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002B1 -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002B1
KR102459002B1 KR1020200181323A KR20200181323A KR102459002B1 KR 102459002 B1 KR102459002 B1 KR 102459002B1 KR 1020200181323 A KR1020200181323 A KR 1020200181323A KR 20200181323 A KR20200181323 A KR 20200181323A KR 102459002 B1 KR102459002 B1 KR 10245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ement
body temperature
subjec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856A (ko
Inventor
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Publication of KR20220030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측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및 동선정보를 실시간으로 능동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체 신원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한 측정온도와 상기 신원정보, 측정시간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체온측정기 및 상기 체온측정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측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BASED ON WIDEBAND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동선정보 및 선제적 출입통제를 실시간으로 능동 관리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온계는 신체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체온계는 수은 체온계, 전자 체온계, 패치형 체온계 또는 적외선 체온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들 가운데 측정방식이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단시간에 정확한 체온 측정이 이루어지는 적외선 체온계가 선호되고 있다.
한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사회적으로 이슈되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표적인 증상은 발열 증상으로서 체온을 측정하여 유증상자인지를 판별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감염을 예방하고자 학생 및 직장인들은 학교 및 직장에 입장하기 전에 신원정보를 입력한 뒤 체온을 측정하고, 발열증상이 없을 경우에만 입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방문객이 직접 신원정보를 입력하기 때문에 잘못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체계화된 데이터의 수집이 불가능하여 신원정보를 관리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학생 및 직장인이 목적지(학교 또는 직장)에 방문한 다음에 관리자에 의해 체온을 측정하는데, 이와 같은 대면 방식의 체온 측정은 감염자의 선제적인 출입을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감염자에 의한 노출 관리가 취약하고, 또한, 관리자, 학생 또는 직장인 중 누구 하나가 감염되었을 경우 감염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자가격리자 관리 시스템은 자가격리자가 일정 시간마다 스스로 온도를 측정하고 유선전화를 통해 방역담장다에게 보고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번거로움 때문에 자가 격리자가 비협조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화응답 거부 등 자가격리자와의 소통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정기적 데이터의 수집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자가격리자 관리 시스템은 자가격리자가 체온을 측정할 때 체온 측정 방식 또는 체온의 정확도가 높은 부위를 알지 못해 신뢰성이 낮은 온도를 제공받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761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동선정보 및 선제적 출입통제를 실시간으로 능동 관리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격리대상자가 체온을 방역 담당자에게 유선 통보하지 않아도 체온측정기를 통해 측정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이를 기초로 선제적 출입통제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검체 신원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한 측정온도와 상기 신원정보, 측정시간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체온측정기; 및 상기 체온측정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측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체온측정알림을 상기 체온측정기로 전송하고, 상기 체온측정알림에 응답하여 회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격리지역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격리지역정보와 상이하면 격리구역 이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격리지역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위치정보가 다시 상기 격리지역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때까지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피검체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는, 측정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촬영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측정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기준부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상기 측정온도 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는, 상기 피검체의 지문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정보, 상기 신원정보 및 상기 체온측정기의 고유코드를 매핑하는 등록모듈;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모듈; 상기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GPS모듈; 및 상기 신원정보, 상기 측정시간, 상기 측정온도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온측정기는, 내장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해 사업장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상기 관리서버는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의 동선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의 동선정보와 상기 피검체의 위치정보가 중복되면 해당하는 상기 피검체에게 상기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와의 접촉 가능성을 알림할 수 있다.
신원정보가 저장된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모듈; 상기 피검체가 체온을 측정한 상기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GPS모듈; 및 상기 신원정보, 측정시간, 상기 측정온도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측정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측정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및 동선정보를 실시간으로 능동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이를 기초로 선제적 출입통제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격리대상자가 체온을 방역 담당자에게 유선 통보하지 않아도 체온측정기를 통해 측정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위험군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사업장을 방문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하여 체온을 자가측정하면 체온측정기(110)는 피검체의 신원정보와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서버(12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20)는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를 능동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체온측정기(110) 및 관리서버(120)를 포함한다.
체온측정기(110)는 고유코드와 같은 식별번호가 구비되고, 그 식별번호에 의해 관리서버(120)에 등록 및 관리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피검체들에게 각각 지급된다. 체온측정기(110)에는 체온측정기(110)의 고유코드(식별번호)와 매핑된 피검체의 신원정보가 저장되고,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해 체온을 측정하면 측정온도와 신원정보, 측정시간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서버(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제공받은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본 실시예에서 체온측정기(110)는 귀 적외선 체온계, 이마 적외선 체온계, 피부 표면 체온계, 또는 디지털 체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온측정기(110)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체온측정기(110)는 온도측정모듈(111), 지문인식모듈(112), 등록모듈(113), GPS모듈(114) 및 통신모듈(117)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온측정기(110)는 카메라모듈(115) 및 처리모듈(116)을 더 포함한다.
온도측정모듈(111)은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센서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해 측정부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예컨대, 온도측정모듈(111)은 적외선 램프를 통해 측정부위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측정부위의 열을 센서로 감지해 그 파장의 변화를 온도로 변환시킴으로써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112)은 피검체의 본인 인증을 위한 수단이다. 지문인식모듈(112)은 피검체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피검체의 지문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피검체를 확인한다. 예컨대, 지문인식모듈(112)은 기 저장된 신원정보에 해당하는 피검체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면 체온측정기(110)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등록모듈(113)은 등록된 피검체의 지문정보, 신원정보 및 체온측정기(110)의 고유코드를 매핑한다. 예컨대, 등록모듈(113)은 피검체의 신원정보를 관리서버(120) 또는 피검체로부터 직접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원정보와 지문정보 및 체온측정기(110)의 고유코드를 매핑시킨다. 등록모듈(113)에 입력되는 신원정보는 생년월일, 이름, 실거주지 주소, 연령, 성별 및 지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등록모듈(113)에 의해 신원정보와 지문정보 및 체온측정기(110)의 고유코드를 매핑되면, 피검체는 지문인식을 통해 본인인증을 거친 후에만 체온측정기(110)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사용자가 해당 체온측정기(110)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관리서버(120)는 피검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GPS모듈(114)은 체온측정기(110)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GPS모듈(114)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는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해 체온을 측정하였을 때, 체온을 측정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관리서버(120)는 GPS모듈(114)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해 피검체의 방문장소, 동선파악 및 격리구역의 이탈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신모듈(117)은 체온측정기(110)에 저장된 피검체의 신원정보, 온도 측정시간, 측정온도 및 체온을 측정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관리서버(12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117)은 관리서버(120)와 광대역무선통신(LoRa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컨대, 로라(LoRa) 통신은 사물끼리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 기술로서, 다른 통신망과 비교했을 때 적은 전력으로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통신모듈(117)은 관리서버(120)로 측정정보를 전송할 때 측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체온측정기(110)는 카메라모듈(115) 및 처리모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15)은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해 신체 일부(즉, 측정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면 그, 측정부위를 촬영한다. 카메라모듈(115)에 의해 촬영된 촬영부위는 처리모듈(116)로 제공된다.
그리고 처리모듈(116)은 카메라모듈(115)로부터 제공받은 촬영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통해 측정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처리모듈(116)이 촬영부위와 기준부위를 비교하여 측정완료를 결정하는 이유는 온도의 측정이 용이하고 정확성이 높은 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예컨대, 처리모듈(116)은 카메라모듈(115)로부터 제공받은 촬영부위가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는다면 알림을 통해 재측정을 요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는 이마, 관자놀이, 볼, 목, 손목, 발목, 발등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로서 관리서버(120)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지급받았을 때 본인의 신체 일부를 체온측정기(110)의 카메라모듈(115)을 이용해 촬영하여 등록함으로써 기준부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부위 등록은 체온측정기(110)를 지급받은 후 최초 1회에만 설정하는 방식일 수 있다. 피검체가 기준부위를 직접 설정할 경우 관리서버(120)에 의해 기준부위의 위치 및 촬영방법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기준부위가 관리서버(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우에는 관리서버(120)는 촬영부위와 미리 설정된 기준부위의 유사도를 기초로 측정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 처리모듈(116)은 측정된 온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피검체가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해 기준부위를 직접 설정한 경우 피검체가 타인의 신체를 이용해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동선정보 및 선제적 출입통제 등을 실시간으로 능동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120)는 복수의 체온측정기(110)들로부터 각각에 해당하는 피검체의 측정정보 제공받고, 측정정보를 기초로 피검체의 성별, 연령별, 지역별, 격리기간 경과일별, 관할지자체별, 관할보건소별 체온정보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정보를 분석하고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측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관(10)은 관할지자체, 관할보건소 또는 질병관리본부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관(10)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검체가 학생이라면 미리 설정된 기관(10)은 학교일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기관(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피검체가 학생일 때 관리서버(120)는 측정정보를 학교, 관할지자체, 관할보건소 모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체온측정알림을 체온측정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알림에 응답하여 회신된 측정정보를 이용해 피검체의 체온정보 변화 추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측정정보가 회신되지 않으면 측정거부 정보를 생성하여 기관(1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서버(120)는 피검체의 측정정보를 기초로 모니터링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10)에 상시 전송하거나 또는 이상상태(즉, 발열 증상)가 발견된 경우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복수의 기준부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촬영부위에 대한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두 군데 이상의 측정온도 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두 군데 이상의 기준부위에 대한 측정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
관리서버(120)가 제공받은 두군데 이상의 측정온도 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인지를 분석하는 이유는 피검체가 체온을 낮추기 위해 부정행위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피검체는 두군데 이상의 측정부위를 별도의 수단(예를 들어, 얼음)으로 체온을 일시적으로 낮추려고 시도한다 하더라도 두군데 이상의 측정부위 온도를 동일한 온도로 낮추는 것은 불가능 하며, 이로 인해 관리서버(120)는 두군데 이상의 측정온도 간의 편차를 이용해 부정 측정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다른 피검체들이 소지한 체온측정기(110)들로부터 측정된 측정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수집된 측정정보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의 동선과 중복되는 피검체들에게 고위험군 대상자와 접촉 가능성을 알림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는 체온측정기(110)에 저장된 신원정보에서 피검체의 연락처를 추출하고, 고위험군과의 접촉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을 문자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고위험군에 대한 동선정보 및 위치정보를 질병관리본부, 관할지자체 또는 관할보건소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감염병 유증상자, 확진자, 접촉자 등 전염고위험군을 통합 관리하거나, 학생, 어린이집원생, 유치원생 등에 대한 자녀 등 저위험군의 체온정보의 변화추이 및 동선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위험군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피검체는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 감염병 유증상자, 확진자, 접촉자 등 전염고위험군이며, 기관(10)은 관할지자체, 관할보건소 또는 질병관리본부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120)는 피검체가 전염고위험군이면 피검체가 격리되는 장소에 대한 격리지역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측정정보를 전송받아 격리 기간 중에 변화되는 측정온도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측정정보가 회신되지 않으면 측정거부 정보를 생성하여 기관(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제공받은 측정정보에서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격리지역정보와 비교하여 피검체의 격리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120)는 위치정보와 격리지역정보가 상이하면 피검체가 격리구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탈정보를 생성하여 기관(10)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피검체의 격리 기간 중에 대한 온도 변화 추이를 용이하게 파악가능하고, 피검체의 격리구역 이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피검체체가 격리구역을 이탈하면 이탈정보를 생성한 뒤 피검체의 격리구역 이탈 이후의 동선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위치정보가 격리지역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때까지 동선정보를 계속해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동선정보는 피검체가 격리구역을 이탈한 순간부터 다시 격리구역까지 도달하는데에 대한 정보로서, 고위험군인 피검체가 격리구역을 이탈하여 방문한 행선지를 빠르게 파악하여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저위험군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피검체는 학생, 어린이집원생, 유치원생 등에 대한 자녀들 또한, 직장인 등일 수 있으며, 기관(20)은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직장, 관할보건소, 관할지차제 또는 질병관리본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피검체는 학생이고, 기관(20)은 학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2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측정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기상 후 또는 등교시간 전이 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체온측정기(11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정보에서 측정온도를 추출하고, 발열 증상이 발현된 경우 이를 기관(20)(학교)에 알릴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미리 저장된 담임선생님 또는 학교 관계자에게 어플리케이션 또는 문자를 이용하여 학생의 발현 증상을 알리고, 이를 알림받은 담임선생님 또는 학교 관계자는 학생의 등교 허가 여부를 판단하여 학생에서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피검체의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이를 기초로 선제적 출입통제를 함으로써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검체의 사업장을 방문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피검체는 체온측정기(110)를 지급받은 모두일 수 있으며, 사업장은 요식업 사업장, 공연 또는 영화관 사업장일 수 있으며, 기관(30)은 관할 지자체, 관할 보건소 또는 질병관리본부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피검체는 사업장에 방문할 때 지급받은 체온측정기(110)를 소지하고, 사업장에 입장하기 전에 소지한 체온측정기(110)를 이용해 신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장에는 사업장 정보(예를 들어, 주소)가 포함된 식별코드(예를 들면, QR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체온측정기(110)는 카메라모듈(115)을 이용해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체온측정기(110)는 미리 설정된 측정부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 뒤, 측정정보 및 사업장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20)는 제공받은 측정정보 및 기관(30)의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피검체의 방문 동선을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사업장에 방문한 모든 방문객들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120)에 저장된 측정정보 및 사업장의 식별코드는 사업장에 고위험군이 방문한 경우에 접촉 가능성이 있는 다른 방문자들을 추적 및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서버(120)는 제공받은 측정정보에서 기준치 이상의 측정온도가 검출되면, 해당 측정정보 및 사업장의 식별코드를 기관(30)에 전송하고 기관(30)은 감염 확산 방지에 대한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피검체가 체온 측정 장치(210)를 이용하여 체온을 자가측정하고, 체온 측정 장치(210)의 분석모듈(216)이 피검체의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피검체를 능동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장치(21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온 측정 장치(210)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온 측정 장치(210)는 온도측정모듈(211), 지문인식모듈(212), 등록모듈(213), GPS모듈(214), 분석모듈(216) 및 통신모듈(217)을 포함한다. 그리고 체온 측정 장치(210)는 카메라모듈(215)을 더 포함한다.
온도측정모듈(211)은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센서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해 측정부위에 대한 온도를 측정한다. 예컨대, 온도측정모듈(211)은 적외선 램프를 통해 측정부위에 적외선을 조사하고, 측정부위의 열을 센서로 감지해 그 파장의 변화를 온도로 변환시킴으로써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지문인식모듈(212)은 피검체의 본인 인증을 위한 수단이다. 지문인식모듈(212)은 피검체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피검체의 지문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정보를 기초로 등록된 피검체를 확인한다. 예컨대, 지문인식모듈(212)은 기 저장된 신원정보에 해당하는 피검체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면 체온 측정 장치(210)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등록모듈(213)은 피검체의 지문정보, 신원정보 및 체온 측정 장치(210)의 고유코드를 매핑한다. 예컨대, 등록모듈(213)은 피검체의 신원정보를 피검체로부터 직접 입력받고, 입력받은 신원정보와 지문정보 및 체온 측정 장치(210)의 고유코드를 매핑시킨다. 등록모듈(213)에 입력되는 신원정보는 생년월일, 이름, 실거주지 주소, 연령, 성별 및 지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등록모듈(213)은 피검체의 신원정보를 피검체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때 어플 또는 웹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등록모듈(213)에 의해 신원정보와 지문정보 및 체온 측정 장치(210)의 고유코드를 매핑되면, 피검체는 지문인식을 통해 본인인증을 거친 후에만 체온 측정 장치(210)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사용자가 해당 체온 측정 장치(210)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석모듈(216)은 피검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GPS모듈(214)은 체온 측정 장치(210)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GPS모듈(214)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는 피검체가 체온 측정 장치(210)를 이용해 체온을 측정하였을 때, 체온을 측정한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분석모듈(216)은 측정온도, 측정시간, 신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피검체의 온도 변화 추이 및 동선정보를 파악하여 능동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분석모듈(216)은 GPS모듈(214)에서 측정된 위치정보를 이용해 피검체의 방문장소, 동선파악 및 격리구역의 이탈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분석모듈(216)은 체온 측정 장치(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된 주기로 피검체에게 체온측정을 지시하는 알림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모듈(216)은 체온측정알림에 응답하여 측정된 측정온도를 이용해 피검체의 체온정보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분석모듈(216)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측정온도가 회신되지 않으면 측정거부 정보를 생성하여 기관(40)에 전송할 수 있다.
분석모듈(216)은 측정정보를 분석하고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통신모듈(217)을 통해 측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관(40)은 관할지자체, 관할보건소 또는 질병관리본부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관(40)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분석모듈(216)은 피검체의 측정정보를 기초로 모니터링한 정보를 통신모듈(217)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기관(40)에 상시 전송하거나 또는 이상정보(즉, 발열 증상)가 발견된 경우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17)은 기관(40)으로 통신하는 것으로서 광대역무선통신(LoRa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기관(40)과 통신할 할 수 있다. 예컨대, 로라(LoRa) 통신은 사물끼리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 기술로서, 다른 통신망과 비교했을 때 적은 전력으로 먼 거리를 통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통신모듈(217)은 기관(40)으로 측정정보를 전송할 때 측정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체온 측정 장치(210)는 카메라모듈(2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215)은 피검체가 체온 측정 장치(210)를 이용해 신체 일부(즉, 측정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면 그, 측정부위를 촬영한다. 그리고 카메라모듈(215)에 의해 촬영된 촬영부위는 분석모듈(216)로 제공된다.
그리고 분석모듈(216)은 카메라모듈(215)에 의해 촬영된 촬영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고, 일치 여부를 통해 측정완료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모듈(216)은 카메라모듈(215)로부터 제공받은 촬영부위가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는다면 알림을 통해 재측정을 요구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는 이마, 관자놀이, 볼, 목, 손목, 발목, 발등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로서 분석모듈(216)에 의해 미리 저장되거나 또는 피검체가 체온 측정 장치(210)를 지급받았을 때 본인의 신체 일부를 체온 측정 장치(210)의 카메라모듈(215)을 이용해 촬영하여 등록함으로써 기준부위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피검체가 기준부위를 직접 설정할 경우 기준부위의 위치 및 촬영방법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웹 또는 사용설명서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관
110: 체온측정기
111: 온도측정모듈
112: 지문인식모듈
113: 등록모듈
114: GPS모듈
115: 카메라모듈
116: 처리모듈
117: 통신모듈
120: 관리서버

Claims (11)

  1. 피검체 신원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한 측정온도와 상기 신원정보, 측정시간 및 위치정보가 포함된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전송하는 체온측정기; 및
    상기 체온측정기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측정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온측정기는,
    측정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촬영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측정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복수의 기준부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제공받고, 제공 받은 상기 측정온도 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제공받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체온측정알림을 상기 체온측정기로 전송하고, 상기 체온측정알림에 응답하여 회신된 상기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온도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격리지역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측정정보에 포함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격리지역정보와 상이하면 격리구역 이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관에 전송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격리지역정보와 상이하면 상기 위치정보가 다시 상기 격리지역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할때까지 상기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상기 피검체의 동선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기관에 전송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기는,
    상기 피검체의 지문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모듈;
    상기 지문정보, 상기 신원정보 및 상기 체온측정기의 고유코드를 매핑하는 등록모듈;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모듈;
    상기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GPS모듈; 및
    상기 신원정보, 상기 측정시간, 상기 측정온도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측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측정기는, 내장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해 사업장 정보가 포함된 식별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측정정보 및 상기 식별코드에 포함된 사업장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의 동선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의 동선정보와 상기 피검체의 위치정보가 중복되면 해당하는 상기 피검체에게 상기 감염 고위험군 대상자와의 접촉 가능성을 알림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10. 신원정보가 저장된 피검체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측정모듈;
    상기 피검체가 체온을 측정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GPS모듈;
    상기 신원정보, 측정시간, 측정온도 및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관에 전송하는 통신모듈;
    측정부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촬영부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부위 중 어느 하나와 비교하여 측정완료 여부를 결정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복수의 기준부위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측정온도 간의 편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다시 적어도 두 군데 이상의 상기 촬영부위에 대한 상기 측정온도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측정 장치.
  11. 삭제
KR1020200181323A 2020-08-27 2020-12-22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2459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8806 2020-08-27
KR1020200108806 2020-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856A KR20220030856A (ko) 2022-03-11
KR102459002B1 true KR102459002B1 (ko) 2022-10-27

Family

ID=8081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323A KR102459002B1 (ko) 2020-08-27 2020-12-22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818B1 (ko) * 2022-09-22 2023-11-02 (주)에스텔라 마스크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260B1 (ko) * 2003-07-16 2006-02-15 주식회사 일광테크 지피에스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030311B1 (ko) * 2007-02-27 2011-05-23 (주)엠디앤유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100989694B1 (ko) * 2008-06-25 2010-10-2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101576147B1 (ko) 2014-07-22 2015-12-09 신광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결합형 체온계 시스템
KR102296396B1 (ko) * 2014-07-31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접촉 체온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53145A (ko) *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20170099475A (ko)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프론트유 축제 방문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인증 서버
KR102061012B1 (ko) * 2018-02-14 2019-12-31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Nfc 기반의 생체정보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1711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아모텍 패치형 체온계 기반 체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856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390B1 (ko) 비접촉 체열측정에 의한 출입통제 장치 및 방법
US9300925B1 (en) Managing multi-user access to controlled locations in a facility
US11170894B1 (en) Access and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TMs)
US202103275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nd managing infectious diseases while maintaining privacy, anonymity and confidentiality of data
US20200137357A1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US11895560B2 (en) Distributed type traffic line tra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30154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try management system
WO2012058227A2 (en) Multiuser health monitoring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Omoogun et al. Critical patient e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sensors
WO2018004111A1 (ko) 사용자 단말, 서비스 제공장치, 스마트 체온계를 이용한 체온정보 수집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118287A (ko) 병원 방문객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20180031552A (ko) 환자 확인을 위한 안면 인식 장치,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환자 확인 방법
KR102525635B1 (ko) 자가관리시스템
JP2017176278A (ja) 生体データ記録方法、生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生体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KR102638693B1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Rakib et al. DeepHealth: A secure framework to manage health certificates through medical IoT, blockchain and deep learning
KR102436967B1 (ko) 패치형 체온계를 이용한 집단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US117010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iometric tamper detection
Almeida et al. Technology approaches for cruise ship disease propagation monitoring
JP2021099811A (ja) 健康状態管理装置、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健康状態管理方法、及び健康状態管理プログラム
KR20220019563A (ko)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KR20220022490A (ko) K(korea)방역 인증관리 시스템
KR102540146B1 (ko)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