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490A -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490A
KR20220022490A KR1020200102968A KR20200102968A KR20220022490A KR 20220022490 A KR20220022490 A KR 20220022490A KR 1020200102968 A KR1020200102968 A KR 1020200102968A KR 20200102968 A KR20200102968 A KR 20200102968A KR 20220022490 A KR20220022490 A KR 20220022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module
alarm
quarantine
ko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성
허유정
이수중
Original Assignee
박영성
허유정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성, 허유정,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성
Priority to KR102020010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490A/ko
Publication of KR20220022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의 장기화에 따른 집단의 모임을 집단 스스로 방역 관리하도록 집단의 모임 행사를 기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관리토록 하되, 모임에 입장하는 사람들의 방역관련 정보를 수집 기록관리하고, 모임 행사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모임을 갖는 사람들 스스로는 물론 행사주최측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안전하게 방역을 유지할 수 있는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출입자가 행사장 출입조건에 맞는지 발열 및 마스크착용을 확인하여 감염자의 차단 및 전파를 막고, 향후 감염사고 발생시 출입 기록을 확인하여 신속한 역학조사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 체온측정, 카메라 촬영, 출입 주적합자에 대한 경보음 출력 및 출입 게이트에 대한 오픈/클로즈 신호 발생, 출입자에 대한 화면 안내, 출입자 및 출입 거부자에 대한 신원 확인 데이터 및 카메라 촬영 데이터를 통합관제 서버로 무선전송 등을 수행하는 출입관리장치(100); 행사중 출입자 각각에게 교부되는 것으로, 사람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접근하면 알람을 발생하여 스스로 서로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알람이 반복되면 해당 알람이 반복되는 출입자 정보를 통합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거리두기의 위반을 기록함으로써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토록하여, 행사 개최자 스스로 조심토록하기 위한 복수의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 및 상기 출입관리장치(100)와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기록 관리하여 논리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토록하며, 빅데이터(BigData)화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건복지부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감염자 또는 격리자 데이터를 받아 출입관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입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KOREA Defense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K방역 인증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의 장기화에 따른 집단의 모임을 집단 스스로 방역 관리하도록 집단의 모임 행사를 기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관리토록 하되, 모임에 입장하는 사람들의 방역관련 정보를 수집 기록관리하고, 모임 행사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안전하게 방역을 유지할 수 있는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은 질병 중 전염의 가능성이 있는 질병들을 말하는데, 이러한 전염병은 특정 병원체나 병원체의 독성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 감염된 사람으로부터 감수성이 있는 숙주(사람)에게 감염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러한 전염병의 전파 방법은 사람간 접촉, 식품이나 식수, 곤충 매개,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 등에 의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팬더믹(전세계 대유행) 신종 인플루엔자, H5N1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메르스 등과 같은 전파력 또는 병원성이 높은 신·변종 호흡기 감염 질환의 발생빈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21세기 최초의 신종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병은 병원체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 호흡과 함께 인체에 침투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는 치사율이 높으면서 전염력도 높은 악성변종의 출현가능성이 있으며, 변이가 심하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또한, 최근 전세계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가 대유행중인 상황에서 이례없는 확진자수를 기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2020년 1~2월 기점으로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3-4월에 증가추세에 있다가 국가의 적극적인 관리에 의해 많이 줄어들고 있으나, 7월말에서 8월초에 방문판매모임이나 교회나 경로잔치 등의 소모임을 통해 다시 확산하려는 조짐이 보이고 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확산 방지 대책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전염병이 쉽게 확산되는 이유로는, 전염병 증세가 일반적인 감기 증상과 매우 유사하여, 전염된 사람들이 해당 전염병에 전염된 줄 인지하지 못한 채, 일상생활을 지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의 감염률이 현저하게 높다.
따라서,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해서는, 감염자 자체의 방역은 물론이고 해당 감염자와 접촉한 접촉자들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접촉자들에 대한 방역 조치가 이루어짐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전염병 역학조사의 경우, 접촉자를 추적하기 위해 통상 감염자의 이동경로에 포함된 CCTV를 분석하거나, 감염자의 신용카드 결제정보 등을 조회해 감염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이동 경로상에 있었던 접촉자를 일일이 찾아내는 방법으로 접촉자를 추적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접촉자를 추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최근들어 식당 등에서 스마트폰의 QR코드를 통한 본인확인 후 입장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신원확인만 정확할 뿐 보다 다양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할 것이고,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02113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47457호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2359호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314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로나의 장기화에 따른 집단의 모임을 집단 스스로 방역 관리하도록 집단의 모임 행사를 기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여 관리토록 하되, 모임에 입장하는 사람들의 방역관련 정보를 수집 기록관리하고, 모임 행사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모임을 갖는 사람들 스스로는 물론 행사주최측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안전하게 방역을 유지할 수 있는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자가 행사장 출입조건에 맞는지 발열 및 마스크착용을 확인하여 감염자의 차단 및 전파를 막고, 향후 감염사고 발생시 출입 기록을 확인하여 신속한 역학조사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 체온측정, 카메라 촬영, 출입 주적합자에 대한 경보음 출력 및 출입 게이트에 대한 오픈/클로즈 신호 발생, 출입자에 대한 화면 안내, 출입자 및 출입 거부자에 대한 신원 확인 데이터 및 카메라 촬영 데이터를 통합관제 서버로 무선전송 등을 수행하는 출입관리장치(100); 행사중 출입자 각각에게 교부되는 것으로, 사람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접근하면 알람을 발생하여 스스로 서로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알람이 반복되면 해당 알람이 반복되는 출입자 정보를 통합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거리두기의 위반을 기록함으로써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토록하여, 행사 개최자 스스로 조심토록하기 위한 복수의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 및 상기 출입관리장치(100)와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기록 관리하여 논리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토록하며, 빅데이터(BigData)화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질병을 통합관제하는 통합관제선터의 서버로부터 감염자 또는 격리자 데이터를 받아 출입관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입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은, 행사장에 설치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물체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여 분석하기 위한 검색조건과, 딥러닝 및 인공지능 데이터가 축적되어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행사장이나 출입장소 내부에서 출입자를 촬영하여 마스크 착용 여부와 출입자의 거리두기 위한 여부를 분석에 이용되는 지능형 CCTV(400, 4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은, 공간방역 인증기능과 이에 대한 방역여부에 따라 행사장의 출입가능여부에 대한 인증을 발부하거나 회수하는 기능이 작동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위반 사항이 발생되면 더 이상의 출입이 금지되도록 하고 해당 행사장을 폐쇄할 수 있도록 인증관리 장치(500)가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출입관리 장치(10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모듈(110)과, 사람의 얼굴을 추적하여 상기 체온측정모듈(110)의 정확한 측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120)과, 알람경보음의 출력이나, 정상 체온 출입자에 대하여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하는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모듈(130)과, 출입자에 대하여 화면을 안내하여 카메라 출력, 체온, 정상 및 비정상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40)과, 상기 출입관리장치(100)가 상기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하도록 하는데 통신방식으로는 4G(LTE), 5G 또는 WiFi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모듈(150)과, 상기 체온측정모듈(110), 카메라모듈(12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통합 가공하여 방역 데이터화하고, 판단에 따른 정보의 표출 및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130)을 통해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지만,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130)에서 알람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입을 통제하도록 하는 메인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20)에 촬영된 출입자가 코로나를 포함하는 전염병에 감염된 경우 해당 출입자에 대하여는 질병관리나 다른 곳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데도 이용되도록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서 관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출입관리 장치(100)는, 상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기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되어 코로나를 포함하는 질병 감염자 또는 자가 격리 중인 상태의 자가 업체를 방문한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보건 복지부의 정해진 지침이 수행되도록 해당 업체에 대한 인증 회수가 진행되도록 거리두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K-방역 인증이나, 회수를 진행하는 관제모듈(170)과 연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전방의 물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모듈인 거리 측정 모듈(210)과, 전후 사방 일정거리 이내의 행사 참여 인원에 대한 보조거리 측정 모듈(220)과, 거리두기 알람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0)과, 거리두기 알람용으로 상기 거리 측정 모듈(210)과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을 통해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 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모듈(240) 및 상기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의 거리 측정 모듈(210), 보조거리 측정모듈(220), 통신모듈(230) 및 알람모듈(240)의 제어 및 알람 출력, 통신 연동을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는 메인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거리 측정 모듈(210)은, 초음파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져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은 자기장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재유행하고 있는 코로나가 장기화됨에 따라 집단의 모임을 집단 스스로 방역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집단의 모임 행사를 기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행사장 출입자에 거리두기 알람장치를 지급하여 서로 간에 일정거리가 되면 자동으로 알람이 발생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거리 두기가 가능하다.
셋째, 출입관리장치와 통합관제 서버, 거리두기 알람장치 등이 분리,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실내는 물론 야외행사등에서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인증관리장치를 통해 설정된 위반자 이상이 발생된 경우 행사를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출입 게이트를 폐쇄할 수 있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행사장에 대한 출입통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의 출입관리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의 거리두기 알람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은 도 3에 나타낸 거리두기 알람장치의 유효거리 측정범위와 보조거리 측정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거리두기 알람장치를 이용한 거리두기 자동 분할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관리장치(100), 복수의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 통합관제 서버(3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능형 CCTV(400, 401) 및 인증관리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출입관리장치(100)는 출입인원이 행사장 출입조건에 맞는지 발열 및 마스크착용을 확인하여 감염자의 차단 및 전파를 막고,향후 감염사고 발생시 출입 기록을 확인하여 신속한 역학조사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 체온측정, 카메라 촬영, 출입 주적합자에 대한 경보음 출력 및 출입 게이트에 대한 오픈/클로즈 신호 발생, 출입자에 대한 화면 안내, 출입자 및 출입 거부자에 대한 신원 확인 데이터 및 카메라 촬영 데이터를 통합관제 서버(300)로 무선전송 등을 수행한다.
복수의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는 행사중 출입자 각각에게 교부되는 것으로, 사람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접근하면 알람을 발생하여 스스로 서로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알람이 반복되면 해당 알람이 반복되는 출입자 정보를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송하여 거리두기의 위반을 기록함으로써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토록하여, 행사 개최자 스스로 조심토록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합관제 서버(300)는 출입관리장치(100)와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기록 관리하여 논리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토록하며, 빅데이터(BigData)화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질병을 통합관제하는 통합관제센터의 서버(도시되지 않음) 등으로부터 감염자 또는 격리자 데이터를 받아 출입관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입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능형 CCTV(400, 401)는 행사장이나 출입장소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물체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여 분석하기 위한 검색조건과, 딥러닝 및 인공지능 데이터가 축적되어 통합관제 서버(300)에 설치된 경우 행사장이나 출입장소 내부에서 기본적으로 출입자를 촬영하며, 마스크 착용 여부와 출입자의 거리두기 위한 여부 등이 분석될 수 있도록 한다.
인증관리 장치(500)는 공간방역 인증기능과 이에 대한 방역여부에 따라 행사장의 출입가능여부에 대한 인증을 발부하거나 회수하는 기능이 작동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위반 사항이 발생되면 더 이상의 출입이 금지되도록 하고 해당 행사장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증관리장치(500)는 통합관제 서버(300)와 연동되어 통합관제센터의 서버(도시되지 않음)로 인증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관제센터는 질병관리본부, 각 지방의 대책본부, 중앙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각 지방사고 수습본부(지수본), 현장지휘소의 서버)나 담당자 단말기(PC, 스마트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야외에서의 행사(프로야구, 프로축구, 각급 정부기관 행사, 지자체 행사, 기업체 야외행사, 학교 행사 등)는 물론 건물 내부의 행사나 술집이나 유흥업소 등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의 출입관리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의 출입관리 장치(100)에 대한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온측정모듈(110), 카메라 모듈(120), 출력모듈(130), 디스플레이 모듈(140), 통신모듈(150), 메인모듈(160) 및 관제모듈(170)로 구성된다.
체온측정모듈(110)은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메인모듈(16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120)은 사람의 얼굴을 추적하여 체온측정모듈(110)의 정확한 측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마스크 착용 판단, QR코드 인식 등에도 이용된다. 추후 카메라 모듈(120)에 촬영된 출입자가 코로나를 포함하는 전염병에 감염된 경우 해당 출입자에 대하여는 질병관리나 다른 곳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출력모듈(130)은 알람경보음의 출력이나, 정상 체온 출입자에 대하여 게트 오픈를 오픈하도록 하는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출입자에 대하여 화면을 안내한다. 이때, 카메라 출력, 체온, 정상 및 비정상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출입자는 자신이 정상인지, 이상 체온인지를 쉽게 알 수 있고, 보건소나 병원을 방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통신모듈(150)은 출입관리장치(100)가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하도록 하는데 통신방식으로는 4G(LTE), 5G 또는 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모듈(160)은 체온측정모듈(110), 카메라모듈(12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통합 가공하여 방역 데이터화하고, 판단에 따른 정보의 표출 및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정상인 경우에는 출력모듈(130)을 통해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지만, 비정상인 경우에는 출력모듈(130)에서 알람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입을 통제하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40)을 통해서는 카메라 출력, 체온, 정상 및 비정상 등을 디스플레이이 되도록 제어한다.
관제모듈(170)은 거리두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K-방역 인증이나, 회수를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관제모듈(170)은 통신모듈(150)을 통해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되어 코로나를 포함하는 질병 감염자 또는 자가 격리 중인 상태의 자가 업체를 방문한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보건 복지부의 정해진 지침이 수행되도록 해당 업체에 대한 인증 회수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게이트에는 더 이상 오픈용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40)에도 해당 사실(감염자, 자가 격리자 체크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메인 모듈(160)과 통신한다.
도 3는 도 1에 나타낸 K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의 거리두기 알람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거리두기 알람장치의 유효거리 측정범위와 보조거리 측정범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는 거리 측정 모듈(210), 보조거리 측정모듈(220), 통신모듈(230), 알람모듈(240) 및 메인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리 측정 모듈(210)은 전방의 물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전방의 물체에 대한 거리 측정은 입이나 코 등 감염 주위 신체가 전방을 향하므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한데,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를 목걸이 형태로 하고, 사람의 가슴쪽으로 늘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측정모듈(210)은 초음파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져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향은 자이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이동방향을 알아내고, 이동방향에 따라 해당 출입자의 전방 방향을 알아낼 수 있다.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은 전후 사방 일정거리 이내의 행사 참여 인원에 대한 거리 측정 모듈이다. 이러한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은 예를 들어 자기장 센서를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각각에 구성하는 경우 서로 간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리 측정 모듈(210)과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의 유효거리 측정범위의 실시예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통신모듈(230)은 거리두기 알람 정보를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모듈(230)은 4G(LTE), 5G 또는 WiFi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알람모듈(240)은 거리두기 알람용으로 거리 측정 모듈(210)과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을 통해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 인 경우 알람(경보음, 진동 등)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메인모듈(250)은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의 거리 측정 모듈(210), 보조거리 측정모듈(220), 통신모듈(230) 및 알람모듈(240)의 제어 및 알람 출력, 통신 연동을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된다.
참고로, 거리 측정 모듈(210)과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을 구성하는 센서는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들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민감하게 작동하다가 15초 또는 30초 동안 안정화된 상태가 지속(미리 설정된 거리두기 유지에 따라)된 경우에 한하여 거리두기(예로써, 코로나 19의 경우에는 2m)가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인증하고, 그 MAP(평면도, 입체도 등)을 앞에서 설명한 통합관제센터의 서버로 전송하고, 거리두기 인증을 해주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거리두기 알람장치를 이용한 거리두기 자동 분할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거리두기 알람장치를 이용한 거리두기 자동 분할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예를 들어 지정 좌석제가 없는 경우 2미터 거리두기를 자동적으로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갖고 사용자에게 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보로노이알고리즘을 통합관제 서버(300)의 GIS에 추가하여 리얼타임 위치기반 자동거리두기 분할배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예로써 15초이상) 거리두기가 안정화되었을 때 앞에서 설명한 통합관제센터의 서버로 전송하고, 거리두기 인증을 해주게 하고 인증받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4나 도 5를 설명하면서 기재된 MAP은 도 5에서와 같은 Delaunary edge를 이용하여 거리두기 알람장치들간의 거리를 평면이나 입체도로 통합관제 서버(300)에서 통합관제센서의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출입관리장치 110 : 체온측정모듈
120 : 카메라 모듈 130 : 출력모듈
140 : 디스플레이 모듈 150 : 통신모듈
160 : 메인모듈 170 : 관제모듈
200, 201, 202 : 거리두기 알람장치
210 : 거리 측정 모듈 220 : 보조거리 측정모듈
230 : 통신모듈 240 : 알람모듈
250 : 메인모듈
300 : 통합관제 서버 400, 410 : 지능형 CCTV
500 : 인증관리 장치

Claims (10)

  1. 출입자가 행사장 출입조건에 맞는지 발열 및 마스크착용을 확인하여 감염자의 차단 및 전파를 막고, 향후 감염사고 발생시 출입 기록을 확인하여 신속한 역학조사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 체온측정, 카메라 촬영, 출입 주적합자에 대한 경보음 출력 및 출입 게이트에 대한 오픈/클로즈 신호 발생, 출입자에 대한 화면 안내, 출입자 및 출입 거부자에 대한 신원 확인 데이터 및 카메라 촬영 데이터를 통합관제 서버로 무선전송 등을 수행하는 출입관리장치(100);
    행사중 출입자 각각에게 교부되는 것으로, 사람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접근하면 알람을 발생하여 스스로 서로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알람이 반복되면 해당 알람이 반복되는 출입자 정보를 통합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거리두기의 위반을 기록함으로써 불이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토록하여, 행사 개최자나 참가자들이 스스로 조심토록하기 위한 복수의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 및
    상기 출입관리장치(100)와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기록 관리하여 논리적인 통계 분석이 가능토록하며, 빅데이터(BigData)화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통합관제센터의 서버로부터 감염자 또는 격리자 데이터를 받아 출입관리장치(100)로 전송하여 출입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관제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은,
    행사장에 설치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물체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여 분석하기 위한 검색조건과, 딥러닝 및 인공지능 데이터가 축적되어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행사장이나 출입장소 내부에서 출입자를 촬영하여 마스크 착용 여부와 출입자의 거리두기 위한 여부를 분석에 이용되는 지능형 CCTV(400, 4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은,
    공간방역 인증기능과 이에 대한 방역여부에 따라 행사장의 출입가능여부에 대한 인증을 발부하거나 회수하는 기능이 작동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위반 사항이 발생되면 더 이상의 출입이 금지되도록 하고 해당 행사장을 폐쇄할 수 있도록 인증관리 장치(500)가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 더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장치(100)는,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모듈(110)과,
    사람의 얼굴을 추적하여 상기 체온측정모듈(110)의 정확한 측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120)과,
    알람경보음의 출력이나, 정상 체온 출입자에 대하여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하는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모듈(130)과,
    출입자에 대하여 화면을 안내하여 카메라 출력, 체온, 정상 및 비정상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40)과,
    상기 출입관리장치(100)가 상기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하도록 하는데 통신방식으로는 4G(LTE), 5G 또는 WiFi 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모듈(150)과,
    상기 체온측정모듈(110), 카메라모듈(12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통합 가공하여 방역 데이터화하고, 판단에 따른 정보의 표출 및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130)을 통해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지만, 비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출력모듈(130)에서 알람 경고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게이트 오픈용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출입을 통제하도록 하는 메인모듈(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120)에 촬영된 출입자가 코로나를 포함하는 전염병에 감염된 경우 해당 출입자에 대하여는 질병관리나 다른 곳에 대한 출입을 통제하는데도 이용되도록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에서 관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 장치(100)는,
    상기 통신모듈(150)을 통해 상기 통합관제서버(300)와 통신되어 코로나를 포함하는 질병 감염자 또는 자가 격리 중인 상태의 자가 업체를 방문한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보건 복지부의 정해진 지침이 수행되도록 해당 업체에 대한 인증 회수가 진행되도록 거리두기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K-방역 인증이나, 회수를 진행하는 관제모듈(170)과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는,
    전방의 물체에 대한 거리를 측정하는 모듈인 거리 측정 모듈(210)과,
    전후 사방 일정거리 이내의 행사 참여 인원에 대한 보조거리 측정 모듈(220)과,
    거리두기 알람 정보를 상기 통합관제 서버(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0)과,
    거리두기 알람용으로 상기 거리 측정 모듈(210)과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을 통해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 인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모듈(240) 및
    상기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의 거리 측정 모듈(210), 보조거리 측정모듈(220), 통신모듈(230) 및 알람모듈(240)의 제어 및 알람 출력, 통신 연동을 위한 중앙처리장치로 구성되는 메인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 모듈(210)은,
    초음파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져 센서 중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거리 측정모듈(220)은 자기장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두기 알람장치(200, 201, 202)들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민감하게 작동하다가 15초 내지 30초 동안 안정화된 상태가 지속된 경우에 한하여 거리두기가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인증하고, 평면도나 입체도를 포함하는 맵(MAP)을 통합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거리두기 인증을 해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두기 알람장치를 이용한 거리두기 자동 분할 알고리즘은,
    지정 좌석제가 없는 경우 2미터 거리두기를 자동적으로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보로노이알고리즘을 GIS에 추가하여 리얼타임 위치기반 자동거리두기 분할배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 거리두기가 안정화되었을 때 평면도나 입체도를 포함하는 맵(MAP)을 통합관제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거리두기 인증을 해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1020200102968A 2020-08-18 2020-08-18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20220022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8A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0-08-18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968A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0-08-18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90A true KR20220022490A (ko) 2022-02-28

Family

ID=8049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968A KR20220022490A (ko) 2020-08-18 2020-08-18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2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795A (ko) 2022-03-24 2023-10-05 문수찬 백신접종을 고려한 합리적 사회적 거리두기 관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359A (ko) 2013-04-09 2014-10-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 질환의 실시간 관리를 위한 원격 모니터링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3145A (ko)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20170102113A (ko) 2016-02-29 2017-09-07 주식회사 랩피스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359A (ko) 2013-04-09 2014-10-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호흡기 감염 질환의 실시간 관리를 위한 원격 모니터링 통합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53145A (ko)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20170102113A (ko) 2016-02-29 2017-09-07 주식회사 랩피스 질병 의심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7457A (ko) 2020-03-30 2020-05-07 주식회사 올라운드 전염병 환자 추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염병 환자 추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795A (ko) 2022-03-24 2023-10-05 문수찬 백신접종을 고려한 합리적 사회적 거리두기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8068A1 (en) Method for issuing a verified health pass, use thereof for entering a venue and contact tracing method
JP6565083B2 (ja) 制限区域アクセスに対する制御および監視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221621B (zh) 警告监督用户受监视用户的行为的方法和系统
US20200365002A1 (en) Crowd management in an enclosed premises
CN210955266U (zh) 物联网温感身高人证识别一体机
CN113781688A (zh) 一种智慧医院疫情防控装置系统
KR10164882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CN113033293A (zh) 一种出入口管理设备、系统和方法
US202103049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isolating persons suspected of having an infectious disease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1626B1 (ko) 인공지능 기반 엣지 컴퓨팅을 활용한 유형별 객체 계수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895560B2 (en) Distributed type traffic line tr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8650485A (zh) 基于图像检测和无线探针的人员监控方法及系统
CA31797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try management
KR20220022490A (ko)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Bauer et al. Measurement of pedestrian movements: A comparative study on various existing systems
CN106791670A (zh) 用于光伏电站的智能安全预警监控系统
KR102168651B1 (ko) 열-감지센서를 구비한 체온측정기와, 이를 이용한 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28199B1 (ko) 추적 가능한 비식별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23587A (ko)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CN114783097B (zh) 一种医院防疫管理系统及方法
US10515243B1 (en) Controlled-environment facility location analytics system
US20210353155A1 (en) Body temperature detection safety kiosk
KR102496002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비대면 출입 관리 키오스크 및 이를 구비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