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986B1 -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986B1
KR101543986B1 KR1020150015465A KR20150015465A KR101543986B1 KR 101543986 B1 KR101543986 B1 KR 101543986B1 KR 1020150015465 A KR1020150015465 A KR 1020150015465A KR 20150015465 A KR20150015465 A KR 20150015465A KR 101543986 B1 KR101543986 B1 KR 10154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wall
wall plates
base plat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선
이지훈
임재성
박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판(200,300); 및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인접하는 하부 모퉁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00);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벽판 철망에 와이어를 걸어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송 과정의 위험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벽판들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품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바 와이어 리프팅을 이용한 이송을 초반에 차단한다. 또한, 와이어를 벽판 철망에 걸어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벽판 철망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리프팅 이송 중에 와이어의 절단에 의한 추락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

Description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Steel Container for Carrying}
본 발명은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크레인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재 컨테이너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벽판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벽판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적재품의 외부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지게차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에 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과학기술이 급진적으로 발달됨에 따라 공장 자동화에 의한 물품의 대량생산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화물의 물동량도 급격히 증가하여 창고 및 물류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부응하여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대량의 화물들을 보다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각종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pallet)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철재 컨테이너는 화물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나 각종 산업기기용 부품들을 적재 및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철재 컨테이너의 종류는 강판 코일을 적재하는 철재 철재 컨테이너 외에도 내화물과 곡물등과 같이 층으로 적재 가능한 화물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판 형상의 평 철재 컨테이너, 그리고 층으로 적재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유동하는 물건을 적재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철재 컨테이너 등 매우 다양한 용도와 형상의 철재 컨테이너들이 존재한다.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는 물품을 적재한 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재질에 따라 목재 철재 컨테이너, 합판 철재 컨테이너, 철재 철재 컨테이너, HDF(High Density Fiber Board) 철재 컨테이너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한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들 중에는 물품이 적재 및 안착되는 베이스부로만 구성된 철재 컨테이너가 있으며, 이러한 철재 컨테이너는 그 베이스부가 대체로 사각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규격이 이미 정해져 있다.
베이스부로만 된 철재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물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 상에는 그 전후좌우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이 장착되는데, 상기 전후좌우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의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은 주로 다수 철선들을 용접하여 망체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종래 문헌으로서 등록 특허 제10-1142304호를 참조하면, 철선들로 된 망체형 지지틀로 인해서 철재 컨테이너 상에 적재된 물품들이 예상치 않은 시점에 외부로 방출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공들을 갖는 철판부재로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문헌에서는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담긴 부품들의 손상 내지 흠집 발생을 방지하도록 보호해주는 동시에 철재 컨테이너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의 강도 보강으로 인하여 견고한 구조가 되게 하는 접이식 철재 컨테이너 구조는 개시하지만, 철재 컨테이너를 리프팅하거나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철재 컨테이너의 내부에 담긴 부품들이 예상치 않은 시점에 외부로 방출되는 상황을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는 기재가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왔다.
(특허문헌 1) KR10-1142304 B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철재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크레인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재 컨테이너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벽판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벽판들의 하부를 통해 적재품의 외부로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하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판(200,300); 및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인접하는 하부 모퉁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00);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컨테이너 벽판(200)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벽판(200)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쌍의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각각 그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결합한다.
상기 제1 컨테이너 벽판(20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쇠(230)는 상기 제2 컨테이너 벽판(300) 상에 설치되는 잠금쇠 결합구(330) 상에 그 끝단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34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4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철재 컨테이너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벽판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벽판들의 하부를 통해 적재품을 컨테이너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벽판 철망에 와이어를 걸어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이송 과정의 위험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벽판들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컨테이너 내부의 적재품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바 와이어 리프팅을 이용한 이송을 초반에 차단한다. 또한, 와이어를 벽판 철망에 걸어 리프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벽판 철망의 손상 내지 파손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리프팅 이송 중에 와이어의 절단에 의한 추락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 리프팅을 이용한 이송 시도 자체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즉, 결과적으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철재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철재 컨테이너의 벽판 상에 파단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 돌기에 작용하는 기준 하중을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철재 컨테이너 상에 적재되는 물품의 하중이 일정한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파단되는 상태를 이루게 함으로써 와이어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안정성을 더욱 보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B 방향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에서 컨테이너 벽판의 상단을 이용하여 와이어 리프팅을 행한 경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C 방향에 따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D 방향에 따른 정면도,
도 7은 도 1의 가이드 프레임 중 하나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E 방향에 따른 측면도, 및
도 9는 도 7의 F 방향에 따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을 포함한 다양한 물품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를 포함한 산업 분야의 부품 운송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판(200,300),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의 하부 바닥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물품이 적재되는 경우에 하중을 직접 지탱하는 구조체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단 가장자리 양측으로는 하부 방향으로 지지다리(110)가 연장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 양측으로는 상부 방향으로 수직 연장판(120)이 배치된다.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컨테이너 벽판(200) 및 제1 컨테이너 벽판(200) 사이에서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쌍의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각각 개별적으로 그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결합한다.
즉,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물품을 이송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측으로 회동되어져 접혀진다. 컨테이너 벽판(200,300)과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별도의 경첩 구조가 부가되어 회동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한쌍의 제1 컨테이너 벽판(200)이 먼저 차례로 접혀진 후에 한쌍의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이 접혀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 벽판(200)은 전체적인 외부틀을 형성하는 제1 벽판 메인프레임(210), 제1 벽판 메인프레임(210)의 내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제1 메인 프레임망(220), 제1 벽판 메인프레임(21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쇠(230), 제1 벽판 메인프레임(210)의 하단을 구성하는 하단 프레임(240)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 돌기(250)를 포함한다. 제1 컨테이너 벽판(200)은 컨테이너 벽판(200,300)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회전 돌기(250)를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접혀진다.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은 전체적인 외부틀을 형성하는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내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제2 메인 프레임망(320), 잠금쇠(230)의 끝단을 해제 가능하게 수용하는 잠금쇠 결합구(330),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측부 프레임 상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340),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350)를 포함한다.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은 컨테이너 벽판(200,300) 간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350)를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접혀진다.
가이드 프레임(4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모퉁이 부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지는데, 이를 통해 서로 인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일 예로서, 사각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400)의 모서리를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제1 컨테이너 벽판(200) 및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모퉁이 부위에서 수직한 상태로 인접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가이드 프레임(400)은 컨테이너 벽판(200,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경우에 가이드 기능을 한다.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340)는 가이드 프레임(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420) 상에 놓인다.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잠금쇠(230) 및 잠금쇠 결합구(330)를 통해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진다. 즉, 잠금쇠(230)가 슬라이딩 운동하여 잠금쇠 결합구(33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된다. 한편, 잠금쇠(230)가 슬라이딩 운동하여 잠금쇠 결합구(330)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운동하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와이어 리프팅을 통해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바, 와이어 리프팅 방식을 통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을 미연에 방지 내지 차단하고자 한다.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잠금쇠(230) 및 잠금쇠 결합구(330)를 통해 컨테이너 벽판(200,300)을 서로 연결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이송시에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이송하고자 하는 물품을 적재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에 달인 이송용 고리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상단을 연결하여 리프팅을 실시한다. 리프팅을 실시하는 경우에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전체적으로 동시에 상승 운동을 하게 되고, 이 경우에 가이드 프레임(400)은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상승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좌우측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컨테이너 벽판(200,300)이 상승되는 경우에, 제1 컨테이너 벽판(200) 및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과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한다. 즉, 제1 컨테이너 벽판(200)과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제1 개방구(260)가 형성되고, 제2 컨테이너 벽판(300)과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제2 개방구(36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구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컨테이너 벽판(200,300)이 상승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에 적재된 물품들이 상기 개방구들을 통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400)은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3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돌기 안내홀(410)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돌기 안내홀(410)은 걸림 돌기(35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의 와이어 리프팅 과정 중에 컨테이너 벽판(200,30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걸림 돌기(350)도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상기 걸림 돌기(350)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에는 파단 현상이 발생한다.
즉, 걸림 돌기(350)에 파단 안전 계수를 고려한 상태에서 파단되는 강도를 기설정하여 제조함으로써 일정 하중을 초과하여 물품이 적재되는 경우에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의 상승 자체를 방지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는 철재 컨테이너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벽판들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벽판들의 하부를 통해 적재품의 외부로의 쏟아짐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갖게 한다.
이를 통해 와이어를 철재 컨테이너의 상단에 고정하여 리프팅을 시도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벽판 철망 손상 내지 추락 등에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철재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200 : 제1 컨테이너 벽판
210 : 제1 벽판 메인프레임
220 : 제1 메인 프레임망
230 : 잠금쇠
250 : 회전 돌기
300 : 제2 컨테이너 벽판
310 : 제2 벽판 메인프레임
320 : 제2 메인 프레임망
330 : 잠금쇠 결합구
340 : 안착 돌기
350 : 걸림 돌기
400 : 가이드 프레임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판(200,300); 및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의 인접하는 하부 모퉁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400);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는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컨테이너 벽판(200)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벽판(200)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쌍의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벽판 메인프레임(31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35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은 상기 걸림 돌기(350)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 돌기(35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게 하는 돌기 안내홀(410)이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걸림 돌기(3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기설정된 파단 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파단되어지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벽판(200,300)은 각각 그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 결합하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테이너 벽판(20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쇠(230)는 상기 제2 컨테이너 벽판(300) 상에 설치되는 잠금쇠 결합구(330) 상에 그 끝단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테이너 벽판(300)의 측부 프레임 상에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34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400)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안착홈(420)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KR1020150015465A 2015-01-30 2015-01-30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KR10154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65A KR101543986B1 (ko) 2015-01-30 2015-01-30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465A KR101543986B1 (ko) 2015-01-30 2015-01-30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986B1 true KR101543986B1 (ko) 2015-08-11

Family

ID=5406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465A KR101543986B1 (ko) 2015-01-30 2015-01-30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9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25A2 (ko) * 2010-03-11 2011-09-15 Hyun Gi Hun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KR101165568B1 (ko) * 2010-11-02 2012-07-12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25A2 (ko) * 2010-03-11 2011-09-15 Hyun Gi Hun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KR101165568B1 (ko) * 2010-11-02 2012-07-12 현기훈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KR101296685B1 (ko) * 2013-02-04 2013-08-14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덤프형 절첩식 박스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69B1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JP5341904B2 (ja) 産業用運搬車のための積載および積み下ろし装置
US20090241809A1 (en) Materials safety cage and associated methods
WO2016204156A1 (ja) コンテナ
KR101572004B1 (ko) 분해 가능한 철재 컨테이너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KR102024082B1 (ko)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US2547624A (en) Collapsible pallet type container
KR101543986B1 (ko)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JP6594657B2 (ja) パレット
KR100205514B1 (ko) 물류의 피킹방법 및 그 장치
JP6375727B2 (ja) ロール製品用コンテナ
KR20120051414A (ko)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반 방법
KR102603754B1 (ko) 선박의 물품 탑재 장치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KR100793156B1 (ko) 화물 적재용 파레트 구조
ITTO20030143U1 (it) Contenitore modificato per spedizione marittima
BE1027419B1 (nl) Verpakkingsmodules voor het verpakken van langwerpige voorwerpen voor transport en opslag en werkwijze waarbij zulke verpakkingsmodules worden toegepast
CN210593488U (zh) 一种多功能平板箱
JP4644454B2 (ja) コンテナ
CN209905318U (zh) 日化产品物流托盘
KR20110011633U (ko) 팔레트 이송장치
JP4887032B2 (ja) 梱包装置
JP3768481B2 (ja) フレームボックス
KR200340208Y1 (ko) 유리 운반용 적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