므로, 파지가 용이하고 사용성이 좋고,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치수의 백인박스는 직방체이고, 백인박스를 배열하는 방향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단마다 바꾸어 #자형으로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쌓아올린 산전체로서도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치수의 범위내에서 지대의 용량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만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30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22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575mm로 할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20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30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220mm, 높이 334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320mm×240mm×39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치수중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491mm로 변경하고, 다른 치수는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 15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30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220mm, 높이 250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320mm×240mm×30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수중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658mm로 변경하고 다른 치수는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 25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30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220mm, 높이 417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320mm×240mm×47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대체의 용량을 10리터 전후 (대체로 5∼15리터)로 할 경우에도, 팔렛의 국제규격을 고려하여 지대의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대체의 용량을 10리터 전후로 할 경우에는,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190∼27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40∼22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330∼60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210∼25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60∼20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330∼600mm로 한다.
상기 치수를 가지는 지대체는 내용물을 충전하였을 때에는 평면부의 가로치수 190∼27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40∼220mm, 높이 110∼460mm의 대략 직방체로 되므로, 이 지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팽창시 치수보다 약간 큰 외치수를 가지는 직방체의 백인박스가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특정 범위내의 치수를 가지는 10리터 전후의 백인박스는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1단당 세로 5열×가로 4열의 합계 20개를 꽉 차게 쌓을 수 있다. 또, 콤팩트하고, 파지가 용이하고 사용성도 좋다.
또한, 백인박스는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백인박스를 배열하는 방향을 각 단마다 바꾸어 #자형으로 쌓아올릴 수 있으므로, 쌓아올린 산전체로서도 충분한 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용량이 10리터 전후의 경우에도,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만을 변경함으로써 그 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를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를 18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464mm로 할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 10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80mm, 높이 266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250mm×200mm×32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치수중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331mm로 변경하고, 다른 치수는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 5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80mm, 높이 133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250mm×200mm×19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수중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를 597mm로 변경하고, 다른 치수는 변경하지 않을 경우에는, 팽창시에 용량 15리터, 평면부의 가로치수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 180mm, 높이 399mm로 되는 지대체가 얻어지고, 이것을 외치수 250mm×200mm×450mm의 외상자에 수납하여 백인박스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백인박스용 지대체를 봉입하는 외상자로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있는 백인박스용의 외상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백인박스용의 외상자로서 대표적인 것은 골판지상자이지만, 이것을 사용하면 종이분(粉)이 나와 내지대의 외면에 부착하거나 백인박스의 주위에 비산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 등의 종이분이 나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테이너를 사용해도 된다.
플라스틱제의 콘테이너와 같은 내구성이 좋은 외상자는 폐기하지 않고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사용형의 외상자는 절첩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내지대를 외상자로부터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비교적 많은 소용량(10리터 이하)의 내지대를 봉입하는데 적합하다. 절첩식 콘테이너는 차광성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경우가 있으나, 그 경우에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의 층을 최소한 1층 가지는 합성수지제 필름을 사용한 지대체를 내지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상자의 벽면에는, 내지대의 주출구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필요하다.그러므로, 통상은 외상자의 벽면에 미싱침구멍 등의 개봉보조수단이 배설되어 있고, 개구부는 이 개봉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사용개시시에 열 수 있다.
개봉보조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 개구부는 주출구를 돌출시킬 때에,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에, 그와 같은 개봉보조수단을 구비한 외상자와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백인박스(202)를 나타낸다. 제9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인박스의 외상자(41)에는, 그 한면에 주출구를 열기 위한 개봉보조수단(43)이 배설되어 있다. 이 개봉보조수단으로서는, 제9(A)에 도시한 미싱침구멍 외에, 예를 들면 테어테이프(tear tap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외상자(41)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가 수납되어 있고, 그 주출구는 개구부로 될 개봉보조수단(4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주출구는 개봉 후에 개구부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있으므로, 외상자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외상자의 재질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골판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9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백인박스(202)를 개봉하면 개구부(44)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의 형상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4각형, 6각형, 8각형 등의 형상을 예시할 수 있다. 개구부(44)의 지름 d은 캡(13)이 부가된 주출구(12)와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1)를 충분히 인출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로부터 주출구와 주출구 주위의 지대본체를 충분히 인출하면, 주출구의 주위는 퍼넬(funnel)형으로 되고, 주출구의 주위의 접힌 곳이나 주름도 적어진다. 따라서 잔액이 주출구에 모이기 쉽고, 배액(排液)도 원활하고 맥동이 적다. 또, 주출구를 마치 호스의 선단과 같이 취급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출구 부근의 잔액량도 확인하기 쉽다.
개구부로부터 인출하는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의 길이 e는 5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길이 e를 일정 이상으로 길게 해도, 그만큼 편리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도리어 주출구가 방해로 되거나, 개구부의 지름 d을 매우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그러므로, 개구부로부터 인출된 지대본체의 길이 e는 15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1)를 5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150mm 인출할 수 있는 지름 d의 구체적인 크기는 적절히 결정되어야 할 것이지만, 통상 지름 d을 50∼150mm의 범위로 설정하면 지대본체를 바로 적당한 길이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름"이라는 것은 원형이면 직경을 말하고, 그 이외의 형상이면 단경을 말한다.
제10도(A)-(B)에 나타낸 개봉보조수단(43)에 의하면, 외상자(41)의 벽면을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찢을 수 있고, 개봉 후에는 개구부(44)의 주위에 부채꼴의 단편(斷片)(45)이 남는다.
이 경우에는, 개구부로부터 인출된 지대본체(1)가 부채꼴의 단편(45)에 의하여 눌리거나, 또는 지지되므로, 주출구(12)의 위치가 안정된다.
제11도(A)~(C)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개봉보조수단(43)을 구비한 외상자(41)와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로 이루어지는 백인박스(204)의 일예를 나타낸다. 제11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상자(41)의 정상부에는 내측플랩(46),(46)과 외측플랩(47),(47)이 1쌍씩 있다. 내측플랩(46),(46)은 외상자(41)안에 수납된 내지대의 주출구(12)와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1)를 인출할 때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대략 원호형으로 절결되어 있고, 양 내측플랩(46),(46)을 닫았을 때에 대략 반원형의 절결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한쪽의 외측플랩(47)에는, 주출구(12)가 맞닿는 위치에 개봉보조수단(43)이 배설되어 있다. 이 내측플랩(46),(46)과 외측플랩(47),(47)을 순차 닫고, 이어서 주출구를 외상자에 고정하지 않고 외상자를 봉입하면, 제11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백인박스(204)가 완성된다. 그리고, 백인박스(204)의 개봉보조부(43)를 이용하면 소정의 크기의 개구부(44)를 열 수 있고, 제11도(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구(12)와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1)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외상자에는, 내지대로서 평지대와 같은 합성수지제 필름의 시일가공에 의하여 제조된 4방 시일의 지대체를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백인박스의 경우에도, 개구부로부터 주출구와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인출함으로써, 잔액의 저감화, 유출시의 맥동의 방지, 유출방향의 제어, 잔액량의 시인성(視認性)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4방 시일의 지대체의 주위에 형성되는시일부의 일부를 합성수지제 필름을 절곡가공함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다음에, 실험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제1도의 형상을 가지는 4방 시일의 지대체를 준비하였다. 이 지대는 용량이 20리터이고, [ 15㎛의 연신나일론(ON)/20㎛의 폴리에틸렌(PE)/60㎛의 선형 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필름과, 60㎛의 LLDPE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진다.
치수는 시일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300mm,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22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575mm이고, 접힌 거셋의 폭은 110mm이다.
상부측의 핀부는 상부에 따른 변이 110mm, 측면부에 따른 변이 131mm이고,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 협각은 50° 이다. 저부측의 핀부는 저부에 따른 변 및 측면부에 따른 변은 모두 110mm이고,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 협각은 45°이다.
이 지대체를 전용의 BIB(백인박스)용 외상자에 수납하고, 물을 채운 후, 스파우트부로부터 배수하였다. 배수의 초기에는 상자의 양단을 손으로 잡고, 스파우트부측의 상자의 바닥의 에지를 물을 받는 용기의 에지에 맞대어서 상자를 지지하면서 배수하고, 안의 물이 적어짐에 따라서 상자를 기울이면서 배수하였다. 그 후, 손으로 상자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스파우트부를 바로 아래로 한 상태로 하여 물이 완전히 없어지는 것을 기다렸다. 물이 없어지기 직전에는, 상자를 전후좌우로가볍게 흔드는 조작을 하여 물이 나오기 쉽게 하였다. 배수종료 후, 상자의 덮개를 열어 지대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외관적으로 잔액이 고인 지대의 절곡부분은 볼 수 없었다. 빈 지대를 꺼내어 거꾸로 하여, 비커에 잔액을 받은 후, 메스실린더로 계량하였다.
상기 조작을 5회 반복한 바, 잔액은 실질적으로 제로 내지 10ml로 매우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이 지대체는 잔액이 고이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측정된 잔액은 지대의 내측에 부착된 물이 모여 형성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실험예 2
제1도의 형상을 가지는 용량 10리터 및 5리터의 지대체에 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시험을 행한 바,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여기서 사용한 용량 10리터의 지대체는 실험예 1과 동일한 2매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진다.
치수는 시일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8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464mm이고, 접힌 거셋의 폭은 90mm이다.
상부측의 핀부는 상부에 따른 변이 90mm, 측면부에 따른 변이 108mm이고,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 협각은 50° 이다. 저부측의 핀부는 저부에 따른 변 및 측면부에 따른 변은 모두 90mm이고,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협각은 45° 이다.
또, 용량 5리터의 지대체는 역시 실험예 1과 동일한 2매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진다.
치수는 시일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230mm,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80mm, 평면부와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331mm이고, 접힌 거셋의 폭은 90mm이다.
상부측의 핀부는 상부에 따른 변이 90mm, 측면부에 따른 변이 108mm이고,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 협각은 50° 이다. 저부측의 핀부는 저부에 따른 변 및 측면부에 따른 변은 모두 90mm이고,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에 에워싸인 협각은 45° 이다.
비교예 1
시판의 용량 20리터의 평파우치지대를 전용의 BIB(백인박스)용 외상자에 수납하고, 물을 채운 후,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배수종료부근으로 되어도 액배출이 나쁘고, 물의 유출이 계속되었다. 액이 배출된 후, 상자의 두껑을 열고 외관관찰하였다.
그 결과, 지대의 상면의 양코너와 저면의 양코너는 3각형상으로 불균일하게 절곡되고, 그곳에 물이 고여 있었다.
동일한 조작을 5회 반복하여 잔액을 계량한 바, 잔액량은 100 내지 200ml로 상당히 많았다. 잔액량의 불균일이 큰 것은 지대의 상면의 양 코너와 저면의 양 코너에 형성되는 3각형상으로 절곡된 부분의 형상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그곳에 고이는 잔액량이 크게 변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주(柱)구조의 지대체의 각 코너부에 마치 이 코너부를 경사로 절취하도록 폐쇄시일부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직방체 또는 입방체의 형상을 취하고, 또한 수매 중첩된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상자내에 수납한 상태하에 있어서 외상자와의 사이에 쓸데없는 공간이 매우 적고, 외상자내에서 잘 움직이지 않으며, 다중구조인 것과도 아울러, 수송 · 보관시 등에 있어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지대가 잘 파열되거나 파손되지 않는다. 폐쇄시일부는 응력분산에 의해서도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또,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충전된 내용물이 각 코너부에 들어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상자내에 수납할 때에 각 코너부가 절곡되었다고 해도 코너부에 잔액은 고이지 않고, 잔액배출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지대체에 있어서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5∼55° 로 하고,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을 40∼50° 로 하는 경우에는, 상부와 저부의 어느 쪽에도 코너부가 절곡되는 위치에 따라서 폐쇄시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지대내의 충전공간을 최대한으로 취하면서 코너부의 절곡에 의하여 생기는 잔액저류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각 코너부를 지대체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형성된 3각형상의 핀부는 본래적으로는 불요의 부분이지만, 이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코너부의 대향하는 정점끼리를 접착한 경우에는, 3각형상의 핀부가 방해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고, 지대벽의 마찰, 파열, 핀홀이 방지된다.
또, 3각형상의 핀부를 수하부로서 황용하거나, 3각형상의 핀부에 훅을 걸기 위한 펀치구멍을 뚫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는 내용물인 액체를 충전하면 입방체 또는 직방체에 가까운 형상을 취하므로, 자립성이 우수하고, 그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지대본체의 몸통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필름편을 접착하거나 또는 밴드형의 기체충전층을 배설하는 경우에는, 지대의 몸통부가 보강되므로, 더욱 자립성이 향상되고,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대체를 내용물의 충전시에 직방체로 되도록 하고, 그 치수를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260∼34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80∼26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490∼660mm로 되도록 하거나, 또는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190∼27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40∼22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330∼600mm로 되도록 한 경우에는, 국제규격의 팔렛상에 빈틈없이 다수 쌓아올릴 수 있고, 또한 콤팩트하고 강도나 안정성이 우수하고, 쌓아올린 산의 안정성과 강도도 우수한 백인박스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백인박스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 또는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4방 시일의 지대체를 내지대로 하는 백인박스의 외상자에,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mm 이상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잔액의 저감화, 유출시의 맥동의 방지, 유출방향의 제어, 잔액량의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개구부의 주위에 부채꼴의 파열단편을 남기는 경우에는, 주출구의 위치가 안정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의 일예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지대체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충전된 상태의 제1도의 지대체의 수평방향절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의 다른 일예에 내용물을 충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기체충전층부가의 평면부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를 내장하는 백인박스를 팔렛상에 쌓아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A)는 개봉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개봉 후에 주출구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A)는 개봉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개봉 후에 주출구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백인박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A)는 백인박스를 조립하는 단계를 나타내고, (B)는 완성한 상대를 나타내고, (C)는 개봉 후에 주출구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2도는 종래의 백인박스용 내지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내지대를 외상자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대본체, (2) : 전측의 평면부, (2 -a) : 외측필름, (2 -a1) : 외측필름의 외측층, (2-a2) : 외측필름의 중간층, (2-a3) : 외측필름의 내측층, (2-b) : 내측필름, (3) : 후측의 평면부, (4) : 코너부, (5) : 측면부, (6) : 절곡선, (7) : 상부시일부, (8) : 저부시일부, (9) : 측면시일부, (10) : 폐쇄시일부, (11) : 3각형상의 편부, (12) : 주출구, (13) : 캡, (14) : 펀치구멍, (15) : 지대의 내부공간, (16) : 합성수지제 필름 사이의 공간, (17) : 국부적 접착부분, (31) : 밴드형의 필름편, (32) : 밴드형의 기체충전층, (33) : 미접착부분 (34) : 기체불투과성 필름, (35) : 기체송입구, (36) : 기체송입로, (41) : 외상자, (42) : 외상자와 내지대의 사이의 공간, (43) : 개봉보조수단, (44) : 개구부, (45) : 부채꼴의 단편, (46) : 내측플랩, (47) : 외측플랩, (61) : 팔렛, (62) : 간극, (101),(102),(103) 및 (104) : 본 발명의 백인박스용 지대체, (201),(202),(203) 및 (204) : 백인박스, (501) : 종래의 백인박스용 내지대, P : 상부시일부상 및 저부시일부상의 임의 위치, Q : 측면 시일부상의 임의 위치, R : 코너부의 정점, m : 상부시일부 또는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m1 : 상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m2 : 저부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n : 측면시일부와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n1 : 측면시일부와 상부측의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n2 : 측면시일부와 저부측의 폐쇄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

Claims (21)

  1. 외상자와 이 외상자내에 수용된 내지대를 가지는 백인박스용 내지대로서 사용되는 지대체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을 구성하는 대향하는 1쌍의 평면부 및 전측과 후측부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름형으로 안쪽으로 접힌 절곡선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2개의 측면부를 가지는 4방 시일의 지대본체와,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에 배설된 경사시일부와
    지대본체의 각 코너부에 형성된 3각형상의 핀(fin)부를 가지고,
    상기 지대본체를 구성하는 평면부 및 측면부는 접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중첩된 최소한 2매의 할성수지제 필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시일부는 지대본체를 1쌍의 평면부가 중첩되고 또한 중첩된 평면부의 사이에 상기 절곡선을 구비한 2개의 측면부가 개재하도록 접힌 상태하에서 대향하는 지대본체의 내면끼리를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중 어느 하나의 시일부의 임의 위치로부터 측면시일부의 임의 위치까지에 걸쳐서 상부시일부 또는 저부시일부를 경사로 연결하도록 직선 밴드형으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3각형상의 핀부는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중 어느 하나의 시일부, 측면시 일부 및 경사시일부에 에워싸임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2. 제1항에 있어서, 지대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평면부 및 측면부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 또는 입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시일부의 기점으로 될 상부시일부상 및 저부시일부상의 임의 위치는 상부시일부 및 저부시일부와 측면부의 절곡선과의 교점으로부터 1cm 이내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4. 제1항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전측과 후측의 코너부의 대향하는 정점끼리가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5. 제1항에 있어서, 1쌍의 평면부 및 2개의 측면부의 각각에 최소한 하나씩,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필름편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6. 제1항에 있어서, 1쌍의 평면부 및 2개의 측면부의 각각에 최소한 하나씩, 지대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밴드형의 기체충전층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7. 제1항에 있어서, 지대본체의 상부측 또는 저부측중 최소한 한쪽에 좌우 1쌍의 수하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하부는 서로 대향하는 전측과 후측의 3각형상의 핀부끼리를 코너부의 정점의 위치에서 접착하는 동시에, 상부시일부상 또는 저부시일부상의 최소한 1개소의 위치에서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8.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3각형상의 핀부에 펀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필름중의 최소한 1층이 금속박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부시일부와 경사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은 45∼55° 이고, 저부시일부와 경사시일부와의 사이의 협각은 4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11. 제1항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260∼34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80∼26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490~660mm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12. 제1항에 있어서, 시일부의 폭을 제외한 실치수로, 상기 평면부의 가로치수가 190∼270mm, 상기 측면부의 가로치수가 140∼220mm, 및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세로치수가 330∼600mm이고, 내용물의 충전시에는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용 지대체.
  13. 외상자와,
    외상자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내지대로서 수납되는 제1항∼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대체와,
    지대체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외상자에 돌출된 주출구와,
    외상자의 한면에는, 내지대의 주출구를 개구부를 통하여 외상자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이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mm 이상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외상자에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150mm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보조수단은 개봉할 때 외상자의 한면을 상기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찢어서 개구부와 부채꼴의 단편(斷片)을 형성하고, 개봉 후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부채꼴의 단편이 남는 개봉보조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6. 제13항에 있어서, 내지대의 용량이 5∼25리터이고 외상자가 입방체 또는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7. 외상자와,
    외상자의 내부에 수납되고,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4방 시일의 내지대와,
    내지대에 내용물을 충전하기 위하여 내지대에 돌출된 주출구와,
    외상자의 한면에는, 내지대의 주출구를 개구부를 통하여 외상자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이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mm 이상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대가 평지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외상자에 주출구의 주위의 지대본체를 50∼150mm 인출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봉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보조수단은 개봉할 때 외상자의 한면을 상기 개구부의 중심점으로 될 위치로부터 방사형으로 찢어서 개구부와 부채꼴의 단편을 형성하고, 개봉 후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부채꼴의 단편이 남는 개봉보조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21. 제17항에 있어서, 내지대의 용량이 5∼25리터이고, 외상자가 입방체 또는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KR1019950041842A 1994-11-18 1995-11-17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KR100366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488294 1994-11-18
JP94-284882 1994-11-18
JP1994-284882 199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58A KR960017458A (ko) 1996-06-17
KR100366911B1 true KR100366911B1 (ko) 2003-03-28

Family

ID=1768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842A KR100366911B1 (ko) 1994-11-18 1995-11-17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788121A (ko)
KR (1) KR100366911B1 (ko)
CN (1) CN1062232C (ko)
AU (1) AU692627B2 (ko)
BR (1) BR9505220A (ko)
FR (1) FR2727092B1 (ko)
GB (1) GB2295373B (ko)
IL (1) IL116047A (ko)
IT (1) IT1278889B1 (ko)
MY (1) MY119364A (ko)
SA (1) SA96160636B1 (ko)
TW (1) TW3672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595A (ko) * 2017-06-14 2020-02-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KR20230053911A (ko)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크롬 재사용이 가능한 가압 백인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31484A (en) * 1992-12-22 1998-11-03 Hosokawa Yoko Kk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stallation jig for cartridge container for d18scharge gun.
AU4025797A (en) * 1996-08-19 1998-03-19 Bettix Ltd. Dispenser bag
JPH1143155A (ja) * 1997-07-23 1999-02-16 Hosokawa Yoko Co Ltd 液体容器
AU2063099A (en) * 1997-12-23 1999-07-19 Flearfontein Mountain Estates (Proprietary) Limited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bag
FR2776510B1 (fr) * 1998-03-31 2002-11-29 Oreal Derives de polyamino-acides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d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FR2781202B1 (fr) * 1998-07-16 2001-01-12 Stedim Sa Poches pour produits fluides bio-pharmaceutiques
JP3967078B2 (ja) * 2000-02-29 2007-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および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
AU2001236030A1 (en) * 2000-03-01 2001-09-12 Fujimori Kogyo Co. Ltd. Inner bag for bag-in-box
JP2001278339A (ja) * 2000-04-04 2001-10-10 Fujimori Kogyo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内袋
US7017781B2 (en) * 2000-04-13 2006-03-28 Dr Pepper/Seven-Up, Inc. Collapsible container for liquids
US6746388B2 (en) 2001-01-12 2004-06-08 Scholle Corporation Method of designing a standup bag
US6783277B2 (en) 2001-01-12 2004-08-31 Scholle Corporation Stand up bag
US6695757B2 (en) 2001-01-12 2004-02-24 Scholle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ndup bag
US6659132B2 (en) 2001-03-19 2003-12-09 Baxter International Inc. Gas permeable sterile closure
US20020131654A1 (en) * 2001-03-19 2002-09-19 Smith Sidney T. Large volume flexible container
US7025318B2 (en) 2001-03-19 2006-04-11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 support
WO2003066457A2 (en) 2002-02-07 2003-08-14 Scholle Corporation An internal brace for a standup flexible container
NL1021401C2 (nl) * 2002-09-05 2004-03-08 Smq Group B V Vouwbare zak.
US20060138167A1 (en) * 2003-01-03 2006-06-29 Mcmahon Michael D Condiment dispenser
CN101618783A (zh) * 2003-03-13 2010-01-06 国际壳牌研究有限公司 烃流体的包装
EP1641373A1 (en) * 2003-06-27 2006-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pouch with side gussets for use in carrying fluid for personal hygiene device
SE525952C2 (sv) * 2003-10-02 2005-05-31 Eco Lean Res & Dev As Metod och anordning för gasfyllning och försegling av en för gasfyllning avsedd kanal i en förpackning av kollapsande slag, samt ett förpackningsämne innefattande en sådan kanal
US7244064B2 (en) * 2004-04-06 2007-07-17 Cdf Corporation Bag with flap for bag-in-box container system
US7798711B2 (en) * 2004-07-27 2010-09-21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20060051491A1 (en) * 2004-09-03 2006-03-09 Levitt Kenneth E Protein beverage mixing container
US20060243783A1 (en) 2005-03-04 2006-11-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Bag-in-a-box
NL1029173C2 (nl) * 2005-06-02 2006-12-05 Smq Group B V Vouwbare voering voor gebruik in een houder.
JP4771785B2 (ja) *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US20070187415A1 (en) * 2006-02-14 2007-08-16 D Silva Sean Glass fiber reinforced gas cylinder
US8075188B2 (en) 2006-02-24 2011-12-13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flex crack resistance
US8182152B2 (en) 2006-03-28 2012-05-22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for FIBC or bag-in-box container systems with improved tensile strength
US8915372B2 (en) * 2006-08-11 2014-12-23 Gregorio Lim Tan Self opening bag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0814577B2 (en) * 2006-08-11 2020-10-27 Gregorio Lim Tan Self opening wide mouth carryout bag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762432B2 (en) * 2007-01-11 2010-07-27 Nike, Inc. Hydration system for use with a pack
EP1985552A3 (en) 2007-04-03 2008-11-12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and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9016555B2 (en) 2007-04-03 2015-04-28 Cdf Corporation Flexible liner and bag-in-box container systems
US7975879B2 (en) * 2007-05-10 2011-07-12 Groesbeck R Clay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US8459503B2 (en) 2007-05-10 2013-06-11 R. Clay Groesbeck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US8231024B2 (en) 2007-08-08 2012-07-31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same
SE531359C2 (sv) * 2007-09-28 2009-03-10 Ecolean Res & Dev As Metod för gasfyllning av ett handtagsparti hos en förpackning samt metod för att framställa en förpackning
US20090145575A1 (en) * 2007-11-30 2009-06-11 Gordon Hogan Heat reservoir
WO2009098194A1 (en) * 2008-02-04 2009-08-13 Wisdom Agricultural (Investments) Ltd. Liquid-tight pouch with improved draining properties
EP2108598A1 (en) 2008-04-08 2009-10-14 DLC Developments Limited Bag-in-box packaging system for bulk flowable materials
US20090285949A1 (en) * 2008-05-15 2009-11-19 Wendell Brown Expandable Food Container
US8191740B2 (en) * 2008-05-19 2012-06-05 Millercoors, Llc Modular constructed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US8038039B2 (en) * 2008-05-19 2011-10-18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S8052012B2 (en) 2008-05-19 2011-11-08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of dispensing a carbonated beverage
US7984845B2 (en) * 2008-05-19 2011-07-26 Millercoors, Llc Regulated fluid dispensing system packaging
US8806843B2 (en) * 2008-08-26 2014-08-19 S-Pouch Pak Co., Ltd. Self-standing bag with foldable flange
US8602242B2 (en) * 2008-11-06 2013-12-10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tackable container used for storing a quantity of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116824A1 (en) * 2008-11-07 2010-05-13 Stalions Stephen E Bag-in-box assembly
BRPI0921217A2 (pt) * 2008-11-10 2016-02-23 Eco Logic Brands recipientes termo-conformados para conter líquidos
PL2246270T3 (pl) 2009-04-29 2014-07-31 Scholle Ipn Corp Składana torba i sposób wytwarzania składanej torby
US7971720B2 (en) * 2009-06-24 2011-07-05 The Clorox Company Vertically stacking litter bag with handle
WO2010151820A1 (en) * 2009-06-26 2010-12-29 Deering Curtis J Densified particulate packaged products
US8348509B2 (en) * 2009-09-10 2013-01-08 Smart Bottle, Inc. Flexible container with fitment and handle
US8720769B2 (en) 2009-09-15 2014-05-13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Beverage container
US20110094495A1 (en) * 2009-10-22 2011-04-28 Lamensdorf Marc D Flameless heating beverage container
US8567660B2 (en) 2009-11-17 2013-10-29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9120608B2 (en) 2009-11-17 2015-09-01 Cdf Corporation Sustainable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liquid or viscous products
US8444021B1 (en) 2009-12-03 2013-05-21 Roxanne Ferreiro Water on demand bag
US8616370B2 (en) 2010-10-28 2013-12-31 Arrows Up, In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US8887914B2 (en) 2010-10-28 2014-11-18 Arrows Up, In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EP2634111A4 (en) * 2010-10-29 2017-08-23 Daizo Corporation Aerosol container for multiple fluid discharge, multiple fluid discharge aerosol product, and internal container used therefor
US11180280B2 (en) 2010-11-16 2021-11-23 Cdf Corporation Secondary packaging system for pre-packaged products
TWM415881U (en) * 2011-05-09 2011-11-11 Grand Hao Internat Company Stereoscopic storage bag with 3-D storage space
DE102011080151A1 (de) * 2011-07-29 2013-01-31 VITA PAK UG (haftungsbeschränkt) Verpackungssystem
EP3178753B1 (en) 2012-08-06 2019-09-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s of making flexible containers
US10207850B2 (en) 2012-10-26 2019-02-19 Primapak, Llc. Flexible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9018685B (zh) 2012-10-26 2021-07-06 优装有限责任公司 用于柔性包装的柔性材料
CN102991828B (zh) * 2012-12-12 2015-06-24 无锡市旗能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食品包装用桶中袋
US8899444B2 (en) 2013-03-08 2014-12-02 Pepsico, Inc. Aseptic tubing connection for a container
JP6042754B2 (ja) * 2013-03-20 2016-12-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PL3010825T3 (pl) * 2013-06-21 2019-05-31 Vortex Innovation Worx Pty Ltd Układ opakowaniowy
USD715643S1 (en) 2013-07-30 2014-10-2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39232S1 (en) 2013-07-30 2015-09-2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used to make packages
ITVI20130194A1 (it) * 2013-07-30 2015-01-31 Corso Arturo Dal Fusto a perdere per liquidi alimentari ecocompatibile
USD725467S1 (en) 2013-07-30 2015-03-3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26535S1 (en) 2013-07-30 2015-04-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9731889B2 (en) 2013-08-01 2017-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having improved sea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BR112016001874A2 (pt) * 2013-08-01 2017-08-01 Procter & Gamble recipientes flexíveis descartáveis possuindo elementos de superfície
US9248632B2 (en) 2013-08-19 2016-02-02 Scholle Corporation Film for flexible packaging for use in bag in box packaging and bags made therefrom
USD747189S1 (en) 2013-09-09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33549S1 (en) 2013-10-25 2015-07-07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MX2016005515A (es) * 2013-11-06 2016-07-22 Procter & Gamble Envases flexibles faciles de vaciar.
USD777026S1 (en) 2013-11-12 2017-01-2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64914S1 (en) 2013-11-12 2016-08-30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68479S1 (en) 2014-01-16 2016-10-1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61651S1 (en) 2014-01-28 2016-07-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7195S1 (en) 2014-02-14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48471S1 (en) 2014-02-14 2016-02-0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66082S1 (en) 2014-02-28 2016-09-13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7202S1 (en) 2014-02-28 2016-01-1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used to make packages
USD730725S1 (en) 2014-03-07 2015-06-02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50477S1 (en) 2014-03-07 2016-03-01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0114S1 (en) 2014-03-07 2015-10-06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53995S1 (en) 2014-03-07 2016-04-19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813663S1 (en) 2014-03-13 2018-03-27 Primapak, Llc Package
WO2015148864A2 (en) * 2014-03-26 2015-10-01 Clear Lam Packaging, Inc. Flexible squeezable package
USD753996S1 (en) 2014-03-26 2016-04-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WO2015179384A1 (en) 2014-05-19 2015-11-26 Clear Lam Packaging,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e
USD734144S1 (en) 2014-05-30 2015-07-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6673S1 (en) 2014-06-20 2016-01-05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47646S1 (en) 2014-06-20 2016-01-19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11084627B2 (en) * 2014-06-26 2021-08-10 Cytiva Sweden Ab Bag weld with gusset
USD781702S1 (en) 2014-08-25 2017-03-21 Clear Lam Packaging, Inc. Material for packaging production
US9463969B2 (en) 2014-09-12 2016-10-11 Sonoco Development, Inc. Rigid outer container for releasably accommodating a stand-up pouch
USD772069S1 (en) 2014-09-25 2016-11-22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making packages
USD754534S1 (en) 2014-09-25 2016-04-26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78719S1 (en) 2014-10-15 2017-02-14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56219S1 (en) 2014-10-31 2016-05-17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D784127S1 (en) 2014-10-31 2017-04-18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88582S1 (en) 2014-10-31 2017-06-06 Clear Lam Packaging, Inc. Film for packaging production
USD787319S1 (en) 2014-11-17 2017-05-23 Clear Lam Packaging, Inc. Package
US9573737B2 (en) * 2015-04-15 2017-02-2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a spray valve
CA2893392C (en) * 2015-05-29 2017-01-24 Lbi Brands, Inc. Water box apparatus and method
AU2016325593A1 (en) 2015-08-28 2018-03-22 Corplex Plastics Uk Ltd Liner for a vessel
WO2017042905A1 (ja) 2015-09-09 2017-03-16 花王株式会社 シート材容器
CA2998754A1 (en) 2015-09-18 2017-03-23 Primapak,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flexible package
CN105501694A (zh) * 2016-01-06 2016-04-20 东莞一翔液体肥料有限公司 一种液体肥料包装箱
US10196255B2 (en) * 2016-01-15 2019-02-05 Raoul HENRIQUEZ Portable wine dispenser
CN106113587B (zh) * 2016-06-23 2021-01-08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折叠袋及其制造方法
CA2945454C (en) 2016-06-30 2023-11-07 Arrows Up, Ll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US10994954B2 (en) 2016-06-30 2021-05-04 Sandbox Enterprises, Ll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unloader
CN107697484B (zh) * 2016-08-08 2020-05-19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液体运输系统和内衬袋及使用方法
FR3059229B1 (fr) * 2016-11-25 2018-11-16 Sartorius Stedim Fmt Sas Poche souple 3d a emplir pour fluides biopharmaceutiques, et procede pour realiser une telle poche
CN110382220B (zh) * 2017-03-07 2021-05-18 富吉包装股份有限公司 软包装材料容器用中间件、容器和容器包装体的制造方法
US10273070B2 (en) * 2017-05-19 2019-04-30 Paper Systems, Inc. Collapsible container
CN107226282A (zh) * 2017-07-18 2017-10-03 顺丰速运有限公司 一种袋中袋式充气袋及其使用方法
US10822162B2 (en) 2017-08-02 2020-11-03 A.R. Arena Products, Inc. Shipper bag providing fluid-assisted container evacuation
CN107651286B (zh) * 2017-09-15 2020-07-07 东莞市酬勤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新型的瓶子装配设备及其工艺
JP6323969B1 (ja) * 2017-09-15 2018-05-16 藤森工業株式会社 バッグインボックス
CN108924727A (zh) * 2018-05-07 2018-11-30 惠州超声音响有限公司 一种采用热塑性硫化橡胶一体成型的被动喇叭及其制备方法
AU2019265526B2 (en) * 2018-05-08 2022-12-22 The Glad Products Company Thermoplastic bags with liquid directing structures
JP7170465B2 (ja) * 2018-08-30 2022-11-14 株式会社細川洋行 ガゼット袋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EP3860930B1 (en) * 2018-10-05 2024-01-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Bag-in-box assembly
US10919680B1 (en) 2018-10-08 2021-02-16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Liquid beverage container
US11661235B2 (en) 2018-10-15 2023-05-30 Sandbox Enterprises, Ll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top wall assembly and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having a top wall assembly
US10926940B2 (en) 2018-11-20 2021-02-23 Sandbox Enterprises, Llc Bulk material shipping container
EP3889066A4 (en) * 2018-11-26 2022-08-24 Kao Corporation SHEET MATERIAL CONTAINER
CN114423685A (zh) * 2019-10-15 2022-04-29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具有消费后树脂的柔性袋
JP7350154B2 (ja) * 2020-03-13 2023-09-25 花王株式会社 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0587A (en) * 1960-05-19 1963-08-13 Inland Container Corp Pouring type fluid container
US3087655A (en) * 1961-01-30 1963-04-30 Scholle Container Corp Paperboard container with flexible liner therein
US3108732A (en) * 1962-09-13 1963-10-29 Corrugated Container Company Disposable type pouring container package combination
US3494457A (en) * 1968-08-05 1970-02-10 Dow Chemical Co Abuse resistant bag
DE1786047A1 (de) * 1968-08-10 1971-11-11 Neemann Mechanische Papierware Aus einer Verbundfolie bestehender Folienbeutel
US3743172A (en) * 1971-03-23 1973-07-03 Mobil Oil Corp Quilted laminar films comprising at least two layers of dissimilar material
GB8516118D0 (en) * 1985-06-26 1985-07-31 Btr Plc Packing of liquids
US4660737A (en) * 1986-04-02 1987-04-28 General Foods Corporation Carton and pouch system
KR930001695B1 (ko) * 1987-01-30 1993-03-11 기린 비루 가부시키가이샤 백인복스(bag in box) 및 백인복스용 포대
US4815631A (en) * 1988-03-10 1989-03-28 S. C. Johnson & Son, Inc. Bag-in-box package
US5195829A (en) * 1990-10-26 1993-03-23 Golden Valley Microwave Foods Inc. Flat bottomed stand-up microwave corn popping bag
DE9207558U1 (ko) * 1992-06-04 1992-10-29 Imer, Rodney Haydn, Dipl.-Ing., 4000 Duesseldorf, De
US5265753A (en) * 1992-10-30 1993-11-30 Georgia-Pacific Corporation Container for flexible ba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595A (ko) * 2017-06-14 2020-02-19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KR102466826B1 (ko) * 2017-06-14 2022-11-1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수납 용기, 액체 수납 용기의 사용 방법 및 액체 수납 용기와 외장 용기의 조합체
KR20230053911A (ko)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크롬 재사용이 가능한 가압 백인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RM950760A0 (ko) 1995-11-16
KR960017458A (ko) 1996-06-17
IT1278889B1 (it) 1997-11-28
CN1130144A (zh) 1996-09-04
BR9505220A (pt) 1997-09-16
MY119364A (en) 2005-05-31
AU3793095A (en) 1996-05-23
US5788121A (en) 1998-08-04
CN1062232C (zh) 2001-02-21
ITRM950760A1 (it) 1997-05-16
GB2295373A (en) 1996-05-29
GB2295373B (en) 1998-07-22
GB9523629D0 (en) 1996-01-17
TW367297B (en) 1999-08-21
IL116047A0 (en) 1996-01-31
IL116047A (en) 1999-03-12
FR2727092B1 (fr) 1999-08-13
SA96160636B1 (ar) 2005-07-31
FR2727092A1 (fr) 1996-05-24
AU692627B2 (en) 199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911B1 (ko) 백인박스용지대체및백인박스
KR100518921B1 (ko) 평면 벽을 가진 가요성 용기
EP1277667A1 (en) Bag-in-box inner bag
MX2012009930A (es) Conjuntos de recipiente para almacenar, transportar y/o dispensar fluidos y metodos relacionados.
US2002009492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ndup bag
US20050025398A1 (en) Stand up bag
MX2010011865A (es) Caja de carton enfriadora con caracteristica de apertura por cremallera.
US20020141663A1 (en) Method of designing a standup bag
AU2001284040A1 (en) Flexible container having flat walls
MX2007009185A (es) Caja de carton reforzada.
JP3245031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袋体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NZ572393A (en) Carton with gussetted major panel and reinforcing overlying minor panel including bottom, end and end handle panels
CA2067871A1 (en) Folding container
JP3324953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3709155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袋体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WO2007029011A1 (en) Container for a fluid
EP0681970A1 (en) Self-standing pouch, and assembly thereof
CA2434794C (en) Flexible bag and method
JP2002128144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AU2002239883A1 (en) Standing bag and its production methods
AU717097B2 (en) Bag for bag-in-box and bag-in-box
JPH02205572A (ja) 開封部を設けたシュリンク集合包装体
CN116368071A (zh) 包括纸板基托座元件和纸基容具元件的可回收容器
JPH07219197A (ja) 流体製品用容器及びその充填包装方法
JPH0672868U (ja) 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