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457A -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457A
KR20200047457A KR1020200037937A KR20200037937A KR20200047457A KR 20200047457 A KR20200047457 A KR 20200047457A KR 1020200037937 A KR1020200037937 A KR 1020200037937A KR 20200037937 A KR20200037937 A KR 20200037937A KR 20200047457 A KR20200047457 A KR 20200047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ontact
use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702B1 (ko
Inventor
이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라운드
이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라운드, 이현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라운드
Priority to KR102020003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7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Nur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일정 반경 내 근거리로 접촉한 경우 단말기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시간, 사용자간 거리 등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해 저장하였다가, 전염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염자의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의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긴급의료상황시 감염자는 물론이고, 그 접촉자들까지 효율적으로 추적, 관찰, 통제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Trace system for Infectious people and trace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일정 반경 내 근거리로 접촉한 경우 단말기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시간, 사용자간 거리 등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해 저장하였다가, 전염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염자의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의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긴급의료상황시 감염자는 물론이고, 그 접촉자들까지 효율적으로 추적, 관찰, 통제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은 질병 중 전염의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을 말하는데, 이러한 전염병은 특정 병원체나 병원체의 독성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숙주(사람)에게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염병의 전파 방법은 사람간 접촉, 식품이나 식수, 곤충 매개,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 등에 의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팬더믹(전세계 대유행) 신종 인플루엔자, H5N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메르스 등과 같은 전파력 또는 병원성이 높은 신·변종 호흡기 감염 질환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21세기 최초의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은 병원체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 호흡과 함께 인체에 침투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는 치사율이 높으면서 전염력도 높은 악성변종의 출현가능성이 있으며,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대유행중인 상황에서 이례없는 확진자수를 기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는 2020년 1~2월 기점으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에서는 이러한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확산 방지 대책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염병이 쉽게 확산되는 이유로는, 전염병 증세가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매우 유사하여, 전염된 사람들이 해당 전염병에 전염된 줄 인지하지 못한 채,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의 감염률이 현저하게 높다.
따라서,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감염자 자체의 방역은 물론이고 해당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들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접촉자들에 대한 방역 조치가 이루어짐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전염병 역학조사의 경우, 접촉자를 추적하기 위해 통상 감염자의 이동경로에 포함된 CCTV를 분석하거나, 감염자의 신용카드 결제정보 등을 조회해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동 경로상에 있었던 접촉자를 일일이 찾아내는 방법으로 접촉자를 추적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접촉자를 추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312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일정 반경 내 근거리로 접촉한 경우 단말기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시간, 사용자간 거리 등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해 저장하였다가, 전염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염자의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의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긴급의료상황시 감염자는 물론이고, 그 접촉자들까지 효율적으로 추적, 관찰, 통제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인 사용자에게 각각 제공되며,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말기; 및 전염병이 진단된 감염자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여 추척 관리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감염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접촉자에게 후조치를 지시하며,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감염자와 접촉자의 고유식별코드를 전달받으며 임이의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태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가 감염자 및 접촉자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독하여 무선태그된 단말기의 사용자가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제공하는 감염판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전염병으로 진단되면, 감염자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모니터링 서버는 감염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접촉자에게 후조치를 지시하며,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일정 반경 내 근거리로 접촉한 경우 단말기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시간, 사용자간 거리 등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해 저장하였다가, 전염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염자의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의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긴급의료상황시 감염자는 물론이고, 그 접촉자들까지 효율적으로 추적, 관찰, 통제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의 구성 개념을 블럭 형태로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단말기가 일정 반경 내 다른 단말기들과 무선통신으로 접속해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는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및 접촉자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감염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감염자의 일정 반경 내의 접촉자들에 대한 접촉자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접촉자를 그룹핑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감염판독부의 사용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을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사용자에게 각각 제공되며,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는 단말기(10) 및 전염병이 진단된 감염자의 단말기(10) 데이터베이스(12)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여 추척 관리하는 모니터링 서버(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기(1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애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로 이루어지며, 미리 저장된 환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사용자 정보와 접촉자 정보를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12)에 일정 주기마다 저장하게 된다.
환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10)는 무선통신 범위 안에 속해있는 단말기(10)들과 자동적으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환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은 별도 구동부의 구동신호 없이도 단말기(10)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기(10)와 동기화되어, 무선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단말기(10)를 셋팅한다.
즉, 상기 단말기(10)는 무선을 이용한 원격 감지와 인식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인식 시스템으로서 단말기(10)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10)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10)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LPWA(Low Power Wide Area)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단말기(10)는 근거리 통신모듈(11), 데이터베이스(12), 무선인터넷모듈(14) 및 위치정보모듈(1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1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모듈(1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해당 단말기(1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10)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모듈(11)은 단말기(10)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11)은 다른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단말기(10)의 사용자 정보를 다른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가령, 무선통신 범위 내에 외부 단말기(10)가 접속한 경우, 사용자의 단말기(10)와 외부 단말기(10)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모듈(14)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인터넷모듈(14)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인터넷모듈(14)은 외부 서버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외부 서버로는 모니터링 서버(20)가 해당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는 무선인터넷모듈(14)을 통해 단말기(1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환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추출된 정보들을 수신받을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서버(20)는 감염자로 확진된 감염자 또는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들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단말기(10)를 참조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기(10)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접촉자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적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위치 정보 모듈은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0) 위치, 예컨대, 사용자의 현재 위, 경도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10)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단말기(10)는 서로 다른 고유식별코드를 가지며, 상기 고유식별코드는 해당 단말기(10)가 가지는 고유 번호로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좌표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시간 정보는 단말기(10)간 무선통신이 시작된 시간일 수 있다.
사용자간 거리 정보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10)간 거리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간 거리는 단말기(10)간 무선통신이 시작된 순간에 단말기(10)간에 거리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10)간 거리 측정은 각각의 단말기(10) 위치 정보 모듈에 의해 측정된 좌표값을 토대로 연산되어 측정되거나, 공지된 별도 거리측정 수단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이를 구현해내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는 일정 주기, 예컨대, 5 내지 10초 단위로 데이터베이스(12)에 갱신되며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 및 접촉자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데이터베이스(12)의 제1 저장소(12a)에는 사용자 정보가 일정 주기마다 갱신 기록되며 저장될 수 있고, 제2 저장소(12b)에는 접촉자 정보가 일정 주기마다 갱신 기록되며 저장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는 중앙 통제시설 역할을 담당하며, 예컨대, 감염자가 발생하면, 이 감염자의 단말기(10)를 통제하여 단말기(10)에 기록된 사용자 정보, 접촉자 정보 등을 이용해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적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는 전염병 관리 국가관계부처, 예컨대 대한민국의 경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와 같은 국가시설에 의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 서버(20)는
단말기(10) 및 후술 될 감염판독부(3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1), 감염자에 해당하는 단말기(10)의 사용자 정보 및 접촉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감염자 DB(22), 접촉자에 해당하는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접촉자 DB(23), 상기 감염자 DB(22) 및 접촉자 DB(23)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자의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24), 상기 정보추출부(24)를 통해 추출된 사용자 정보에서 감염자 및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들의 고유식별코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가공부(25), 감염자 및 접촉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기초로, 감염자 및 접촉자의 과거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경로 생성부(26), 상기 이동 경로 생성부(26)에서 생성된 이동 경로 정보를 지도 정보와 맵핑해 저장하는 지도 정보 맵핑부(27), 감염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접촉자 정보를 추출해 감염자 DB(22)에 저장하며, 감염자 DB(22)의 접촉자 정보에서 접촉자를 추출해 접촉자 DB(23)에 저장하며, 감염자 DB(22) 및 접촉자 DB(23)에서 감염자와 접촉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 등을 추출해 감염자 및 접촉자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도록 이동 경로 생성부(26)를 제어하고, 이동 경로 정보를 지도 정보 맵핑부(27)로 하여금 지도 정보에 맵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8)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서버(20)는 감염자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12)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는 그룹핑부(2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그룹핑된 그룹에 상응하는 후조치를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류 기준은 감염자와 접촉된 접촉자 단말기(10) 중 감염자와 거리가 가까운 접촉자들부터 우선적으로 분류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사용자간 거리 정보를 토대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염자 단말기(10)와 반경 2미터 내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1 그룹(제1 단말기(10a),제2 단말기(10b), 제3 단말기(10c)), 2미터~4미터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2 그룹(제4 단말기(10d), 제5 단말기(10e), 제6 단말기(10f)), 4미터~6미터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3 그룹(제7 단말기(10g), 제8 단말기(10h), 제9 단말기(10i)) 등으로 접촉자가 그룹핑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전염병의 전염도, 전염병의 종류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분류 기준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들 토대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염자가 특정 지역을 방문하고, 그 이후 특정 지역에 방문한 사용자가 어느 시간대에 그 지역을 방문하였는지에 따라서도 접촉자가 그룹핑될 수 있다. 일례로, 감염자가 방문한 A 지역에 1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1 그룹, 1시간 이후~2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2 그룹, 2시간 이후~3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3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자 중 감염자가 될 확률이 높은 접촉자를 우선순위별로 그룹핑하여 추적, 관리, 통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20)는 각각의 그룹마다 적절한 후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1 그룹에게는 강제 격리 지시 또는 의료인 출동을 지시하고, 그보다 상대적으로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낮은 그룹에 대해서는 방역, 자가격리 요청 알림 등을 지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 모니터링 서버(20)로부터 감염자와 접촉자의 고유식별코드를 전달받으며 임이의 사용자 단말기(10)가 무선태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고유식별코드가 감염자 및 접촉자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독하여 무선태그된 단말기(10)의 사용자가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제공하는 감염판독부(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감염판독부(30)는 일반 사용자의 통행이 많은 지역, 예컨대, 지하철역, 공공시설 등에 설치되어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감염자 또는 잡촉자로 분류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축되는 시설물로서 예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공공시설 등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무선태그시 무선태그한 단말기(10) 사용자의 감염자 또는 접촉자 분류 여부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감염판독부(30)는 단말기(10)와 무선태그가 가능한 시설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태그는 전술한 무선통신기술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감염판독부(30)는 일례로, 모니터링 서버(20)와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1), 모니터링 서버(20)의 리스트가공부(25)로부터 고유식별코드 리스트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판독 DB(32), 단말기(10)가 태그되는 태그부(33), 상기 태그부(33)에 태그된 단말기(10)의 사용자 정보에서 고유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코드추출부(34), 상기 코드추출부(34)에 의해 추출된 고유식별코드를 판독 DB(32)에 저장된 고유식별코드 리스트에 매칭시키는 매칭부(35), 상기 매칭부(35)에서 고유식별코드의 매칭이 발생될 경우 알람부(37)를 통해 해당 사용자에게 접촉자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디스플레이부(38)를 통해 접촉자를 도시하는 판독모듈(36)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작용은 전술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을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는 단계(S10)가 이루어진다.
S10 단계에서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10)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가 일정 주기, 예컨대, 5 내지 10초마다 누적 갱신되어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될 수 있다.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하는 단계(S20)가 이루어진다.
S20 단계에서는 단말기(10)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10)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10)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접촉자 정보는 접촉자의 고유식별코드, 위치, 접촉한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의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2)에 일정 주기, 예컨대, 5 내지 10초마다 누적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염병으로 진단되면, 모니터링 서버(20)는 감염자의 단말기(10) 데이터베이스(12)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S30 단계에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가 특정되면 모니터링 서버(20)는 감염자 단말기(10)의 데이터베이스(12)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접촉자에게 후조치를 지시(S40)토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류 기준은 감염자와 접촉된 접촉자 중 감염자와 거리가 가까운 접촉자들부터 우선적으로 분류시키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사용자간 거리 정보를 토대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염자와 반경 2미터 내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1 그룹, 2미터~4미터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2 그룹, 4미터~6미터에서 접촉한 접촉자는 제3 그룹 등으로 접촉자가 그룹핑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기준은 전염병의 전염도, 전염병의 종류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분류 기준은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들 토대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감염자가 특정 지역을 방문하고, 그 이후 특정 지역에 방문한 사용자가 어느 시간대에 그 지역을 방문하였는지에 따라서도 접촉자가 그룹핑될 수 있다. 일례로, 감염자가 방문한 A 지역에 1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1 그룹, 1시간 이후~2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2 그룹, 2시간 이후~3시간 이내에 방문한 사람을 제3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자 중 감염자가 될 확률이 높은 접촉자를 우선순위별로 그룹핑하여 추적, 관리, 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 서버(20)는 각각의 그룹마다 적절한 후조치(S50)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제1 그룹에게는 강제 격리 지시 또는 의료인 출동을 지시하고, 그보다 상대적으로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낮은 그룹에 대해서는 방역, 자가격리 요청 알림 등을 지시할 수 있다.
S50 단계 이후 감염판독부(30)가 상기 모니터링 서버(20)로부터 감염자와 접촉자의 고유식별코드를 전달받으며 임이의 사용자 단말기(10)가 무선태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의 고유식별코드가 감염자 및 접촉자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독하여 무선태그된 단말기(10)의 사용자가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제공(S60)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감염판독부(30)는 일반 사용자의 통행이 많은 지역, 예컨대, 지하철역, 공공시설 등에 설치되어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감염자 또는 잡촉자로 분류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축되는 시설물로서 예시될 수 있다.
또한, 건물, 공공시설 등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무선태그시 무선태그한 단말기(10) 사용자의 감염자 또는 접촉자 분류 여부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출입을 통제하는 통제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들이 일정 반경 내 근거리로 접촉한 경우 단말기끼리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 시간, 사용자간 거리 등의 사용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해 저장하였다가, 전염병 환자가 발생한 경우 해당 감염자의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이 이루어진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의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하고, 이에 따라 긴급의료상황시 감염자는 물론이고, 그 접촉자들까지 효율적으로 추적, 관찰, 통제함으로써 전염병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단말기 20: 모니터링 서버

Claims (5)

  1. 개인 사용자에게 각각 제공되며,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말기; 및
    전염병이 진단된 감염자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여 추척 관리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감염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접촉자에게 후조치를 지시하며,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부터 감염자와 접촉자의 고유식별코드를 전달받으며 임이의 사용자 단말기가 무선태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식별코드가 감염자 및 접촉자의 고유식별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독하여 무선태그된 단말기의 사용자가 감염자 또는 접촉자로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제공하는 감염판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5. 청구항 1의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일정 주기마다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무선통신을 통해 일정 통신범위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받아 접촉자 정보로서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전염병으로 진단되면, 감염자의 단말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를 참조하여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 고유식별코드, 위치, 시간 및 사용자간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며,
    모니터링 서버는 감염자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접촉자 정보의 사용자간 거리를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접촉자를 그룹핑하고 각 그룹에 해당하는 접촉자에게 후조치를 지시하며,
    상기 후조치는 의료인 출동 지시, 접촉자의 위치에 대한 방역 지시, 자가격리 요청 알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통신범위 내에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 가능상태가 되면 사전 동의절차 없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20200037937A 2020-03-30 2020-03-30 전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239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37A KR102399702B1 (ko) 2020-03-30 2020-03-30 전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937A KR102399702B1 (ko) 2020-03-30 2020-03-30 전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457A true KR20200047457A (ko) 2020-05-07
KR102399702B1 KR102399702B1 (ko) 2022-05-19

Family

ID=7073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937A KR102399702B1 (ko) 2020-03-30 2020-03-30 전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702B1 (ko)

Cited B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0139A (zh) * 2020-05-26 2020-07-03 第四范式(北京)技术有限公司 传染病的溯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41928A (zh) * 2020-05-26 2020-09-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密切接触者的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CN111710424A (zh) * 2020-06-19 2020-09-25 浙江新芮信息科技有限公司 餐饮人员健康监测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70482A (zh) * 2020-06-12 2020-10-13 戴建荣 一种适用于智能设备的移动测距方法及应用
US20200348038A1 (en) 2019-07-12 2020-1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KR102192786B1 (ko) * 2020-05-20 2020-12-18 주식회사 클럽 감염확률 자동연산을 통한 감염병 역학조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8307B1 (ko) * 2020-07-07 2021-02-22 이원환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출입명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출입명부 서버
KR102226162B1 (ko) * 2020-09-04 2021-03-10 주식회사 첼리나홀딩스 초소형 방역청소용 전기차의 ai 관리 시스템
KR102231505B1 (ko) * 2020-06-19 2021-03-24 김인근 열차 역사 내 감염병 의심자의 격리 시스템
KR102232485B1 (ko) * 2020-07-13 2021-03-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2635073A (zh) * 2020-12-18 2021-04-09 四川省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密切接触者排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991190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JP6875594B1 (ja) * 2020-07-09 2021-05-26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接触トレースプログラム、及び接触トレース方法
KR102265617B1 (ko) * 2020-09-10 2021-06-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ctv 영상 분석을 통한 전염병에 대한 잠재적 확진자를 예측하는 방법
KR102283866B1 (ko) * 2020-11-25 2021-07-30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09400B1 (ko) * 2020-12-03 2021-10-06 김장욱 감염자 접촉 자가분석 시스템
US11164269B1 (en) 2020-06-25 2021-11-0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vel planning
WO2021225392A1 (ko) * 2020-05-08 2021-11-1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접촉 보안 추적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KR20210144304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티킷 코리아 컬쳐 게이트 제공을 위한 방문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WO2021240525A1 (en) * 2020-05-27 2021-12-02 Track160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lerting team sports players infection risk
CN113808757A (zh) * 2021-09-09 2021-12-17 济南浪潮智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传染病登记溯源系统
KR102340927B1 (ko) 2020-09-04 2021-12-17 주식회사 티킷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CN113820040A (zh) * 2020-06-1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基于空调器的体温检测方法与云服务器
WO2021262096A1 (en) * 2020-06-22 2021-12-30 Nervotec Pte Ltd. An intelligent networked system for proactively monitoring and predicting various parameters in a defined environment
KR102346081B1 (ko) * 2021-01-29 2022-01-03 주식회사 디사일로 특정인에 대한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20003431A (ko) * 2020-07-01 2022-01-10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사용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767A (ko) * 2020-07-02 2022-0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방문 이력 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352076B1 (ko) * 2021-06-18 2022-01-18 로젠 주식회사 전염병 관리 기능을 구비한 택배 영업 관리 시스템
JP2022016351A (ja) * 2020-07-09 2022-01-21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ホールディング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
WO2022025651A1 (ko) * 2020-07-29 2022-02-03 김동식 감염자 동선 추적을 위한 접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0088B1 (ko) 2021-04-22 2022-02-16 (주)플래닛나인 스몰셀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2-02-28 박영성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20220028441A (ko) * 2020-08-28 2022-03-08 도상현 Wifi ap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이용한 방역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11274842B2 (en) 2019-07-12 2022-03-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KR102344304B1 (ko) * 2020-11-16 2022-04-04 황정훈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및 집단 방역관리 시스템
WO2022073514A1 (zh) * 2020-10-10 2022-04-14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传染病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75672A1 (ko) * 2020-09-25 2022-04-14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통합관리 방법
KR20220048502A (ko) * 2020-10-12 2022-04-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수 암호 기술을 이용한 사생활 참해가 발생하지 않는 카드 결제 내역 기반 감염병 추적 방법
KR20220074495A (ko) 2020-11-27 2022-06-03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감염병 환자의 접촉자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11367534B2 (en) 2020-04-02 2022-06-2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gious disease risk management
CN114666438A (zh) * 2020-12-23 2022-06-24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数据接收端、蓝牙通信系统、介质及设备
US11394576B2 (en) 2017-04-13 2022-07-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Unifi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20220118110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WO2022081315A3 (en) * 2020-10-16 2022-09-01 Qualcomm Incorporated Wi-fi positioning based contact tracing
US11536476B2 (en) 2020-05-12 2022-12-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system with flexible facility operation
KR20230032453A (ko) * 2021-08-31 2023-03-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
US11681262B2 (en) 2017-04-13 2023-06-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pace and place utilization
US11706161B2 (en) 2017-04-13 2023-07-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system with space use case operation
US11714393B2 (en) 2019-07-12 2023-08-0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load curtailment optimization
US11729577B2 (en) 2021-07-08 2023-08-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geofenced configuration templates
US11761660B2 (en) 2019-01-30 2023-09-19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total energy flow compensation
US11783240B2 (en) 2020-04-02 2023-10-10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workspace assignment
US11927977B2 (en) 2009-06-22 2024-03-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mart building manager
US11960261B2 (en) 2019-07-12 2024-04-1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sustainability and emissions controls
CN114666438B (zh) * 2020-12-23 2024-05-31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数据接收端、蓝牙通信系统、介质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4808A (ja) * 2011-03-16 2012-10-11 Fujitsu Ltd 感染通知方法及び感染通知装置
KR20170102113A (ko) * 2016-02-29 2017-09-07 주식회사 랩피스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83122B1 (ko) 2019-06-28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4808A (ja) * 2011-03-16 2012-10-11 Fujitsu Ltd 感染通知方法及び感染通知装置
KR20170102113A (ko) * 2016-02-29 2017-09-07 주식회사 랩피스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83122B1 (ko) 2019-06-28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

Cited B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7977B2 (en) 2009-06-22 2024-03-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mart building manager
US11681262B2 (en) 2017-04-13 2023-06-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space and place utilization
US11706161B2 (en) 2017-04-13 2023-07-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system with space use case operation
US11394576B2 (en) 2017-04-13 2022-07-1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Unifi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761660B2 (en) 2019-01-30 2023-09-19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feedback and feedforward total energy flow compensation
US11269306B2 (en) 2019-07-12 2022-03-0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960261B2 (en) 2019-07-12 2024-04-1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with sustainability and emissions controls
US20200348038A1 (en) 2019-07-12 2020-11-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274842B2 (en) 2019-07-12 2022-03-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US11913655B2 (en) 2019-07-12 2024-02-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ventilation, filtration, and conditioning schemes for buildings
US11131473B2 (en) 2019-07-12 2021-09-2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VAC system design and operational tool for building infection control
US11714393B2 (en) 2019-07-12 2023-08-0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load curtailment optimization
US11367534B2 (en) 2020-04-02 2022-06-2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agious disease risk management
US11783240B2 (en) 2020-04-02 2023-10-10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workspace assignment
WO2021225392A1 (ko) * 2020-05-08 2021-11-11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컬 접촉 보안 추적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US11536476B2 (en) 2020-05-12 2022-12-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system with flexible facility operation
KR102192786B1 (ko) * 2020-05-20 2020-12-18 주식회사 클럽 감염확률 자동연산을 통한 감염병 역학조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4304A (ko)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티킷 코리아 컬쳐 게이트 제공을 위한 방문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방문자 확인 방법
CN111641928A (zh) * 2020-05-26 2020-09-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确定密切接触者的方法、终端设备及服务器
CN111370139A (zh) * 2020-05-26 2020-07-03 第四范式(北京)技术有限公司 传染病的溯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1240525A1 (en) * 2020-05-27 2021-12-02 Track160 Lt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lerting team sports players infection risk
CN111770482A (zh) * 2020-06-12 2020-10-13 戴建荣 一种适用于智能设备的移动测距方法及应用
KR102231505B1 (ko) * 2020-06-19 2021-03-24 김인근 열차 역사 내 감염병 의심자의 격리 시스템
CN113820040A (zh) * 2020-06-19 2021-12-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基于空调器的体温检测方法与云服务器
CN113820040B (zh) * 2020-06-19 2023-12-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基于空调器的体温检测方法与云服务器
CN111710424A (zh) * 2020-06-19 2020-09-25 浙江新芮信息科技有限公司 餐饮人员健康监测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1262096A1 (en) * 2020-06-22 2021-12-30 Nervotec Pte Ltd. An intelligent networked system for proactively monitoring and predicting various parameters in a defined environment
US11164269B1 (en) 2020-06-25 2021-11-02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vel planning
US11276024B2 (en) 2020-06-25 2022-03-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trusted service provider network
KR20220003431A (ko) * 2020-07-01 2022-01-10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사용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03767A (ko) * 2020-07-02 2022-0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방문 이력 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18307B1 (ko) * 2020-07-07 2021-02-22 이원환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한 전자출입명부를 관리하는 방법 및 전자출입명부 서버
JP2022019958A (ja) * 2020-07-09 2022-01-27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ホールディング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
JP2022019959A (ja) * 2020-07-09 2022-01-27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ホールディング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
JP2022016351A (ja) * 2020-07-09 2022-01-21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ホールディング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
JP2022016258A (ja) * 2020-07-09 2022-01-21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ホールディング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接触トレースプログラム、及び接触トレース方法
JP6875594B1 (ja) * 2020-07-09 2021-05-26 株式会社シグマクシス 感染症対策システム、接触トレースプログラム、及び接触トレース方法
US11895560B2 (en) 2020-07-13 2024-02-06 Research & Business Found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Distributed type traffic line tr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32485B1 (ko) * 2020-07-13 2021-03-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11574514B2 (en) 2020-07-20 2023-02-0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91190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14737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14738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22025651A1 (ko) * 2020-07-29 2022-02-03 김동식 감염자 동선 추적을 위한 접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2-02-28 박영성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20220028441A (ko) * 2020-08-28 2022-03-08 도상현 Wifi ap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이용한 방역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340927B1 (ko) 2020-09-04 2021-12-17 주식회사 티킷 비대면 티켓 구매 및 방문자 전자 출입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226162B1 (ko) * 2020-09-04 2021-03-10 주식회사 첼리나홀딩스 초소형 방역청소용 전기차의 ai 관리 시스템
KR102265617B1 (ko) * 2020-09-10 2021-06-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Cctv 영상 분석을 통한 전염병에 대한 잠재적 확진자를 예측하는 방법
WO2022075672A1 (ko) * 2020-09-25 2022-04-14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통합관리 방법
WO2022073514A1 (zh) * 2020-10-10 2022-04-14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传染病追踪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48502A (ko) * 2020-10-12 2022-04-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함수 암호 기술을 이용한 사생활 참해가 발생하지 않는 카드 결제 내역 기반 감염병 추적 방법
WO2022081315A3 (en) * 2020-10-16 2022-09-01 Qualcomm Incorporated Wi-fi positioning based contact tracing
KR102344304B1 (ko) * 2020-11-16 2022-04-04 황정훈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 및 집단 방역관리 시스템
KR102283866B1 (ko) * 2020-11-25 2021-07-30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74495A (ko) 2020-11-27 2022-06-03 (주)피플앤드테크놀러지 감염병 환자의 접촉자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2309400B1 (ko) * 2020-12-03 2021-10-06 김장욱 감염자 접촉 자가분석 시스템
CN112635073A (zh) * 2020-12-18 2021-04-09 四川省疾病预防控制中心 一种密切接触者排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4666438A (zh) * 2020-12-23 2022-06-24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数据接收端、蓝牙通信系统、介质及设备
CN114666438B (zh) * 2020-12-23 2024-05-31 医渡云(北京)技术有限公司 蓝牙通信方法、数据接收端、蓝牙通信系统、介质及设备
KR102346081B1 (ko) * 2021-01-29 2022-01-03 주식회사 디사일로 특정인에 대한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22163991A1 (ko) * 2021-01-29 2022-08-04 주식회사 디사일로 특정인에 대한 근접성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명령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220118110A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아이리시스 격리자 관리용 생체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KR102360088B1 (ko) 2021-04-22 2022-02-16 (주)플래닛나인 스몰셀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2352076B1 (ko) * 2021-06-18 2022-01-18 로젠 주식회사 전염병 관리 기능을 구비한 택배 영업 관리 시스템
US11729577B2 (en) 2021-07-08 2023-08-15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geofenced configuration templates
KR20230032453A (ko) * 2021-08-31 2023-03-0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
CN113808757A (zh) * 2021-09-09 2021-12-17 济南浪潮智投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传染病登记溯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702B1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7457A (ko)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101873847B1 (ko)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522342B2 (ja) 照明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緊急対応及びトラッキング
US20160110833A1 (en) Occupancy Indicator
CN111629340B (zh) 一种可保护隐私的人员接触状况追踪方法和系统
US20110068892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110201270A1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Near-Field Communication Devices
US20210374891A1 (en) Network tracking and enforcement of social distancing protocols
KR102188124B1 (ko) 열화상 카메라 및 와이파이 기반의 질병 관리 역학 조사 관제 시스템
CN111627549A (zh) 一种用于感染性疾病调查的辅助系统
KR20170124822A (ko) 가축의 코 속에 삽입되는 바이오센서를 통해 가축의 건강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시스템
CN201716744U (zh) 基于rfid技术的移动目标远程监管系统
Zhao et al. Cyber-physical spatial temporal analytics for digital twin-enabled smart contact tracing
US20220270765A1 (en) Ai movement-tracing apparatus of infected asymptomatic peopl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625907B1 (ko) 어린이 안심 등하원 관리 및 알림 관제 방법
Garcia-Requejo et al. Activity monitoring and location sensory system for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Lubis Proximity-based COVID-19 contact tracing system devices for locally problems solution
CN211699729U (zh) 实时采集人体健康数据系统
JP6220816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80018218A (ko) 방문 요양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 Miguel-Bilbao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indoor location technologies for monitoring of elderly
WO2022056383A1 (en) Methods and software for contact tracing and exposure-event suppression using indoor positioning
Shrestha et al. A Bluetooth-based contact-tracing mobile app for airborne-based epidemic control
KR102061339B1 (ko) 생체 삽입형 식별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별 시스템
KR100823740B1 (ko) 치매 환자 배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