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563A -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563A
KR20220019563A KR1020200100129A KR20200100129A KR20220019563A KR 20220019563 A KR20220019563 A KR 20220019563A KR 1020200100129 A KR1020200100129 A KR 1020200100129A KR 20200100129 A KR20200100129 A KR 20200100129A KR 20220019563 A KR20220019563 A KR 2022001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mission
information
entry
us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014B1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102020010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01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불특정 다수 또는 등록 회원의 입장 시 비접촉으로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인식된 안면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회원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얼굴 데이터를 등록하고 입장 후 입장 알림 서비스를 받으며 입장에 따른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지급받는 이용자 단말,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비접촉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촬영한 이용자 영상으로부터 안면인식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별하며,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PC 및 입장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입장확인 단말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장기록 정보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관리 PC 및 입장기록이 전달되면 이를 기초로 이용자 단말로 입장 알림 서비스와 포인트 지급 서비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입장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based non-contact admiss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특정 다수 또는 등록 회원의 입장 시 비접촉으로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인식된 안면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회원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방역을 위해 입장하는 고객의 체온을 측정하고, 명단을 작성하며, 바코드 등을 스캔하여 정보를 등록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체온 측정과 명단 작성이나 바코드 스캔 등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입장 고객의 정보를 관리한다.
근래에 세계 유행이 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와 같은 감염증은 비말(침방울), 접촉을 통한 전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즉,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신 비말(침방울)을 통한 전파,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 등을 만지는 것으로 전파가 이루어진다.
코로나 19 감염 증상으로는,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감염이 나타나며, 그 외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도 나타난다.
따라서 특정 건물의 입장 시 방역을 위해 고객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기본이며, 추후 추적을 위해 명단작성이나 바코드 스캔 등의 정보 입력을 수행한다.
고객의 체온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자가 고객과 근접한 상태에서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하는 방식이므로, 고객과의 접촉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명단작성 방법이나 바코드 스캔 방식은 고객이 직접 자필로 명단을 기재하거나 바코드를 스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비접촉으로 체온 측정과 동시에 고객의 정보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입장 고객을 관리하기 위해 종래에 제안된 방법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촬영한 방문자의 안면의 특징량과 입장을 허가하는 시간을 한정하는 입장 허가 시간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해 놓고, 방문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등록부에 등록된 안면의 특징량을 조합하고, 입장 허가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입장을 제어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매장에서 고객의 안면 정보를 수집하여 고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고객이 이후 매장 방문 시 고객 정보를 매장 고객 관리에 활용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며, 인식 결과를 기반으로 매장을 방문한 사용자의 감정 변화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4> 는 안면인식 로봇이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여, 고객의 과거 구매 이력을 실시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서비스를 공급하는 직원은 소비자 정보를 보고 고객의 이력을 파악하여 응대하는 방법으로, 고객 관리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종래기술은 입장하는 고객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고객의 안면을 인식하는 것이 주이며, 고객의 체온 측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접촉 방식으로 체온계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온을 측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단순히 안면인식에 국한되어 있어, 감염증에 대하여 방역대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비접촉 방식으로 입장하는 고객을 안전하게 관리하거나, 입장 고객이 방역 대상일 경우 경고를 하여, 입장을 제한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39118(2004.06.25. 등록)(입장 관리 장치와 입장 관리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9007(2013.08.09. 공개)(안면 인식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113245(2019.10.08. 공개)(안면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7824(2020.05.27. 등록)(안면인식 로봇을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체온계를 이용하여 고객의 체온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직접 접촉 방식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불특정 다수 또는 등록 회원의 입장 시 비접촉으로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인식된 안면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회원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은,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관리용 얼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장 후 입장 알림 서비스를 받으며 입장에 따른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지급받는 이용자 단말;
이용자의 입장 시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비접촉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촬영한 이용자 영상으로부터 안면인식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별하며, 체온 측정 정보와 안면인식 정보 및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입장기록 정보를 관리 PC 및 입장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입장확인 단말기;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장기록 정보와 저장한 얼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며, 방역정보 발생 시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관리 PC;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연동하여 이용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입장기록이 전달되면 이를 기초로 이용자 단말로 입장 알림 서비스와 포인트 지급 서비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입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은,
상기 관리 PC와 연동하며, 입장하는 이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이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여 입장 제한과 방역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장확인 단말기는 입장하는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 상기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안면정보를 기초로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관리 PC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입장기록 정보에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면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관리 PC는 이용자 입장 시 안면인식만을 이용한 입장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장 제한을 함으로써 이용자의 실질적인 신상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관리 PC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는 확인하는 경보정보 분석부; 상기 경보정보 분석부와 연동하여 방역에 따른 경보 발생 요청 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장관리서버는 상기 관리 PC로부터 전송된 회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기등록한 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입장관리서버는 이용자 입장시마다 생성되는 입장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입장 서비스 포인트와 입장 알림 정보를 이용자 단말에 제공해주되,
상기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입장관리서버가 운영하는 서비스 몰에서만 사용 가능한 포인트이며, 상기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다운로드 받은 이용자 단말에서만 직접적으로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카메라로 입장 이용자의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비접촉으로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 직접적인 체온 측정에 따른 불편함과 인력 낭비를 방지하고, 비접촉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감염증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방역 장비를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장 고객의 체온 측정 및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별하여, 체온이 설정치보다 높거나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를 경보하여 입장 제한을 함과 동시에 방역 기능도 수행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 또는 등록 회원의 입장 시 비접촉으로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인식된 안면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회원관리가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의 입장 시 안면인식만을 수행하고, 이용자의 정보는 안면인식정보와 입장 일시 정보만을 입장관리서버로 전송하므로, 해킹 등에 의해 정보가 탈취되어도 이용자의 신상 정보를 보호할 수 있어, 보안성 향상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입장확인 단말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리 PC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입장관리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이용자 단말(100), 입장확인 단말기(200), 관리 PC(300), 입장관리서버(400), 서비스 몰(500) 및 경보 발생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100)은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이용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관리용 얼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장 후 입장 알림 서비스를 받으며 입장에 따른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지급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용자 단말(100)은 입장 이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장소의 입장에 따른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지급받은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몰(5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 시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이용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입장확인 단말기(200)는 이용자의 입장 시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체온을 측정하고, 촬영한 이용자 영상으로부터 안면인식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별하며, 체온 측정 정보와 안면인식 정보 및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 PC(300) 및 입장관리서버(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장확인 단말기(200)는 이용자가 입장하는 장소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용자를 촬영하고 이용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입장확인 단말기(200)는 입장하는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 상기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를 통해 촬영한 이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안면 인식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면을 인식하고 안면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202), 상기 인식한 안면정보를 기초로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판단부(203)를 포함한다.
또한, 입장확인 단말기(200)는 상기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를 통해 측정한 정보로부터 체온 정보만을 추출하는 체온정보 생성부(204), 상기 안면인식정보, 마스크 작용 유무 정보 및 체온정보를 이용하여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입장기록 정보를 상기 관리 PC(300) 및 입장관리서버(400)로 전달하는 입장기록 생성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 PC(personal Computer)(300)는 상기 입장관리서버(400)에 회원 등록을 하고 이용을 위한 코드를 부여받으며,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입장기록 정보를 활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리 PC(300)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된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입장기록 정보에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면 경보 발생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관리 PC(300)는 이용자 입장 시 안면인식만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함으로써, 이용자의 실질적인 신상정보가 노출되지 않아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PC(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장관리서버(400)에 정해진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301),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얼굴 정보를 입장관리 정보로 등록하는 얼굴 등록부(302),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입장기록 수신부(303),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에서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는 확인하는 경보정보 분석부(304), 상기 경보정보 분석부(304)와 연동하여 방역에 따른 경보 발생 요청 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305), 수신한 입장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입장기록 저장부(306)를 포함한다.
입장관리서버(400)는 상기 관리 PC(300)로부터 요청되는 회원정보를 기초로 회원으로 등록해주며, 입장기록이 전달되면 이를 기초로 이용자 단말(100)로 입장 알림 서비스와 포인트 지급 서비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입장관리서버(400)는 클라우드 개념으로 각각의 장소에 설치된 관리 PC와 연동하여 회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장 고객을 관리하고 싶은 운영자는 별도의 회원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클라우드 서버인 입장관리서버(400)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 및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는 상기 관리 PC(300)로부터 전송된 회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입장관리서버(400)는 이용자 입장시마다 생성되는 입장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입장 서비스 포인트와 입장 알림 정보를 이용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해준다. 여기서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입장관리서버(400)가 운영하는 서비스 몰(500)에서만 사용 가능한 포인트이다.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 PC(300)로부터 전달되는 회원 등록 요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406)에 저장하고 회원으로 등록해주는 회원 등록부(401),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입장기록 수신부(402), 상기 입장기록 수신부(402)에서 수신한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406)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입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6)의 해당 회원 정보에 등록해놓는 입장정보 생성부(403), 상기 입장정보 생성부(403)에 의해 입장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서비스 몰 이용을 위한 포인트를 지급하는 입장 서비스 포인트 지급부(404), 상기 입장정보 생성부(403)에 의해 생성된 입장정보에 대응하는 입장 알림 정보 및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이용자 단말(100)에 전달해주는 정보 전송부(405)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등록부(401)는 회원별로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하여, 회원을 구분한다.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는 입장 정보 생성시 입장 이용객이 미성년자일 경우,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부모 전화번호)로 입장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용자 단말(100)은 지급받은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타인에게 양도해줄 수 있다.
경보 발생기(600)는 상기 관리 PC(300)와 연동하며, 입장하는 이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이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여 입장 제한과 방역을 동시에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 단말(100)에 설치한 이용자는 회원 등록 정보를 제공하여, 입장관리서버(400)에 회원으로 등록한다. 여기서 회원 등록 시 이용안내의 일부분으로서 코드를 부여받는다. 이렇게 부여받은 코드는 이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정보가 된다. 회원 등록 시 이용자의 얼굴을 등록시킨다. 등록된 얼굴 정보는 특정 장소에서 이용자의 입장을 확인하고, 입장을 제한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장소를 입장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장관리서버(400)와 접속한다.
입장관리서버(400)의 회원 등록부(401)는 이용자 단말(100)이 접속되면,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코드를 생성하여 이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고유코드는 이용자별로 전부 상이한 식별정보가 된다.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유코드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등록할 얼굴 데이터의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등록할 얼굴 데이터와 수신한 고유코드가 매칭되어 이용자 얼굴 정보로 입장관리서버(400)에 전송된다.
입장관리서버(400)의 회원 등록부(401)는 전송된 고유코드와 얼굴 데이터를 입장관리 정보로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한다.
여기서 이용자가 미성년자일 경우에는, 보호 대상자(예를 들어, 부모)를 함께 등록한다.
이용자가 미성년자일 경우, 미성년자인 이용자가 특정 장소를 방문하여 입장기록 정보가 생성되면, 입장관리서버(400)의 입장정보 생성부(403)는 자동으로 등록된 부모의 전화번호로 입장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로써 미성년자를 둔 부모는 자녀가 방문한 장소를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 알림 서비스는 부모가 자녀를 학원이나 센터 등에 수강시킬 때, 자녀 관리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인 입장관리서버(400)를 통해 입장 고객을 관리하고자 하는 업체의 운영자는 관리 PC(300)를 통해 입장관리서버(400)에 회원 등록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등록한다. 업체의 운용자가 회원 등록시에도 회원을 구분하기 위한 코드를 부여받는다. 회원으로 등록되면 운영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나 기타 복잡한 회원 관리를 개별적으로 수행할 필요 없이, 입장관리서버(400)를 통해 회원 관리를 대행시킬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상기 운영자가 운영하는 장소를 방문하면, 입구에 설치된 입장확인 단말기(200)의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에서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비접촉으로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여기서 이용자는 얼굴을 등록한 이용자이거나 얼굴 등록이 없는 불특정 이용자일 수 있다.
여기서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는 모니터와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으로서, 촬영된 이용자 영상을 화면에 표출해준다, 화면에는 얼굴 촬영 위치를 지정해주는 촬영 위치 표시자가 표출된다. 사용자는 촬영 위치 표시자를 보고 촬영된 자신의 얼굴을 촬영 위치 표시자의 범위에 속하도록 이동하여 촬영에 임한다.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201)는 촬영 위치 표시자에 특정 물체가 위치하면 촬영을 하고 동시에 비접촉 방식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여기서 체온측정은 0.5 ~ 2.5m(±0.3) 범위 내에서 체온 측정이 가능하다.
이렇게 측정한 촬영 영상은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202)에 전달하고, 체온정보는 체온정보 생성부(204)에 전달한다.
상기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202)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된 정보로부터 안면을 인식한다. 여기서 안면인식 알고리즘은 눈, 코 정렬 일치, 특징적인 부분만 추출하여 안면을 인식하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유사성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방식으로 안면을 인식하는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비선형적인 요소들을 비교하여 안면을 인식하는 EBGM(Elastic Bunch Graph Matching), 기존에 주어진 특징 이외에 특정영역 분류특징으로부터 새로운 특징을 추출해내는 방식으로 안면을 인식하는 ICA(Iddependent Component Analysis), 명암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여 안면을 인식하는 Haar Classifier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마스크 착용 판단부(203)는 상기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202)로부터 인식한 안면인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크의 착용 유무를 판별하고, 그 결과로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를 생성한다. 안면인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코나 입 정보가 뚜렷하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을 하며, 코나 입 정보가 뚜렷하지 않으면 마스크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을 한다.
또한, 체온 정보 생성부(204)는 전달되는 측정 체온 정보를 감염증 방역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를 하여, 측정한 체온이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발열이 발생했다는 발열 체온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한 체온이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발열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미발열 체온정보를 생성한다.
입장기록 생성부(205)는 상기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202)에서 생성한 안면인식 정보와 상기 마스크 착용 판단부(203)에서 생성한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 및 상기 체온정보 생성부(204)에서 생성한 발열 또는 미발열 체온정보와 촬영 및 측정 일시 정보를 포함하여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와 체온정보를 방역정보라고 한다. 정상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미발열 상태이면 방역정보는 없으며, 마스크 미착용 및/또는 발열 상태이면 방역정보가 발생한다. 이렇게 생성한 입장기록 정보를 관리 PC(300) 및 입장관리서버(400)에 전달한다.
관리 PC(300)의 입장 기록 수신부(303)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관리 PC(300)의 경보정보 분석부(304)는 상기 입장기록 수신부(303)로부터 수신한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입장 기록정보에 방역정보가 없으면 단순 입장기록 정보라고 판단하고, 입장기록 정보에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한다.
이후, 방역정보의 존재에 따라 경보 발생부(305)에 경보 발생을 요청한다.
경보 발생부(305)는 마스크 미착용 및/또는 발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도록 경보 발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발생기(600)에 전달한다.
상기 경보 발생기(600)는 상기 관리 PC(300)와 연동하며, 상기 경보 발생부(305)로부터 경보 발생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경보를 발생하여 입장하는 이용자가 마스크를 미착용하였거나 발열이 있는 것을 경보하고, 이러한 경보를 통해 입장을 제한하도록 한다. 즉, 경보 발생기(600)는 입장하는 이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이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여 입장 제한과 방역을 동시에 수행한다.
아울러 입장기록 저장부(306)는 상기 입장기록 수신부(303)에서 수신한 입장기록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입장기록 정보에는 입장한 이용자의 개인 신상정보는 없으며, 단순히 안면인식 정보와 입장 일시 정보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입장기록 정보가 해킹에 의해 해킹되어도 개인신상 정보의 공개는 불가능하여, 보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보안성 향상을 위해 입장기록 정보를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또한, 관리 PC(300)는 단순히 입장기록 정보만을 저장하고, 추후 입장관리서버(400)로부터 필요에 따라 입장기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이용자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나 기타 시스템 구축을 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구축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영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 확인을 하고 입장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를 통해 이용자의 얼굴 정보를 받아 이를 입장기록 저장부(306)에 저장한다. 이후, 입장기록 정보가 수신되면 입장기록 저장부(306)에 저장한 얼굴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안면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로 등록 이용자 여부를 확인한다. 이 비교 결과 저장된 얼굴 정보와 인식한 안면인식 정보가 상이할 경우에는 경보를 발생하여, 등록되지 않은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입장관리서버(400)는 운영자 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사전에 등록한 상태에서,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 추출한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장관리서버(400)의 입장기록 수신부(402)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06)에 저장한다.
입장정보 생성부(403)는 새로운 입장기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한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406)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입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6)의 해당 회원 정보에 매칭하여 회원 입장 정보를 갱신한다. 그리고 입장정보를 생성하면 입장 알림 서비스 기능을 통해 입장 알림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전송부(405)에 전달한다.
아울러 입장 서비스 포인트 지급부(404)는 상기 입장정보 생성부(403)에 의해 입장정보가 새롭게 생성될 때마다 서비스 몰 이용을 위한 포인트를 생성하여 정보 전송부(405)에 전달한다. 여기서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입장관리서버(400)가 운영하는 서비스 몰(예를 들어, SD Mall)(500)에서만 사용 가능한 포인트이다.
정보 전송부(405)는 상기 입장정보 생성부(403)에 의해 생성된 입장정보에 대응하는 입장 알림 정보 및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이용자 단말(100)에 실시간으로 전달해준다.
따라서 특정 장소를 입장한 이용자는 실시간으로 입장기록, 입장 알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이용자가 미성년자일 경우, 입장관리서버(400)의 정보 전송부(405)는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예를 들어, 부모 전화번호)로 입장 알림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로써 미성년자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가 방문한 곳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자녀 교육이나 자녀 관리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100)을 통해 지급받은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자신이 직접 서비스 몰(500)에서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해줄 수 있다.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단순히 정해진 장소를 입장하는 행위만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이용자는 서비스 포인트로 다양한 상품을 무료로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입장관리서버 운영자는 관리 PC를 통해 등록한 운영자로부터 관리 비용을 받을 수 있어,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정해진 장소에 일정 시간을 두고 방문한 경우에만 서비스 포인트를 지급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동일한 장소를 짧은 시간에 반복하여 입장하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서비스 포인트의 획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불특정 다수 또는 등록 회원의 입장 시 비접촉으로 안면인식과 체온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방역과 회원 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인식된 안면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회원 정보를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회원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회원 관리 업체의 운영자는 별도의 회원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회원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미성년자를 둔 부모는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자녀가 방문한 장소를 알 수 있어, 자녀 교육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이용자 단말
200: 입장확인 단말기
201: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
202: 안면인식 정보 생성부
203: 마스크 착용 판단부
204: 체온정보 생성부
205: 입장기록 생성부
300: 관리 PC
301: 회원 등록부
302: 얼굴 등록부
303: 입장기록 수신부
304: 경보정보 분석부
305: 경보 발생부
306: 입장기록 저장부
400: 입장관리서버
401: 회원 등록부
402: 입장기록 수신부
403: 입장정보 생성부
404: 입장 서비스 포인트 지급부
405: 정보 전송부
406: 데이터베이스
500: 서비스 몰
600: 경보 발생기

Claims (9)

  1.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으로 입장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안내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관리용 얼굴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장 후 입장 알림 서비스를 받으며 입장에 따른 서비스 몰 이용 포인트를 지급받는 이용자 단말;
    이용자의 입장 시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비접촉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촬영한 이용자 영상으로부터 안면인식을 통해 마스크 착용 여부를 판별하며, 체온 측정 정보와 안면인식 정보 및 마스크 착용 유무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입장기록 정보를 관리 PC 및 입장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입장확인 단말기;
    상기 입장관리서버에 회원 등록을 하고 이용을 위한 코드를 부여받으며,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입장기록 정보와 저장한 얼굴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며, 방역정보 발생 시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관리 PC; 및
    상기 이용자 단말과 입장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연동하여 이용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입장기록이 전달되면 이를 기초로 이용자 단말로 입장 알림 서비스와 포인트 지급 서비스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입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PC와 연동하며, 입장하는 이용자의 체온이 미리 설정된 설정치를 초과하거나 이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여 입장 제한과 방역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보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는 입장하는 이용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체온을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 상기 안면인식 체온측정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인식한 안면정보를 기초로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단하는 마스크 착용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PC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입장기록 정보에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면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PC는 이용자 입장 시 안면인식만을 이용한 입장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입장 제한을 함으로써 이용자의 실질적인 신상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6.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PC는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에서 전달되는 입장기록 정보를 분석하여 방역정보가 포함되면, 방역정보를 분석하여 경보 발생 요건에 해당하는 확인하는 경보정보 분석부; 상기 경보정보 분석부와 연동하여 방역에 따른 경보 발생 요청 시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입장관리서버는 상기 관리 PC로부터 전송된 회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입장확인 단말기로부터 입장기록 정보를 수신하면 입장기록 정보에 포함된 얼굴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얼굴 데이터를 기초로 기등록한 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회원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한 회원 정보와 입장기록 정보를 결합하여 입장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8. 청구항 1에서, 상기 입장관리서버는 이용자 입장시마다 생성되는 입장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입장 서비스 포인트를 생성하고, 입장 서비스 포인트와 입장 알림 정보를 이용자 단말에 제공해주되,
    상기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입장관리서버가 운영하는 서비스 몰에서만 사용 가능한 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9. 청구항 8에서, 상기 입장 서비스 포인트는 다운로드 받은 이용자 단말에서만 직접적으로 사용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KR1020200100129A 2020-08-10 2020-08-10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KR10250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129A KR102503014B1 (ko) 2020-08-10 2020-08-10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129A KR102503014B1 (ko) 2020-08-10 2020-08-10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563A true KR20220019563A (ko) 2022-02-17
KR102503014B1 KR102503014B1 (ko) 2023-02-24

Family

ID=8049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129A KR102503014B1 (ko) 2020-08-10 2020-08-10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3097A (zh) * 2022-04-07 2022-07-22 南京天溯自动化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医院防疫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150B1 (ko) * 1999-11-26 2002-12-31 장철웅 인터넷 전자상거래 상의 마일리지 통합 운영 방법
KR100439118B1 (ko) 2001-03-15 2004-07-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입장 관리 장치와 입장 관리 방법
KR20130089007A (ko) 2012-02-01 2013-08-09 주식회사 가온 안면 인식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3245A (ko) 2018-03-28 2019-10-08 손수정 안면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90114084A (ko) * 2018-03-29 2019-10-10 엄정숙 안면인식을 이용한 회원관리 및 방문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17824B1 (ko) 2018-04-25 2020-06-03 (주)우퍼디자인 안면인식 로봇을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150B1 (ko) * 1999-11-26 2002-12-31 장철웅 인터넷 전자상거래 상의 마일리지 통합 운영 방법
KR100439118B1 (ko) 2001-03-15 2004-07-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입장 관리 장치와 입장 관리 방법
KR20130089007A (ko) 2012-02-01 2013-08-09 주식회사 가온 안면 인식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3245A (ko) 2018-03-28 2019-10-08 손수정 안면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90114084A (ko) * 2018-03-29 2019-10-10 엄정숙 안면인식을 이용한 회원관리 및 방문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117824B1 (ko) 2018-04-25 2020-06-03 (주)우퍼디자인 안면인식 로봇을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3097A (zh) * 2022-04-07 2022-07-22 南京天溯自动化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医院防疫管理系统及方法
CN114783097B (zh) * 2022-04-07 2023-09-12 南京天溯自动化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医院防疫管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014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903B1 (ko) 감염예방 인증 키오스크
US11437127B2 (en) Trusted third-party computerized platform for AI-based health wallet
KR102268065B1 (ko) 감염병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장치
JP6865321B1 (ja) 入退場管理装置、入退場管理方法、入退場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11170894B1 (en) Access and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TMs)
KR102489929B1 (ko) 출입 요청자의 체온측정 기능을 갖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JP6813842B1 (ja) イベント用マスク、検出装置、サーバー、イベントの入場許否処理方法
KR102317429B1 (ko) 발열체크가 가능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및 주문결제 시스템
US9699162B2 (en) Personal area network
KR102310915B1 (ko) 출입자의 마스크 탐지 및 체온 보정을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패스 시스템
US11941919B2 (en) Ticket issuing system, and ticket checking apparatus
KR20220019563A (ko) 인공지능기반의 비접촉 입장관리시스템
KR20170000389A (ko) 생체측정적 행동 콘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 인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37862A1 (en) Passage permit device,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WO2022201490A1 (ja) 認証端末、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2207484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KR20220137223A (ko) 전염병의 검사결과 데이터, 백신 접종 여부 및 체온측정 확인 기능의 비접촉식 생체인식 클라우드 환경 기반 스캐너 및 그 이용 방법
KR102540146B1 (ko)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US11996175B2 (en) Trusted third-party computerized platform using biometric validation data structure for AI-based health wallet
KR102422695B1 (ko) 체온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푸쉬알림 서비스 방법
KR102529838B1 (ko) 방역스캐너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47371B1 (ko) 출입 관리를 위한 등록 및 관리 시스템
WO2022180816A1 (ja) 入場判定システム、入場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7453543B2 (ja) 体温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