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587A -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587A
KR20150123587A KR1020140050144A KR20140050144A KR20150123587A KR 20150123587 A KR20150123587 A KR 20150123587A KR 1020140050144 A KR1020140050144 A KR 1020140050144A KR 20140050144 A KR20140050144 A KR 20140050144A KR 20150123587 A KR20150123587 A KR 20150123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security
communication device
access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찬
류병철
Original Assignee
아바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바드(주) filed Critical 아바드(주)
Priority to KR102014005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3587A/ko
Publication of KR2015012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출입증을 소지한 방문자의 출입증 착용 상태를 체크하여, 보안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출입장 연계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증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방문자의 보안구역 및 일반구역의 출입 상태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와; 출입증과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 장치와; 상기 출입 관리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출입증의 위치가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것을 판단되거나, 출입증이 탈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A security system linked a pass}
본 발명은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출입증을 소지한 방문자의 출입증 착용 상태를 체크하여, 보안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출입장 연계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보안 시스템은 공장이나 연구소에 출입허가를 받은자가 출입증을 목이나 다른 신체에 걸고, 이동하면서, 출입증에 등록된 허가 지역을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다만, 해당 지역에 CCTV 나 기타 이동식 감시 및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이상 행동을 감시하는 시스템이 있었고, 이러한 시스템은 한국 등록특허 10-1077967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10-2013-0028317에서는 Wi-Fi 및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시 대상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네트워크 카메라 및 CCTV와 연계하여 감시 대상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었다.
위 두 개의 선행 문헌 모두 출입증 또는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외부인 출입 제한 구역에, 권한이 있는 담당자가 동행하는 경우,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권한 있는 담당자와 방문자가 서로의 출입증을 바꿔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방문자 감시를 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나아가 방문자의 출입증 착용 상태를 감지하여, 철저한 보안 통제가 될 수 있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입증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방문자의 보안구역 및 일반구역의 출입 상태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와; 출입증과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 장치와; 상기 출입 관리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출입증의 위치가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것을 판단되거나, 출입증이 탈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출입 관리 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출입증의 위치가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것을 판단되거나, 출입증이 탈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출입증과 통신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히스토리를 검색하여 상기 출입증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보안 구역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통신장치와, 제2통신장치로 구성되며, 제1통신장치는 일반 구역 방향으로 신호를 제공하고, 제2통신장치는 보안 구역 방향으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되어, 특정 출입증이 제1통신 장치와 통신 후, 제2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면 보안 구역 진입으로 판단하고, 제2통신 장치와 통신 후, 제1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면, 보안 구역 진출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위반 행위 발견시 위반 행위가 발생한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보안 요원을 검색하고, 해당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 위반 정보를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입증은 출입자의 신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신체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안 시스템에 의하여 위반 행위를 하는 방문자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단속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한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통신 장치와의 실시간 통신을 통하여 해당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보안 요원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단속도 가능하다.
또한, 출입증을 신체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시함으로써, 출입증을 바꿔서 보안구역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과 연관되는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에 사용되는 출입증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카메라부의 감시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과 연계되는 각 부서나 각 전담인력을 표시한 것이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출입증(11) 또는 출입증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휴대폰 단말기(1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출입증 또는 출입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휴대폰 단말기를 '출입증'(10)이라고 통일하여 표기한다.
출입증(10)은 출입신청인이 출입 신청을 하고, 승인자에 의하여 출입에 대한 승인을 받게 되면 발급받을 수 있다.
출입증(10)은 손목에 찰 수도 있고, 휴대할 수 있으며, 목에 걸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은 보안 관리 서버(20)와, 위치 정보 관리 서버(30)와, 출입증 관리 서버(40)와, DB서버(50), 카메라 제어 서버(60)를 더 포함한다.
방문자가 출입하는 건물이나 지역 내에는 출입증(10)과 통신하는 AP 또는 비컨(beacon)신호 장치가 설치되고, 이들과의 통신에 의하여 출입증(10)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렇게 파악된 출입증(10)의 위치는 실제 방문자의 위치와 같다. 출입증(10)의 위치정보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30)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출입 관리 서버(40)는 출입증(10)을 가진 방문자의 출입 내역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즉, 특정 구역에 방문자가 출입하였는지 여부, 출입한 지역이 인가 구역인지, 출입 제한 구역인지 여부, 특정 구역의 출입시간 및 체류 시간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서 저장한다.
실제 특정 구역에 방문자가 출입하였는지 여부나, 출입 시간의 경우에는 각 구역의 입구에 마련되는 통신 장치가 방문자의 출입증(10)과 통신하여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통신 장치는 출입 관리 서버(40) 및 보안 관리 서버(20)에 획득한 정보를 전달한다.
보안 관리 서버(20)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30) 및 출입 관리 서버(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위반 행위 감지시, 해당 정보를 보안 요원에게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B 서버(50)는 일일 방문자 현황, 각 방문자의 출입 현황, 구역별 보안 등급 현황, 인가자 등록 현황 등과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를 DB화 하여 저장하고 있다.
한편, 보안 시스템은 보안 요원의 휴대폰 단말기(70)와, 보안 부서의 단말기(80)와, 관리자 단말기(9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90)의 경우, 관리자가 이를 통해서 보안 시스템 전체를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보안 등급에 따른 출입 제한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부서 단말기(80)의 경우, 이를 통해서 보안 부서 담당자가, 출입증을 발급하거나 회수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증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2는 도1에 적용되는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DB서버(50)는 통신장치 위치 DB(51)와, 실내 지도 DB(52)와, 출입 관리 DB(53)와, 영상정보 DB(54)를 포함한다.
통신장치(100)는 WiFi AP(101) 또는 비컨신호 장치(102)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장치(100)는 실내 지역 또는 실외 지역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출입증(10)이 통신을 함으로써, 출입증(1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휴대폰 단말기로 구성되는 출입증(12)이나, 스마트 워치 형태로 구성되는 출입증(11)에는 GPS통신부(도3참조, 10f)이 구비되고, 이에 의하여 실외에서는 GPS통신과 통신을 함으로써, 실외에서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은 CCTV와 같은 카메라부(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1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보안 부서의 단말기(80)에 모니터링용으로 제공되는 한편,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도 제공된다.
그리고 카메라부(11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상기 영상정보 DB(54)에 저장된다.
한편, 관리자나 보안 담당자의 단말기(80,90)에는 현재 출입증을 보유한 방문자의 현재 위치가 표시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어 방문자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카메라 제어 서버(60)가 마련된다.
한편, 방문자의 이상 상태(예, 출입제한 구역 접근 또는 출입증 탈거)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보안요원에게 알릴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보안 관리서버(20)가 마련된다. 보안 관리서버(20)는 각 보안요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상 상황이 발생한 지역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보안요원의 단말기(70)에 이상 상황에 대한 메세지 정보나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3은 웨어러블 기기 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이 몸에 고정시킬 수 있는 출입증(10)의 제어 블록도이다.
출입증(10)은 온도 센서로 구성되는 인체 감지 센서(10a) 또는 결합 장치(예, 버튼 등)에 연결되는 탈거 감지 회로(10b)를 포함한다.
그리고, AP나 비콘과 같은 로컬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0c)가 마련된다. 여기서 통신부(10c)는 AP나 비콘과 블루투스 통신이나, 지그비 통신 또는 광대역 통신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10c)는 출입증이 탈거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사실을 통신 장치(100)를 통해서 보안 관리 서버나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등에게 전달한다.
이를 통해서 보안 담당자 들이 어떤 위치에서 출입증의 탈거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입증에는 GPS통신부(10f)도 마련되어, GPS위성과 통신을 하여 야외에서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0d)는 시간이나, 방문자 이름, 초청자 이름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알람부(10e)는 방문자가 출입 제한 구역 등에 위치하는 경우, 이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람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부(10g)는 출입증을 부착한 방문자의 이동 경로나 이동 시간을 로깅 형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저장부(10g)에는 출입증을 받은 방문자에게 허락되지 않은 출입 제한 구역에 관한 정보도 저장이 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부(10c)와 해당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통신 장치와의 통신에 의하여, 현재 위치가 출입제한 구역임이 판명된 경우, 알람부(10e)에 의하여 경계 알람이 동작할 수 있다.
출입증(10)에는 위치 연산부(10h)도 마련되는데, 위치 연산부(10h)는 통신부(10c)와의 통신하는 AP나 비컨 신호 장치의 위치를 통하여 실내에서의 현재 위치를 연산하거나, GPS통신에 의하여 파악된 현재의 위치를 연산하는 한다.
이러한 연산 결과로 인한 위치 정보 변화는 상기 저장부(10g)에 저장된다.
탈거 감지부(10i)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10a)나 상기 탈거 감지 회로(10b)와 연결되어, 탈거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위반 검출부(10j)는 저장부(10g) 및 통신부(10c)와 연결되어 방문자의 현재 위치가 허가된 구역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의 구성요소의 제어 동작은 제어부(10l)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전원부(10k)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4a와 도4b는 방문자가 일반구역 및 보안구역에 있는 경우에 카메라가 촬영되는 상태와, AP나 비컨 신호 장치와 같은 통신장치에 의한 통신 가능 영역(Beam Zone)을 나타내고 있다.
도4a는 건물의 구역에서 통신 장치(100)의 통신 가능영역을 도시하고 있고, 도4b는 해당 통신 가능 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제공한다.
통신장치(100)에서 나오는 신호는 사방으로 퍼지는 것보다는 특정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장치(100)는 일반 구역과 보안 구역 사이의 출입구 위에 2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통신장치(100a)는 일반구역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제2통신장치(100b)는 보안구역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제1통신장치(100a)는 일반구역을 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신호를 제공하고, 제2통신장치(100b)는 보안 구역을 향하면서, 좌우 방향으로도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통신장치(100)의 신호는 출입구의 앞쪽과 뒤쪽, 그리고, 그 주위를 커버함으로써, 출입구를 드나드는 모든 사람의 출입증과 통신을 하여 출입자를 체크할 수 있다.
일반구역에서의 제1통신장치(100a)에서 특정 출입증과 통신을 한 후, 보안 구역의 제2통신장치(100b)에서 그 출입증과 통신을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면, 보안구역으로의 진입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그 반대로 보안구역에서의 제2통신장치(100b)에서 특정 출입증과 통신을 한 후, 일반 구역의 제1통신장치(100a)에서 그 출입증과 통신을 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면, 보안구역에서의 진출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 구역과 보안 구역에는 각각 CCTV나 보안 카메라 같은 카메라부(110)가 마련되어 방문자의 행적을 시각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특히, 위반 행위가 일어난 경우, 해당 장소의 카메라부가 집중적으로 구동되어, 해당 영상이 보안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전송되어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도5 내지 도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안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을 신청한 방문자에게 출입증을 제시하기 전에, 출입 가능 구역 및 금지 구역에 대한 정보를 출입증에 저장한다(S501).
방문자가 출입증을 신체에 부착하고, 이동을 하기 시작하면, 출입증은 주위 통신장치나 GPS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하여 위치 측위가 시작된다(S502).
또한, 출입증을 신체로부터 탈거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탈거 감지 기능이 시작된다(S503).
이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탈거 감지 동작도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만약에 출입 금지 구역에 진입 또는 접근 하였거나, 출입증을 탈거한 것과 같은 위반 행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출입증에서 경보 메세지나 알람이 출력되어 방문자에게 경고를 한다(S504, S505).
또한, 그 위반 정보는 출입 관리 서버 및 보안 관리 서버로 전송되고, 그 동안의 수집 정보(이동 경로 정보, 시간 정보)또한 출입 관리 서버 및 보안 관리 서버로 전송된다(S505, S506).
보안 관리 서버로 출입증의 위반 행위 로그가 수신된 경우(S601), 보안 관리 서브는 이것이 새로운 정보인지 판단한다(S602).
그리고, 새로운 정보라면, 보안 관리 서버는 이 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하고, 위반 행위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근접한 거리의 보안요원이 누구인지 판단한다(S603, S604).
가장 근접한 거리의 보안요원이 검출되는 경우, 그 보안요원의 휴대폰 단말기에 해당 위반 행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S605).
보안요원 휴대폰 단말기에 해당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보안요원은 이를 수신하였음을 보안 관리 서버에 다시 송신하고, 보안 관리 서버는 이를 수신한다(S606).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보안요원이 위반 방문자를 직접적으로 찾아가서, 해당 위반행위의 중단을 요청하게 함으로써, 방문자에 의한 기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출입증 20: 보안 관리서버
30: 위치 정보 관리 서버 40: 출입 관리 서버
50: DB 서버 100: 통신 장치

Claims (6)

  1. 출입증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방문자의 보안구역 및 일반구역의 출입 상태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와;
    출입증과 통신하도록 마련되는 통신 장치와;
    상기 출입 관리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출입증의 위치가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것을 판단되거나, 출입증이 탈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 서버와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어 출입증의 위치가 상기 출입 제한 구역에 있는 것을 판단되거나, 출입증이 탈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출입증과 통신하는 통신 장치의 통신 히스토리를 검색하여 상기 출입증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적어도 보안 구역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통신장치와, 제2통신장치로 구성되며,
    제1통신장치는 일반 구역 방향으로 신호를 제공하고, 제2통신장치는 보안 구역 방향으로 신호를 제공하도록 마련되어,
    특정 출입증이 제1통신 장치와 통신 후, 제2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면 보안 구역 진입으로 판단하고,
    제2통신 장치와 통신 후, 제1통신 장치와 통신을 하면, 보안 구역 진출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위반 행위 발견시
    위반 행위가 발생한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보안 요원을 검색하고,
    해당 보안 요원의 단말기에 위반 정보를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증은 출입자의 신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신체 착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또는 출입증 착탈을 감지하는 회로가 장착된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KR1020140050144A 2014-04-25 2014-04-25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KR20150123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44A KR20150123587A (ko) 2014-04-25 2014-04-25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44A KR20150123587A (ko) 2014-04-25 2014-04-25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587A true KR20150123587A (ko) 2015-11-04

Family

ID=5460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44A KR20150123587A (ko) 2014-04-25 2014-04-25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35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8774A (zh) * 2019-09-04 2020-01-24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智能锁解锁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77196B1 (ko) * 2021-06-22 2022-03-23 주식회사 한줌 양방향 otp 인증 기반의 스마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381665B1 (ko) * 2021-08-27 2022-04-04 주식회사 한줌 스마트 스쿨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454796B1 (ko) * 2021-06-03 2022-10-14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스마트 콤비카드와 위치정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8774A (zh) * 2019-09-04 2020-01-24 深圳酷派技术有限公司 智能锁解锁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454796B1 (ko) * 2021-06-03 2022-10-14 주식회사 케이제이테크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스마트 콤비카드와 위치정보 시스템
KR102377196B1 (ko) * 2021-06-22 2022-03-23 주식회사 한줌 양방향 otp 인증 기반의 스마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2381665B1 (ko) * 2021-08-27 2022-04-04 주식회사 한줌 스마트 스쿨 보안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3495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EP2779130B1 (en) GPS directed intrusion system with real-time data acquisition
US9860723B2 (en) Method of notification of fire evacuation plan in floating crowd premises
CN112489272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
KR101571534B1 (ko) 수동형 rfid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11036B2 (en) Object tracking using disparate monitoring systems
KR20120031787A (ko) 실시간 위치 확인/추적 시스템(rtls)을 이용한 스마트 빌딩 내 보안 및 관리 시스템
JP2009015412A (ja) 入場監視システム
JP3199599U (ja) 電子タグセキュリティ装置
KR20150123587A (ko)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04331755A (zh) 一种人员监管系统和人员监管方法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40276B (zh) 基于电子围栏的预警方法及装置、系统
KR101722713B1 (ko) 구역별 위치 추적 시스템
WO2015162621A1 (en) Guard performance and security system
CN104394514A (zh) 基于室内定位技术的大楼智能跟踪系统
KR20120074719A (ko) 실내 작업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그에 이용되는 무선수신장치
KR20170052053A (ko) 비콘과 스마트cctv를 이용한 전자발찌 위치추적 및 영상감시정보 시스템
TW201610920A (zh) 雲端駐警巡邏系統
KR20150123588A (ko) 스마트 출입증
TWM495556U (zh) 雲端駐警巡邏系統
EP3893524A1 (en) Hierarchical architecture of a security system for restricted areas of a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