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8391A -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8391A
KR20200048391A KR1020180130453A KR20180130453A KR20200048391A KR 20200048391 A KR20200048391 A KR 20200048391A KR 1020180130453 A KR1020180130453 A KR 1020180130453A KR 20180130453 A KR20180130453 A KR 20180130453A KR 20200048391 A KR20200048391 A KR 20200048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mounting
ship
open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754B1 (ko
Inventor
임형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0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7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는, 외측면에 작업자 또는 물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선박의 화물창 선체; 및 상기 화물창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이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면보다 낮게 단차진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팔렛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화물창 선체에 탑재할 수 있어, 화물창 선체에 물품을 대량으로 탑재할 수 있어, 화물창 선체에 물품을 탑재하는 시간 및 건조 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COMMODITY INSERTING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NG 선과 같은 선박의 외관에 형성되어, 대량의 물품을 운송할 수 있는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LNG 운반선이나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와 같은 선박을 제작할 때, LNG 탱크의 측면에 위치한 화물창 선체의 외관에 개구부(opening)을 형성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작업자의 통로로 이용되거나 자재, 설비 및 장비를 이동시키는 통로로 주로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에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화물창 선체(11)의 개구부(11a)에 탑재부(12)를 설치하여, 물품(F)을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창 선체(11)에 탑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탑재 수단(13)이 설치된 포크부(13a) 및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소팔렛트 상의 물품(F)을 탑재부(12)를 통해 화물창 선체(11)에 상차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탑재부(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품창 개구부(11a)와 연결되는 탑재홀(12a)이 형성된다. 탑재홀(12a)은 양측이 개방된 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탑재홀(12)에 탑재 수단(13)에 의해 물품(F)이 상차되면, 화물창 선체(11) 내에서 상차된 물품(F)을 화물창 선체의 내부로 이송할 수 있다.
그런데, 탑재부(12)에 상차되는 물품(F)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팔렛트 상에 배치되고, 탑재 수단(13)은 소팔렛트를 하나씩 탑재부(12)에 상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탑재 수단(13)이 하나의 소팔렛트를 탑재부(12)에 상차하여 물품(F)을 화물창 선체(11)로 운반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탑재 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탑재부에 상차할 때, 물품을 화물창 선체로 운반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는, 외측면에 작업자 또는 물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선박의 화물창 선체; 및 상기 화물창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이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면보다 낮게 단차진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재부의 하면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에 상기 리세스부보다 높게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의 하면과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에서 상기 단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의 너비는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리세스부에 탑재되는 물품은,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팔렛트는 대팔렛트이고, 상기 대팔렛트 상에는 상기 물품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소팔렛트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는, 외측면에 작업자 또는 물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선박의 화물창 선체; 및 상기 화물창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이 탑재되도록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탑재홀이 형성된 탑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에 형성된 탑재홀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면보다 낮게 단차진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재부는 상기 탑재홀을 상하좌우로 둘러싸는 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탑재홀의 하면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에 상기 리세스부보다 높게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는 상기 탑재홀을 둘러싸는 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팔렛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화물창 선체에 대량으로 탑재할 수 있어, 화물창 선체에 물품을 탑재하는 시간 및 건조 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물창 선체의 탑재부의 탑재홀에 리세스부를 형성함으로써, 대팔렛트를 탑재부에 탑재하더라도, 대팔렛트 상에 배치된 소팔렛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화물창 선체 내부로 이송할 수 있어, 화물창 선체 내에서의 물품 이송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대팔렛트의 높이와 탑재부에 형성된 리세스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화물창 선체 내에서의 물품 이송을 할 때, 화물창 선체 내에 있는 탑재 수단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물품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품 탑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에 이용되는 대팔렛트 상에 소팔렛트와 물품이 적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의 탑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의 탑재부에 대팔렛트가 탑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100)는, 화물창 선체(110) 및 탑재부(120)를 포함한다.
화물창 선체(110)는, LNG 선박이나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선박의 화물창 선체(110)일 수 있다. 이러한 화물창 선체(110)의 측면에는 외판을 관통한 상태로 멤브레인 물품창에 대한 제조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창을 제조할 때 대량의 자재를 화물창 선체(110) 내부로 운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화물창 선체(110)의 측면에 물품(F)을 운반할 수 있는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12)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F)은 설치용 단열재(단열박스, 인슐레이션 박스 등), 금속 방벽 및 화물창을 제조할 때 이용되는 각종 자재 및 설비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물품(F)일 수 있다.
개구부(112)는 화물창 선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화물창 선체(1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대량의 물품(F)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1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개구부(112)에는 물품(F)이 개구부(112)를 통해 탑재가 용이하도록 탑재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탑재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112)와 연결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탑재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탑재부(120)는 탑재홀(122)를 둘러싸는 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탑재부(120)의 크기는, 구체적으로, 탑재홀(122)의 너비 및 높이(이때, 탑재홀(122)의 너비 및 높이는 탑재홀(122)을 정면으로 봤을 때 밑면 및 높이임)는, 화물창 선체(110)에 형성된 개구부(112)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탑재홀(122)의 깊이(이때, 탑재홀(122)의 깊이는, 탑재부(120)의 외측 끝단에서 탑재부(120)가 화물창 선체(110)의 개구부(112)까지의 길이임)는, 대량의 물품(F)이 탑재부(120)에 탑재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탑재홀(122)의 깊이는, 후술한 대팔렛트(140)의 한면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부(120)의 내측 하면에는 리세스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24)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탑재부(1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탑재부(120)는 육면체 형상이 아닌,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탑재부(120)는 개구부(112)의 하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탑재부(120)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탑재부(120)에는 리세스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탑재부(120)는 화물창 선체(110)의 외측면에서 화물창 선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탑재부(120)는 화물창 선체(110)의 외판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창 선체(110)는 부두와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고, 화물창 선체(110)와 부두의 거리를 고정하기 위해 부두와 화물창 선체(110) 사이에 펜더(fender) 등이 화물창 선체(110)와 부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탑재 수단(130)은 선박의 외부에서 이동하며, 외부에 배치된 물품(F)을 탑재부(120)에 탑재하는 역할을 한다. 탑재 수단(130)은 일례로, 지게차(fork lift) 또는 크레인일 수 있으며, 소팔렛트(150)나 대팔렛트(140) 등을 들어 승강시킬 수 있는 포크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탑재 수단(130)은 포크부(131)를 소팔렛트(150)나 대팔렛트(140)에 형성된 리프팅홀(LH)에 삽입하여 소팔렛트(150)나 대팔렛트(140) 상에 배치된 물품(F)을 이송할 수 있다.
대팔렛트(140) 상에 다수의 소팔렛트(150)가 배치되고, 다수의 소팔렛트(150) 상에 물품(F)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탑재 수단(130)은 대팔렛트(140)를 이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에 이용되는 대팔렛트 상에 소팔렛트와 물품이 적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팔렛트(14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정사각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측면에 탑재 수단(130)의 포크부(131)가 삽입될 수 있는 리프팅홀(LH)이 형성된다. 리프팅홀(LH)은 대팔렛트(140)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측면에 두 개의 리프팅홀(L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대팔렛트(140)의 일 측에는 안전바(bar, 144)가 형성될 수 있다. 안전바(1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너비를 가지도록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대팔렛트(140)의 일 측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바(144)는, 대팔렛트(140) 상에 배치된 물품(F)이 일 측으로 밀려 대팔렛트(140) 상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팔렛트(140) 상에 네 개의 소팔렛트(150)가 배치되며, 네 개의 소팔렛트(150) 각각에 물품(F)이 배치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에는 탑재 수단(130)이 소팔렛트(150)를 이용하여 소팔렛트(150) 상의 물품(F)을 이송한 것에 비해 소팔렛트(150) 다수 개가 배치된 대팔렛트(140)를 이용하여 물품(F)을 이송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다수의 물품(F)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대팔렛트(140) 높이(t1)은 소팔렛트(15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소팔렛트(15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소팔렛트(150)의 측면에도 탑재 수단(130)의 포크부(131)가 삽입될 수 있는 각각 리프팅홀(L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의 탑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의 탑재부에 대팔렛트가 탑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창 선체(110)에 설치된 탑재부(120)에 대해 설명한다. 탑재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재 수단(130)에서 이송된 물품(F)이 탑재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된 양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재부(120)의 내측 하면에는 리세스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24)는 개방된 양면에 이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세스부(124)의 양측에는 단차부(126)가 형성되며, 리세스부(124)는 단차부(126)보다 단차가 형성된 상태로, 단차부(126)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126)의 상면은 개구부(112)의 하면과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그에 따라 리세스부(124)의 상면은 개구부(112)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리세스부(124)에서 단차부(126)까지의 높이(t2)는 대팔렛트(140)의 높이(t1)와 같을 수 있다. 또한, 리세스부(124)의 너비는 대팔렛트(140)의 너비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탑재부(120)에 대팔렛트(140)가 배치되면, 대팔렛트(140)의 상면과 단차부(126)의 상면이 동일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탑재부(120)에 대팔렛트(140)가 배치되어, 탑재부(120)의 상면과 대팔렛트(140)의 상면이 동일한 면상에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물창 선체(110) 내에서 별도의 탑재 수단(130)을 이용하여 대팔렛트(140) 상에 배치된 소팔렛트(150)를 이송할 때, 탑재 수단(130)의 포크부(131)를 최하단으로 내린 상태에서 소팔렛트(150)의 리프팅홀(LH)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물품 탑재 장치
110: 화물창 선체
112: 개구부
120: 탑재부
122: 탑재홀
124: 리세스부
126: 단차부
130: 탑재 수단
131: 포크부
140: 대팔렛트
144: 안전바
150: 소팔렛트
F: 물품
LH: 리프팅홀

Claims (9)

  1. 외측면에 작업자 또는 물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선박의 화물창 선체; 및
    상기 화물창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이 탑재되는 탑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는,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탑재부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면보다 낮게 단차진 리세스부가 형성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의 하면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에 상기 리세스부보다 높게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의 하면과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에서 상기 단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의 높이와 동일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의 너비는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은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에 탑재되는 물품은, 상기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지지하는 팔렛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팔렛트는 대팔렛트이고,
    상기 대팔렛트 상에는 상기 물품을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소팔렛트가 배치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7. 외측면에 작업자 또는 물품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선박의 화물창 선체; 및
    상기 화물창 선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상기 물품을 이송하는 탑재 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물품이 탑재되도록 상기 개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탑재홀이 형성된 탑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탑재부에 형성된 탑재홀의 하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면보다 낮게 단차진 리세스부가 형성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탑재부는 상기 탑재홀을 상하좌우로 둘러싸는 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탑재홀의 하면에는 상기 리세스부의 양측에 상기 리세스부보다 높게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탑재홀을 둘러싸는 벽으로 연장된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KR1020180130453A 2018-10-30 2018-10-30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KR10260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453A KR102603754B1 (ko) 2018-10-30 2018-10-30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453A KR102603754B1 (ko) 2018-10-30 2018-10-30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391A true KR20200048391A (ko) 2020-05-08
KR102603754B1 KR102603754B1 (ko) 2023-11-17

Family

ID=7067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453A KR102603754B1 (ko) 2018-10-30 2018-10-30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9488A1 (en) * 2020-09-29 2022-04-07 Sh Group A/S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securing equipment modules to a shi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954A (ko) * 1984-11-16 1986-06-16 원본미기재 병 형태의 물건을 저장, 수송 및 배분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9129A (ko) * 2011-03-28 2012-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모듈러 캐빈 탑재방법
JP2014001041A (ja) * 2012-06-18 2014-01-09 Shinko Seisakusho Co Ltd 被点検物昇降装置
KR20170000881U (ko)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사이드 쉘 블럭 탑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954A (ko) * 1984-11-16 1986-06-16 원본미기재 병 형태의 물건을 저장, 수송 및 배분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9129A (ko) * 2011-03-28 2012-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모듈러 캐빈 탑재방법
JP2014001041A (ja) * 2012-06-18 2014-01-09 Shinko Seisakusho Co Ltd 被点検物昇降装置
KR20170000881U (ko) 2015-08-31 2017-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사이드 쉘 블럭 탑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9488A1 (en) * 2020-09-29 2022-04-07 Sh Group A/S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nd securing equipment modules to a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754B1 (ko)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210B2 (ja) 貨物の積み込み及び輸送の改良
CN101242996B (zh) 适配拖运器和货盘、及装运方法
JP2011502901A (ja) 産業用運搬車のための積載および積み下ろし装置
JP2017001726A (ja) コンテナ
KR20200048391A (ko)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KR20020097274A (ko) 화물 운송 콘테이너
JP2012041063A (ja) 搬送用パレットおよびその集合体
KR101572004B1 (ko) 분해 가능한 철재 컨테이너
US3699900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KR100205514B1 (ko)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6594657B2 (ja) パレット
KR20120051414A (ko)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반 방법
US3964623A (en) Pallet-palletizer assembly
JP4102002B2 (ja) クレーンのコンテナ専用吊具
JP6291549B1 (ja) 矩形缶用ダネッジと矩形缶輸送システム
KR101232847B1 (ko) 랙 화물 컨테이너
KR101543986B1 (ko)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KR20110011633U (ko) 팔레트 이송장치
JP6210622B2 (ja) 線材コイル用パレット
KR20120003690U (ko) 팔레트 조립체
CN220332570U (zh) 一种货车车载组装式托盘和货车
JP3121486U (ja) 無蓋コンテナ
KR200199548Y1 (ko) 지게차 운반용 파렛트의 지지장치
KR200340208Y1 (ko) 유리 운반용 적재대
JP2006347744A (ja) プラスチック製滑り部材及び重量物運搬用ソリ並びに重量物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