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82B1 -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82B1
KR102024082B1 KR1020190039686A KR20190039686A KR102024082B1 KR 102024082 B1 KR102024082 B1 KR 102024082B1 KR 1020190039686 A KR1020190039686 A KR 1020190039686A KR 20190039686 A KR20190039686 A KR 20190039686A KR 102024082 B1 KR102024082 B1 KR 102024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plate
container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우
박상훈
이상범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배치되는 도어 벽체(200,300) 및 사이드 벽체(4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로서, 상기 도어 벽체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벽체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250); 하단에 락킹돌기(253d)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와 개방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킹 핀(253);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돌기(253d)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는 락킹홈(256a); 상기 락킹돌기(253d)가 상기 락킹홈(256a)에 삽입된 도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253)에 접하여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금지하는 락킹핸들(254); 상기 도어(250)에 구비되고, 상기 락킹핸들(254)의 일단이 도어락킹 핀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55);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CONTAINER WITH FRONT DOOR}
본 발명은 철재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주조품과 같은 제품을 담되 전면에 도어를 구비하여 한꺼번에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면서 동시에 주조품과 같은 제품에서 오일이 흐르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철재 컨테이너에 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산업현장에서는 대량의 화물들을 보다 신속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각종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철재 컨테이너는 화물을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나 각종 산업기기용 부품들을 적재 및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철재 컨테이너의 종류는 강판 코일을 적재하는 컨테이너 외에도 내화물과 곡물 등과 같이 층으로 적재 가능한 화물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판 형상의 평 철재 컨테이너, 그리고 층으로 적재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유동하는 물건을 적재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철재 컨테이너 등 매우 다양한 용도와 형상의 철재 컨테이너들이 존재한다.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는 물품을 적재한 후 지게차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재질에 따라 목재 철재 컨테이너, 합판 철재 컨테이너, HDF(High Density Fiber Board) 철재 컨테이너 등으로 구분 되어진다.
이러한 적재용 철재 컨테이너들 중에는 물품이 적재 및 안착되는 베이스부로만 구성된 철재 컨테이너가 있으며, 이러한 철재 컨테이너는 그 베이스부가 대체로 사각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규격이 이미 정해져 있다. 베이스부로만 된 철재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물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베이스부 상에는 그 전후좌우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이 장착되는데, 상기 전후좌우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의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은 주로 다수 철선들을 용접하여 망체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종래 문헌으로서 등록 특허 제10-1142304호를 참조하면, 철선들로 된 망체형 지지틀로 인해서 철재 컨테이너 상에 적재된 물품들이 예상치 않은 시점에 외부로 방출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공들을 갖는 철판부재로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의 강도를 보강하는 접이식 적재용 파렛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문헌에서는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담긴 부품들의 손상 내지 흠집 발생을 방지하도록 보호해주는 동시에 철재 컨테이너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철재 컨테이너용 지지틀의 강도 보강으로 인하여 견고한 구조가 되게 하는 접이식 철재 컨테이너 구조는 개시하지만, 컨테이너 내부 제품을 쉽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이 주조품과 같은 경우 오일(기름)이 묻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컨테이너 내부에 다수의 제품이 수용되어 오일이 흘러서 컨테이너 바닥에 고일 수 있고 그 결과 컨테이너 바닥의 오일이 외부로 흘러내리게 되어 작업장의 바닥에 오일(기름)이 흘러서 작업장 바닥이 더럽혀지거나 작업자가 작업 중에 미끄러지는 등의 여러 문제를 발생시키는 곤란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용이하게 한 번에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에서 흘러나오는 오일을 컨테이너 바닥을 통해 일정 정도의 양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컨테이너 외부로 오일이 유출되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배치되는 도어 벽체(200,300) 및 사이드 벽체(4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로서, 상기 도어 벽체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벽체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250); 하단에 락킹돌기(253d)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와 개방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킹 핀(253);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돌기(253d)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는 락킹홈(256a); 상기 락킹돌기(253d)가 상기 락킹홈(256a)에 삽입된 도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253)에 접하여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금지하는 락킹핸들(254); 상기 도어(250)에 구비되고, 상기 락킹핸들(254)의 일단이 도어락킹 핀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55);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락킹 핀(253)은 사각테두리 형상이며, 상기 락킹돌기(253d)가 형성되는 하단부재(253b);와 손으로 파지하는 상단부재(253a) 및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를 연결하는 측면부재(25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재의 양측으로 회동돌기(253e)가 형성되어 도어락킹 핀(25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어(250)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상단부재(253a)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서 상기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락킹핸들(254)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254a)와 상기 수직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25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55)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255a)과 하판(255b);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판(255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개방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해제 안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잠금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잠금 안착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하부에 구비되고,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60);을 더 포함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전후 방향((X,Y)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판(102); 및 상기 상부 경사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한 좌우 횡방향(Y1,Y2)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판(104);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경사판(104)에는 오일이 배출되는 하부통공(10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공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상기 철재 컨테니어 전면부에 형성되는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의 제품을 외부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컨테이너 도어가 작업중 쉽게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단을 구비하여 불의의 개방을 방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철재 컨테이너 내부 바닥과 밸브 구성으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제품에서 흘러나오는 오일이 작업장 바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컨테이너 외부로 오일이 유출되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접이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부품의 모습들이며,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전면의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이며,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전면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바닥의 구조를 보여주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가 상하로 적층된 모습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접이과정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컨테이너의 부품의 모습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재 컨테이너(또는 간단히 컨테이너)는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체(200,300,400), 컨테이너 벽체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00) 등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철재 컨테이너의 하부 바닥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물품이 적재되는 경우에 하중을 직접 지탱하는 구조체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단 가장자리 양측으로는 하부 방향으로 지지다리(110)가 연장된다.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5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모퉁이 부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지는데, 이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벽체(200,300,4000)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일 예로서, 지지 프레임(500)의 내측면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도어 벽체(200,300) 및 사이드 벽체(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모퉁이 부위에서 수직한 상태로 인접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지 프레임(500)은 컨테이너 벽체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컨테이너 벽체(200,300,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한쌍의 도어 벽체(200,300) 및 도어 벽체 사이에서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쌍의 사이드 벽체(300)를 포함한다. 한편, 컨테이너 벽체(200,300,4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그 하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결합 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벽체는 물품을 이송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내측으로 회동되어 접혀질 수 있으며, 접혀지는 과정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보면, 컨테이너 벽체와 베이스 플레이트(100) 사이에는 별도의 경첩 구조가 부가되어 회동 운동을 보조할 수 있고, 한쌍의 도어 벽체(200,300)가 먼저 차례로 접혀진 후에 한쌍의 사이드 벽체(400)가 접혀지는 구조이다. 또한, 이렇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들은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벽체(200,300) 각각은 그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쇠(230, 330)가 있어서, 상기 잠금쇠가 슬라이딩 되면서 끝단이 사이드 벽체의 잠금홈(430)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벽체가 고정된다.
상기 한쌍의 도어 벽체(200,300)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도어 벽체(200)와 후방에 위치하는 제2도어 벽체(300)로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도어 벽체 각각은 상하로 대략 2개의 패널이 중간 지점에서 힌지 결합된 형태이다.
즉, 제1도어 벽체(200)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패널(240)과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패널(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은 힌지 결합되어 회동동작이 가능하다. 즉,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패널(24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패널(220)만 외측으로 180도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패널만을 회동시켜서 개방한 후 내부 제품을 꺼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상기 제1도어 벽체(200)의 상기 하부패널(240)에 내부 제품을 일괄 배출할 수 있는 도어(250)를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공장과 같은 작업장에서 철재 제품(주조품 등)을 수용하여 이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때 제품을 담는 과정은 컨테이너 위에서 쏟아져 내리도록 하여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외부로 내부의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 한꺼번에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250)를 고안하였다. 상기 도어(250)를 개방하여 철재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물품(예를 들어 주조 부품 등)이 외부로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250)는, 회동되어 컨테이너 내부를 개방하는 도어본체(251)와 상기 도어본체에 부착되는 도어락킹 핀(253), 락킹핸들(254), 가이드부재(255), 제1플레이트(256), 제2플레이트(257) 등의 구성을 가진다. 도어(250)은 사용자가 도어락킹 핀(253)을 손으로 파지하고 상측으로 개방하게 되면, 도어 상측의 힌지(도 3의 252)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도어락킹 핀(253)은, 도 4를 참조하면, 사각테두리 형상이며, 손으로 파지하는 상단부재(253a)와, 락킹돌기(253d)가 형성되는 하단부재(253b)와 상단부재(253a) 및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를 연결하는 측면부재(253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재의 양측으로 회동돌기(253e)가 형성되어 도어락킹 핀(25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락킹핸들(254)은, 도 5를 참조하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254a)와 상기 수직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25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하단부재(253b)의 위쪽을 눌러서 도어락킹 핀의 상하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55)는,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255a)과 하판(255b)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판(255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개방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해제 안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잠금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잠금 안착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아래쪽에는 제1플레이트(256)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56)에는 상기 락킹돌기(253d)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는 락킹홈(256a)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250)는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상단부재(253a)를 손으로 잡고 들면, 도어본체가 양측 상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도어가 개방된다(도 11 내지 도 12 참조). 그런데,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락킹돌기(253d)가 락킹홈(256a)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동 동작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도어락킹 핀(253)을 상측으로 살짝 들어서 이동시킴으로써, 락킹돌기(253d)가 락킹홈(256a)에서 빠져나오도록 한 후, 도어 본체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락킹돌기(253d)가 락킹홈(256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 도어는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250)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락킹 핀(253)을 상측으로 살짝 들어서 이동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측면부재(253c)의 외측으로 회동돌기(253e)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돌기(253e)가 체결되는 제2플레이트(257)가 상기 측면부재(253c)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도어본체(251)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257)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257a)이 있고, 이 장공에 회동돌기가 끼워진다. 상기 회동돌기는 상기 장공을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락킹돌기(253d)가 락킹홈(256a)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 되고, 도어는 개방될 수 있는 위치로 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250)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락킹핸들(254)과 가이드부재(255) 구성을 도출하였다. 상기 락킹핸들(254)은 상기 락킹돌기(253d)가 상기 락킹홈(256a)에 삽입된 상태인 도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253)에 접하여 도어락킹 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255)는 상기 도어본체(251)에 부착된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부재(255)에서, 상기 상판(255a)과 안착판(255c) 사이의 공간인 해제 안착공간(s1)에 상기 락킹핸들(254)의 수평부(254b)가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하판(255b)과 안착판(255c) 사이의 공간인 잠금 안착공간(s2)에 상기 락킹핸들(254)의 수평부(254b)가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이 불가능한 잠금상태가 된다.
즉, 상기 락킹핸들(254)의 수평부(254b)가 잠금 안착공간(s2)에 위치하면, 상기 수직부(254a)의 하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락킹핸들(254)의 수평부(254b)를 돌려서(수평부(254b)가 도어본체(251)에 수직한 상태이며, 도 9의 상태) 락킹핸들(254)을 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락킹핸들(254)의 수평부(254b)를 다시 돌려서 해제 안착공간(s1)에 위치시키면 도어는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락킹 핀(253)을 위쪽으로 이동시킨 상태가 도 10의 모습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250)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또한 도출하였는데, 상기 도어 벽체(200)의 상측에 걸림부재(228)를 형성하였다. 상기 도어(250)는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상단부재(253a)가 상기 걸림부재(228)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어(250)는 계속해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바닥에 고이는 오일을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주조품 등 부품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60)과 밸브(265)를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 바닥에 고이는 오일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바닥에는 경사방향을 두도록 하였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전후 방향((X1,X2)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판(102)과 상기 상부 경사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한 좌우 횡방향(Y1,Y2)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판(10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 방향((X1,X2)이란, 컨테이너 전면에서 보았을때 앞뒤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좌우 횡방향(Y1,Y2)이란, 컨테이너를 전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상부경사판(102)에는 바닥에 고인 오일이 배출되는 상부통공(102a)이 좌우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경사판(104)에는 오일이 배출되는 하부통공(104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통공은 상기 배출관(2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260)은 밸브(도 1의 265)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오일이 적정량 고였을 때, 오일 배출 장소로 이동하여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경사판(102)과 하부경사판(104)를 이중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컨테이너 바닥에 존재하는 부품들은 오일에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컨테이너 내부의 제품을 외부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컨테이너 도어가 작업중 쉽게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불의의 개방을 방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철재 컨테이너 내부 바닥과 밸브 구성으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제품에서 흘러나오는 오일이 작업장 바닥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이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컨테이너 외부로 오일이 유출되어서 발생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에서 배치되는 도어 벽체(200,300) 및 사이드 벽체(40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로서,
    상기 도어 벽체에 힌지 결합되어 도어 벽체의 일부를 개방하는 도어(250);
    하단에 락킹돌기(253d)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와 개방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킹 핀(253);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돌기(253d)가 삽입되어 상기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는 락킹홈(256a);
    상기 락킹돌기(253d)가 상기 락킹홈(256a)에 삽입된 도어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253)에 접하여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금지하는 락킹핸들(254);
    상기 도어(250)에 구비되고, 상기 락킹핸들(254)의 일단이 도어락킹 핀에 접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55);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락킹 핀(253)은 사각테두리 형상이며,
    상기 락킹돌기(253d)가 형성되는 하단부재(253b);와 손으로 파지하는 상단부재(253a) 및 상단부재와 하단부재를 연결하는 측면부재(253c)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부재의 양측으로 회동돌기(253e)가 형성되어 도어락킹 핀(25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50)의 상측에서, 상기 도어 벽체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상기 도어락킹 핀(253)의 상단부재(253a)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서 상기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핸들(254)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254a)와 상기 수직부에서 횡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254b)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도어락킹 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55)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255a)과 하판(255b);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안착판(255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개방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해제 안착공간(s1)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과 안착판 사이에는 상기 도어 잠금상태에서 상기 락킹핸들이 위치하는 잠금 안착공간(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 하부에 구비되고,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2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전후 방향((X,Y)으로 경사진 상부 경사판(102); 및 상기 상부 경사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전후 방향과 수직한 좌우 횡방향(Y1,Y2)으로 경사진 하부 경사판(10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사판(104)에는 오일이 배출되는 하부통공(10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통공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1020190039686A 2019-04-04 2019-04-04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KR10202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86A KR102024082B1 (ko) 2019-04-04 2019-04-04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686A KR102024082B1 (ko) 2019-04-04 2019-04-04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082B1 true KR102024082B1 (ko) 2019-09-24

Family

ID=6806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686A KR102024082B1 (ko) 2019-04-04 2019-04-04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163B1 (ko) * 2019-10-15 2020-03-04 비엠스틸 주식회사 적층식 운반상자
CN111332635A (zh) * 2020-03-05 2020-06-26 大连中车铁龙集装化技术装备研发有限公司 锁紧机构和集装箱
KR20220079311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패널 수납용기의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288A (ja) * 1995-06-13 1996-12-24 Kyoritsu Butsuryu Syst:Kk コンテナ用の排出機能付きパレット
KR20030039399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JP2006076646A (ja) * 2004-09-13 2006-03-23 Egawa Kogyo Kk 輸送用容器およびその輸送方法
JP3190831U (ja) * 2014-03-12 2014-05-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豆状物用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288A (ja) * 1995-06-13 1996-12-24 Kyoritsu Butsuryu Syst:Kk コンテナ用の排出機能付きパレット
KR20030039399A (ko) * 2001-11-13 2003-05-22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파렛트용 지지틀
JP2006076646A (ja) * 2004-09-13 2006-03-23 Egawa Kogyo Kk 輸送用容器およびその輸送方法
JP3190831U (ja) * 2014-03-12 2014-05-2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豆状物用コンテ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163B1 (ko) * 2019-10-15 2020-03-04 비엠스틸 주식회사 적층식 운반상자
CN111332635A (zh) * 2020-03-05 2020-06-26 大连中车铁龙集装化技术装备研发有限公司 锁紧机构和集装箱
KR20220079311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패널 수납용기의 구조물
KR102525006B1 (ko) 2020-12-04 2023-04-24 주식회사 네패스라웨 패널 수납용기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082B1 (ko) 전면 도어를 가진 컨테이너
US5950836A (en) Container
WO2019153991A1 (zh) 容器
US3760970A (en) Container
EP1152954B1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unbroken top wall
KR100987869B1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JP2018502024A (ja) 折畳み式コンテナ
CN101376396A (zh) 多功能推车
KR101165568B1 (ko) 접철식 컨테이너 파레트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EP1744965B1 (en) A container having sidewalls that are pivotally and detachable attached by menas of hinge and a method of use
KR200438174Y1 (ko) 회전식 철제 포장박스
CN210149776U (zh) 一种与木托盘配套使用的托盘笼架
JP7090867B2 (ja) 折畳み容器
JP7548625B1 (ja) 輸送用パレット
US20240327066A1 (en) Large load carrier
JP2001278404A (ja) 廃棄物処理用コンテナ
KR101185981B1 (ko) 빌렛 운반용 컨테이너
JPH07267247A (ja) 箱形パレット
JP7276986B2 (ja) 折畳み式コンテナ
KR101543986B1 (ko) 이송용 철재 컨테이너
JP6938023B2 (ja) 蓋付き容器、及び、運搬ユニット
JPH0126588Y2 (ko)
KR200190657Y1 (ko) 합성수지칩 전용파렛트
JP6643959B2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