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2113A -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2113A
KR20170102113A KR1020160024380A KR20160024380A KR20170102113A KR 20170102113 A KR20170102113 A KR 20170102113A KR 1020160024380 A KR1020160024380 A KR 1020160024380A KR 20160024380 A KR20160024380 A KR 20160024380A KR 20170102113 A KR20170102113 A KR 2017010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679B1 (ko
Inventor
이정민
한신동
최찬석
이동훈
민웅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랩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랩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랩피스
Priority to KR102016002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6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인식장치; 및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Disease Suspic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폰 Wi-Fi 정보 센싱과 비디오 분석기술(특히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질병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병원 방문자에 대한 추적이 필요한 경우 병원과 대중교통 경로를 이용한 질병 노출 의심자를 추적하고 모니터링 하도록 구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은, 일반적으로 환자에 대한 상세한 개인 정보는 보유하고 있지만, 방문객에 대해서는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기 때문에 환자를 방문한 방문객을 추적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기존의 음성통화 중심의 휴대전화기능에 통신기능뿐 아니라 본격적인 네트워크 기능과 개인용 휴대단말기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가진 스케줄기능, 개인정보관리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말한다. 2007년 애플사에서 터치스크린을 탑재하고 혁신적인 UI(User Interface)를 채용한 '아이폰(iPhone)'을 출시한 이후, 스마트폰이 기존의 피처폰(Feature phone)을 아주 빠르게 대체해 나가고 있으며,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단말기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범용 OS를 탑재하여 애플의 앱스토어(App Store), 구글의 구글 플레이(Google play) 등과 같은 개방형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 영역을 창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은 GPS, Wi Fi, 혹은 이동통신사 기지국 기반으로 현재 자신의 위치 감지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개인 식별이나 사용자 인증, 개인 정보보호를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학생증 등 사진이나 카드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식별도구들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별수단들은 식별하고자 하는 개인이 휴대하지 않은 경우 신원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본인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때로는 식별도구의 소유자와 실제 소유자가 같지 않은 경우에도 인증이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등의 생체 인식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생체인식 기술 중에서 도 얼굴인식 기술은 다른 생체정보에 비해 사용자에 대한 강제성이 적으며, 비 접촉식으로 거부감이 덜하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5452호(2005.12.07.)는 길을 찾아 가는 휴대폰 소지자 A가 만나기로 약속한 휴대폰 소지자 B에게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를 이용하여 만날 장소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행위를 하고, 이에 따라 휴대폰 소지자 B가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휴대폰을 이용한 위치 정보 및 길 안내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길을 찾아 가는 휴대폰 소지자 A가 만나기로 약속한 휴대폰 소지자 B의 휴대폰 번호에 특수 문자나 기호를 첨부한 번호를 수신번호로 하는 SMS를 전송하는 단계; 이에 따라 전송된 SMS를 SMSC(문자 메시지 전송 센터)가 발신번호와 수신번호 정보와 함께 접수하고, 수신번호에 첨부된 특수 문자나 기호를 인지하여 본 서비스용의 SMS로 판단하는 단계; 이에 따라 SMSC는 접수된 SMS에 길 안내 서비스 서버 측의 정보 입력 난을 전송받을 수 있는 URL #1을 첨부하여 수신번호 휴대폰 측으로 call back SMS를 전송하는 단계; 이에 따라, SMS를 수신한 수신번호 휴대폰 소지자가 이에 동의할 시엔 휴대폰 화면상의 연결하기를 선택하여서 SMS 수신 휴대폰이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길 안내 서비스 서버 측에 접속되어 정보 입력 난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이에 따라, SMS 수신자가 자신의 휴대폰 화면상의 정보 입력 난에 약속 장소의 위치 정보와 약속 장소의 특징 정보 등을 입력하여 길 안내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에 따라, 길 안내 서비스 서버는 SMS 수신자가 전송한 약속 장소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도 DB에서 주소에 해당되는 지역의 지도 정보를 축출하고, 축출된 지도정보를 약속 장소의 주소와 특징이 표현된 SMS에 첨부하고(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한 길 안내 정보를 전송 받기 위한 URL #2를 지도정보에 첨부하여서 길을 찾아오고자 하는 자의 휴대폰 측으로 call back MMS를 전송하거나, 또는 만약 길을 찾아오는 자의 휴대폰이 MMS를 수신할 수 없는 휴대폰인 경우에는, 길 안내 서비스 서버가 주소에 해당되는 지도 정보를 웹상의 서버에 올린 후에 지도 정보가 저장된 곳의 URL #1을 주소 정보와 약속 장소의 특징을 표현하는 SMS에 첨부하고, 또한 길 안내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는 URL #2를 첨부하여서 위치 정보를 요청한 휴대폰(SMS 발신 휴대폰) 측으로 call back SMS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이를 수신한 위치 정보를 요청한 자(길을 찾아가는 자)의 휴대폰이 URL #1에 접속하여서 지도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이에 따라, SMS 발신자(위치정보 요청 자) 휴대폰 화면에 찾아갈 장소의 지도가 표현되고, 이를 이용하여 SMS 발신자(위치정보 요청 자)가 약속 장소까지 찾아 가는 단계; 만약 지도가 표현된 휴대폰 화면에서 "길 안내---연결하기"를 선택하면, 위치 정보를 요청한 휴대폰(SMS 발신 휴대폰)이 URL #2측으로 다시 접속되어서 정보 입력 난이 전송되어 휴대폰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이에 따라, 상기의 길 안내---연결하기를 선택한 휴대폰이 휴대폰 화면상의 정보 입력 난에서 사용할 교통수단과 출발 위치를 입력하여 길 안내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에 따라, 길 안내 서비스 서버는 접속자의 URL #2 정보를 이용하여 URL #2가 어떤 지도 정보에 첨부되어 전송되었는지에 대한 자신의 "휴대폰번호-목적지-URL#2" DB를 이용하여서 접속자가 찾아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축출하고, 이어서 접속자가 입력한 출발지 정보와 사용할 교통수단 정보를 이용하고, 또한 자신이 갖고 있는 대중교통망 정보와 도로망 정보를 이용하고, 또한 대중교통 길 안내 수단(프로그램)과 네비게이션 수단(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위치 요청 자가 출발할 위치를 출발지로 하고, 또한 목적지 위치를 목적지로 하여 선택된 교통수단에 맞는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이에 따라, 만약 대중교통 수단을 선택한 경우에는, 위치 요청 자가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대중교통 이용 방법을 SMS형태로 전송하고, 만약 상기에서 자가용을 교통수단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자동차 길 안내 정보를 SMS 형태로 전송하는 단계; 필요시엔 이동 통신사측은 위치 요청자의 이동 도중의 위치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종래의 위치 추적 방법으로 위치 추적하여서 출발지에서 출발하여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SMS 형태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길을 찾아 가는 휴대폰 소지자 A가 만나기로 약속한 휴대폰 소지자 B에게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를 이용하여 만날 장소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행위를 하고, 이에 따라 휴대폰 소지자 B가 자신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휴대폰 소지자 A가 약속 장소 측으로 찾아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01418호(2008.11.21.)는 대중교통 차량 내에 설치된 CCTV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분석하거나 차량 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 내의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승객 탑승, 사고, 돌발 상황 등을 중앙관제소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해주며, CCTV를 통해 촬영되는 모든 영상을 저장할 필요없이 특정 이벤트 시의 사진 몇 장만 찍어 중앙관제소에 전송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무선 전송이 용이해지며 관리자 입장에서도 체크해야할 데이터량이 줄어들어 관리가 용이해지는 대중교통 CCTV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이동통신망; 차량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CCTV; CCTV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와,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특정 이벤트에 해당되는 영상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이벤트 감지부에서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차량 ID, 시간 정보, 위치 정보, 영상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상황 정보 생성부와, 차량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차량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탐지 센서의 구축비용이 상당히 소요되기 때문에 쉽게 구축할 수 없었으며,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스마트폰을 소지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별도의 APP 과 같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는 추적 및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염병 발병 시간대를 기준으로 동 시간대, 동 기간 대 내원한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전체에 대한 추적이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버스,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의 데이터와 연동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아니하여 시계열적 분석이 쉽지 않아 직관적인 추적이 힘들었으며, 특정 질병의심자에 대한 시계열 동선을 기반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동선 추적 및 미래에 대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545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01418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와 비디오 분석기술(특히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질병 의심자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도록 구현한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Wi-Fi 시그널을 탐지하고, Wi-Fi가 갖고 있는 중복되지 아니하는 맥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주변에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알림신호를 수신 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인식장치; 및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 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질병의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와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단말기인식부;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단말기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단말기식별정보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알람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기인식부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 영상정보 및 시간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치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판독하여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이동경로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이동경로정보를 기초로 예상경로를 추정하며, 추정경로에 있는 설치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인식장치로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가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단계; 인식장치가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장치가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 Wi-Fi 탐지 센서와 비디오 분석기술(특히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한 질병 의심자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스마트폰을 소지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별도의 APP 과 같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추적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염병 발병 시간대를 기준으로 동 시간대, 동 기간 대 내원한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전체에 대한 추적이 용이해지며, 특정 질병의심자에 대한 시계열 동선을 기반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동선 추적 및 미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개인차량이나 택시와 같은 1:1 운송 수단이 아닌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규모 대중운송 수단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이기 때문에 동시간대 같은 노선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민에게 빠르게 정보를 전파하고 자발적인 신고를 유도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주요 대중교통 정거장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인식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00), 다수 개의 인식장치(200) 및 모니터링서버(3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또는 통신모듈을 장착한 MP3 등)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00)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단말기데이터베이스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저장해 두기 위한 안면인식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장치(200)는,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인식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확보한 영상정보를 모니터링서버(300)로 전송하며, 모니터링서버(300)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알림신호를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각 대중교통탑승지역(예를 들어, 지하철 입구, 버스정류장 등)에 각각 설치되어, 병원 방문 후 방문객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하여 지하철 또는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대중교통 시설에서 승객들의 Wi-Fi 정보를 센싱하여 생성된 정보를 후술할 시간정보와 함께 기록합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대중교통탑승지역뿐만 아니라, 질병의심자가 방문했던 병원에도 설치되어, 질병의심자가 방문했던 병원으로 하여금 해당 질병의심자의 식별정보(즉,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단말기인식부(210), 카메라부(220), 송수신부(230) 및 알림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를 참조).
단말기인식부(210)는,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며, 해당 인식한 단말기식별정보를 송수신부(2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인식부(210)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인식부(210)는, Wi-Fi 스캐너를 통해 사용자단말기의 Wi-Fi 모듈의 꺼져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를 스캔할 수 있다. 이때, 활용하는 주요 기술은, W-ACS로서, 모바일폰에 내장 되어 있는 Wi-Fi 모듈에서 발생되는 시그널을 탐지하는 기술로서, Wi-Fi 모듈이 갖고 있는 고유의 식별 ID인 MAC Address 인식하는 기술이며, Wi-Fi 모듈의 스위치가 꺼진 상태에서 Wi-Fi 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주요 기능은, 최대 반경 100미터 이내 순간 체류 유동 인구를 분석하며, MAC Address 분석을 통한 재방문율을 부석할 수 있으며, 체류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인식부(210)에서 인식한 MAC Address는, 단방향 익명화 처리 후 암호화 하여 저장함으로써, 익명화된 데이터를 원래의 맥어드레스로 복구가 불가능하며, 익명화된 정보를 다른 개인정보와 연계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없음으로 개인정보보호에 위배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인식부(210)는, 기존의 기술은 Wi-Fi 신호의 강약을 통한 방식으로 반드시 Wi-Fi가 켜져 있어야 하는 반면, Wi-Fi가 꺼져 있는 경우에도 높은 탐지력과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표 1은, 단말기인식부(210)가 탐지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pat00001
카메라부(220)는,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며, 해당 확보한 영상정보를 송수신부(2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부(22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는, 모니터링서버(300)에서 안면인식정보로 추출됨으로써, "얼굴인식", "동일인 판별"과 같은 비교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 레벨이 아닌,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별과 연령을 추정하는 것으로써, 성별-연령 추정을 위한 유효 이미지 데이터 확보가 높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며, 해당 얼굴 인식 기술은 바이오매트릭스는 물론 모든 IT 기술 중 유일하게 성별과 연령을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송수신부(230)는, 단말기인식부(210)로부터 전달받은 단말기식별정보 및 카메라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모니터링서버(300)로 송신하며, 모니터링서버(300)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알림신호를 알림부(240)로 전달한다.
알림부(240)는, 송수신부(230)로부터 알람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알림신호를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이외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주위의 행인들로 하여금 주위에 질병의심자가 있음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단말기인식부(210)가 지하철역에 178개(역사당 2개ㅧ89개역), 종합병원 60개(종합병원 당 약 5개ㅧ12개원), 버스정류장 종합병원 최근접 정거장만 계산시 12개 내지 24개가 소요되면 총 262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20)를 영상분석용 시스템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며, 약 20개 신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단말기인식부(210) 및 카메라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비디오 서머라이제이션(SMART playback) SW를 확용하며, 센서 데이터 분석 SW를 활용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300)는, 인식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알림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알림신호를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송신한 인식장치(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질병의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와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모니터링서버(300)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시간정보(즉, 질병의심자가 해당 인식장치(200)에 체류하였던 시간)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인식장치(200)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 영상정보 및 시간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모니터링서버(300)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00)는, 인식장치(200) 관련 정보(예를 들어, 장치식별정보, 설치위치정보, 관리정보 등)를 장치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치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판독하여 이동경로(즉, 질병의심자의 단말기가 이동한 인식장치(200) 간의 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이동경로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이동경로정보를 기초로 예상경로(즉, 질병의심자의 단말기가 차후에 이동할 인식장치(200)로의 경로)를 추정하며, 추정경로에 있는 설치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인식장치(200)로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서버(300)는, 대중교통관제센터로부터 대중교통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인식장치(200)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을 시에, 해당 수신받은 단말기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단말기의 시간별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해당 단말기의 이동방향을 계산함으로써 이동방위각을 추출하며, 해당 추출한 이동방위각을 토대로 다음 각도(즉, 해당 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곳으로부터 차후에 이동할 곳으로의 이동각도)를 예상하며, 해당 예상을 토대로 질병의심자가 이동할 다음 장소에 있는 인식장치(200)로 알람신호를 생성시켜 송신하며, 해당 알람신호를 수신받은 인식장치(200)로 하여금 근처에 있는 행인들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인식장치(200) 근처에 있는 행인들로 하여금 질병의심자가 근처로 지나감을 예상하도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단말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는, 추적하고자 하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입력받으며, 해당 입력받은 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질병의심자에 따른 추적요청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추적요청신호를 모니터링서버(300)로 송신하며, 모니터링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탐지완료신호로부터 인식장치(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관리자에게 추적을 요청한 질병의심자가 위치한 장소를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액정 또는 기타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해줌으로써 구체적인 현재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니터링서버(300)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추적요청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추적요청신호의 안면인식정보로부터 영상정보를 복원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추적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인식장치(200)로 송신하며, 인식장치(200)로부터 탐지완료신호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탐지완료신호를 관리자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200)는, 모니터링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추적요청신호에서 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영상정보를 확인하며,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인식한 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카메라를 통해 확보한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와 일치할 시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탐지완료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탐지완료신호를 모니터링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특정 질병의심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한 경로를 빠르게 추적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간대와 경로를 대중에게 빠르게 안내하여 동 시간대에 동일한 대중교통을 이용한 사람들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제 동일한 대중교통을 이용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보건소 등으로 동일한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어 신고를 한 사람들의 스마트폰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질병의심자가 이용한 시간대와 자동으로 대조를 함과 동시에 대중교통 운행정보와 매칭하여 신속하게 대조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질병의심자가 특정지역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한 후, 재난비상망 또는 재난문자를 통해 해당 시간대 대중교통 정보를 빠르게 공지하여 신속하게 동 시간대 동일한 운송수단 이용 추정자를 빠르게 식별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와 비디오 분석기술(특히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질병 의심자를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스마트폰을 소지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별도의 APP 과 같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설치 없이 추적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염병 발병 시간대를 기준으로 동 시간대, 동 기간대 내원한 방문객, 환자, 병원 관계자 등 전체에 대한 추적이 용이해지며, 특정 질병의심자에 대한 시계열 동선을 기반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한 동선 추적 및 미래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개인차량이나 택시와 같은 1:1 운송 수단이 아닌 버스, 지하철과 같은 대규모 대중운송 수단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이기 때문에 동시간대 같은 노선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시민에게 빠르게 정보를 전파하고 자발적인 신고를 유도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주요 대중교통 정거장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데이터베이스(100)가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S210).
인식장치(200)가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한다(S220).
모니터링서버(300)가 인식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데이터베이스(10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인식장치(200)로 전송한다(S230).
인식장치(200)가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로 전송한다(S24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데이터베이스
200-1 ~ 200-N: 인식장치
210: 단말기인식부
220: 카메라부
230: 송수신부
240: 알림부
300: 모니터링서버

Claims (10)

  1.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며,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인식장치; 및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모니터링서버를 포함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으며, 질병의심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안면인식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와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단말기인식부;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단말기인식부로부터 전달받은 단말기식별정보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를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알람신호를 전달받아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인식부는,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가 접근할 시에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동시켜준 후에, 연동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 영상정보 및 시간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는,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할 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설치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고, 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 및 시간정보를 판독하여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이동경로에 대응하는 이동경로정보를 생성하여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단말기식별정보별로 이동경로정보를 판독하여 해당 판독한 이동경로정보를 기초로 예상경로를 추정하며, 추정경로에 있는 설치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설치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인식장치로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10. 데이터베이스가 질병의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식별정보 및 질병의심자의 안면인식정보를 단말기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단계;
    인식장치가 주변에 있는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카메라를 통해 단말기의 사용자 안면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여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모니터링서버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식별정보 및 영상정보를 수신받아 영상정보에서 안면인식정보를 추출하며, 단말기식별정보 및 안면인식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인식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장치가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24380A 2016-02-29 2016-02-29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8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380A KR101784679B1 (ko) 2016-02-29 2016-02-29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380A KR101784679B1 (ko) 2016-02-29 2016-02-29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113A true KR20170102113A (ko) 2017-09-07
KR101784679B1 KR101784679B1 (ko) 2017-10-23

Family

ID=5992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380A KR101784679B1 (ko) 2016-02-29 2016-02-29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67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300A (ja) * 2017-11-15 2019-06-1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行程危険度判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3681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KR20200047457A (ko) *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KR20200098289A (ko) * 2019-02-12 2020-08-20 이재용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124B1 (ko) * 2020-06-18 2020-12-07 주식회사 이엠웨이브 열화상 카메라 및 와이파이 기반의 질병 관리 역학 조사 관제 시스템
KR102246925B1 (ko) *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210107556A (ko) * 2020-02-24 2021-09-01 김현수 영상기반 얼굴 인식, 건강 체크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10119881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단말, 그리고 감염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1211226A1 (en) * 2020-04-14 2021-10-2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Face clustering in video streams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2-02-28 박영성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20220045748A (ko) * 2020-10-06 2022-04-13 (주)성민네트웍스 병원 관리 시스템
KR102422695B1 (ko) * 2021-04-27 2022-07-19 주식회사 핫텍 체온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푸쉬알림 서비스 방법
KR20230040640A (ko) * 2021-09-16 2023-03-23 (주)퀀텀봇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27B1 (ko) 2020-04-06 2020-10-19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4736B2 (ja) * 2009-09-24 2013-06-05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感染症患者行動履歴収集・分析システム
JP5339476B2 (ja) * 2011-05-09 2013-11-13 九州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発熱者追跡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1300A (ja) * 2017-11-15 2019-06-1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行程危険度判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136815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에스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감염의심자의 동선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동선 분석 방법
KR20200098289A (ko) * 2019-02-12 2020-08-20 이재용 긴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7556A (ko) * 2020-02-24 2021-09-01 김현수 영상기반 얼굴 인식, 건강 체크 및 위치 추적 시스템
KR20210119881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단말, 그리고 감염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7457A (ko) *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WO2021211226A1 (en) * 2020-04-14 2021-10-21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Face clustering in video streams
KR102188124B1 (ko) * 2020-06-18 2020-12-07 주식회사 이엠웨이브 열화상 카메라 및 와이파이 기반의 질병 관리 역학 조사 관제 시스템
KR102246925B1 (ko) * 2020-07-30 2021-04-30 주식회사 제이브이지 통합 버스 정보 및 질병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2-02-28 박영성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20220045748A (ko) * 2020-10-06 2022-04-13 (주)성민네트웍스 병원 관리 시스템
KR102422695B1 (ko) * 2021-04-27 2022-07-19 주식회사 핫텍 체온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푸쉬알림 서비스 방법
KR20230040640A (ko) * 2021-09-16 2023-03-23 (주)퀀텀봇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679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79B1 (ko)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10171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US107156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US20170300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US8125530B2 (en)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program
US20160379141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Chon et al. Sensing WiFi packets in the air: Practicality and implications in urban mobility monitoring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US11587417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KR101015616B1 (ko)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073768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close proximity of two or more persons
US20150294298A1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using geotagging and mobile devices
CN103034668A (zh) 事故信息整合及管理系统及其事故信息整合及管理方法
KR101981900B1 (ko)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126912A (ja) 情報処理装置、通信端末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11895560B2 (en) Distributed type traffic line tr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EP3451713B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hared journey
US117066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unter identity verification
US113370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stem equipment diagnosis
KR20170096505A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4999222B (zh) 异常举动通知装置、通知系统、通知方法以及记录介质
CN109819207B (zh) 目标查找方法及相关设备
CN109688378B (zh) 图像信息处理方法、交通工具、服务器及存储设备
KR102648871B1 (ko) 위치 트래커의 악용을 탐지하여 차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30386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private, and automated detection and reporting of domestic ab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